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700B1 -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700B1
KR102043700B1 KR1020190050844A KR20190050844A KR102043700B1 KR 102043700 B1 KR102043700 B1 KR 102043700B1 KR 1020190050844 A KR1020190050844 A KR 1020190050844A KR 20190050844 A KR20190050844 A KR 20190050844A KR 102043700 B1 KR102043700 B1 KR 102043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usher button
connector
fixed
undergroun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현
Original Assignee
김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현 filed Critical 김경현
Priority to KR102019005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G01R31/025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구(10)와 지지대(20), 케이블트레이(30), 연결구(40), 하우징(50), 접속단자(60), 푸셔버튼(70), 통전플레이트(80) 및 누전감지유닛(90)으로 구성되며, 누전감지유닛이 누전여부를 감지하고, 누전이 감지되면 외부에 빛을 발산하여 경고해 줌에 따라 작업자가 쉽게 누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UNDERGROUND LINE CONNECTING DEVICE TO SAFETY FUNCTION LEAKAGE OF WARNING}
본 발명은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지중배전선 간의 누전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에 발산하여 작업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과 고정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공배전선지중화는 간선 도로변의 전주를 뒷골목에 이설, 저압케이블을 사용 주상변압기로부터 인근 수용가를 공급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이다.
지중배전선로 공사 방식은 크게 직매식과, 관로식, 전력구식 및 교량 첨가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전력구식은 암거식 또는 동도식이라고도 하며, 지중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처럼 이어붙여서 만들어진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좌우 양측벽에 밀착시켜 바닥면과 수직하게 선반이 고정 배치되는데, 선반을 포함해 연결대라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력구식 공사에서는 단순히 선반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서 그 양측벽에 층을 이루면서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면, 양측벽에 설치된 선반을 따라 침투수가 유입되어 지중배전선에 누전 또는 합선이 발생되는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산화가 촉진되어 지중배전선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도록 등록특허 10-1505061호("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가 개시되었다.
개시된 등록특허는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오수가 유입되어 습기가 발생하는 경우, 히팅된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지중배전선로의 온도 변화에 따른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특허는 피복이 벗겨져 발생되는 누전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작업자가 보수 등을 위해 접근하면 누전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특허는 지중배전의 연결장치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른 설치가 어려워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9358호(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2011.05.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력구 내에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지중배전선의 누전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과 고정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며,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해 제작이 용이한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되는 전력구;
전력구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며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사이드레일과, 양단이 사이드레일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에 고정되는 렁으로 구성된 케이블트레이;
렁의 외면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사각관 형상의 관체와, 렁과 직교를 이루도록 관체의 상면으로부터 나란하게 상방으로 돌출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의 상단부 중간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외면에 야광물질이 도포된 균형핀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연결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내부에는 직육면체형상으로 공간부가 마련되고, 양단에는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는 단자삽입부가 마련되며, 공간부가 마련된 내부 양 측면에는 나란하게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플런지가 마련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는 푸셔버튼결합부가 마련되며, 푸셔버튼결합부를 기준으로 양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결합돌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지중배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하우징;
지중배전선의 단부에 고정되는 전선장착부와, 전선장착부와 일체를 이루며 중앙에 돌기장착부가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되어 단자삽입부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는 접속단자;
양단부가 하우징의 상하로 돌출되게 하우징의 푸셔버튼결합부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푸셔버튼;
접속단자의 돌기장착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갖추고서 양단부가 하우징의 플런지에 끼워져 호 형태로 내설되며 푸셔버튼에 고정되되, 하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하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며 접속단자를 가압하면서 접속단자의 돌기장착부에 고정돌기가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고, 상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며 접속단자의 돌기장착부로부터 고정돌기가 이탈되면서 전기적인 연결 및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통전플레이트;
연결구의 외면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와, 연결구에 설치되며 누전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로 구성된 누전감지유닛;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전감지유닛이 누전여부를 감지하고, 누전이 감지되면 외부에 빛을 발산하여 경고해 줌에 따라 작업자가 쉽게 누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홈의 길이가 연결구에 형성된 결합돌기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이에 의하면 지중배전선에 인장력이 발생할 경우, 하우징이 결합홈을 매개로 연결구의 결합돌기를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지중배전선의 단선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균형핀에 의해 하우징의 위치 이동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셔버튼의 가압에 의해 통전플레이트를 탄성변환시켜 줌으로서 하우징의 양단을 통해 내부로 인입된 접속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거나, 반대로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를 해제해줄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의 전체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과 연결구 및 렁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연결구 및 하우징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4의 A - A' 단면도.
