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669B1 -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 Google Patents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669B1
KR102414669B1 KR1020210117770A KR20210117770A KR102414669B1 KR 102414669 B1 KR102414669 B1 KR 102414669B1 KR 1020210117770 A KR1020210117770 A KR 1020210117770A KR 20210117770 A KR20210117770 A KR 20210117770A KR 102414669 B1 KR102414669 B1 KR 102414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guide
case
guide part
undergroun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성
이정한
송기용
박재성
변병석
전호영
이동곤
안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신
Priority to KR1020210117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또는 전력구의 바닥에 고정되어 케이스(20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브라켓(100); 브라켓(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각 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200); 전도체가이드부(230)에 수용되어 상호 대향되게 되고, 전도체가이드부(230)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제1지중배전선(L1)과 제2지중배전선(L2)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제1·2전도체(300A,300B); 스프링가이드부(24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겹쳐진 제1·2전도체(300A,300B)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400); 케이스(200)의 안내로(220)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전도체(300A,300B)와 판스프링(400)의 연결상태를 유지시켜주거나 해제시켜주는 연결구(500); 케이스(200)에 상호 대향되게 수용되어 제1전도체(300A)와 제2전도체(300B)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2코일스프링(600A,600B); 안내로(220)의 양단에 각각 노출되게 설치되어 바퀴(520)에 의해 눌려져 전원을 연결하는 제1·2푸쉬버튼스위치(700A,700B); 케이스(200)의 상면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며, 단선 시 외력(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을 표시하는 제1·2표시등(800A,800B); 제1표시등(800A)과 제2표시등(800B)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900); 누전을 감지해 주변으로 경고음을 방출하여 작업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누전감지유닛(1000);을 포함하는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제1·2지중배전선에 외력(인장력)이 가해질 시 연결부분이 분리되도록 하여 단선에 따른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Underground distributio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safety}
본 발명은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은 전기를 각 사용처로 분배하기 위해 설치하는 케이블로서, 지상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상에 설치할 경우 미관을 저해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배전선을 지중에 매립하여 설치한다.
이렇게 지중에 매립하여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은 용이하게 시공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거리마다 커넥터로 연결하는데, 이러한 배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416호“지중배전선보호절연 커넥터”가 있으며, 여기에는 케이스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 및 해제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도선연결구를 매개로 지중배전선의 도선을 물어 고정하기 때문에 지중배전선 간의 연결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제2탄성체를 매개로 기밀하게 감싸 고정하므로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커넥터가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도선연결구에 의해 도선을 견고히 물려 있어 지진, 공사장비, 토사의 붕괴와 같은 외력이 지중배전선에 작용하는 경우 지중배전선의 단선됨에 따라 지중배전선의 교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지중배전선을 교체하기 위해 매립된 부분을 굴토하고 재시공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외력에 의해 지중배전선이 분리될 경우 지중배전선의 도선(금속선)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416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82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지중배전선에 강한 외력이 가해질 시 연결된 부분이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분리되도록 하여 추후 단선에 따른 교체비용을 절감하고, 지중배전선의 단선 시 금속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의 단선 시 점등상태를 보고 외부에서 유관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유지보수 및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누전시 이를 주변으로 알려 작업자가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상의 받침대와, 받침대를 떠받쳐 지지하는 레그와, 받침대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안내앵글로 구성된 브라켓;
서로 맞대어져 고정나사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며 브라켓의 안내앵글을 따라 삽입되어 받침대에 얹혀지는 직육면체형상의 제1·2바디와, 제1·2바디의 서로 맞대어지는 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홈, 직선홈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홈, 경사홈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 마련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안내로와, 제1·2지중배전선이 제1·2바디의 양단을 통해 각각 인입될 수 있게 제1·2바디의 맞대어지는 면에 형성되어 직선홈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도체가이드부와, 전도체가이드부와 상호 연통되게 전도체가이드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프링가이드부와, 안내로와 상단이 연통되고 전도체가이드부와 타단이 상호 연통되는 핀가이드부로 구성된 케이스;
