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805B1 -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805B1
KR102112805B1 KR1020190160687A KR20190160687A KR102112805B1 KR 102112805 B1 KR102112805 B1 KR 102112805B1 KR 1020190160687 A KR1020190160687 A KR 1020190160687A KR 20190160687 A KR20190160687 A KR 20190160687A KR 102112805 B1 KR102112805 B1 KR 10211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istribution line
support arm
fixe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희
임채호
Original Assignee
우주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주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주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구의 벽면(W)에 고정되며 배수구(120)와 걸이홈(130)을 구비하는 지지암(100); 지지암(100)의 배수구(120)와 상호 연결되어 배수구(120)를 통해 배수되는 유체를 집수하는 집수관(200);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지지암(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300); 집수관(200)에 내설되어 지지암(100)에 설치된 커넥터(300)를 가압고정하는 록킹유닛(400); 지지암(100)과 집수관(200)에 설치되어 합선유발물질(유체)을 집수하고,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 및 주변으로 알려주는 합선유발물질 경보유닛(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전기적인 연결을 쉽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가 기밀하게 감싸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침투수에 의한 전기합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매개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으며, 결로와 같은 합선유발물질의 감지시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는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며,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전선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내 주게 된다.
이러한 배전선은 통상 지상보다는 지중에 매설된 전력구에 설치하여 주변 경관을 해치는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한편, 상기 배전선은 통상 커넥터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데, 이 커넥터는 구조적으로 복잡해 제조가 쉽지 않았고, 연결작업 및 해제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력구의 내부의 높은 습도 및 잦은 결로로 인해 유체가 지중배전선의 연결부에서 누전이 일으키기 쉬운 문제가 있었으며,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사후처리가 빈번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7515호(2016.01.21)
본 발명은 커넥터를 매개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으며, 결로와 같은 합선유발물질의 감지시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는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육면체형태를 이루며 전력구의 벽면에 일단이 고정되되, 상면에는 반원형의 커넥터장착부가 마련되고, 커넥터장착부의 내주면에는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플런지끼움홈이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 지지암본체와, 커넥터장착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며 유체를 배수할 수 있게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상광하협형상의 배수구와, 커넥터장착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부, 삽입부와 상호 연통되고 상부가 폐쇄되며 일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마련된 수용부로 이루어진 걸이홈을 갖춘 지지암;
배수구의 하단을 통해 연통되게 끼워지는 커넥팅부와, 커넥팅부로부터 벽면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슬로프부와, 슬로프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유체를 집수하는 집수조와, 집수조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부양되는 경량구로 구성된 집수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와 제2바디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제1·2바디의 외주면에는 플런지끼움홈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플런지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와,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갖추고서 제1·2바디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관체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의 도선을 고정돌기를 매개로 가압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도선연결구와, 도선연결구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제1·2바디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관체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감싸 고정하는 반원형의 탄성절연재로 구성된 커넥터와;
걸이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구와, 걸이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집수관에 수용되며, 걸이구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커넥터의 외주면을 가압고정하는 로프와, 양단이 집수관과 로프의 타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집수관에 내설되어 로프를 잡아당기는 탄성체로 구성된 록킹유닛;
집수조에 설치되어 경량구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로 출력하고, 경광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비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는 경광부로 구성된 합선유발물질 경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전기적인 연결을 쉽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가 기밀하게 감싸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침투수에 의한 전기합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를 구성하는 관체의 플런지를 매개로 제1·2바디의 내측으로 배치된 지중배전선을 적은 힘으로 쉽게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관체의 플런지를 지지암의 플런지삽입부에 끼워주게 되면 지중배전선이 관체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더욱이, 지지암에 설치된 커넥터를 록킹유닛을 매개로 가압해 고정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록킹유닛의 