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936Y1 - 전기기구용 콘센트 - Google Patents

전기기구용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936Y1
KR200183936Y1 KR2019990027317U KR19990027317U KR200183936Y1 KR 200183936 Y1 KR200183936 Y1 KR 200183936Y1 KR 2019990027317 U KR2019990027317 U KR 2019990027317U KR 19990027317 U KR19990027317 U KR 19990027317U KR 200183936 Y1 KR200183936 Y1 KR 200183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outlet
switch
electric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188U (ko
Inventor
권오확
Original Assignee
권오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확 filed Critical 권오확
Publication of KR20000004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1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9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TV, VCR, 오디오 등의 가정용 전기기구는 물론 전기용량이 비교적 작은 산업용 전기기구의 전기 코오드선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전기를 통전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전기기구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센트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탈하는 과정에서 전선에 응력이 집중되어 단락 또는 감전의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콘센트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계속적으로 삽입시켜 놓을 경우에는 소비전력이 증가되었다.
본 고안은 콘센트의 외부에 통전스위치와 차단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통전스위치와 차단스위치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전원이 온/오프되도록 한 것으로, 각종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한 상태에서 통전스위치 또는 차단스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전선을 억지로 뽑음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단락, 감전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전원을 오프시킬 때 2회선이 동시에 차단되므로 어스전류에 의한 소비전력 증가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기구용 콘센트{Plug socket for electric machinery}
본 고안은 전기기구용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V, VCR, 오디오 등의 가정용 전기기구는 물론 전기용량이 비교적 작은 산업용 전기기구의 전기 코오드선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전기를 통전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는 배선접속기의 일종으로 옥내 배선에서 배선 코드를 접속할 때 플러그를 삽입하는 데 사용되며, 플러그 소켓(plug socket)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콘센트는 통상 붙박이형으로 옥내 내벽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나, 여러개의 플러그 꽂이가 형성되어 있는 멀티 탭과 같이 특정한 목적을 위한 경우에는 임의의 콘센트에 다른 콘센트를 꽂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가정에는 수많은 전기기구가 있으며, 예를 들어 TV, VCR, 오디오, 세탁기 등은 수시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대부분 그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채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이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상태로 방치하게 되면 통상 5V의 전압이 누설되어 전기소모량이 증가됨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기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기기구를 사용하고 난 후 반드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아야 하며, 이를 위한 매스컴에서의 계몽도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각종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일일이 콘센트로부터 뽑는 일은 매우 귀찮은 일이고, 또한 상기한 계몽에 따라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음에 있어서도 플러그의 손잡이를 잡지 않고 전선을 잡은 상태에서 플러그를 뽑는 경우가 흔하며, 이러한 일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면 전선의 일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전선이 단락되거나 합선되어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 특히 무의식적으로 물기 있는 손으로 플러그를 뽑게 되는 경우에는 감전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콘센트가 등장하였는데, 콘센트의 외부에서 스위치를 조작하여 2회선 중 1회선을 온/오프하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의 콘센트는 2회선 중 1회선만을 스위칭하도록 하였으므로 나머지 1회선을 통해 전기기구에 어스전류가 흐르게 되어 감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불필요한 전기소모를 완전 차단하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부의 통전스위치 또는 차단스위치를 조작하면 콘센트의 2회선이 동시에 통전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하여 콘센트에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기구용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내부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플러그 삽입공 2 : 통전스위치
3 : 차단스위치 4,4' : 플러그
5,5' : 커넥터 6,6',7,7' : 접촉편
8,8' : 연결편 9 : 제 1가동체
9a : 경사돌기 10 : 제 2가동체
10a,10b : 관통홀 11 : 제 3가동체
11a : 경사면 12 : 지지판체
13,14,15 : 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기구용 콘센트는, 전면측에는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측에는 콘센트에 삽입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각 플러그 삽입공과 수직상으로 동일 위치에서 연장되어 있는 2개의 커넥터와, 상기 각 커넥터에 연결된 제 1,2접촉편과, 상기 각 플러그와 연결되어 있는 제 3,4접촉편이 동일 수평상에 배치되어 있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촉편과 제 3접촉편, 상기 제 2접촉편과 제 4접촉편을 동시에 온/오프시키는 제 1,2연결편; 상기 제 1,2연결편을 수용하며, 외장되어 있는 상부의 통전스위치의 누름 동작과 제 1탄성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상하 직선운동하는 제 1가동체; 상기 제 1가동체의 하향시 상기 제 1가동체의 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경사돌기에 의해 밀리면서 제 2탄성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상기 경사돌기를 걸어주는 제 2가동체; 및 외장되어 있는 상부의 차단스위치의 누름 동작과 제 3탄성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상하 직선운동하면서 하단부에 상기 