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668B1 -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668B1
KR102024668B1 KR1020190085226A KR20190085226A KR102024668B1 KR 102024668 B1 KR102024668 B1 KR 102024668B1 KR 1020190085226 A KR1020190085226 A KR 1020190085226A KR 20190085226 A KR20190085226 A KR 20190085226A KR 102024668 B1 KR102024668 B1 KR 102024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mission line
base
jump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8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외함(10)와; 외함(1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외함(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와; 외함(10)에 내설되어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탄성체(30)와;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에 각각 설치된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40)과; 외함(10)에 내설되어 활선상태에서 점퍼선(40)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송전선(L)이 설치된 한 쌍의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과 점퍼선(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주는 점퍼선교체용 조립체(50)와;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의 이동하는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측정센서(60)와; 거리측정센서(6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제어부(70)와; 제어부(7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80)와; 제어부(70)에 의해 동작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는 경광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에 인장력 발생시 이에 의해 이동되는 송전선고정용 조립체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위험상황 시 이를 작업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인장력에 의한 송전선의 이탈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Equipment for connecting a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cable}
본 발명은 인장력에 의한 송전선의 이탈을 관리자가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활선상태에서 전극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매설형 송전선로는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중관로의 내부에 구비된 전선연결대에 연결되어 연장되거나 분기되어, 각 건물 또는 주택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송전선로는 충분한 용량의 전기를 송전할 수 있는 전선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송전선로를 연결하는 전선연결대는 송전선이 매설되는 지중관로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도전체인 구리바 등으로 구성되며 양단에는 송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기구가 구비되며 금속프레임에 절연되도록 설치되는 전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극의 양단에 송전선을 고정함으로써 송전선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송전선을 분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142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송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경우 송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가변전극이 노후 또는 손상될 경우 송전선을 따라 흐르는 전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가변전극을 교체해야 했던 번거로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142호(2011.04.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장력에 의한 송전선의 이탈을 관리자가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활선상태에서 전극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간부가 마련된 내측으로 양단을 통해 송전선이 인입되고 전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내부 양단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레일부와, 바디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바디부에 설치되어 커버의 개폐를 단속하는 로킹부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외함;
바디부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되, 일단부 상면에는 결합공이 마련되고, 타단부 양측면에는 탄성체수용홈가 마련된 절연재질의 베이스와,
바디부의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베이스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단자와,
결합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점퍼선단자와,
축핀을 매개로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단자와 점퍼선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변단자와,
가변단자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과,
베이스에 설치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구와,
고정단자의 상부에 배치되게 베이스에 설치되며 가이드공을 구비하는 안내앵글로 구성된 송전선고정용 조립체;
바디부와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게 탄성체수용홈에 끼워져 베이스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탄성체;
양단부가 송전선고정용 조립체의 점퍼선단자에 각각 설치되어 송전선고정용 조립체에 각각 설치된 송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
바디부의 상면에 끼움결합되는 베어링과,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압입고정되며 외주면에 핸들이 마련된 너트관과,
너트관에 체결되는 볼트를 갖추고서 바디부에 내설되어 너트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절연블록과,
절연블록에 수평하게 끼워져 절연블록과 일체형을 이루는 도전성재질의 연결관과,
연결관의 양단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연결관의 내면에 탄발접촉되는 탄발편이 일단에 마련된 신장바, 신장바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안내앵글의 가이드공에 끼워지되, 하강시 가변단자의 일단부와 고정단자 사이로 개입되어 고정단자와 가변단자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축핀을 중심으로 가변단자를 회전시켜 가변단자의 타단부와 점퍼선단자를 서로 이격시키는 단자접속봉을 갖춘 도전성재질의 단자접속부재로 구성된 점퍼선교체용 조립체;
외함에 설치되어 송전선에 의해 이동되는 베이스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측정센서;
거리측정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비상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는 경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에 인장력 발생시 이에 의해 이동되는 송전선고정용 조립체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위험상황 시 이를 작업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인장력에 의한 송전선의 이탈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송전선의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활선상태에서 가변전극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편리해짐은 물론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정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에서 송전선고정용 조립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를 이용하여 점퍼선을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정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에서 송전선고정용 조립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기구는, 외함(10)과 한 쌍의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 탄성체(30), 점퍼선(40), 점퍼선교체용 조립체(50), 거리측정센서(60), 제어부(70), 송신부(80) 및 경광등(9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송전선(L)에 인장력 발생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송전선(L)의 이탈을 예방하고,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활선상태에서 전극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외함(10)은 바디부(11)와 레일부(12), 커버(13) 및 로킹부(14)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부재이다.