걸이구를 걸이홈에 끼워 걸어서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결합 및 해제가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결로와 같은 합선유발물질(유체)의 발생시 이를 집수 및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지중배전선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를 이용하여 지중배전선의 연결 및 설치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에서 합선유발물질 경보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는 지지암(100)와 집수관(200), 커넥터(300), 록킹유닛(400) 및 합선유발물질 경보유닛(5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중배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으며, 결로와 같은 합선유발물질의 감지시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지지암(100)는 지지암본체(110)와 배수구(120) 및 걸이홈(1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구의 벽면(W)에 고정수단(앵커볼트)을 매개로 설치되어 커넥터(30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지중배전선(L)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암본체(110)는 직육면체를 갖는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전력구의 벽면(W)에 배치되어 고정수단(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암본체(110)의 상면에는 내부가 전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된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커넥터장착부(1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커넥터장착부(111)의 내주면에는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플런지끼움홈(11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대향되게(마주보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장착부(111)에는 커넥터(300)가 얹혀지고, 플런지끼움홈(111a)에는 커넥터(300)의 플런지(311a,312a)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계속해서, 상기 배수구(120)는 커넥터장착부(111)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깔때기형상의 구멍으로 결로와 같은 합선유발물질(유체)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수구(120)는 상단부가 상광하협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배수구(120)에는 걸이구(410)가 삽탈가능하게 인입되고, 걸이구(410)와 연결된 로프(420)는 배수구(12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120)를 기준으로 양측 즉, 지지암본체(110)의 상면에는 배수구(120)로 합선유발물질(유체)이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걸이홈(130)은 커넥터장착부(111)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걸이구(41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걸이홈(130)은 커넥터장착부(111)를 기준으로 지지암본체(110)의 타측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부(131)와, 삽입부(131)와 상호 연통되고 상부가 폐쇄되며 일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32a)이 마련된 수용부(132)로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삽입부(131)를 통해 인입된 걸이구(41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수용부(132)로 인입시켜 주게 주면, 인입된 걸이구(410)의 일측이 수용부(132)의 걸림턱(132a)에 걸리게 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걸이구(410)의 이탈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고정성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집수관(200)은 지지암(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배수구(120)의 하단을 통해 내측으로 끼워지고, 타단이 전력구의 벽면(W)에 맞대어져 지지암(100)이 자중 및 지중배전선(L)의 무게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배수구(120)로부터 유체를 전달받아 이를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수관(200)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막힌 부재로서, 배수구(120)의 하단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통되게 끼워지는 커넥팅부(210)와, 커넥팅부(210)의 하단으로부터 벽면(W)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슬로프부(220)와, 슬로프부(220)의 말단에 형성되어 전력구의 벽면(W)에 맞대어지며 슬로프부(220)를 따라 흐르는 유체를 집수하는 집수조(230), 및 집수조(230)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부양되는 경량구(240)로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배수구(120)를 통해 배출된 유체는 커넥팅부(210)로 유입되어 슬로프부(220)를 따라 흐르다가 슬로프부(220)의 말단에 형성된 집수조(230)에 집수되며, 집수조(230)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경량구(240)가 부양하게 된다.
여기서, 경량구(240)는 유체에 쉽게 뜨는 스티로폼이며, 이 경량구(240)의 부양은 집수조(230)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510)에 의해 감지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00)는 관체(310)와 도선연결부(320) 및 탄성절연재(3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암(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관체(310)는 지지암(100)의 커넥터장착부(111)에 삽입되어 얹혀지는 절연재질의 중공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411)와 제2바디(412)로 분할형성되며, 힌지(경첩)를 매개로 절첩 및 전개가능하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삽입된 지중배전선(L)의 도선(La)과 피복(Lb)을 감싸 외력 및 침투수로부터 지중배전선(L)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관체(310)를 구성하는 제1·2바디(311,312)의 외주면에는 플런지(311a,31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플런지(311a,312a)는 지지암(100)의 플런지끼움홈(111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관체(310)에 플런지(311a,312a)를 형성해 줌으로서 제1·2바디(311,312)의 내측으로 배치된 지중배전선(L)을 적은 힘으로 쉽게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관체(310)의 플런지(311a,312a)를 지지암(100)의 플런지끼움홈(111a)에 끼워주게 되면 지중배전선(L)이 관체(31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상기 