전도체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케이스의 일단을 통해 전도체가이드부로 인입된 제1지중배전선의 금속선이 삽입고정되는 제1삽입구와, 제1삽입구로부터 전도체가이드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하로 관통된 제1핀홀을 구비하는 제1맞대기판으로 구성된 제1전도체;
전도체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케이스의 타단을 통해 전도체가이드부로 인입된 제2지중배전선의 금속선이 삽입고정되는 제2삽입구와, 제2삽입구로부터 제1전도체를 향해 연장되어 제1전도체의 제1맞대기판 하면에 배치되며 제1전도체의 제1핀홀과 상호 연통되는 제2핀홀을 구비하는 제2맞대기판으로 구성된 제2전도체;
제1·2핀홀과 상호 연통되는 제3핀홀을 갖추고서 스프링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겹쳐진 제1·2전도체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
양단부가 안내로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수평부, 수평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호 연통된 제1·2·3핀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T형핀과, 수평부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로를 따라 구름운동하는 바퀴와, 수직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확장되어 제1맞대기판과 제2맞대기판이 서로 밀착될 수 있게 가압하는 누름판으로 구성된 연결구;
전도체가이드부에 수용되어 제1지중배전선의 외주면을 감싸되, 일단이 제1전도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케이스에 고정되어 제1전도체를 제2전도체를 향해 탄발지지하는 제1코일스프링;
전도체가이드부에 수용되어 제2지중배전선의 외주면을 감싸되, 일단이 제2전도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케이스에 고정되어 제2전도체를 제1전도체를 향해 탄발지지하는 제2코일스프링;
안내로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바퀴에 의해 눌려져 전원을 연결하는 제1·2푸쉬버튼스위치;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1푸쉬버튼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푸쉬버튼스위치에 의해 동작되어 발광하는 제1표시등;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2푸쉬버튼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푸쉬버튼스위치에 의해 동작되어 발광하는 제2표시등;
제1·2표시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브라켓에 설치되어 케이스를 통해 브라켓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와, 누전감지센서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음향 및 불빛을 방출하는 경보수단로 구성된 누전경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제1·2지중배전선에 외력(인장력)이 가해질 시 연결 부분이 분리되도록 하여 단선에 따른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지중배전선의 단선 시 금속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케이스를 분해해보지 않고도 점등상태만으로 외력(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누전시 누전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해 주변으로 경보음이 방출되도록 스피커를 동작제어함에 따라 작업자는 스피커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통해 현재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어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에서 브라켓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에서 제2바디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에서 브라켓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에서 제2바디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전방지 커넥터는 브라켓(100)과 케이스(200), 제1·2전도체(300A,300B), 판스프링(400), 연결구(500), 제1·2코일스프링(600A,600B), 제1·2푸쉬버튼스위치(700A,700B), 제1·2표시등(800A,800B), 배터리(900) 및 누전경보유닛(10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지중배전선에 강한 외력이 가해질 시 연결된 부분이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분리되도록 하여 추후 단선에 따른 교체비용을 절감하고, 지중배전선의 단선 시 금속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의 단선 시 점등상태를 보고 외부에서 유관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유지보수 및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누전발생시 주변으로 음향을 방출해 이를 듣고 작업자가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토록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상기 브라켓(100)은 받침대(110)와 레그(120) 및 안내앵글(130)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맨홀 또는 전력구의 바닥에 고정되어 케이스(20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대(11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이다. 이러한 받침대(11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레그(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대(110)를 떠받치며, 레그(120)는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맨홀 또는 전력구의 바닥에 고정된다. 그리고 받침대(110)의 상면에 모서리부분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ㄴ’자 형상을 갖는 안내앵글(130)이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여기서 받침대(110) 상에 얹혀지는 케이스(200)를 승강가능하게 가이드하면서 좌우로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제1·2바디(210A,210B)와 안내로(220), 전도체가이드부(230), 스프링가이드부(240) 및 핀가이드부(250)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브라켓(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각 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1·2바디(210A,210B)는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2바디(210A,210B)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나사(B)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제1·2바디(210A,210B)의 서로 마주보며 맞대어지는 면에는 안내로(220), 전도체가이드부(230), 스프링가이드부(240) 및 핀가이드부(25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로(220)는 직선홈(221)과 경사홈(222) 및 안착홈(2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직선홈(221)은 제1·2바디(210A,210B)의 중간에 마련되며, 제1·2바디(210A,210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직선홈(221)의 양단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홈(222)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2개의 경사홈(222)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는 안착홈(223)이 마련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의 경사홈(222)에 길이가 서로 상이한데, 이는 서로 겹쳐진 제1전도체(300A)와 제2전도체(300B)로부터 연결구(500)가 빠지는 위치를 고려하여 제작한 것이다. 