도 9는 도 4의 B - 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 설치된 하우징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에 지중배전선을 설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의 누전확인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의 전체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과 연결구 및 렁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연결구 및 하우징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A - A'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의 B - B'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 설치된 하우징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는 전력구(10)과 지지대(20), 케이블트레이(30), 연결구(40), 하우징(50), 접속단자(60), 푸셔버튼(70), 통전플레이트(80) 및 누전감지유닛(9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누전 경고가 가능하고, 지중배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력구(10)는 지중에 매립되는 직사각형의 터널 타입의 지하구조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이후에 설명되는 지지대(20)와 케이블트레이(30), 지중배전선(L), 하우징(50)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작업자가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위한 통행이 가능하며, 외부환경으로부터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20)는 단면이 대략 'ㄴ' 형상을 띄고, 전력구(10)의 측벽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앵커볼트를 매재로 고정되며, 수평부분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케이블트레이(30)가 얹혀지고 지지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20)가 전력구(1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전력구(10) 내로 침투수가 유입되더라도 지지대(20)의 수평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트레이(30)와 하우징(50) 및 누전감지유닛(90)이 침투수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게 되므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미연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트레이(30)는 사이드레일(31)과 렁(32)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대(20)에 안착되어 통상의 고정방법(체결수단,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사이드레일(31)은 지지대(20)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며 나란하게 이격배치되고, 하면에 체결수단(예:나사볼트) 또는 용접을 매개로 지지대(20)에 설치되며, 양측에 공간을 형성되어 렁(32)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렁(32)은 양단이 사이드레일(31)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31)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예:나사볼트)을 매개로 사이드레일(21)에 고정되며, 사이드레일(21)에 고정되기 전에 후술되는 연결구(40)를 삽입하여 지지대(20)로부터 지중배전선(L) 및 하우징(50)을 고정시킨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40)는 관체(41)와 가이드편(42) 및 균형핀(43)으로 이루어지며,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하우징(50)이 케이블트레이(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케이블트레이(30)와 하우징(50)을 상호 연결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41)는 사각관으로 형성되며, 렁(32)의 외면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관체(41)는 렁(32)이 사이드레일(31)에 설치되기 전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이드레일(31)과 연결구(40)를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편(42)은 렁(32)과 직교를 이루도록 관체(41)의 상면으로부터 나란하게 상방으로 돌출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결합돌기(4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편(42)은 하우징(50)의 높이보다 길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후에 설명되는 하우징(50)을 결합돌기(42a)에 고정시키며, 작업자가 하우징(50)에 설치된 푸셔버튼(70)을 승강 시킬 수 있다.
상기 균형핀(43)은 가이드편(42)의 상단부 중간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외면에 야광물질이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균형핀(43)은 이후에 설명되는 하우징(50)이 외부에서 받는 인장력으로 이동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야광물질이 도포되어 작업자가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도 10 참조). 이후, 작업자는 균형핀(43)에 벗어난 하우징(50)을 확인하고, 균형핀(43)의 중심으로 하우징(50)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40)를 구비함으로써, 이후에 설명되는 하우징(50)의 설치가 가능하며, 렁(32)에 설치된 연결구(40)의 외부 측면에 통신케이블과 같은 다른 케이블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도 4,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5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는 절연체로서, 공간부(51)와 단자삽입부(52), 플런지(53), 푸셔버튼결합부(54) 및 결합홈(55)을 구비한다.