도선연결구(32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도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2바디(311,312)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관체(310)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L)의 도선(La)을 고정돌기(321)를 매개로 가압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고정돌기(321)는 도선연결구(320)의 내면에 형성되며 도선(La)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 갈 수 있게 원뿔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절연재(33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합성고무로, 도선연결구(3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제1·2바디(311,312)의 내면에 각각 고정되어 관체(310)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L)의 피복(Lb)을 감싸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탄성절연재(330)가 지중배전선(L)의 피복(Lb)을 기밀하게 감싸 줌에 따라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유닛(400)은 걸이구(410)와 로프(420) 및 탄성체(430)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일단부가 집수관(200)에 내설되어 고정되고, 타단부가 배수구(120)에 노출되게 배치되며, 걸이홈(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넥터장착부(111)에 안착된 커넥터(300)를 가압해 고정하거나 커넥터(300)가 이탈될 수 있게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구(410)는‘ㅜ’형상의 부재로, 배수구(120)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되, 배수구(120)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수용되며, 이에 따라 지지암(100)의 상면에는 돌출된 부분이 전혀 없기 때문에 지중배전선(L)을 횡 방향(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로프(420)는 배수구(120) 및 집수관(200)에 내설되되, 일단이 걸이구(4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집수관(200)에 내설된 탄성체(430)의 일단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로프(420)는 걸이구(41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커넥터장착부(111)에 얹혀진 커넥터(300)의 외주면을 가압해 고정한다.
상기 탄성체(430)은 집수관(200)에 내설되되, 일단이 로프(42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집수조(230)의 내면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매개로 로프(420) 및 걸이구(410)를 잡아당겨 걸이구(410)가 걸이홈(130)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시 배수구(1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지지암(100)의 커넥터장착부(111)에 커넥터(300)가 안착된 상태에서 걸이구(410)를 배수구(120)로부터 인출하게 되면, 걸이구(410)와 연결된 로프(420)가 서서히 외부로 인출되고, 이와 더불어 로프(420)와 연결된 탄성체(430)는 집수관(200) 내에서 인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00)의 상부를 가로질러 걸이구(410)를 걸이홈(130)에 끼워 걸어주게 되면, 로프(420)는 커넥터(300)의 외주면에 맞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로프(420)는 탄성체(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당겨지고, 당겨지는 로프(420)가 커넥터(300)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박함에 따라 커넥터(300)는 커넥터장착부(111)에 자연스럽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걸이홈(130)에 끼워진 걸이구(410)의 경우 탄성체(430)에 의해 상부로 당겨져 수용부(132)의 걸림턱(132a)에 걸림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외력에 의한 걸이구(410)의 이탈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합선유발물질 경보유닛(500)은 수위감지센서(510)와 제어부(520), 송신부(530) 및 경광부(54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암(100)과 집수관(200)에 설치되어 합선유발물질(유체)을 집수하고,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 및 주변으로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510)는 비접촉식센서로서, 집수조(230)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경량구(240)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520)는 수위감지센서(51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530)로 출력하고, 경광부(54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신부(530)는 유무선방식의 통신수단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어부(520)로부터 비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광부(540)는 램프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어부(52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해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배수구(12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어 배수되면, 배수된 유체는 커넥팅부(210)로 유입되어 슬로프부(220)를 따라 흘러 집수조(230)에 집수되며, 이때 유입된 유체에 의해 경량구(240)는 부양한다.
그리고 부양된 경량구(240)를 수위감지센서(51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52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20)는 수위감지센서(51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530)로 출력하면서 주변에 있는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현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경광부(54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한편, 비상신호를 전달받은 송신부(530)는 유무선방식에 의해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비상신호를 송신하며, 관리자는 수신받은 비상신호를 통해 현재 상태를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후속 대응을 통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를 이용하여 지중배전선의 연결 및 설치과정을 도시한 순서도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넥터(300)의 플런지(311a,312a)를 잡고 제1·2바디(311,312)를 벌려준 상태에서 지중배전선(L)의 도선(La)은 도선연결구(320)에, 지중배전선(L)의 피복(Lb) 부분은 탄성절연재(330)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배치되면 작업자는 플런지(311a,312a)를 잡고 벌어져 있는 제1·2바디(311,312)가 오므려지도록 가압하여 도선연결구(320)의 고정돌기(321)에 의해 도선(La)이 물리도록 하고, 탄성절연재(330)에 의해 피복(Lb)이 감싸지도록 한다.