즉, 연결구(500)는 제1전도체(300A)보다 아래에 배치된 제2전도체(300B)로부터 가장 먼저 이탈되고, 그 다음 제1전도체(300A)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우측 경사부(222)가 좌측 경사부(2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전도체가이드(230)는 안내로(220)의 하부에 배치되게 제1·2바디(210A,210B)에 형성된다. 이러한 전도체가이드(230)는 제1·2바디(210A,210B)의 길이방향을 관통되게 형성되며, 전도체가이드(230)의 양단을 통해 금속선(La)이 피복(Lb)에 의해 감싸진 제1·2지중배전선(L1,L2)이 각각 인입되어 제1·2전도체(300A,300B)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부(240)는 전도체가이드(230)의 하부에 배치되게 제1·2바디(210A,210B)에 형성되며, 상단이 전도체가이드(230)의 하단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핀가이드부(250)는 안내로(220)와 전도체가이드(230) 사이에 배치되게 제1·2바디(210A,210B)에 형성되되, 상단은 안내로(220)와 상호 연통되고, 하단은 전도체가이드(230)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2전도체(300A,300B)는 전도체가이드부(230)에 수용되어 상호 대향되게 되고, 전도체가이드부(230)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제1지중배전선(L1)과 제2지중배전선(L2)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전도체(300A)는 제1삽입구(310)와 제1맞대기판(320)으로 구성된다. 제1삽입구(310)는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개구된 원통으로, 개구된 일단을 통해 제1지중배전선(L1)의 금속선(La)이 삽입되어 통상의 방법(압착,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제1삽입구(310)의 막힌 타단으로부터 제1맞대기판(320)이 제2전도체(300B)를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맞대기판(320)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1핀홀(32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전도체(300B)는 제2삽입구(330)와 제2맞대기판(340)으로 구성된다. 제2삽입구(330)는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개구된 원통으로, 개구된 일단을 통해 제2지중배전선(L2)의 금속선(La)이 삽입되어 통상의 방법(압착,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제2삽입구(330)의 막힌 타단으로부터 제2맞대기판(340)이 제1전도체(300A)를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맞대기판(340)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2핀홀(341)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도체(300A)와 제2전도체(300B)를 서로 밀착시켜 주게 되면, 제1맞대기판(320)의 하면으로 제2맞대기판(340)의 상면이 배치되면서 제1맞대기판(320)의 제1핀홀(321)과 제2맞대기판(340)의 제2핀홀(341)이 자연스럽게 상호 연통된다.
상기 판스프링(400)은 탄성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스프링가이드부(24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겹쳐진 제1·2전도체(300A,300B)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판스프링(400)의 중간에는 제1·2핀홀(321,341)과 상호 연통되는 제3핀홀(410)이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판스프링(400)을 겹쳐진 제1·2전도체(300A,300B)의 하면에 배치시켜 주게 되면, 판스프링(400)의 탄발력에 의해 제1전도체(300A)의 제1맞대기판(320)과 제2전도체(300B)의 제2맞대기판(340)이 떠받쳐지면서 긴밀하게 밀착된다.
상기 연결구(500)는 T형핀(510)과 바퀴(520) 및 누름판(5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200)의 안내로(220)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전도체(300A,300B)와 판스프링(400)의 연결상태를 유지시켜주거나 해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T형핀(510)은 수평부(511)와 수직부(512)로 구성된다. 수평부(511)의 양단은 안내로(220)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수직부(512)는 수평부(5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핀가이드부(250)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수직부(512)는 제1·2·3핀홀(321,341,41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제1·2전도체(300A,300B)와 판스프링(400)이 일체형구조를 이루도록 해준다.
상기 바퀴(520)는 수평부(511)의 양단에 제자리회전(아이들링) 가능하게 설치되고, 안내로(220)에 수용되며, 안내로(220)를 따라 구름운동한다.
상기 누름판(530)은 수직부(512)의 외주면으로부터 원반모양으로 확장되어 제1맞대기판(320)과 제2맞대기판(340)이 서로 밀착될 수 있게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2코일스프링(600A,600B)은 탄성체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200)에 상호 대향되게 수용되어 제1전도체(300A)와 제2전도체(300B)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1코일스프링(600A)은 일단이 케이스(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전도체(300A)에 고정되어 제1전도체(300A)를 제2전도체(300B)를 향해 탄발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코일스프링(600B)은 일단이 케이스(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전도체(300B)에 고정되어 제2전도체(300B)를 제1전도체(300A)를 향해 탄발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중배전선(L1)은 제1코일스프링(600A)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지고, 제2지중배전선(L2)은 제2코일스프링(600B)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진다.