상기 공간부(51)는 하우징(5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수용부로서, 이후에 설명되는 통전플레이트(80)가 수용된다.
상기 단자삽입부(52)는 하우징(50)의 양단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각각 형성되며 공간부(51)와 상호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삽입부(52)는 제1삽입부(52a)와 제2삽입부(52b)로 구성되는데, 제1삽입부(52a)는 원형의 홈이고, 제2삽입부(52b)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이며, 제1삽입부(52a)와 제2삽입부(52b)의 단면은 대략‘Ω’형상을 띠고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52a)에는 접속단자(60)의 전선장착부(6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제2삽입부(52b)에는 접속단자(60)의 연결부(62)가 삽탈하게 끼워진다.
상기 플런지(53)는 공간부(51)가 마련된 내부 양 측면에 나란하게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단자삽입부(5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마주보게) 배치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통전플레이트(80)의 양단부가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푸셔버튼결합부(54)는 하우징(5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으로서, 하우징(50)의 상·하면(도 8 참조)에 각각 형성되고, 공간부(51)와 상호 연통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푸셔버튼(70)이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결합홈(55)은 결합돌기(42a)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게 푸셔버튼결합부(54)를 기준으로 하우징(50)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55)은 결합돌기(42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중배전선(L)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50)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예로 하우징(50)은 결합홈(55)을 결합돌기(42a)에 전선에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하우징(50)이 이동함에 따라 인장력에 의한 지중배전선(L)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균형핀(43)을 매개로 하우징(50)의 위치 이동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에 유리하다(도 10 참조).
즉, 본 발명은 하우징(50)에 형성된 결합홈(55)의 길이가 연결구(40)에 형성된 결합돌기(42a)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지중배전선(L)에 인장력이 발생할 경우, 하우징(50)이 결합홈(55)을 매개로 연결구(40)의 결합돌기(42a)를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지중배전선(L)의 단선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균형핀(43)에 의해 하우징(50)의 위치 이동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일 예로, 상기 하우징(50)은 한 번에 사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각각 분할제작하고, 분할제작된 부재 사이에 통전플레이트(80)를 내설한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면 또는 경계를 열 융착하여 상호 고정하거나, 접착수단(접착제), 고정수단(나사볼트)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하우징(50)을 제작한다.
참고로, 도 6과 같이 분할하는 방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단자(60)는 전선장착부(61)와 연결부(6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하우징(50)의 단자삽입부(5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통전플레이트(80)에 의해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인입된 접속단자(60)는 이후에 설명되는 통전플레이트(80)에 의해 고정되면서 통전플레이트(80)를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선장착부(61)는 피복이 제거된 지중배전선(L)의 일부가 압입고정되며, 이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압입고정된 상태에서 펜치 등과 같은 공구로 가압하여 지중배전선(L)과 전선장착부(61) 간의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2)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전선장착부(61)와 일체를 이루며, 이후에 설명되는 통전플레이트(80)의 고정돌기(8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장착부(62a:구멍)를 구비한다.
