KR200414962Y1 - 플러그 연결구 - Google Patents

플러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962Y1
KR200414962Y1 KR2020060003131U KR20060003131U KR200414962Y1 KR 200414962 Y1 KR200414962 Y1 KR 200414962Y1 KR 2020060003131 U KR2020060003131 U KR 2020060003131U KR 20060003131 U KR20060003131 U KR 20060003131U KR 200414962 Y1 KR200414962 Y1 KR 200414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terminal
out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솔
Original Assignee
이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솔 filed Critical 이한솔
Priority to KR2020060003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9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9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 등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와 각종 전기용품에 연결된 플러그(plug) 사이에 설치하여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러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컨넥터, 연결구

Description

플러그 연결구{A connector for plu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2 ; 수용홈
14 ; 단자홀 20 ; 누름레버
22 ; 고정핀 24 ; 스프링
26 ; 누름버턴 30 ; 연결단자
본 고안은 플러그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 등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와 각종 전기용품에 연결된 플러그(plug) 사이에 설치하여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러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가정용 전기용품에 공급되는 전력은 주로 주택의 벽면 등에 고정 설치된 콘센트에 전기용품에 연결된 플러그를 접속함으로서 공급된다. 그런데 종래의 콘센트와 플러그는 플러그의 접속단자를 콘센트의 접속단자에 억지로 끼워넣는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반대로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이탈시키는 작업이 결코 용이하기 않았다. 그래서 플러그를 빼내기 위하여 플러그에 연결된 전선을 자꾸잡아 당기게 되고, 이는 결국 전선 자체가 단락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각종 가정용 전기용품에 연결된 통상적인 플러그에 설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컨센트에 접속하므로서, 컨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빼낼 때 플러그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플러그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연결구는 상면에 플러그가 수용되는 수용홈 및 단자홀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각각 설치된 누름레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단자홀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가 연장되어 하우징 하면으로 돌출된 연결단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레버는 고정핀과 스프링에 의해서 하우징에 지지되고, 그 일 단에 형성된 누름버턴이 하우징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연결구는 도 1과 같이 하우징(10)과 누름레버(20), 그리고 연결단자(3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은 통상 원통형으로서, 그 상면에는 다른 플러그(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는 수용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12) 내부에는 플러그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단자홀(14)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누름바(20)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바(20)는 'Z' 모양, 즉 크랭크(crank) 형상으로서, 고정핀(22)과 스프링(24)에 의해서 하우징(10)에 지지되고, 그 일단에 형성된 누름버턴(26)이 하우징(1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단자홀(14)에 연결되는 접속단자(32)가 설치되어 있고, 접속단자(32)의 하단에는 연결단자(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30)가 하우징(10)의 하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32)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서 그 속으로 다른 플러그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된다. 접속단자(32)에는 플러그 단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슬릿(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단자(30)은 통상적인 플러그 단자와 동일한 규격 및 형상을 갖는다.
본 고안의 플러그 연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상적인 전기용품에 연결된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하우징(10)의 수용홈(12)과 단자홀(14)에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플러그 단자의 끝단이 접속단자(32) 속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10) 하단의 연결단자(30)를 전원이 연결된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전기용품을 사용하다가 상기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하우징(10) 측면의 누름버턴(26)을 눌러준다. 그러면 고정핀(22)을 축으로 하여 누름레버(20)가 회동하면서 누름레버(20)의 하단이 콘센트를 밀어내게 되고, 그 힘에 의하여 하우징(10)이 쉽게 콘센트로부터 이탈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목적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해 낼 수 있는 설계변경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본 고안은 각종 가정용 전기용품에 연결된 통상적인 플러그에 설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컨센트에 접속하므로서, 컨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빼낼 때 플러그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면에 플러그가 수용되는 수용홈 및 단자홀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각각 설치된 누름레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단자홀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가 연장되어 하우징 하면으로 돌출된 연결단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레버는 고정핀과 스프링에 의해서 하우징에 지지되고, 그 일단에 형성된 누름버턴이 하우징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구.
KR2020060003131U 2006-02-03 2006-02-03 플러그 연결구 KR200414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131U KR200414962Y1 (ko) 2006-02-03 2006-02-03 플러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131U KR200414962Y1 (ko) 2006-02-03 2006-02-03 플러그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962Y1 true KR200414962Y1 (ko) 2006-04-27

Family

ID=4176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131U KR200414962Y1 (ko) 2006-02-03 2006-02-03 플러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9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680B1 (ko) * 2019-07-02 2020-10-19 박경일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조립체
KR102434527B1 (ko) * 2021-12-13 2022-08-19 주식회사 에코셋 Uv 램프 소켓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680B1 (ko) * 2019-07-02 2020-10-19 박경일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조립체
KR102434527B1 (ko) * 2021-12-13 2022-08-19 주식회사 에코셋 Uv 램프 소켓 조립체
US11661354B1 (en) 2021-12-13 2023-05-30 Ecoset Co., Ltd. UV lamp socke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5871B (zh) 多電纜用電連接器
CN106463888B (zh) 凹型电连接器、相对应的凸型电连接器和包括凸型电连接器和凹型连接器的连接组件
JP2009164105A (ja)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KR200414962Y1 (ko) 플러그 연결구
JP2001307789A (ja) 電気コネクタ
JP2003503823A5 (ko)
KR100727554B1 (ko) 절전형 콘센트
KR101484010B1 (ko) 절전형 멀티탭
KR200481574Y1 (ko) 분리 방지용 커넥터
EP2985839B1 (en) Plug
JP200909405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50463Y1 (ko) 양방향 수커넥터
KR20050106723A (ko) 콘센트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KR200183936Y1 (ko) 전기기구용 콘센트
CN201048186Y (zh) 插拔式电源连接器
KR20050106726A (ko) 콘센트
KR200420046Y1 (ko) 조인트 커넥터
KR200419225Y1 (ko)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KR200313692Y1 (ko)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KR200392238Y1 (ko) 전선 연결용 멀티탭
CN211295577U (zh) 一种连接稳定的扣合式插头插座
KR200409086Y1 (ko) 전원 공급장치
KR101479699B1 (ko) 4p 로커스위치를 이용한 단속 플러그
KR200158830Y1 (ko) 콘센트의 코드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