상기 제1·2푸쉬버튼스위치(700A,700B)는 버튼을 눌러 회로의 절단 또는 접속을 하는 통상의 스위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안내로(220)의 양단에 각각 노출되게 설치되어 바퀴(520)에 의해 눌려져 전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2표시등(800A,800B)은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통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200)의 상면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며, 단선 시 외력(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제1표시등(800A)은 제1푸쉬버튼스위치(70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바퀴(520)가 제1푸쉬버튼스위치(700A)를 가압하게 되면, 제1푸쉬버튼스위치(700A)의 내부는 절단되어 있던 회로가 접속되면서 배터리(900)의 전원이 제1푸쉬버튼스위치(700A)를 거쳐 제1표시등(800A)으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제1표시등(800A)은 점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표시등(800B)은 제2푸쉬버튼스위치(7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바퀴(520)가 제2푸쉬버튼스위치(700B)를 가압하게 되면, 제2푸쉬버튼스위치(700B)의 내부는 절단되어 있던 회로가 접속되면서 배터리(900)의 전원이 제2푸쉬버튼스위치(700B)를 거쳐 제2표시등(800B)으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제2표시등(800B)은 점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스(200)를 분해해보지 않고도 점등상태만으로 외력(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900)는 통상의 전원공급수단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표시등(800A)과 제2표시등(800B) 및 누전경보유닛(10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전감지유닛(1000)은 누전감지센서(1010)와 경보수단(10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브라켓(100)의 받침대(110)에 설치되어 케이스(200)를 통해 받침대(110)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누전감지유닛(1000)은 교체 가능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며, 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일 예로, 상기 누전감지센서(1010)는 받침대(110)에 설치되어 케이스(200)를 통해 받침대(110)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상기 경보수단(1020)는 누전감지센서(101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음향 및 불빛을 방출하여 작업자에게 청각 및 시각적으로 알려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경보수단(1020)로부터 방출되는 음향 및 불빛을 통해 현재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어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500)를 매개로 제1·2전도체(300A,300B)와 판스프링(400)이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지중배전선(L1)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제1·2전도체(300A,300B)와 판스프링(400) 및 연결구(500)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코일스프링(600A)은 이동하는 제1전도체(300A)에 의해 압축되고, 제2코일스프링(600B)은 이동하는 제2전도체(300B)에 의해 인장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500)의 바퀴(520)가 안내로(220)의 직선홈(221)을 지나 좌측 경사홈(222)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 연결구(500)의 수직부(512)는 판스프링(400)의 제3핀홀(410) 및 제2전도체(300B)의 제2핀홀(341)로부터 순차적으로 빠져나오게 되면서 제1전도체(300A)와 제2전도체(300B)의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자연스럽게 끊어지게 되고, 이때 제2전도체(300B)는 인장되었던 제2코일스프링(600B)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구(500)는 제1전도체(300A)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 바퀴(520)는 안착홈(223)에 인입되면서 제1푸쉬버튼스위치(700A)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푸쉬버튼스위치(700A)의 내부는 절단되어 있던 회로가 접속되면서 배터리(900)의 전원이 제1푸쉬버튼스위치(700A)를 거쳐 제1표시등(800A)으로 공급되며, 전원을 공급받은 제1표시등(800A)은 점등된다.