일 예로, 상기 연결부(62)의 돌기장착부(62a)는 이후에 설명되는 통전플레이트(80)의 고정돌기(81)가 삽입됨에 따라 연결부(62)는 통전플레이트(80)에 의해 자연스럽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우징(50)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62)의 돌기장착부(62a)로부터 통전플레이트(80)의 고정돌기(81)가 이탈되면 비로소 연결부(62)와 통전플레이트(80) 간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연결부(62)를 하우징(50)으로부터 이탈시켜줄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푸셔버튼(70)은 제1푸셔(71)와 제2푸셔(72)로 분할형성되어 상호 조립에 의해 일체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하우징(50)의 상면과 하면에 마련된 푸셔버튼결합부(54)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접속단자(60)에 통전플레이트(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접속단자(60)로부터 통전플레이트(80)를 이격시켜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푸셔(71)는 제1몸체(71a)와 제1스토퍼(71b) 및 볼트(71c)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71a)는 원기둥형상의 부재로서 하우징(50)의 상면에 형성된 푸셔버튼결합부(54)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고, 하단은 통전플레이트(8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스토퍼(71b)는 제1몸체(71a)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푸셔버튼결합부(54)의 내경에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압면적을 넓혀 제1스토퍼(71b)를 손쉽게 가압할 수 있으면서도 제1스토퍼(71b)가 하우징(50)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볼트(71c)는 제1몸체(71a)의 하면에 설치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통전플레이트(80)의 고정홀(82)에 관통되게 끼워진다.
계속해서, 상기 제2푸셔(72)는 제2몸체(72a)와 제2스토퍼(72b) 및 너트(72c)로 구성된다.
상기 제2몸체(72a)는 원기둥형상의 부재로서 하우징(50)의 하면에 형성된 푸셔버튼결합부(54)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단은 통전플레이트(80)의 하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2스토퍼(72b)는 제2몸체(72a)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푸셔버튼결합부(54)의 내경에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압면적을 넓혀 제2스토퍼(72b)를 손쉽게 가압할 수 있으면서도 제2스토퍼(72b)가 하우징(50)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너트(72c)는 제2몸체(72a)의 상부 내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이 너트(72c)에는 통전플레이트(80)에 관통되게 끼워진 볼트(71c)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면서 제1푸셔(71)와 제2푸셔(72)가 상호 일체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푸셔(71)와 제2푸셔(72) 사이에 배치된 통전플레이트(80)는 볼트(71c)와 너트(72c)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제1·2푸셔(71,72)와 자연스럽게 일체형을 이루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통전플레이트(80)는 직육면체형상의 탄성 및 전도성을 갖는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하우징(50)에 내설되어 푸셔버튼(70)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접속단자(60)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하거나 접속단자(6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전플레이트(80)의 하면 양단부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접속단자(60)의 돌기장착부(62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돌기(8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푸셔버튼(70)의 볼트(71c)가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홀(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전플레이트(8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단부가 하우징(50)의 플런지(53)에 각각 끼워져 호 형태로 내설되며 푸셔버튼(70)과 일체형 구조를 이룬다.
일 예로, 상기 하우징(50)에 통전플레이트(80)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내설된 상태에서 푸셔버튼(70)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70)에 의해 통전플레이트(80)는 탄성변형되어 상방으로 볼록하였던 형태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면서 접속단자(60)를 가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통전플레이트(80)의 하면에 마련된 고정돌기(81)가 접속단자(60)의 돌기장착부(62a)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하우징(50)에 통전플레이트(80)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내설된 상태에서 푸셔버튼(70)을 상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70)에 의해 통전플레이트(80)는 탄성변형되어 하방으로 볼록하였던 형태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면서 접속단자(60)로부터 통전플레이트(80)가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접속단자(60)의 가압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됨과 동시에 통전플레이트(80)의 하면에 마련된 고정돌기(81)가 접속단자(60)의 돌기장착부(62a)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즉, 본 발명은 푸셔버튼(70)의 가압에 의해 통전플레이트(80)를 탄성변환시켜 줌으로서 하우징(50)의 양단을 통해 내부로 인입된 접속단자(60)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거나, 반대로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를 해제해줄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누전감지유닛(90)은 누전감지센서(91)와 제어부(92) 및 경광부(93)로 구성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91)는 연결구(40)의 외면에 설치되어 하우징(50)에 크랙 등이 생겨 누전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92)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92)는 연결구(40)에 설치되며 누전감지센서(91)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93)를 동작제어한다.