그 다음 제1·2바디(311,312)를 구성하는 관체(310)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관체(310)를 지지암(100)의 커넥터장착부(111)에 얹혀주며, 관체(310)가 커넥터장착부(111)에 얹혀지는 과정에 플런지(311a,312a)는 플런지끼움홈(111a)에 끼워넣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커넥터(300)가 지지암(100)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300)가 지지암(100)에 고정되면, 록킹유닛(400)을 구성하는 걸이구(410)를 배수구(120)로부터 인출하며, 이때 걸이구(410)와 연결된 로프(420)는 걸이구(410)에 의해 서서히 외부로 인출되고, 이와 더불어 로프(420)와 연결된 탄성체(430)는 집수관(200) 내에서 더욱더 인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구(410)를 커넥터(300)의 상부를 가로질러 걸이홈(130)에 끼워 걸어주게 되면, 로프(420)는 커넥터(300)의 외주면에 맞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구(410)와 로프(420)는 탄성체(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당겨지게 되는데, 당겨진 걸이구(410)는 수용부(132) 내에서 상방으로 상승되어 걸림턱(132a)에 걸리게 되고, 로프(420)는 커넥터(300)의 외주면을 압박해 고정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에서 합선유발물질 경보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결로에 의한 합선유발물질(유체)이 지지암(100)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되는 경우 이러한 유체는 배수구(120)로 유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수구(12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어 배수되면, 배수된 유체는 커넥팅부(210)로 유입되어 슬로프부(220)를 따라 흘러 집수조(230)에 집수되며, 이때 유입된 유체에 의해 경량구(240)가 부양하게 된다.
그리고 부양된 경량구(240)를 수위감지센서(51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52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20)는 수위감지센서(51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530)로 출력하면서 주변에 있는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현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경광부(54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한편, 비상신호를 전달받은 송신부(530)는 유무선방식에 의해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비상신호를 송신하며, 관리자는 수신받은 비상신호를 통해 현재 상태를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후속 대응을 통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의 전기적인 연결을 쉽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가 기밀하게 감싸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침투수에 의한 전기합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300)를 구성하는 관체(310)의 플런지(311a,312a)를 매개로 제1·2바디(311,312)의 내측으로 배치된 지중배전선(L)을 적은 힘으로 쉽게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관체(310)의 플런지(311a,312a)를 지지암(100)의 플런지삽입부 (111a)에 끼워주게 되면 지중배전선(L)이 관체(31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더욱이, 지지암(100)에 설치된 커넥터(300)를 록킹유닛(400)을 매개로 가압해 고정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커넥터(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록킹유닛(400)의 걸이구(410)는 걸이홈(130)에 끼워 걸어서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결합 및 해제가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결로와 같은 합선유발물질(유체)의 발생시 이를 집수 및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지중배전선(L)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지지암 110: 지지암본체 111: 커넥터장착부
111a: 플런지끼움홈 120: 배수구 130: 걸이홈
131: 삽입부 132: 수용부 132a: 걸림턱
200: 집수관 210: 커넥팅부 220: 슬로프부
230: 집수조 240: 경량구 300: 커넥터
310: 관체 311: 제1바디 312: 제2바디
311a: 플런지 312a: 플런지 320: 도선연결구
330: 탄성절연재 400: 록킹유닛 410: 걸이구
420: 로프 430: 탄성체
500: 합선유발물질 경보유닛 510: 수위감지센서
520: 제어부 530: 송신부 540: 경광부

Claims (1)

  1. 직육면체형태를 이루며 전력구의 벽면(W)에 일단이 고정되되, 상면에는 반원형의 커넥터장착부(111)가 마련되고, 커넥터장착부(111)의 내주면에는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플런지끼움홈(111a)이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 지지암본체(110)와, 커넥터장착부(111)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며 유체를 배수할 수 있게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상광하협형상의 배수구(120)와, 커넥터장착부(111)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부(131), 삽입부(131)와 상호 연통되고 상부가 폐쇄되며 일측에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32a)이 마련된 수용부(132)로 이루어진 걸이홈(130)을 갖춘 지지암(100);
    배수구(120)의 하단을 통해 연통되게 끼워지는 커넥팅부(210)와, 커넥팅부(210)로부터 벽면(W)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슬로프부(220)와, 슬로프부(220)의 말단에 형성되어 유체를 집수하는 집수조(230)와, 집수조(230)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부양되는 경량구(240)로 구성된 집수관(200);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311)와 제2바디(312)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제1·2바디(311,312)의 외주면에는 플런지끼움홈(111a)에 삽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되는 플런지(311a.312a)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310)와,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321)를 갖추고서 제1·2바디(311,312)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관체(310)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L)의 도선(La)을 고정돌기(321)를 매개로 가압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도선연결구(320)와, 도선연결구(3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제1·2바디(311,312)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관체(310)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L)의 피복(Lb)을 감싸 고정하는 반원형의 탄성절연재(330)로 구성된 커넥터(300)와;