상기 제2지중배전선(L2)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할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500)를 매개로 제1·2전도체(300A,300B)와 판스프링(400)이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2지중배전선(L2)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제1·2전도체(300A,300B)와 판스프링(400) 및 연결구(500)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코일스프링(600A)은 이동하는 제1전도체(300A)에 의해 인장되고, 제2코일스프링(600B)은 이동하는 제2전도체(300B)에 의해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500)의 바퀴(520)가 안내로(220)의 직선홈(221)을 지나 우측 경사홈(222)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 연결구(500)의 수직부(512)는 판스프링(400)의 제3핀홀(410) 및 제2전도체(300B)의 제2핀홀(341)로부터 순차적으로 빠져나오게 되면서 제1전도체(300A)와 제2전도체(300B)의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자연스럽게 끊어지게 되고, 이때 제1전도체(300A)는 인장되었던 제1코일스프링(600A)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500)는 바퀴(520)가 우측 경사홈(222)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 제2푸쉬버튼스위치(700B)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푸쉬버튼스위치(700B)의 내부는 절단되어 있던 회로가 접속되면서 배터리(900)의 전원이 제2푸쉬버튼스위치(700B)를 거쳐 제2표시등(800B)으로 공급되며, 전원을 공급받은 제2표시등(800B)은 점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500)는 우측 경사홈(222)을 따라 이동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제1·2지중배전선(L1,L2)에 외력(인장력)이 가해질 시 연결 부분이 분리되도록 하여 단선에 따른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지중배전선(L1,L2)의 단선 시 금속선(La)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케이스(200)를 분해해보지 않고도 점등상태만으로 외력(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누전이 발생되어 케이스(200)를 통해 받침대(110)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누전감지센서(1010)가 감지하여 경보수단(102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경보수단(1020)는 누전감지센서(101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음 및 불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변으로 경고음 및 불빛이 방출됨에 따라 작업자는 경보수단(1020)로부터 방출되는 음향 및 불빛을 통해 현재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어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브라켓 110: 받침대 120: 레그
130: 안내앵글 200: 케이스 210A,210B: 제1·2바디
220: 안내로 221: 직선홈 222: 경사홈
223: 안착홈 230: 전도체가이드부 240: 스프링가이드부
250: 핀가이드부 300A: 제1전도체 310: 제1삽입구
320: 제1맞대기판 321: 제1핀홀 300B: 제2전도체
330: 제2삽입구 340: 제2맞대기판 341: 제2핀홀
400: 판스프링 410: 제3핀홀 500: 연결구
510: T형핀 511: 수평부 512: 수직부
520: 바퀴 530: 누름판
600A,600B:제1·2코일스프링 700A,700B: 제1·2푸쉬버튼스위치
800A,800B: 제1·2표시등 900: 배터리
L1,L2: 제1·2지중배전선 1000: 누전감지유닛
1010: 누전감지센서 1020: 경보수단

Claims (1)

  1. 판상의 받침대(110)와, 받침대(110)를 떠받쳐 지지하는 레그(120)와, 받침대(11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안내앵글(130)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브라켓(100);
    서로 맞대어져 고정나사(B)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며 브라켓(100)의 안내앵글(130)을 따라 삽입되어 받침대(110)에 얹혀지는 직육면체형상의 제1·2바디(210A,210B)와, 제1·2바디(210A,210B)의 서로 맞대어지는 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홈(221), 직선홈(22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홈(222), 경사홈(222) 중 어느 하나의 말단에 마련되는 안착홈(223)으로 이루어진 안내로(220)와, 제1·2지중배전선(L1,L2)이 제1·2바디(210A,210B)의 양단을 통해 각각 인입될 수 있게 제1·2바디(210A,210B)의 맞대어지는 면에 형성되어 직선홈(22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도체가이드부(230)와, 전도체가이드부(230)와 상호 연통되게 전도체가이드부(230)를 따라 형성되는 스프링가이드부(240)와, 안내로(220)와 상단이 연통되고 전도체가이드부(230)와 타단이 상호 연통되는 핀가이드부(250)로 구성된 케이스(200);
    전도체가이드부(230)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케이스(200)의 일단을 통해 전도체가이드부(230)로 인입된 제1지중배전선(L1)의 금속선(La)이 삽입고정되는 제1삽입구(310)와, 제1삽입구(310)로부터 전도체가이드부(230)를 따라 연장되며 상하로 관통된 제1핀홀(321)을 구비하는 제1맞대기판(320)으로 구성된 제1전도체(300A);
    전도체가이드부(230)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케이스(200)의 타단을 통해 전도체가이드부(230)로 인입된 제2지중배전선(L2)의 금속선(La)이 삽입고정되는 제2삽입구(330)와, 제2삽입구(330)로부터 제1전도체(300A)를 향해 연장되어 제1전도체(300A)의 제1맞대기판(320) 하면에 배치되며 제1전도체(300A)의 제1핀홀(321)과 상호 연통되는 제2핀홀(341)을 구비하는 제2맞대기판(340)으로 구성된 제2전도체(300B);
    제1·2핀홀(321,341)과 상호 연통되는 제3핀홀(410)을 갖추고서 스프링가이드부(24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겹쳐진 제1·2전도체(300A,300B)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400);
    양단부가 안내로(220)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수평부(511), 수평부(5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호 연통된 제1·2·3핀홀(321,341,41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수직부(512)로 이루어진 T형핀(510)과, 수평부(511)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로(220)를 따라 구름운동하는 바퀴(520)와, 수직부(512)의 외주면으로부터 확장되어 제1맞대기판(320)과 제2맞대기판(340)이 서로 밀착될 수 있게 가압하는 누름판(530)으로 구성된 연결구(500);
    전도체가이드부(230)에 수용되어 제1지중배전선(L1)의 외주면을 감싸되, 일단이 제1전도체(300A)에 고정되고 타단이 케이스(200)에 고정되어 제1전도체(300A)를 제2전도체(300B)를 향해 탄발지지하는 제1코일스프링(600A);