상기 경광부(93)는 제어부(9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한다. 작업자는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93)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전력구(10)의 바닥에 서서 보수작업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 설치장치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먼저 지중배전선(L)에 고정된 접속단자(60)를 하우징(50)의 단자삽입부(52)에 각각 삽입시켜 준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접속단자(60)를 단자삽입부(52)에 삽입하게 되면, 접속단자(60)의 전선장착부(61)는 단자삽입부(52)의 제1삽입부(52a)에 인입되고, 접속단자(60)의 연결부(62)는 단자삽입부(52)의 제2삽입부(52b)에 인입된다.
이때, 상기 제1삽입부(52a)로 인입된 전선장착부(61)의 단부가 제1삽입부(52a)의 내면 단부에 맞대어짐에 따라 전선장착부(61)의 과도한 인입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50)에 접속단자(60)를 인입한 상태에서,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하우징(50)에 내설된 통전플레이트(80)를 푸셔버튼(70)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70)에 의해 통전플레이트(80)는 탄성변형되어 상방으로 볼록하였던 형태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고, 접속단자(60)는 통전플레이트(80)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통전플레이트(80)의 하면에 마련된 고정돌기(81)가 접속단자(60)의 돌기장착부(62a)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60)에 고정된 지중배전선(L)은 통전플레이트(8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면서 접속단자(60)는 통전플레이트(80)에 고정되어 하우징(50)으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된다.
한편,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지중배전선(L)의 연결을 끊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하우징(50)에 내설된 통전플레이트(80)를 푸셔버튼(70)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70)에 의해 통전플레이트(80)는 탄성변형되어 하방으로 볼록하였던 형태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고, 이에 따라 접속단자(60)의 가압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됨과 동시에 통전플레이트(80)의 하면에 마련된 고정돌기(81)가 접속단자(60)의 돌기장착부(62a)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하우징(50)으로부터 접속단자(60)를 이탈시켜 주면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의 누전확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하우징(5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L)과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이다. 이후, 연결구(40)의 외면에 설치된 누전감지센서(91)는 하우징(50)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감지한다. 여기서, 연결구(40)는 하우징(50)에서 발생된 누전이 전기적으로 통과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누전감지센서(91)는 하우징(50)에서 전기를 감지하지 않으면, 제어부(92)에 신호를 전달하지 않는다.
한편, 누전감지센서(91)는 하우징(50)에서 전기를 감지하면, 감지된 전기의 전류값을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신호를 제어부(92)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92)는 누전감지센서(91)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받아 경광부(93)를 동작제어한다. 이어서, 경광부(93)가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면, 작업자는 빛이 발산되는 경광부(93)를 확인함으로써 누전이 발생됨을 인지하고 보수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누전감지유닛(90)이 누전여부를 감지하고, 누전이 감지되면 외부에 빛을 발산하여 경고해 줌에 따라 작업자가 쉽게 누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20)가 전력구(1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전력구(10) 내로 침투수가 유입되더라도 수평부분에 지지되는 케이블트레이(30)와 하우징(50) 및 누전감지유닛(90)이 침투수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게 되므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미연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50)에 형성된 결합홈(55)의 길이가 연결구(40)에 형성된 결합돌기(42a)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지중배전선(L)에 인장력이 발생할 경우, 하우징(50)이 결합홈(55)을 매개로 연결구(40)의 결합돌기(42a)를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지중배전선(L)의 단선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균형핀(43)에 의해 하우징(50)의 위치 이동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셔버튼(70)의 가압에 의해 통전플레이트(80)를 탄성변환시켜 줌으로서 하우징(50)의 양단을 통해 내부로 인입된 접속단자(60)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거나, 반대로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를 해제해줄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했기에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전력구 20: 지지대
30: 케이블트레이 40: 연결구
50: 하우징 60: 접속단자
70: 푸셔버튼 80: 통전플레이트
90: 누전감지유닛 L: 지중배전선

Claims (1)

  1. 지중에 매립되는 전력구(10);
    전력구(10)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20);
    지지대(20)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며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사이드레일(31)과, 양단이 사이드레일(31)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31)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21)에 고정되는 렁(32)으로 구성된 케이블트레이(30);