경사돌기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이 상기 제 2가동체를 밀어주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가동체의 경사돌기가 상기 제 2가동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전원이 차단되게 하는 제 3가동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화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측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는 도 1과 같이 전면측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 삽입공(1)(1') 및 전원을 온/오프하는 통전스위치(2)와 차단스위치(3)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측에는 콘센트에 삽입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4)(4')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콘센트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각 플러그 삽입공(1)(1')과 수직상으로 동일 위치에서 연장되어 있는 2개의 커넥터(5)(5')와, 각 커넥터(5)(5')에 연결된 제 1,2접촉편(6)(6')과, 각 플러그(4)(4')와 연결되어 있는 제 3,4접촉편(7)(7')이 동일 수평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 1접촉편(6)과 제 3접촉편(7) 그리고 제 2접촉편(6')과 제 4접촉편(7')을 동시에 온/오프시키는 제 1,2연결편(8)(8'), 제 1,2연결편(8)(8')을 수용하는 제 1가동체(9), 제 1가동체(9)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돌기(9a)를 걸어주어 전원을 온시키는 제 2가동체(10), 제 2가동체(10)를 밀어주어 제 1가동체(9)를 제 2가동체(10)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에 의해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3가동체(11)가 구비된다. 이때, 제 1가동체(9)는 외장되어 있는 통전스위치(2)와 수직상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통전스위치(2)의 누름 동작과 지지판체(12)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 1스프링(13)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척력에 따라 상하 직선운동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2가동체(10)는 제 1가동체(9)와 직각방향으로 지지판체(12)의 하부에 지지되고 전/후단부에 각각 관통홀(10a)(1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체(12)와의 사이에 제 2스프링(14)이 개재되어 있어 그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0a)로 제 1가동체(9)를 통과시키되 제 1가동체(9)의 하향시 제 1가동체(9)의 측벽으로부터 제 2가동체(10)의 전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경사돌기(9a)에 의해 그 전단부 방향으로 밀렸다가 지지판체(12)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 2스프링(14)에 의해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그 위치가 다시 복원되어 경사돌기(9a)를 걸어주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 3가동체(11)는 외장되어 있는 차단스위치(3)와 수직상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차단스위치(3)의 누름 동작과 지지판체(12)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 3스프링(15)에 의해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상하 직선운동하면서 하단부에 경사돌기(9a)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11a)이 제 2가동체(10)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0b)을 통과하면서 제 2가동체(10)를 그 전면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에 의해 제 1가동체(9)의 경사돌기(9a)가 제 2가동체(1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기기구용 콘센트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한다. 먼저, 2개의 플러그(4)(4')가 도면상에 도시 생략된 붙박이형 콘센트에 삽입되고 2개의 플러그 삽입공(1)(1')에는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전스위치(2)를 누르게 되면 통전스위치(2)와 수직상 동일 위치에 있는 제 1가동체(9)가 지지판체(12)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 1스프링(1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때, 제 1가동체(9)의 하부에는 플러그 삽입공(1)(1')과 수직상으로 동일 위치에서 연장되어 있는 2개의 커넥터(5)(5')에 연결된 제 1,2접촉편(6)(6')과, 각 플러그(4)(4')와 연결되어 있는 제 3,4접촉편(7)(7')을 동시에 온/오프시키는 제 1,2연결편(8)(8')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제 1가동체(9)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2연결편(8)(8')이 제 1접촉편(6)과 제 3접촉편(7) 그리고 제 2접촉편(6')과 제 4접촉편(7') 사이에 연결되면 전원이 온되고, 단락되면 전원이 오프된다. 따라서, 전원의 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 1가동체(9)가 하방향으로 내려왔을 때 이를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제 1가동체(9)의 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경사돌기(9a)와, 이 경사돌기(9a)에 의해 좌우 유동하면서 경사돌기(9a)를 걸어주는 제 2가동체(10)가 제공된 것이다. 즉, 제 2가동체(10)는 전/후단부에 각각 관통홀(10a)(10b)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체(12)의 하부에 제 2스프링(14)이 개재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제 1가동체(9)의 측벽에는 제 2가동체(10)의 전단부 방향으로 경사돌기(9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 1가동체(9)가 제 2가동체(10)의 전단부 관통홀(10a)을 통과하므로 통전스위치(2)를 눌러 제 1가동체(9)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경사돌기(9a)가 관통홀(10a)의 측면부를 그 경사각에 따라 밀어주면서 통과되고, 완전 통과되는 시점에서는 제 2가동체(10)가 제 2스프링(14)의 척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원되므로 경사돌기(9a) 상단의 걸림턱이 관통홀(10a)의 하면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 1가동체(9)의 하부에 수용된 제 1,2연결편(8)(8')이 제 1접촉편(6)과 제 3접촉편(7) 그리고 제 2접촉편(6')과 제 4접촉편(7')에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 전원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할 경우에는 차단스위치(3)를 누르면 되는데, 차단스위치(3)의 하부에는 수직상 동일 위치에 제 3가동체(11)가 배치되어 있고, 이제 3가동체(11)의 하단부에는 제 1가동체(9)의 경사돌기(9a)와 동일 방향을 가진 경사면(11a)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단스위치(3)를 눌러 제 3가동체(1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2가동체(10)의 후단부 관통홀(10b)을 통과하게 될 때 제 3가동체(11)의 경사면(11a)이 관통홀(10b)의 측면부를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제 2가동체(10)는 전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2가동체(10)의 전단부 관통홀(10a)에 걸려 있는 제 1가동체(9)의 