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848B1 -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848B1
KR102045848B1 KR1020190048964A KR20190048964A KR102045848B1 KR 102045848 B1 KR102045848 B1 KR 102045848B1 KR 1020190048964 A KR1020190048964 A KR 1020190048964A KR 20190048964 A KR20190048964 A KR 20190048964A KR 102045848 B1 KR102045848 B1 KR 102045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dy
pusher button
fixed
mounting portion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Priority to KR102019004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G01R31/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맨홀(10)과 베이스플레이트(20), 완충유닛(30), 외체(40), 접속단자(50), 푸셔버튼(60), 판스프링(70) 및 누전감지유닛(80)으로 구성되며, 누전감지유닛(80)이 누전여부를 감지하고, 누전이 감지되면 외부에 빛을 발산하여 작업자 중 누구나 쉽게 누전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FIXING DEVICE TO PREVENT LEAKAGE OF UNDERGROUND LINE}
본 발명은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지중배전선 간의 누전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에 발산하여 작업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과 고정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된다. 지중배전선을 통과하는 전력은 지중배전선 간에 연결된 커넥터(또는 브래킷)를 통해 분기되며, 각 건물 또는 주택으로 연결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지중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되기 위해 보호하는 커넥터(또는 브래킷) 내에서 다른 지중배전선 간의 접속으로 연결된다. 이때, 지중배전선 간의 접속시 작업자의 실수 혹은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 배전선이 당겨지거나 피복이 벗겨져 보호관 고정된 지중배전선에서 흐르는 전기가 누전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도록 등록특허 10-1039358호("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가 개시되었다.
개시된 등록특허는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지중터널 내 설치된 지중전선이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막아 누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중터널 내 물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물의 양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유입되는 양에 대응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특허는 피복이 벗겨져 발생되는 누전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작업자가 보수 등을 위해 접근하면 누전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특허는 지중배전의 연결장치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른 설치가 어려워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9358호(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2011.05.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맨홀 내에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지중배전선의 누전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과 고정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며,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해 제작이 용이한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되고, 상면에 개폐되게 설치되는 커버가 마련되며, 지중배전선이 내부로 인입되는 맨홀;
맨홀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된 안내관과, 안내관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체와, 안내관 및 지지체를 둘러싸고 지지체를 탄발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유닛;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내부에는 직육면체형상으로 공간부가 마련되고, 양단에는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는 단자삽입부가 마련되며, 공간부가 마련된 내부 양 측면에는 나란하게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플런지가 마련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공간부와 상호 연통되는 푸셔버튼결합부가 마련된 외체;
지중배전선의 단부에 고정되는 전선장착부와, 전선장착부와 일체를 이루며 중앙에 돌기장착부가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되어 단자삽입부를 통해 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접속단자;
양단부가 외체의 상하로 돌출되게 외체의 푸셔버튼결합부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푸셔버튼;
접속단자의 돌기장착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갖추고서 양단부가 외체의 플런지에 끼워져 호 형태로 내설되며 푸셔버튼에 고정되되, 하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하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며 접속단자를 가압하면서 접속단자의 돌기장착부에 고정돌기가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고, 상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며 접속단자의 돌기장착부로부터 고정돌기가 이탈되면서 전기적인 연결 및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판스프링;
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누전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로 구성된 누전감지유닛;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전감지유닛에 의해 누전여부를 감지하고, 누전이 감지되면 외부에 빛을 발산하여 작업자가 쉽게 누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김전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체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완충유닛의 상면에 설치되고, 지중배전선이 외체의 양단부에 설치됨으로써, 맨홀의 내부에 침투수가 유입되어도 침투수의 접촉을 지연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셔버튼의 가압에 의해 판스프링를 탄성변환시켜 줌으로서 외체의 양단을 통해 내부로 인입된 접속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거나, 반대로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를 해제해줄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의 전체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및 외체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및 완충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의 A - A' 단면도.
도 7은 도 2의 B - B' 단면도.
도 8a 및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에 지중배전선을 설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의 누전확인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의 전체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및 외체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및 완충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A - A'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B - B'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는 맨홀(10)과 베이스플레이트(20), 완충유닛(30), 외체(40), 접속단자(50), 푸셔버튼(60), 판스프링(70) 및 누전감지유닛(8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누전확인이 가능하고, 지중배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맨홀(10)은 지중에 매립되고, 상면에 개폐되게 설치되는 커버(11)가 마련되며, 지중배전선(L)이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맨홀(10)은 지중에 매립되고, 내부공간에 지중배전선(L)과 이후에 설명되는 외체(40)가 설치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는 맨홀(1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맨홀(10)에 침투수가 유입되어도 지중배전선(L)과 이후에 설명되는 외체(40) 및 누전감지유닛(80)이 침투수와의 접촉을 지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과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유닛(30)은 안내관(31)과 지지체(32) 및 스프링(33)으로 구성된다. 완충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에 설명되는 외체(40)를 고정하면서 푸셔버튼(60)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도록 적어도 2개이상 설치된다.