일 예로, 상기 외함(10)은 지중에 매설된 전력구에 내설되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함(10)은 내부에 수용되는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와 탄성체(30), 점퍼선(40) 및 점퍼선교체용 조립체(50)을 감싸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디부(11)는 직사각형상의 함으로, 내부에는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과 점퍼선(40) 및 점퍼선교체용 조립체(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되고, 전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된다.
상기 레일부(12)는 바디부(11)의 내부 양단부에 마련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바디부(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21)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13)는 힌지를 매개로 바디부(11)에 설치되어 바디부(1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킹부(14)는 바디부(11)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커버(13)의 개폐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외함(10)는 양단을 통해 송전선(L)이 각각 인입되며, 인입된 송전선(L)은 한 쌍의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과 점퍼선(40) 또는 한 쌍의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과 점퍼선교체용 조립체(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는 베이스(21)와 고정단자(22), 점퍼선단자(23), 가변단자(24), 스프링(25), 지지구(26) 및 안내앵글(27)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외함(1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외함(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2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절연재질의 판으로, 바디부(11)의 바닥면과 레일부(12)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데, 베이스(21)의 일단부에는 내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결합공(21a)이 마련되고, 타단부 양측면에는 탄성체수용홈(21b)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21a)에는 점퍼선단자(23)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고, 탄성체수용홈(21b)에는 탄성체(30)가 끼워져 베이스(21)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단자(22)는 도전성재질의 블록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21)의 타단부 상면 즉, 탄성체수용홈(21b)이 마련된 상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점퍼선단자(23)는 점퍼선(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21)의 결합공(21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특히, 결합공(21a)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외향으로 확장된 단턱부(2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결합공(21a)에 삽입시 이 단턱부(23a)에 의해 점퍼선단자(23)의 삽입깊이가 제한된다.
또한, 상기 가변단자(24)의 타단부에 마련된 반원형의 홈(도 5 참조)에 점퍼선단자(23)의 외주면이 맞대어질 경우 단턱부(23a)가 가변단자(24)의 하면에 걸리기 때문에 점퍼선단자(23)가 결합공(21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가변단자(24)는 직육면체형상의 도전성재질의 블록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축핀(P)을 매개로 베이스(21)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단자(22)와 점퍼선단자(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단자(24)의 일단부는 고정단자(22)의 일면에 맞대어지고, 타단부의 일면에는 반원형의 홈(도 5 참조)이 마련되어 점퍼선단자(23)의 외주면에 맞대어진다.
