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388B1 -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388B1
KR102299388B1 KR1020210011724A KR20210011724A KR102299388B1 KR 102299388 B1 KR102299388 B1 KR 102299388B1 KR 1020210011724 A KR1020210011724 A KR 1020210011724A KR 20210011724 A KR20210011724 A KR 20210011724A KR 102299388 B1 KR102299388 B1 KR 102299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dy
cover
connector
distribution cables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혜
Original Assignee
장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덕혜 filed Critical 장덕혜
Priority to KR102021001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배전케이블들이 지중 전력구의 배선대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접속부의 파단과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는, 지중 전력구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배선대(1)의 상면과 좌우측면 및 저면을 감싸며 상기 배선대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서로 접속되는 제1,2배전케이블(2,3)을 지지하는 커넥터 본체(10)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양쪽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의 전후 비틀림을 막아주는 제1,2지지벽(20,30)과; 상기 제1,2지지벽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40)와; 상기 덮개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의 접속부를 눌러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의 처짐으로 접속부가 솟는 것을 막는 솟음방지구(5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배선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배선대의 상면에 고이는 물을 배수하는 유도배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Leak proof connector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power line}
본 발명은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케이블들이 지중 전력구의 배선대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접속부의 파단과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는 전력공급을 위하여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변전소를 통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시설인 배전선로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여 일반 가정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시설이며, 지중 전력구 안에서 커넥터를 통해 연속되거나 수용처를 향해 분기되도록 배선된다.
등록특허 제10-2206597호는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이중 어느 하나는 전력구의 벽면에 고정되는 사이드레일과, 양단이 사이드레일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며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에 고정되어 지중배전선을 떠받치는 렁과, 렁의 일단 상면에 얹혀져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에 고정되며 다수의 제1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절연커버로 구성된 트레이본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양 측면에는 지중배전선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게 전선인입홀이 형성되고, 전선인입홀과 직교를 이루는 전후방향으로 도전봉안내홀이 형성되며, 도전봉안내홀을 기준으로 상호대향되게 가이드홀이 관통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바디와, 도전봉안내홀과 상호 연통되는 도전봉결합공을 갖추고서 바디에 수용되어 전선인입홀을 통해 인입된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도전체와, 바디에 전후이동가능하게 끼워지되, 내부의 폭이 바디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 직사각관형상의 프레임, 프레임에 내설되어 프레임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도전봉장착공을 갖춘 칸막이로 이루어진 스위치함과, 도전봉장착공에 설치되어 내부가 도전봉장착공을 통해 외부로 개방되고, 도전봉안내홀 및 도전봉결합공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도전봉과, 칸막이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며 가이드홀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스위치함의 이탈을 제한하는 가이드봉과, 분할형성되어 도전봉장착공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칸막이의 후방에 배치되며 축핀을 매개로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스위치함에 설치되어 전선억류부를 매개로 지중배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해 고정하는 전선가압구와, 프레임과 전선가압구 사이에 배치되게 축핀에 끼워져 전선가압구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커넥터; 렁의 외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관 형상의 무빙부재와, 무빙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선가압구에 맞대어지며 전선억류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무재질의 제2결합돌기를 구비하는 밀착판으로 구성된 스토퍼부재; 트레이본체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와, 누전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로 구성된 누전감지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818237호는 제1 배전선과 제2 배전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중 배전선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전선이 끼워지는 제1 전선공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배전선이 끼워지는 