상기 안내관(31)은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면에 체결수단(예:나사볼트) 또는 접착수단(예:본드)을 매개로 설치되며, 지지체(32)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32)는 안내관(3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며, 이후에 설명되는 외체(40)가 상면에 얹혀져 체결수단(예:나사볼트) 또는 접착수단(예:본드)을 매개로 상호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33)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써 본 실시예의 경우 안내관(31) 및 지지체(32)를 둘러싸고 지지체(32)를 상방향으로 탄발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유닛(30)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지진으로 인해 베이스플레이트(20)에 흔들림이 발생되면, 스프링(33)이 지지체(32)를 탄발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체(40)가 받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외체(4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며 지지체(32)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는 절연체로서, 공간부(41)와 단자삽입부(42), 플런지(43) 및 푸셔버튼결합부(44)를 구비한다.
상기 공간부(41)는 외체(4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수용부로서, 이후에 설명되는 판스프링(70)이 수용된다.
상기 단자삽입부(42)는 외체(40)의 양단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각각 형성되며 공간부(41)와 상호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삽입부(42)는 제1삽입부(42a)와 제2삽입부(42b)로 구성되는데, 제1삽입부(42a)는 원형의 홈이고, 제2삽입부(42b)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이며, 제1삽입부(42a)와 제2삽입부(42b)의 단면은 대략‘Ω’형상을 띠고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42a)에는 접속단자(50)의 전선장착부(5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제2삽입부(42b)에는 접속단자(50)의 연결부(52)가 삽탈하게 끼워진다.
상기 플런지(43)는 공간부(41)가 마련된 내부 양 측면에 나란하게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단자삽입부(4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마주보게) 배치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판스프링(70)의 양단부가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푸셔버튼결합부(44)는 외체(4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으로서, 외체(40)의 상·하면(도 6 참조)에 각각 형성되고, 공간부(41)와 상호 연통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푸셔버튼(60)이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일 예로, 상기 외체(40)는 한 번에 사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각각 분할제작하고, 분할제작된 부재 사이에 판스프링(70)을 내설한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면 또는 경계를 열 융착하여 상호 고정하거나, 접착수단(접착제), 고정수단(나사볼트)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외체(40)를 제작한다.
참고로, 도 5와 같이 분할하는 방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단자(50)는 전선장착부(51)와 연결부(5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외체(40)의 단자삽입부(4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판스프링(70)에 의해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인입된 접속단자(50)는 이후에 설명되는 판스프링(70)에 의해 고정되면서 판스프링(70)을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선장착부(51)는 피복이 제거된 지중배전선(L)의 일부가 압입고정되며, 이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압입고정된 상태에서 펜치 등과 같은 공구로 가압하여 지중배전선(L)과 전선장착부(51) 간의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2)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전선장착부(51)와 일체를 이루며, 이후에 설명되는 판스프링(70)의 고정돌기(7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장착부(22a:구멍)를 구비한다.
일 예로, 상기 연결부(52)의 돌기장착부(52a)는 이후에 설명되는 판스프링(70)의 고정돌기(71)가 삽입됨에 따라 연결부(52)는 판스프링(70)에 의해 자연스럽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체(40)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52)의 돌기장착부(52a)로부터 판스프링(70)의 고정돌기(71)가 이탈되면 비로소 연결부(52)와 판스프링(70) 간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연결부(52)를 외체(40)으로부터 이탈시켜줄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푸셔버튼(60)은 제1푸셔(61)와 제2푸셔(62)로 분할형성되어 상호 조립에 의해 일체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외체(40)의 상면과 하면에 마련된 푸셔버튼결합부(44)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접속단자(50)에 판스프링(7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접속단자(50)로부터 판스프링(70)을 이격시켜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푸셔(61)는 제1몸체(61a)와 제1스토퍼(61b) 및 볼트(61c)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61a)는 원기둥형상의 부재로서 외체(40)의 상면에 형성된 푸셔버튼결합부(44)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고, 하단은 판스프링(7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스토퍼(61b)는 제1몸체(61a)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푸셔버튼결합부(44)의 내경에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압면적을 넓혀 제1스토퍼(61b)를 손쉽게 가압할 수 있으면서도 제1스토퍼(61b)가 외체(40)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볼트(61c)는 제1몸체(61a)의 하면에 설치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판스프링(70)의 고정홀(72)에 관통되게 끼워진다.
