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225Y1 -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225Y1
KR200419225Y1 KR2020060008296U KR20060008296U KR200419225Y1 KR 200419225 Y1 KR200419225 Y1 KR 200419225Y1 KR 2020060008296 U KR2020060008296 U KR 2020060008296U KR 20060008296 U KR20060008296 U KR 20060008296U KR 200419225 Y1 KR200419225 Y1 KR 200419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upling
adapter
electronic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철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아이.씨.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아이.씨.에이 filed Critical (주) 케이.아이.씨.에이
Priority to KR2020060008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2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225Y1/ko
Priority to GB0803542A priority patent/GB2442930B/en
Priority to PCT/KR2007/001467 priority patent/WO2007111458A1/en
Priority to CN2007800010410A priority patent/CN10135193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 플러그와의 분리 결합을 위한 수납공간과 플러그의 접속단자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공이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전원 콘센트와 기구 및 전기적으로 분리 결합된 두 개의 접속단자와,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접속단자의 상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이 전자제품 플러그와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 가능한 두 개의 터미널 및 수납공간에 분리 결합되는 전자제품 플러그의 결합 요홈에 록킹될 수 있도는 홀더의 결합 돌기가 관통 공을 통해 가이드 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록킹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원과 연결된 콘센트와 전자제품 플러그를 연결해 줄 수 있는 어댑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특정 국가나 지역의 전원 콘센트에 맞게 제조된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서로 다른 국가나 지역의 다양한 형태의 전원 콘센트와 연결해 주고 어댑터와 전자제품 플러그와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어댑터로부터 전자제품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전원, 콘센트, 플러그, 다른 방식, 단자.

Description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 어댑터{adapter for plug}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의한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상부 케이스가 열린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6은 어댑터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어댑터와 전자제품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은 어댑터와 전자제품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9 내지 도12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 어댑터의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부 케이스 12 : 하부 케이스
13a, 13b : 접속단자 14 : 수납공간
15 : 결합 공 16 : 결합 돌기
17 : 가이드 면 18 : 요철 면
19a, 19b : 터미널 20 : 스프링
21 : 홀더 22 : 걸림 턱
23 : 후크 24 : 플러그
25 : 관통 공 26 : 퓨즈
26a, 26b : 지지대 27 : 나사 결합봉
28 : 결합 요홈 29a,29b : 파지부
30 : 퓨즈 홀더 31 : 결합 홈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제조판매되는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서로 다른 국가나 지역의 다양한 형태의 전원콘센트와 연결해 줄 수 있도록 어댑터의 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전자제품 플러그와 어댑터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콘센트와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계 각국은 자국의 실정에 맞춰 소비자에게 전기를 공급하고 있고, 그에 따라 공급되는 전압과 전기공급의 마지막 단계인 콘센트 역시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다시 말해, 세계 각국에서 제조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전자제품은 110 V 혹은 220 V 등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반면에 전자제품을 전원 즉, 콘센트에 연결시켜 주는 플러그는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는 콘센트에 맞게 해당 국가의 표준규격에 맞게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해외 여행을 하는 여행자들은 각국에서 사용되는 전압과 콘센트에 여행자가 속한 나라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접속시켜 사용하기 위해 이들 서로 상이한 형태의 콘센트와 플러그를 서로 접속시킬 수 있는 콘센트용 어댑터를 휴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종래기술로는 미국특허 6,749,451호나 국제특허 87/04570호 및 일본공개특허 평04-03328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콘센트를 구비하고 타측에 여러 나라의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기술이나 한국등록특허 229,69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캐이싱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플러그와 맞물려서 해체 가능한 록킹수단을 구비한 플러그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미국특허 6,749,451호의 플러그인 어댑터는 다른 나라의 플러그인 시스템과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또한 국제특허 87/04570호의 전기 어댑터는 다섯 개의 서로 다른 플러그 시스템을 가지고 회전 가능한 몸체를 가지는 콘센트로 구성되어, 회전에 의해 어떠한 국제적인 표준 플러그시스템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평04-033280호의 플러그는 일측 벽면을 평면으로 하고 이 측벽 면에는 다른 형상의 플러그와 단자를 구비하고, 중앙에는 콘센트를 구비한 삼각형상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한국등록특허 229,692호의 호환성 플러그 장치는 캐이싱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부착된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전기 