    걸이홈(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구(410)와, 걸이구(4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집수관(200)에 수용되며, 걸이구(41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커넥터(300)의 외주면을 가압고정하는 로프(420)와, 양단이 집수관(200)과 로프(420)의 타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집수관(200)에 내설되어 로프(420)를 잡아당기는 탄성체(430)로 구성된 록킹유닛(400);
    집수조(230)에 설치되어 경량구(240)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510)와, 수위감지센서(51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비상신호를 송신부(530)로 출력하고, 경광부(54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520)와, 제어부(520)로부터 비상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530)와, 제어부(52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는 경광부(540)로 구성된 합선유발물질 경보유닛(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0190160687A 2019-12-05 2019-12-05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112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87A KR102112805B1 (ko) 2019-12-05 2019-12-05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87A KR102112805B1 (ko) 2019-12-05 2019-12-05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805B1 true KR102112805B1 (ko) 2020-05-19

Family

ID=7091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687A KR102112805B1 (ko) 2019-12-05 2019-12-05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8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388B1 (ko) * 2021-01-27 2021-09-07 장덕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KR102316192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2316190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547234B1 (ko) * 2022-09-26 2023-06-23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안전기능이 탑재된 배전선용 건축물트렌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700Y1 (ko) * 2006-04-17 2006-07-06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1587515B1 (ko) 2015-07-29 2016-01-21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설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대
KR101639048B1 (ko) * 2016-02-05 2016-07-13 (주)투-에스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
KR101732161B1 (ko) * 2016-08-12 2017-05-04 이수기술단(주)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791968B1 (ko) * 2017-04-26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전력구 내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040062B1 (ko) * 2019-05-21 2019-11-05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700Y1 (ko) * 2006-04-17 2006-07-06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1587515B1 (ko) 2015-07-29 2016-01-21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설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대
KR101639048B1 (ko) * 2016-02-05 2016-07-13 (주)투-에스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
KR101732161B1 (ko) * 2016-08-12 2017-05-04 이수기술단(주)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791968B1 (ko) * 2017-04-26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전력구 내 안정적 배전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040062B1 (ko) * 2019-05-21 2019-11-05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388B1 (ko) * 2021-01-27 2021-09-07 장덕혜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KR102316192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2316190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547234B1 (ko) * 2022-09-26 2023-06-23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안전기능이 탑재된 배전선용 건축물트렌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805B1 (ko)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043700B1 (ko)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206597B1 (ko)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254652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 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CA2714029C (en) A rat trap
KR102238113B1 (ko)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163850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US4255747A (en) Sump pump level warning device
KR101885536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2494119B1 (ko)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용 전력구
KR102045848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243941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2024668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2323131B1 (ko)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1329800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102112281B1 (ko)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0968921B1 (ko) 변전소의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
KR102047366B1 (ko) 제연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0837380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연결대
KR102549595B1 (ko)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1559832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장치
KR102549598B1 (ko) 지중배전 및 송전을 위한 전선접속형 지지장치
CN213878479U (zh) 线缆检修用接地导电保护装置
KR200450558Y1 (ko) 수중바닥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