계속해서, 상기 제2푸셔(62)는 제2몸체(62a)와 제2스토퍼(62b) 및 너트(62c)로 구성된다.
상기 제2몸체(62a)는 원기둥형상의 부재로서 외체(40)의 하면에 형성된 푸셔버튼결합부(44)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단은 판스프링(70)의 하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2스토퍼(62b)는 제2몸체(62a)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푸셔버튼결합부(44)의 내경에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압면적을 넓혀 제2스토퍼(62b)를 손쉽게 가압할 수 있으면서도 제2스토퍼(62b)가 외체(40)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너트(62c)는 제2몸체(62a)의 상부 내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이 너트(62c)에는 판스프링(70)에 관통되게 끼워진 볼트(61c)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면서 제1푸셔(61)와 제2푸셔(62)가 상호 일체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푸셔(61)와 제2푸셔(62) 사이에 배치된 판스프링(70)은 볼트(61c)와 너트(62c)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제1·2푸셔(31,32)와 자연스럽게 일체형을 이루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판스프링(70)은 직육면체형상의 탄성 및 전도성을 갖는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외체(40)에 내설되어 푸셔버튼(60)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접속단자(50)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하거나 접속단자(5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판스프링(70)의 하면 양단부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접속단자(50)의 돌기장착부(52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돌기(7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푸셔버튼(60)의 볼트(61c)가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홀(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7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외체(40)의 플런지(43)에 각각 끼워져 호 형태로 내설되며 푸셔버튼(60)과 일체형 구조를 이룬다.
일 예로, 상기 외체(40)에 판스프링(70)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내설된 상태에서 푸셔버튼(60)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60)에 의해 판스프링(70)은 탄성변형되어 상방으로 볼록하였던 형태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면서 접속단자(50)를 가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판스프링(70)의 하면에 마련된 고정돌기(71)가 접속단자(50)의 돌기장착부(52a)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외체(40)에 판스프링(70)이 하방으로 볼록하게 내설된 상태에서 푸셔버튼(60)을 상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60)에 의해 판스프링(70)은 탄성변형되어 하방으로 볼록하였던 형태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면서 접속단자(50)로부터 판스프링(70)이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접속단자(50)의 가압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됨과 동시에 판스프링(70)의 하면에 마련된 고정돌기(71)가 접속단자(50)의 돌기장착부(52a)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즉, 본 발명은 푸셔버튼(60)의 가압에 의해 판스프링(70)을 탄성변환시켜 줌으로서 외체(40)의 양단을 통해 내부로 인입된 접속단자(50)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거나, 반대로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를 해제해줄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누전감지유닛(80)은 누전감지센서(81)와 제어부(82) 및 경광부(83)로 구성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81)는 절연체로 형성된 외체(40)의 외면에 설치되고, 외체(40)에 크랙 등이 생겨 누전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82)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82)는 베이스플레이트(20)에 설치되며 누전감지센서(81)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83)를 동작제어한다.
상기 경광부(83)는 제어부(8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한다. 작업자는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83)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맨홀(10)의 바닥에 서서 보수작업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 설치장치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먼저 지중배전선(L)에 고정된 접속단자(50)를 외체(40)의 단자삽입부(42)에 각각 삽입시켜 준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접속단자(50)를 단자삽입부(42)에 삽입하게 되면, 접속단자(50)의 전선장착부(51)는 단자삽입부(42)의 제1삽입부(42a)에 인입되고, 접속단자(50)의 연결부(52)는 단자삽입부(42)의 제2삽입부(42b)에 인입된다.
이때, 상기 제1삽입부(42a)로 인입된 전선장착부(51)의 단부가 제1삽입부(42a)의 내면 단부에 맞대어짐에 따라 전선장착부(51)의 과도한 인입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체(40)에 접속단자(50)를 인입한 상태에서,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외체(40)에 내설된 판스프링(70)을 푸셔버튼(60)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60)에 의해 판스프링(70)은 탄성변형되어 상방으로 볼록하였던 형태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고, 접속단자(50)는 판스프링(70)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판스프링(70)의 하면에 마련된 고정돌기(71)가 접속단자(50)의 돌기장착부(52a)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50)에 고정된 지중배전선(L)은 판스프링(70)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면서 접속단자(50)는 판스프링(70)에 고정되어 외체(40)으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된다.