    렁(32)의 외면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사각관 형상의 관체(41)와, 렁(32)과 직교를 이루도록 관체(41)의 상면으로부터 나란하게 상방으로 돌출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결합돌기(42a)가 형성된 가이드편(42)과, 가이드편(42)의 상단부 중간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외면에 야광물질이 도포된 균형핀(43)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연결구(40);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내부에는 직육면체형상으로 공간부(51)가 마련되고, 양단에는 공간부(51)와 상호 연통되는 지중배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단자삽입부(52)가 마련되며, 공간부(51)가 마련된 내부 양 측면에는 나란하게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플런지(53)가 마련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공간부(51)와 상호 연통되는 푸셔버튼결합부(54)가 마련되며, 푸셔버튼결합부(54)를 기준으로 양 측면에는 결합돌기(42a)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결합돌기(42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지중배전선(L)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홈(55)이 형성된 하우징(50);
    지중배전선(L)의 단부에 고정되는 전선장착부(61)와, 전선장착부(61)와 일체를 이루며 중앙에 돌기장착부(62a)가 형성된 연결부(62)로 구성되어 단자삽입부(52)를 통해 하우징(50)의 내부로 인입되는 접속단자(60);
    양단부가 하우징(50)의 상하로 돌출되고, 하우징(50)의 푸셔버튼결합부(54)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푸셔버튼(70);
    접속단자(60)의 돌기장착부(62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돌기(81)를 갖추고서 양단부가 하우징(50)의 플런지(53)에 끼워져 호 형태로 내설되며 푸셔버튼(70)에 고정되되, 하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70)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하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며 접속단자(60)를 가압하면서 접속단자(60)의 돌기장착부(62a)에 고정돌기(81)가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고, 상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70)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며 접속단자(60)의 돌기장착부(62a)로부터 고정돌기(81)가 이탈되면서 전기적인 연결 및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통전플레이트(80);
    연결구(40)의 외면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91)와, 연결구(40)에 설치되며 누전감지센서(91)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93)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92)와, 제어부(9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93)로 구성된 누전감지유닛(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190050844A 2019-04-30 2019-04-30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43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844A KR102043700B1 (ko) 2019-04-30 2019-04-30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844A KR102043700B1 (ko) 2019-04-30 2019-04-30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700B1 true KR102043700B1 (ko) 2019-11-13

Family

ID=6853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844A KR102043700B1 (ko) 2019-04-30 2019-04-30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700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550B1 (ko) * 2020-04-22 2020-10-23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공동주택건물 외부설치형 정보통신 케이블 트레이
KR102206597B1 (ko) *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238113B1 (ko) * 2020-08-25 2021-04-09 (주)투-에스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2246276B1 (ko) * 2020-09-04 2021-04-29 (주)한양기술단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배전선용 건축물트렌치
CN112886395A (zh) * 2021-03-05 2021-06-01 淮北醴恒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漏电保护功能的配电设备
KR102299388B1 (ko) * 2021-01-27 2021-09-07 장덕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KR102323131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3134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4856B1 (ko) *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326004B1 (ko) * 2021-05-14 2021-11-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451129B1 (ko) * 2021-10-25 2022-10-06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이상감지가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접속형지지장치
KR102522656B1 (ko) * 2022-10-04 2023-04-18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인입전선 가이드
KR102524135B1 (ko) * 2022-10-06 2023-04-21 (주)새롬전기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KR102531439B1 (ko) * 2022-09-22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안전기능 탑재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지지대
KR102531438B1 (ko) * 2022-09-19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누전사고 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트레이
CN116540168A (zh) * 2023-05-22 2023-08-04 内蒙古送变电有限责任公司 一种高安全度便携式电流互感器极性测试装置
KR102657347B1 (ko) * 2023-12-29 2024-04-15 (주)한빛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 검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36Y1 (ko) * 1998-03-02 2000-06-01 권오확 전기기구용 콘센트