특히, 상기 고정단자(22)와 가변단자(24)가 서로 맞대어지는 면과 상면에는 깔때기모양의 홈(도 5 참조)이 각각 마련되는데, 이는 이후에 설명되는 전극교체용 유닛의 단자접속봉(55b)이 고정단자(22)와 가변단자(24)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프링(25)은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21)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변단자(24)의 타단부와 점퍼선단자(23)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밀착되도록 가변단자(24)의 타단부를 점퍼선단자(23)를 향해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구(26)는 베이스(21)에 설치되어 스프링(2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앵글(27)은 대략‘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고정단자(22)의 상부에 배치되게 베이스(21)에 체결수단(나사볼트)를 매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내앵글(27)의 상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가이드공(27a)이 마련되며, 이 가이드공(27a)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점퍼선교체용 조립체(50)의 단자접속봉(55b)이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한편, 상기 가이드공(27a)의 형상을 원형(진원)이 아닌 단자접속봉(55b)의 하단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게 되면 단자접속봉(55b)이 하강하는 과정에 단차진 부분이 안내앵글(27)의 상면에 걸리게 되므로 단자접속봉(55b)의 과도한 하강을 제한할 수 있어 안전하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30)는 코일스프링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부(11)와 베이스(21) 사이에 배치되게 탄성체수용홈(21b)에 끼워져 베이스(21)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송전선(L)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면,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은 이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인장력이 해제되면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은 탄성체(30)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점퍼선(40)은 양단부가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의 점퍼선단자(23)에 체결수단(나사볼트)를 매개로 각각 설치되어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에 각각 설치된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점퍼선(40)은 충분한 길이로 외함(10)에 내설되기 때문에 송전선(L)에 인장력이 가해져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이 좌우로 각각 이동될 경우 점퍼선(40)이 펼쳐지면서 이를 수용하므로 인장력으로 인해 송전선(L)이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점퍼선교체용 조립체(50)는 베어링(51)과 너트관(52), 절연블록(53), 연결관(54) 및 단자접속부재(55)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외함(10)에 내설되어 활선상태에서 점퍼선(40)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송전선(L)이 설치된 한 쌍의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와 점퍼선(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어링(51)은 바디부(11)의 상면에 압입고정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는 너트관(52)의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너트관(52)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로,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너트관(5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5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블록(53)은 바디부(11)에 내설되는 절연재질의 부재로, 상면에는 너트관(52)에 체결되는 볼트(53a)가 일체로 형성되고, 너트관(52)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연결관(54)은 단자접속부재(55)의 신장바(55a)를 가이드하는 도전성재질의 부재로, 절연블록(53)에 관통되게 끼워져 수평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절연블록(53)과 연결관(54)은 인서트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절연블록(53)에 연결관(54)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상호 고정되도록 하여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단자접속부재(55)는 신장바(55a)와 단자접속봉(55b)으로 구성된 도전성재질의 부재로, 연결관(54)의 양단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연결관(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신장바(55a)는 연결관(54)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일단에 마련된 탄발편(55a-1)을 매개로 연결관(54)의 내면에 탄발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접속봉(55b)은 신장바(55a)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안내앵글(27)의 가이드공(27a)에 끼워진다.
특히, 상기 단자접속봉(55b)은 하강시 가변단자(24)의 일단부와 고정단자(22) 사이로 개입되어 고정단자(22)와 가변단자(24)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가변단자(24)를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가변단자(24)의 타단부와 점퍼선단자(23)를 서로 이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단자접속봉(55b)의 하단부는 고정단자(22)와 가변단자(24)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테이퍼져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접속봉(55b)은 고정단자(22)에 삽입되는 부분과 가변단자(24)에 삽입되는 부분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데, 이는 고정단자(22)와 가변단자(24)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 직경의 확장을 통한 가변단자(24)의 회전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점퍼선단자(23)로부터 가변단자(24)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거리측정센서(60)는 광센서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외함(10)에 설치되어 송전선(L)에 의해 이동되는 베이스(21)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신호를 제어부(7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는 통상의 컨트롤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거리측정센서(60)로부터 신호를 지속적으로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비상신호를 송신부(80)로 출력하면서 경광부(9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송신부(80)는 바디부(11)에 설치되어 제어부(7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관리실)로 송신하며, 경고신호를 전달받은 관리자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여 신속하게 후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송신부(80)는 지중이 아닌 지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경광부(90)는 바디부(11)에 설치되며, 제어부(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변에 있는 작업자가 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L)에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송전선(L)이 연결된 각각의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는 레일부(1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의 안내앵글(27)에 끼워진 점퍼선교체용 조립체(50)의 단자접속부재(55) 역시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단자접속봉(55b)은 그 위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 고정단자(22)와 가변단자(24)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송전선(L)에 의한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의 이동시 탄성체(30)가 압축되면서 완충하며, 송전선(L)에 가해졌던 인장력이 해제되면 탄성체(30)는 탄성복원력을 매개로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송전선(L)에 의해 이동되는 베이스(21)의 거리를 거리측정센서(60)가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70)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70)는 거리측정센서(60)로부터 신호를 지속적으로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게 되며, 측정된 값이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즉시 비상신호를 송신부(80)로 출력하면서 경광부(9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80)는 제어부(7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관리실)로 송신하게 되고, 경광부(90)는 불빛을 방출하여 주변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에 따라 경고신호를 전달받은 관리자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여 신속하게 후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L)에 인장력 발생시 이에 의해 이동되는 베이스(21)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인장력에 의한 송전선(L)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를 이용하여 점퍼선을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10)의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L)은 각각 외함(10)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는 점퍼선(40)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에 따라 송전선(L)은 자연스럽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점퍼선(40)의 노후 및 손상으로 인해 점퍼선(40)을 교체하고 할 경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52a)을 매개로 너트관(52)을 회전시키게 되면 너트관(52)에 체결된 볼트(53a)를 매개로 절연블록(53)이 하강하게 되고, 절연블록(53)이 하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연결관(54)이 하강하게 되며, 연결관(54)의 하강으로 인해 연결관(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접속부재(55)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접속부재(55)의 단자접속봉(55b)은 안내앵글(27)을 관통해 고정단자(22)와 가변단자(24) 사이로 인입되고, 인입되는 과정에 가변단자(24)는 단자접속봉(55b)의 확장되는 직경에 의해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가변단자(24)의 회전으로 인해 점퍼선단자(23)와 맞대어져 있던 가변단자(24)의 타단부는 점퍼선단자(23)로부터 자연스럽게 이격된다.