플러그와, 장착수단 및 캐이싱에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작동 위치에서 플러 그를 유지하기 위해 플러그와 맞물리도록 설계되어 있는 해체 가능한 록킹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특정 전자제품의 플러그와 기구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콘센트를 가지는 한편 각 국가나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형식을 가지는 콘센트와의 결합이 가능한 플러그를 가지므로 특정 국가의 콘센트 규격에 적합하게 제조된 전자제품을 서로 다른 국가나 지역에 관계없이 전원에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기술은 어댑터는 콘센트를 중심으로 다수의 플러그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어댑터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원과 연결된 콘센트에 어댑터의 플러그를 꼽고 다시 어댑터의 콘센트에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꼽아야 하므로 상호 간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전원의 콘센트로부터 어댑터가 분리되거나 혹은 어댑터의 콘센트로부터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과 연결된 콘센트와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해 줄 수 있는 어댑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특정 국가나 지역의 전원 콘센트에 맞게 제조된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서로 다른 국가나 지역의 다양한 형태의 전원 콘센트와 연결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댑터와 전자제품 플러그와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어댑터로부터 전자제품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 어댑터는, 전원 콘센트와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한 쌍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전방 상부에 전자제품 플러그를 분리 결합할 수 있는 수납공간과 전자제품 플러그의 접속단자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전원 콘센트와 기구 및 전기적으로 분리 결합되고 특정 국가나 지역의 전원 콘센트 규격에 맞는 두 개의 접속단자;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접속단자의 상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내장되며 다른 한쪽 끝 부분이 전자제품 플러그와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 가능하도록 성형된 두 개의 터미널;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홀더에 결합 돌기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프링이 내재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 돌기의 상단부가 수납공간에 분리 결합되는 전자제품 플러그의 결합 요홈에 록킹될 수 있도록 관통 공을 통해 가이드 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터미널 중 하나 또는 두 개의 터미널이 기구 및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터미널의 끝 부분에 퓨즈와의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에 퓨즈가 분리 결합되어 과전류나 전자제품의 이상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전방에는 수납공간에 분리 결합되는 전자제품 플러그의 분리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면의 중앙에는 결합 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 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수평 단면과 상기 두 개의 접속단자의 형상 및 상기 두 개의 접속단자의 배치가 해당 국가나 지역의 전원 콘센트 규격에 맞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결합이 가능한 한 쌍의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각종 전자제품 플러그와의 분리 결합을 위한 수납공간(14)이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어댑터의 상부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각종 전자제품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결합되는 결합 공(15)이 수납공간(14) 내 즉, 상부 케이스(11)에 수평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는 어댑터가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어댑터의 수납공간(14)에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어댑터의 수납공간(14)이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제품 플러그에 어댑터를 결합한 후 전원 콘센트에 어댑터를 결합할 때 결합이 용이할 뿐더러 전자제품 플러그가 사용자의 손에 걸리지 않는다.
특히, 좌우측에 비해 가운데 부분이 낮은 가이드 면(17)이 수납공간(14)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납공간(14)에 전자제품 플러그를 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면(17)의 중앙 부분에 전자제품 플러그의 결합 요홈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16)가 가이드 면(17)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어댑터 즉, 수납공간(14) 및 결합 공(15)에 결합된 전자제품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전원 콘센트와의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두 개의 접속단자(13a)(13b)가 하부 케이스(12)에 하향지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각 국가나 지역의 규격에 따라 하부 케이스(12)의 밑면에 접지단자도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전원 콘센트와의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하부 케이스(12)의 수평 단면과 접속단자(13a)(13b)의 형상 및 위치 등은 각 국가나 지역에 맞게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전자제품 플러그와 어댑터를 분리 결합할 때 어댑터와 이를 잡은 손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요철면(凹凸面)(18)이 어댑터 즉, 하부 케이스(12)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그리고 두 개의 접속단자(13a)(13b)는 특정 규격을 가지는 국가를 예로 설명한 것이고, 이들의 형상이나 모양 및 결합구조는 각 국가나 지역의 콘센트 규격에 따라 도9 내지 도12에서와 같이 어댑터의 수평 단면과 접속단자(13a)(13b)의 형상이나 배치 등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는 국내에서 제조판매되는 각종 전자제품에 연결된 플러그를 서로 다른 규격의 세계 각국의 전원 콘센트와 기구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준다.