제2 전선공이 형성되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중앙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지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된 양단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 배전선과 상기 제2 배전선을 결합하기 위한 접속공이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탄성전극, 상기 접속공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1 배전선과 상기 제2 배전선을 상기 탄성전극에 고정하며 상단 둘레에는 피니언부를 포함하는 체결피니언, 상기 연결본체의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배전선 또는 상기 제2 배전선이 외력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탄성전극에서 상기 제1 배전선과 상기 제2 배전선이 단선되지 않고 분리되도록 상기 피니언부의 맞물림 회전에 따라 상기 접속부에서 상기 체결피니언의 나사체결을 해제하는 랙바부, 및 상기 제1 전선공과 상기 제2 전선공에 강제적으로 끼워져 상기 체결피니언에 의해 상기 제1 배전선과 상기 제2 배전선이 분리되면 상기 제1 전선공과 상기 제2 전선공에서 함께 분리되어 상기 배전선과 상기 제2 배전선의 끝단을 감싸 감전을 방지하는 끝단처리캡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배전케이블의 배선에 따르면, 지중 전력구의 배선대(트레이)에 지지되는 부분에 접속부가 통과하는 경우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마련되지 않아 접속부가 꺽이는 현상이 있고 이렇게 파단된 접속부에 물이 침투하여 단선 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206597호 등록특허 제10-181823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케이블들이 지중 전력구의 배선대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접속부의 파단과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는, 지중 전력구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배선대의 상면과 좌우측면 및 저면을 감싸며 상기 배선대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서로 접속되는 제1,2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양쪽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의 전후 비틀림을 막아주는 제1,2지지벽과; 상기 제1,2지지벽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의 접속부를 눌러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의 처짐으로 접속부가 솟는 것을 막는 솟음방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배선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배선대의 상면에 고이는 물을 배수하는 유도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배수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천정부와 좌우 측벽 및 바닥부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배선대 위의 물을 지면으로 유도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에 의하면, 지중 전력구 안에 설치되는 배선대에서 배전케이블들의 접속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배전케이블의 처짐으로 인한 상기 접속부의 솟음을 함께 방지하여 접속부를 접속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을 덮개를 통해 유도배수하는 한편 배선대 위에 고인 물을 지면으로 유도배수하여 접속부를 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배전이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배전이상의 보수를 위한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에 적용된 좌우 측벽과 덮개의 길이조절 상태를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는, 지중 전력구 안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배선대(1)에 고정되며 제1,2배전케이블(2,3)의 접속부(4){제1,2배전케이블(2,3)의 도선부를 감싸는 고정하고 보호하는 공지의 모든 것이 가능함}를 지지하는 커넥터 본체(10), 커넥터 본체(10)의 양쪽으로 제1,2배전케이블(2,3)의 배선방향을 따라 양쪽에 각각 형성되며 제1,2배전케이블(2,3)을 각각 지지하는 제1,2지지벽(20,30), 제1,2지지벽(20,3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40), 덮개(4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2배전케이블(2,3)의 접속부(4)가 상부로 오르지 않도록 하는 솟음방지구(50)를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10)는 천정부(11), 천정부(11)의 양쪽(도 2 기준으로 좌우)에서 각각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좌우 측벽(12,13), 좌우 측벽(12,13)의 하단부에서 마주하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거치턱(14,15)에 의한 사각 틀의 형태로서 배선대(1)의 둘레부에 배선대(1)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크기이고, 제1,2배전케이블(2,3)이 이동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16)를 통해 고정된다.
천정부(11)와 거치턱(14,15) 중 일측 이상에는 커넥터 본체(10)의 부드러운 슬라이딩을 위하여 2개 이상의 바퀴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볼트(16)는 커넥터 본체(10)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너트부에 나사 체결되며 조임을 통해 배선대(1)를 향해 전진하여 커넥터 본체(10)를 고정한다.
제1,2지지벽(20,30)은 커넥터 본체(10)의 양쪽에 각각 세워지며 각각 제1,2배전케이블(2,3)이 전후방향을 따라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2배전케이블(2,3)을 사이에 두고 전후 양쪽에 각각 돌기가 세워지는 형태 즉, 가운데에 제1,2배전케이블(2,3)이 각각 삽입되도록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제1,2배선홈(21,31)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1,2지지벽(20,30)은 덮개(40)의 결합을 위하여 상단부에 각각 볼트(22,32)가 세워진다.
덮개(40)는 접속부(4)의 상부를 덮어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로부터 접속부(4)를 보호하며, 예를 들어 사각판의 형태로서 4곳의 모서리부가 제1,2지지벽(20,30)의 볼트(22,32)에 끼워지면서 너트(41)의 체결을 통해 제1,2지지벽(20,30)에 결합된다.