KR101039358B1 (ko) 2011-02-17 2011-06-08 미래기술단(주)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063326B1 (ko) * 2011-04-27 2011-09-07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지중 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KR101571455B1 (ko) * 2015-04-15 2015-11-24 (주)성화기술단 위치가변과 탄성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1607656B1 (ko) * 2015-12-21 2016-03-30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지중배전선로의 절연형 연결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36Y1 (ko) * 1998-03-02 2000-06-01 권오확 전기기구용 콘센트
KR101039358B1 (ko) 2011-02-17 2011-06-08 미래기술단(주)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063326B1 (ko) * 2011-04-27 2011-09-07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지중 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KR101571455B1 (ko) * 2015-04-15 2015-11-24 (주)성화기술단 위치가변과 탄성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1607656B1 (ko) * 2015-12-21 2016-03-30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지중배전선로의 절연형 연결대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550B1 (ko) * 2020-04-22 2020-10-23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공동주택건물 외부설치형 정보통신 케이블 트레이
KR102206597B1 (ko) *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238113B1 (ko) * 2020-08-25 2021-04-09 (주)투-에스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2246276B1 (ko) * 2020-09-04 2021-04-29 (주)한양기술단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배전선용 건축물트렌치
KR102299388B1 (ko) * 2021-01-27 2021-09-07 장덕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CN112886395B (zh) * 2021-03-05 2022-04-19 南斗星文化传媒(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漏电保护功能的配电设备
CN112886395A (zh) * 2021-03-05 2021-06-01 淮北醴恒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漏电保护功能的配电设备
KR102323131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3134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6004B1 (ko) * 2021-05-14 2021-11-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324856B1 (ko) *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451129B1 (ko) * 2021-10-25 2022-10-06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이상감지가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접속형지지장치
KR102531438B1 (ko) * 2022-09-19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누전사고 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트레이
KR102531439B1 (ko) * 2022-09-22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안전기능 탑재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지지대
KR102522656B1 (ko) * 2022-10-04 2023-04-18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인입전선 가이드
KR102524135B1 (ko) * 2022-10-06 2023-04-21 (주)새롬전기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CN116540168A (zh) * 2023-05-22 2023-08-04 内蒙古送变电有限责任公司 一种高安全度便携式电流互感器极性测试装置
CN116540168B (zh) * 2023-05-22 2024-02-02 内蒙古送变电有限责任公司 一种高安全度便携式电流互感器极性测试装置
KR102657347B1 (ko) * 2023-12-29 2024-04-15 (주)한빛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 검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700B1 (ko)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45850B1 (ko) 신속한 화재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206597B1 (ko)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045848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238113B1 (ko)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US20100281684A1 (en) Cable harness production system
KR10241467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KR102112805B1 (ko)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1827534B1 (ko) 건축용 비계 장치
KR102022861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KR10108290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733111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450700B1 (ko) 지중 배전선의 절연케이블
CN206388949U (zh) 高压连接器、高压连接状态监测系统及车辆
KR101091116B1 (ko) 지중배전선 절연탑재용 보호파이프
KR101987084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1067491B1 (ko)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코인접지구조
KR200163568Y1 (ko) 직,교류테스터기
KR100933936B1 (ko) 가공배전선용 절연형 배전체
KR101617643B1 (ko) 가공배전용 가공전선 설치대
KR101416848B1 (ko) 지중배전선 절연 탑재용 보호파이프
KR101706700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의 지중매설표시장치
KR102414669B1 (ko)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CN109116056B (zh) 输电线路上的漏电检测装置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