어댑터를 구성하는 케이스(11)(12)는 절연재질로 성형된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로 분리된 상태로 성형된 후 일체형으로 조립된다. 이때 하부 케이스(12)에는 전원 콘센트와의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구조가 그리고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에는 전자제품 플러그와의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는 도시되지 않은 전원 콘센트와의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접속단자(13a)(13b) 및 터미널(19a)(19b)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접속단자(13a)(13b)는 해당 국가나 지역의 규격에 따라 도1 내지 도8과 같은 형상이나 도9 내지 도12와 같이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조공정을 줄이고 하부 케이스(12)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하부 케이스(12)와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접속단자(13a)(13b)가 독립적으로 가공된 후 하부 케이스(12)와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단자(13a)(13b)는 하부 케이스(12) 내에 내장되는 판 형상의 터미널(19a)(19b)의 한쪽 끝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터미널(19a)(19b)의 다른 한쪽 끝 부분은 도시되지 않은 전자제품 플러그와의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다. 물론, 전원 콘센트와 전자제품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접속단자(13a)(13b)와 터미널(19a)(19b)이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도 체로 구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하부 케이스(12) 내에는 도5와 같이 두 개의 터미널(19a)(19b)이 전자제품 플러그와 분리 결합 가능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잡아주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26a)(26b)와, 하부 케이스(12)에 결합된 상부 케이스(12)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결합봉(27)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2)의 전방은 전자제품 플러그가 분리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1)의 가이드 면(17)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다른 면보다 낮게 절개되어 있다. 이 하부 케이스(12)의 절개 면의 후방, 즉 하부 케이스(12)에 결합된 두 개의 접속단자(13a)(13b) 사이에는 도6과 같이 결합 돌기(16) 및 스프링(2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홀더(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홀더(21) 내부의 상단에는 홀더(21) 내에 결합된 결합 돌기(16)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걸림 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돌기(16)의 하부에는 홀더(21)의 걸림 턱(22)과의 결합을 위한 후크(23)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21)와 결합 돌기(16) 사이에 스프링(20)이 내재된 상태에서, 결합 돌기(16)의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후크(23)의 하단부가 오므라들면서 홀더(21)의 걸림 턱(22)을 통해 홀더(21) 내에 내입되어 홀더(21)에 결합 돌기(16)가 결합되므로 결합 돌기(16)의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과 스프링(20)에 의해 결합 돌기(16)가 홀더(21) 내에서 걸림 턱(22)과 후크(23) 사이의 폭만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도6 내지 도8에서와 같이 어댑터의 수납공간(14)에 전자제품 플러그(24)가 결합될 때 결합 돌기(16)가 스프링(20)을 아래로 누르면서 홀더(21) 내로 들어갔다 수납공간(14)에 전자제품 플러그(24)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승되어 전자제품 플러그(24)의 결합 요홈(28)에 결합되므로 수납공간(14)으로부터 전자제품 플러그(24)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물론, 어댑터를 고정한 상태에서, 큰 힘으로 전자제품 플러그(24)를 당기면 결합 돌기(16)가 전자제품 플러그(24)의 결합 요홈(28)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전자제품 플러그(24)가 어댑터의 수납공간(14)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는 도4에서와 같이 터미널(19a)(19b) 중 하나의 터미널(19b 및/또는 19a)에 외부로부터 과전류가 입력되거나 혹은 플러그와 접속된 전자제품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전자제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둘 수 있다.
이를 위해, 기구 및 전기적으로 분리된 터미널(19b)의 끝 부분에는 퓨즈(26)와의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형상의 파지부(29a)(29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터미널(19b)이 위치하는 하부 케이스(12)의 일측에는 퓨즈(26)를 고정하게 되는 퓨즈 홀더(3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어댑터를 분리하지 않고도 퓨즈(26)와 함께 퓨즈 홀더(30)를 어댑터의 외부에서 어댑터에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12)의 일측에 결합 홈(31)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과전류나 전자제품의 이상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뿐만아니라 어댑터를 분리하지 않고도 퓨즈(26)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1)의 전단부, 즉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상단 전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자제품 플러그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전자제품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결합되는 결합 공(15)이 수납공간(14) 내부 즉, 상부 케이스(11)에 수평지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수납공간(14)에 분리 결합되는 전자제품 플러그의 원활한 분리 결합을 안내하기 위해 어댑터의 수납공간(14) 전방에 가이드 면(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좌우측에 비해 가운데 부분이 낮게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 면(17)의 중앙 부분에는 가이드 면(17)을 관통하는 관통 공(25)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는 하부 케이스(12)의 홀더(21)에 결합된 결합 돌기(16)가 가이드 면(17) 위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과 연결된 콘센트와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해 줄 수 있는 어댑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특정 국가나 지역의 전원 콘센트에 맞게 제조된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서로 다른 국가나 지역의 다양한 형태의 전원 콘센트와 연결해 줄 수 있을뿐더러 어댑터와 전자제품 플러그와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어댑터로부터 전자제품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전원 콘센트와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한 쌍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전방 상부에 전자제품 플러그를 분리 결합할 수 있는 수납공간과 전자제품 플러그의 접속단자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전원 콘센트와 기구 및 전기적으로 분리 결합되고 특정 국가나 지역의 전원 콘센트 규격에 맞는 두 개의 접속단자;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접속단자의 상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내장되며 다른 한쪽 끝 부분이 전자제품 플러그와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 가능하도록 성형된 두 개의 터미널;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홀더에 결합 돌기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프링이 내재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 돌기의 상단부가 수납공간에 분리 결합되는 전자제품 플러그의 결합 요홈에 록킹될 수 있도록 관통 공을 통해 가이드 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록킹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터미널 중 하나 또는 두 개의 터미널이 기구 및 전기적으로 분 리되고, 상기 터미널의 끝 부분에 퓨즈와의 기구 및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에 퓨즈가 분리 결합되어 과전류나 전자제품의 이상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전방에는 수납공간에 분리 결합되는 전자제품 플러그의 분리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면의 중앙에는 결합 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 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수평 단면과 상기 두 개의 접속단자의 형상 및 상기 두 개의 접속단자의 배치가 해당 국가나 지역의 전원 콘센트 규격에 맞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 어댑터.