또한, 상기 가변단자(24)의 회전으로 인해 스프링(25)은 압축된다.
한편, 상기 고정단자(22)와 가변단자(24) 사이로 인입된 단자접속부재(55)를 매개로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외함(10)의 커버(13)를 개방하고, 점퍼선단자(23) 및 손상된 점퍼선(40)을 외부로 인출한 다음 새로운 점퍼선단자(23) 및 점퍼선(40)으로 교체하며, 커버(13)를 닫고 로킹부(14)를 이용해 고정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핸들(52a)을 매개로 너트관(52)을 회전시켜 절연블록(53)이 상승되도록 하여 고정단자(22)와 가변단자(24) 사이로 인입된 단자접속부재(55)를 승강시켜 준다.
상기 단자접속부재(55)가 승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5)이 복원되면서 가변단자(24)를 밀어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단자(22)와 점퍼선단자(23)는 가변단자(24)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 쌍의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이 점퍼선(40)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됨에 따라 송전선(L)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송전선(L)의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도 활선상태에서 점퍼선(40)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외함 20: 송전선고정용 조립체 30: 탄성체
40: 점퍼선 50: 점퍼선교체용 조립체 60: 거리측정센서
70: 제어부 80: 송신부 90: 경광부

Claims (1)

  1. 공간부가 마련된 내측으로 양단을 통해 송전선(L)이 인입되고 전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된 바디부(11)와, 바디부(11)의 내부 양단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레일부(12)와, 바디부(1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13)와, 바디부(11)에 설치되어 커버(13)의 개폐를 단속하는 로킹부(14)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외함(10);
    바디부(11)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어 레일부(1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되, 일단부 상면에는 결합공(21a)이 마련되고, 타단부 양측면에는 탄성체수용홈(21b)가 마련된 절연재질의 베이스(21)와, 바디부(11)의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된 송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베이스(21)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단자(22)와, 결합공(21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점퍼선단자(23)와, 축핀(P)을 매개로 베이스(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단자(22)와 점퍼선단자(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변단자(24)와, 가변단자(24)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25)과, 베이스(21)에 설치되어 스프링(25)을 지지하는 지지구(26)와, 고정단자(22)의 상부에 배치되게 베이스(21)에 설치되며 가이드공(27a)을 구비하는 안내앵글(27)로 구성된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
    바디부(11)와 베이스(21) 사이에 배치되게 탄성체수용홈(21b)에 끼워져 베이스(21)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탄성체(30);
    양단부가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의 점퍼선단자(23)에 각각 설치되어 송전선고정용 조립체(20)에 각각 설치된 송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40);
    바디부(11)의 상면에 끼움결합되는 베어링(51)과, 베어링(51)에 회전가능하게 압입고정되며 외주면에 핸들(52a)이 마련된 너트관(52)과, 너트관(52)에 체결되는 볼트(53a)를 갖추고서 바디부(11)에 내설되어 너트관(5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절연블록(53)과, 절연블록(53)에 수평하게 끼워져 절연블록(53)과 일체형을 이루는 도전성재질의 연결관(54)과, 연결관(54)의 양단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연결관(54)의 내면에 탄발접촉되는 탄발편(55a-1)이 일단에 마련된 신장바(55a), 신장바(55a)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안내앵글(27)의 가이드공(27a)에 끼워지되, 하강시 가변단자(24)의 일단부와 고정단자(22) 사이로 개입되어 고정단자(22)와 가변단자(24)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축핀(P)을 중심으로 가변단자(24)를 회전시켜 가변단자(24)의 타단부와 점퍼선단자(23)를 서로 이격시키는 단자접속봉(55b)을 갖춘 도전성재질의 단자접속부재(55)로 구성된 점퍼선교체용 조립체(50);
    외함(10)에 설치되어 송전선(L)에 의해 이동되는 베이스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측정센서(60);
    거리측정센서(6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비상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제어부(70);
    제어부(7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80);