경사돌기(9a)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전원의 오프를 의미하며, 전원을 오프시키고 난 후에는 제 2가동체(10) 및 제 3가동체(11)가 각각의 스프링(14)(15)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한 상태에서 통전스위치 또는 차단스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전선을 억지로 뽑음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단락, 감전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오프시킬 때 2회선이 동시에 차단되므로 어스전류에 의한 소비전력 증가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면측에는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측에는 콘센트에 삽입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4)(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각 플러그 삽입공과 수직상으로 동일위치에서 연장되어 있는 2개의 커넥터(5)(5')와, 상기 각 커넥터에 연결된 제 1,2접촉편(6)(6')과, 상기 각 플러그와 연결되어 있는 제 3,4접촉편(7)(7')이 동일 수평상에 배치되어 있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촉편(6)과 제 3접촉편(7), 상기 제 2접촉편(6')과 제 4접촉편(7')을 동시에 접속/단락하여 온/오프시키는 제 1,2연결편(8)(8');
    상기 제 1,2연결편을 수용하며, 외장되어 있는 통전스위치(2)와 수직상 동일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통전스위치의 누름 동작과 지지판체(12)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 1탄성부재(13)에 의해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상하 직선운동하는 제 1가동체(9);
    상기 제 1가동체와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지판체에 지지되고 전/후단부에 각각 관통홀(10a)(10b)이 형성되어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로 상기 제 1가동체를 통과시키되 상기 제 1가동체의 하향시 상기 제 1가동체의 측벽으로부터 상기전단부 관통홀의 전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경사돌기(9a)에 의해 그 전단부 방향으로 밀렸다가 상기 지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 2탄성부재(14)에 의해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그 위치가 다시 복원되어 상기 경사돌기를 걸어주는 것에 의해 전원을 온시키는 제 2가동체(10); 및
    외장되어 있는 차단스위치(3)와 수직상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스위치의 누름 동작과 지지판체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 3탄성부재(15)에 의해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상하 직선운동하면서 하단부에 상기 경사돌기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11a)이 상기 제 2가동체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0b)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 2가동체를 그 전단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가동체의 경사돌기가 상기 제 2가동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전원이 차단되게 하는 제 3가동체(11)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구용 콘센트.
KR2019990027317U 1998-03-02 1999-12-07 전기기구용 콘센트 KR20018393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45U KR19980014269U (ko) 1998-03-02 1998-03-02 콘센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845U Division KR19980014269U (ko) 1998-03-02 1998-03-02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188U KR20000004188U (ko) 2000-02-25
KR200183936Y1 true KR200183936Y1 (ko) 2000-06-01

Family

ID=195323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845U KR19980014269U (ko) 1998-03-02 1998-03-02 콘센트
KR2019990027317U KR200183936Y1 (ko) 1998-03-02 1999-12-07 전기기구용 콘센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845U KR19980014269U (ko) 1998-03-02 1998-03-02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1426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698B1 (ko) * 2019-04-25 2019-11-13 김경현 지중배전선 설치가 편리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KR102043700B1 (ko) * 2019-04-30 2019-11-13 김경현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45850B1 (ko) * 2019-05-03 2019-11-18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신속한 화재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045848B1 (ko) * 2019-04-26 2019-11-18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698B1 (ko) * 2019-04-25 2019-11-13 김경현 지중배전선 설치가 편리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KR102045848B1 (ko) * 2019-04-26 2019-11-18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043700B1 (ko) * 2019-04-30 2019-11-13 김경현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45850B1 (ko) * 2019-05-03 2019-11-18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신속한 화재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269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4894B2 (ja) 電磁電気接続装置の改良構造
US6825427B2 (en) Electrical interrupt switch
KR200376471Y1 (ko) 전자접촉기의 단자 접속장치
JP2009146880A (ja) コンセント
KR200183936Y1 (ko) 전기기구용 콘센트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KR200214737Y1 (ko) 매립형 콘센트
CN210468195U (zh) 一种防松动插座
KR200419225Y1 (ko)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CN219046283U (zh) 一种开关盒
CN210123831U (zh) 一种使用便捷的连接器
KR20050106723A (ko) 콘센트
KR200214743Y1 (ko) 플러그 탈거 장치를 가진 콘센트
KR20017206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CN215070723U (zh) 一种闲时断电安全插座组合
CN210224481U (zh) 一种防开路连接器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222539Y1 (ko) 안전형 플러그 리셉터클
KR20050106726A (ko) 콘센트
KR200165498Y1 (ko) 플러그 분리구조
KR100820115B1 (ko) 멀티탭
JP6622841B2 (ja) 分岐用接続器、コード付延長用接続器及び配線用差込接続器
KR101311484B1 (ko) 원터치 온/오프형 구조를 갖는 전기플러그와 멀티 탭
KR200209903Y1 (ko) 개별 제어식 콘센트
KR200417230Y1 (ko) 전원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