    전도체가이드부(230)에 수용되어 제2지중배전선(L2)의 외주면을 감싸되, 일단이 제2전도체(300B)에 고정되고 타단이 케이스(200)에 고정되어 제2전도체(300B)를 제1전도체(300A)를 향해 탄발지지하는 제2코일스프링(600B);
    안내로(2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바퀴(520)에 의해 눌려져 전원을 연결하는 제1·2푸쉬버튼스위치(700A,700B);
    케이스(200)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1푸쉬버튼스위치(70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푸쉬버튼스위치(700A)에 의해 동작되어 발광하는 제1표시등(800A);
    케이스(200)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2푸쉬버튼스위치(7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푸쉬버튼스위치(700B)에 의해 동작되어 발광하는 제2표시등(800B);
    제1·2표시등(800A,800B)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900);
    브라켓(100)에 설치되어 케이스(200)를 통해 브라켓(100)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1010)와, 누전감지센서(101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음향 및 불빛을 방출하는 경보수단(1020)으로 구성된 누전경보유닛(1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KR1020210117770A 2021-09-03 2021-09-03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KR102414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770A KR102414669B1 (ko) 2021-09-03 2021-09-03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770A KR102414669B1 (ko) 2021-09-03 2021-09-03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669B1 true KR102414669B1 (ko) 2022-07-01

Family

ID=8239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770A KR102414669B1 (ko) 2021-09-03 2021-09-03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66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564Y1 (ko) * 2002-08-13 2002-11-18 주식회사 에코 앤 테크 푸쉬버튼 스위치
KR101083416B1 (ko)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818237B1 (ko) 2017-07-31 2018-01-15 (주)선진전력기술단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1996494B1 (ko) * 2019-01-25 2019-07-04 (주)기술사사무소한빛기술단 침수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기구
KR102024668B1 (ko) * 2019-07-15 2019-09-25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2024670B1 (ko) * 2019-07-23 2019-09-25 우주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안정적 배전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178002B1 (ko) * 2020-04-22 2020-11-12 주식회사 성민이엔지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편리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206597B1 (ko) *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564Y1 (ko) * 2002-08-13 2002-11-18 주식회사 에코 앤 테크 푸쉬버튼 스위치
KR101083416B1 (ko)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818237B1 (ko) 2017-07-31 2018-01-15 (주)선진전력기술단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1996494B1 (ko) * 2019-01-25 2019-07-04 (주)기술사사무소한빛기술단 침수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기구
KR102024668B1 (ko) * 2019-07-15 2019-09-25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2024670B1 (ko) * 2019-07-23 2019-09-25 우주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안정적 배전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178002B1 (ko) * 2020-04-22 2020-11-12 주식회사 성민이엔지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편리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206597B1 (ko) *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67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KR102206597B1 (ko)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043700B1 (ko)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45850B1 (ko) 신속한 화재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435050B1 (ko)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KR102045848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1941106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178002B1 (ko)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편리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414669B1 (ko) 지중전선 접속용 감전방지 커넥터
KR101744511B1 (ko) 터미널블록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
KR102024668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CN101394040B (zh) 连接适配器
KR102393709B1 (ko)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KR102022861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KR101996494B1 (ko) 침수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기구
KR101540112B1 (ko)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KR100859597B1 (ko) 매설형 지중전선과 지상배전함의 통전공어뎁터
KR101920203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2459033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US10490375B2 (en) Insulating switch assembly
CN112054342B (zh) 一种户外防水防触电插线板
US20050105228A1 (en) Receptacle
KR102446660B1 (ko)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CN111963221A (zh) 用于煤矿采煤工作的液压支撑架辅助装置
KR102438891B1 (ko)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