덮개(40)는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접속부(4)를 향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4면의 둘레부 전체 또는 제1,2배전케이블(2,3)의 위와 대응하는 2면의 둘레부에 스커트(42)가 형성된다.
스커트(42)는 덮개(40)에서 하부로 가면서 벌어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2지지벽(20,30)의 외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덮개(40)에 떨어진 물을 접속부(4)의 먼 곳으로 유도한다.
덮개(40)는 상면에 떨어진 물을 유도배수하기 위하여 한쪽의 가장자리 또는 양쪽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배선대(1)는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적용되기 때문에 제1,2배전케이블(2,3)은 배선대(1)에서 하부로 처지지 않지만 배선대(1)에서 먼 부분은 하부로 처질 수 있고, 이러한 처짐은 반대로 접속부(4)의 솟음을 유발하며, 본 발명은 솟음방지구(50)를 통해 접속부(4)의 솟음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제1,2배전케이블(2,3)의 하부 처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솟음방지구(50)는 덮개(40)를 통해 접속부(4)의 상부에 설치되며, 특히, 접속부(4)의 크기나 다양한 솟음 등을 고려하여 덮개(4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예를 들어, 덮개(40)에 고정된 너트(43)에 나사 체결되는 승강볼트(5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승강볼트(51)의 양방향 회전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솟음방지구(50)는 승강볼트(5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을 통해 고정되거나 승강볼트(51)와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접속부(4)와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탄력이 있는 고무 등을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배선대(1)의 상면에 고인 물로부터 제1,2배전케이블(2,3)의 접속부(4)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도배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배수부는 배선대(1)의 둘레부와 커넥터 본체(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서 배선대(1)의 상면에 있는 물을 배선대(1)의 하부(지면)로 유도하도록 구성되며, 상부측 유도배수부(60) - 좌우측 유도배수부(61,63) - 좌우측 배수홀(62,64)로 이어지는 유로이다.
상부측 유도배수부(60)는 커넥터 본체(10)의 천정부(11)에 체결되는 제1볼트(60a), 커넥터 본체(10)의 좌우 측벽(12,13)에 각각 체결되는 제2볼트(61a,63a)를 통해 형성된다.
제1,2볼트(60a,61a,63a)는 각각 2개 이상이 적용된다.
제1볼트(60a)에 따르면 그 단부가 배선대(1)의 상면에 지지되어 커넥터 본체(10)의 천정부와 배선대(1)의 상면 사이에 공간 즉 상부측 유도배수부(60)를 형성한다.
제2볼트(61a,63a)는 그 단부가 배선대(1)의 상면에 지지되어 커넥터 본체(10)의 좌우 측벽과 배선대(1)의 좌우측 사이에 공간 즉 좌우측 유도배수부(61,63)를 형성한다.
좌우측 배수홀(62,64)는 거치턱(14,15)에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되면서 좌우측 유도배수부(61,63)와 통하는 구멍으로, 1 개 또는 2개 이상이 가능하고, 별도의 호스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유도배수에 따르면, 배선대(1)의 상면을 흐르는 물은 상부측 유도배수부(60) - 좌우측 유도배수부(61,63) - 좌우측 배수홀(62,64)을 통해 배선대(1)의 하부로 배수된다.
제1볼트(60a)는 상부측 유도배수부(60)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고, 제2볼트(61a,63a)는 좌우측 유도부(61,63)를 상대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점에서 누수방지에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의 설치 및 제1,2배전케이블의 배선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커넥터 본체 설치 및 이동.
커넥터 본체(10)를 배선대(1)의 둘레부에 끼우고 제1,2배전케이블(2,3)의 배선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커넥터 본체(10)의 위치가 결정되면 고정볼트(16)를 체결하여 커넥터 본체(10)를 고정한다.
덮개(40)는 커넥터 본체(10)에서 분리된 상태이다.
2. 제1,2배전케이블 거치.
제1,2배전케이블(2,3)을 접속하고 그 접속부(4)가 커넥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때, 제1,2배전케이블(2,3)은 제1,2지지벽(20,30)의 제1,2배선홈(21,31) 안에 삽입되도록 한다.