    제어부(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는 경광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20190085226A 2019-07-15 2019-07-15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2024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226A KR102024668B1 (ko) 2019-07-15 2019-07-15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226A KR102024668B1 (ko) 2019-07-15 2019-07-15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668B1 true KR102024668B1 (ko) 2019-09-25

Family

ID=6806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226A KR102024668B1 (ko) 2019-07-15 2019-07-15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6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669B1 (ko) * 2021-09-03 2022-07-01 주식회사 유신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KR102414670B1 (ko) * 2021-09-03 2022-07-01 주식회사 유신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KR102446660B1 (ko) * 2021-09-08 2022-09-23 주식회사 대덕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142B1 (ko) 2010-11-30 2011-04-08 (유)전일기술단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KR101185178B1 (ko) * 2012-06-12 2012-09-24 율삼엔지니어링(주)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562258B1 (ko) * 2015-02-06 2015-10-26 (주)대창전력 154kV 초고압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케이블헤드챔버용 수직 승하강식 도체분리장치
KR20170053857A (ko) * 2015-11-07 2017-05-17 이경용 속도조절 의료용 구동장치
KR101823311B1 (ko) * 2017-12-08 2018-01-29 홍기곤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142B1 (ko) 2010-11-30 2011-04-08 (유)전일기술단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KR101185178B1 (ko) * 2012-06-12 2012-09-24 율삼엔지니어링(주)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562258B1 (ko) * 2015-02-06 2015-10-26 (주)대창전력 154kV 초고압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케이블헤드챔버용 수직 승하강식 도체분리장치
KR20170053857A (ko) * 2015-11-07 2017-05-17 이경용 속도조절 의료용 구동장치
KR101823311B1 (ko) * 2017-12-08 2018-01-29 홍기곤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669B1 (ko) * 2021-09-03 2022-07-01 주식회사 유신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KR102414670B1 (ko) * 2021-09-03 2022-07-01 주식회사 유신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KR102446660B1 (ko) * 2021-09-08 2022-09-23 주식회사 대덕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668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2024670B1 (ko) 안정적 배전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0909263B1 (ko)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KR102029881B1 (ko) 지중송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US9557019B2 (en) Temporary work light string with variably-positionable and re-positionable readily-replaced lamp, optionally with integral hangers, that are optionally electrically connected to plural electrical circuits
KR102434501B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KR102045848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1885536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0859863B1 (ko)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PE20221192A1 (es) Dispositivo de bloqueo electrico en base a polimero activado electricamente para equipo de movimiento de tierra
KR100860574B1 (ko)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0853034B1 (ko) 송배전을 위한 다전선 통전구조
KR101540112B1 (ko)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KR102036414B1 (ko) 검전기능을 갖춘 방전장치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2029884B1 (ko)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KR101629732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KR101882189B1 (ko) 건축물에 배선된 배전케이블의 누전 차단형 트레이장치
KR102079326B1 (ko) 고전압용 멀티콘센트
KR100871140B1 (ko) 특고압 전용 지상배전반 접속용 지중배전선 차단장치
KR100859597B1 (ko) 매설형 지중전선과 지상배전함의 통전공어뎁터
KR102252308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