KR2020060008296U 2006-03-29 2006-03-29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KR200419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96U KR200419225Y1 (ko) 2006-03-29 2006-03-29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GB0803542A GB2442930B (en) 2006-03-29 2007-03-26 Adaptor for connecting plug to different type of power outlet
PCT/KR2007/001467 WO2007111458A1 (en) 2006-03-29 2007-03-26 Adaptor for connecting plug to different type of power outlet
CN2007800010410A CN101351933B (zh) 2006-03-29 2007-03-26 用于将插头连接至不同类型的电源插座的适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96U KR200419225Y1 (ko) 2006-03-29 2006-03-29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225Y1 true KR200419225Y1 (ko) 2006-06-19

Family

ID=3854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296U KR200419225Y1 (ko) 2006-03-29 2006-03-29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419225Y1 (ko)
CN (1) CN101351933B (ko)
GB (1) GB2442930B (ko)
WO (1) WO20071114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565B1 (ko) * 2017-02-01 2018-06-08 이율우 과열 방지구조를 갖는 전원 어댑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9539A (zh) * 2015-04-17 2016-11-23 江苏健龙电器有限公司 一种英式转换插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857A (en) * 1990-07-30 1991-04-16 Wright Duane E Electrical receptacle with power indicator light
JP2847042B2 (ja) * 1994-11-07 1999-01-13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アダプタ
DE29820771U1 (de) * 1998-11-20 1999-01-14 Weidmueller Interface Modulares Steckverbindersystem
JP2001307848A (ja) * 2000-04-18 2001-11-02 Ando Noriaki ジョイント式ケーブルタ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565B1 (ko) * 2017-02-01 2018-06-08 이율우 과열 방지구조를 갖는 전원 어댑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42930B (en) 2011-05-18
GB0803542D0 (en) 2008-04-02
WO2007111458A1 (en) 2007-10-04
CN101351933A (zh) 2009-01-21
CN101351933B (zh) 2010-06-16
GB2442930A (en)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838B1 (en) Universal-conversion power cable
US8951074B2 (en) Socket, a plug, and an assembly
JP2009146880A (ja) コンセント
EP2863491B1 (en) Outlet unit facilitating plug separation, and multi-outlet device using same
KR200419225Y1 (ko)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CN101478103A (zh) 三芯插头转换方法及其万能转换电源连接线
KR20110137226A (ko) 플러그 연결수단과 자석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멀티탭
JP3056347U (ja) マルチタイプ安全コンセントアダプター
KR200183936Y1 (ko) 전기기구용 콘센트
KR20110087686A (ko) 뒤집어진 멀티탭
CN208111339U (zh) 接电端子以及具有该接电端子的熔断器式隔离开关
WO2014003374A1 (ko) 콘센트
KR200414962Y1 (ko) 플러그 연결구
KR101698907B1 (ko) 플러그 삽입 방향의 확인이 용이한 콘센트
EP1571740A1 (en) Electrical socket outlet device
WO2012156925A2 (en) Support for electrical components
KR101787731B1 (ko) 전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9980064540U (ko) 안전 플러그 소켓
CN219046283U (zh) 一种开关盒
CN217788812U (zh) 一种接线器
JP6074831B2 (ja) 差込プラグと抜止形プラグ受けとの接続構造
CN212412228U (zh) 用于电气设备的存储件及电气设备
CN210957187U (zh) 一种具备usb存储设备切换功能的pc网络安全隔离卡
KR102012737B1 (ko) 교체식 멀티 콘센트
KR200165498Y1 (ko) 플러그 분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