3. 덮개 조립.
제1,2지지벽(20,30)의 볼트(22,32)에 맞춰 덮개(40)를 끼우고 볼트(22,32)에 너트(41)를 체결하여 덮개(40)를 조립한다.
4. 솟음방지구 조절.
덮개(40)를 체결한다 하여도 솟음방지구(50)는 제1,2배전케이블(2,3)의 접속부(4)와 떨어진 상태이다. 승강볼트(51)를 조작하여 솟음방지구(50)를 하강시켜 접속부(4)에 닿도록 한다.
접속부(4)는 솟음방지구(50)에 의해 눌려 커넥터 본체(10)와 솟음방지구(50) 사이에서 꺽임없이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에 따르면, 제1,2지지벽(20,30)이 제1,2배전케이블(2,3)의 비틀림을 막아주고 이 때, 배선대(1)에서 먼 부분에서 제1,2배전케이블(2,3)이 처지게 되어 반대로 접속부(4)에서 솟음이 발생할 때 솟음방지구(50)가 이 솟음을 막기 때문에 접속부(4)를 차수 분위기로 조성할 수 있다. 즉, 접속부(4)에 솟음이 발생하는 경우 접속부(4)의 상부 중앙에서 파단이 일어나게 되어 물이 침투할 수 있고 제1,2배전케이블(2,3)이 중력방향 즉 접속부(4)의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단선이 발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물의 침투와 단선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중 전력구의 천정에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물이 배선대(1)에 떨어질 수 있으며, 이 물은 접속부(4) 상부의 덮개(40)에 떨어지게 되어 접속부(4)에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배선대(1)의 상면에 일부 물이 고일 수 있으며, 이 물은 상부측 유도배수부(60)에 유입된 후 좌우측 유도배수부(61,63)로 나뉘어져 낙하하고 배수홀(62,64)을 통해 커넥터 본체(10)의 저부로 배출되므로, 제1,2배전케이블(2,3)의 접속부(4) 주변을 건조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제1,2배전케이블(2,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제1,2지지벽(20,3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도 포함된다.
커넥터 본체(10)의 좌우 양쪽에는 홈 형태의 좌우 슬라이딩부(17,18)를 포함하고, 제1,2지지벽(20,30)은 커넥터 본체(10)와 분리된 단품으로서 수평의 연결부(20-1,30-1) 및 수직의 벽부(20-2,30-2)로 구성되어 연결부(20-1,30-1)가 슬라이딩부(17,18)에 양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벽부는 전술한 제1,2지지벽(20,30)과 동일한 형태이다.
슬라이딩형 제1,2지지벽(20,30)에 따라 덮개(40)도 슬라이딩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덮개(40)는 덮개 본체(40-1) 및 덮개 본체(40-1)의 좌우 양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덮개(40-2,40-3)으로 이루어진다.
덮개 본체(40-1)는 좌우 양쪽에 슬라이딩 덮개(40-2,40-3)가 각각 삽입되는 홈 형태의 슬라이딩부가 포함되고, 슬라이딩 덮개(40-2,40-3)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양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아울러 제1,2지지벽(20,30)의 볼트(22,32)에 끼워진 후 너트의 체결로 고정된다.
제1,2지지벽(20,30)과 덮개(40) 중 하나 이상은 슬라이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덮개 본체(40-1)의 좌우 양쪽에 각각 나사 체결되어 슬라이딩 덮개(40-2,40-3)를 고정하는 볼트형의 조임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1 : 배선대, 2.3 : 제1,2배전케이블
10 : 커넥터 본체, 11 : 천정부
12,13 : 측벽, 14,15 : 거치턱
16 : 고정볼트, 17,18 : 슬라이딩부
20,30 : 제1,2지지벽, 21,31 : 제1,2배선홈
22,32 : 볼트, 20-1,30-1 : 연결부
20-2,30-2 : 벽부,
40 : 덮개, 41,43 : 너트,
42 : 스커트, 40-1 : 덮개 본체
40-2,40-3 : 슬라이딩 덮개, 50 : 솟음방지구
51 : 승강볼트,
60 : 상부측 유도배수부, 61,63 : 좌우측 유도배수부
62,64 : 배수홀,

Claims (4)

  1. 지중 전력구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배선대(1)의 상면과 좌우측면 및 저면을 감싸며 상기 배선대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서로 접속되는 제1,2배전케이블(2,3)을 지지하는 커넥터 본체(10)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양쪽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의 전후 비틀림을 막아주는 제1,2지지벽(20,30)과;
    상기 제1,2지지벽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40)와;
    상기 덮개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의 접속부를 눌러 상기 제1,2배전케이블의 처짐으로 접속부가 솟는 것을 막는 솟음방지구(5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배선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배선대의 상면에 고이는 물을 배수하는 유도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배수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천정부(11)의 저면 중앙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선대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1볼트(60a)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측 유도배수부(60), 상기 커넥터 본체의 좌우 양측벽에 각각 옆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선대의 좌우측에 지지되는 제2볼트(61a,63a)에 의해 상기 상부측 유도배수부와 통하도록 형성되는 좌우측 유도배수부(61,63), 상기 커넥터 본체의 좌우 양측벽에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거치턱에 상기 좌우측 유도배수부와 통하도록 형성되어 물을 유도배수하는 좌우측 배수홀(62,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좌우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2지지벽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덮개는 덮개 본체 및 상기 덮개 본체의 좌우 양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2지지벽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KR1020210011724A 2021-01-27 2021-01-27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KR102299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724A KR102299388B1 (ko) 2021-01-27 2021-01-27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724A KR102299388B1 (ko) 2021-01-27 2021-01-27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388B1 true KR102299388B1 (ko) 2021-09-07

Family

ID=7779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724A KR102299388B1 (ko) 2021-01-27 2021-01-27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3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074B1 (ko) 2021-12-17 2022-09-23 은세기술 주식회사 트라프와 배관의 연결구 방수장치
KR102474410B1 (ko) * 2022-01-13 2022-12-06 (주)호명기술단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전형 보호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237B1 (ko) 2017-07-31 2018-01-15 (주)선진전력기술단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2043700B1 (ko) * 2019-04-30 2019-11-13 김경현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112805B1 (ko) * 2019-12-05 2020-05-19 우주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206597B1 (ko)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237B1 (ko) 2017-07-31 2018-01-15 (주)선진전력기술단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2043700B1 (ko) * 2019-04-30 2019-11-13 김경현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112805B1 (ko) * 2019-12-05 2020-05-19 우주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206597B1 (ko)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074B1 (ko) 2021-12-17 2022-09-23 은세기술 주식회사 트라프와 배관의 연결구 방수장치
KR102474410B1 (ko) * 2022-01-13 2022-12-06 (주)호명기술단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전형 보호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388B1 (ko)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US8013242B1 (en) Outdoor electrical box
KR101894913B1 (ko) 특별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대
KR101585222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200443588Y1 (ko)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시스템
KR102117887B1 (ko) 인출식 지중 매립형 제어반 및 그 매립형 제어반의 작동제어방법
KR100780081B1 (ko)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KR102007679B1 (ko)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설비
KR100947101B1 (ko)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EP3263803A1 (en) Substation
WO2010021480A2 (ko)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101727007B1 (ko)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CN211557739U (zh) 一种工程机械用电气控制箱
KR101177920B1 (ko) 특별 고압 한전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2336857B1 (ko) 전력안정공급을 위한 인출식 지중 매립형 분전반
KR100998492B1 (ko)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한 배전설비
KR102143846B1 (ko) 가공배전선로 카바류의 자연 배수와 내부 건조 장치
KR102624108B1 (ko) 지중배전선의 배치가 편리한 편이성 향상 다기능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255696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CN209709520U (zh) 一种可移动箱式变电站
CN204498499U (zh) 用于钢结构监测数据采集和发送设备的防护箱
CN207572796U (zh) 一种带护栏的户外电气控制柜
CN208044136U (zh) 一种防水的光纤盒
CN206332426U (zh) 新型电缆分支箱
CN210404624U (zh) 一种箱体进线防护结构及具有该结构的设备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