한편,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지중배전선(L)의 연결을 끊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외체(40)에 내설된 판스프링(70)을 푸셔버튼(60)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60)에 의해 판스프링(70)은 탄성변형되어 하방으로 볼록하였던 형태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고, 이에 따라 접속단자(50)의 가압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됨과 동시에 판스프링(70)의 하면에 마련된 고정돌기(71)가 접속단자(50)의 돌기장착부(52a)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외체(40)으로부터 접속단자(50)를 이탈시켜 주면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의 누전확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외체(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L)과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이다. 이후, 외체(40)의 외면에 설치된 누전감지센서(81)는 외체(40)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감지한다. 누전감지센서(81)는 외체(40)에서 전기를 감지하지 않으면, 제어부(82)에 신호를 전달하지 않는다.
한편, 누전감지센서(81)는 외체(40)에서 전기를 감지하면, 감지된 전기의 전류값을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신호를 제어부(82)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82)는 누전감지센서(81)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받아 경광부(83)를 동작제어한다. 이어서, 경광부(83)가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면, 작업자는 빛이 발산되는 경광부(83)를 확인함으로써 누전이 발생됨을 인지하고 보수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누전감지유닛(80)이 누전여부를 감지하고, 누전이 감지되면 외부에 빛을 발산하여 작업자 중 누구나 쉽게 누전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체(40)가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완충유닛(30)의 상면에 설치되고, 지중배전선(L)이 외체(40)의 양단부에 설치됨으로써 맨홀(10)의 내부에 침투수가 유입되어도 침투수의 접촉을 지연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셔버튼(60)의 가압에 의해 판스프링(70)을 탄성변환시켜 줌으로서 외체(40)의 양단을 통해 내부로 인입된 접속단자(50)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거나, 반대로 전기적인 연결상태 및 고정상태를 해제해줄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했기에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맨홀 20: 베이스플레이트
30: 완충유닛 40: 외체
50: 접속단자 60: 푸셔버튼
70: 판스프링 80: 누전감지유닛
L: 지중배전선

Claims (1)

  1. 지중에 매립되고, 상면에 개폐되게 설치되는 커버(11)가 마련되며, 지중배전선(L)이 내부로 인입되는 맨홀(10);
    맨홀(1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베이스플레이트(20);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면에 설치된 안내관(31)과, 안내관(3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체(32)와, 안내관(31) 및 지지체(32)를 둘러싸고 지지체(32)를탄발지지하는 스프링(33)으로 구성된 완충유닛(30);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며 지지체(32)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되, 내부에는 직육면체형상으로 공간부(41)가 마련되고, 양단에는 공간부(41)와 상호 연통되는 단자삽입부(42)가 마련되며, 공간부(41)가 마련된 내부 양 측면에는 나란하게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플런지(43)가 마련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공간부(41)와 상호 연통되는 푸셔버튼결합부(44)가 마련된 외체(40);
    지중배전선(L)의 단부에 고정되는 전선장착부(51)와, 전선장착부(51)와 일체를 이루며 중앙에 돌기장착부(52a)가 형성된 연결부(52)로 구성되어 단자삽입부(42)를 통해 외체(40)의 내부로 인입되는 접속단자(50);
    양단부가 외체(40)의 상하로 돌출되고, 외체(40)의 푸셔버튼결합부(44)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푸셔버튼(60);
    접속단자(50)의 돌기장착부(52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돌기(71)를 갖추고서 양단부가 외체(40)의 플런지(43)에 끼워져 호 형태로 내설되며 푸셔버튼(60)에 고정되되, 하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60)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하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며 접속단자(50)를 가압하면서 접속단자(50)의 돌기장착부(52a)에 고정돌기(71)가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고, 상방으로 이동되는 푸셔버튼(60)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게 전환되며 접속단자(50)의 돌기장착부(52a)로부터 고정돌기(71)가 이탈되면서 전기적인 연결 및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판스프링(70);
    외체(40)의 외면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81)와, 베이스플레이트(20)에 설치되며 누전감지센서(81)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83)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82)와, 제어부(8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83)로 구성된 누전감지유닛(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0190048964A 2019-04-26 2019-04-26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04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64A KR102045848B1 (ko) 2019-04-26 2019-04-26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64A KR102045848B1 (ko) 2019-04-26 2019-04-26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848B1 true KR102045848B1 (ko) 2019-11-18

Family

ID=6872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964A KR102045848B1 (ko) 2019-04-26 2019-04-26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8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040B1 (ko) 2020-03-23 2020-05-20 주식회사 테라 고착물 분리가 용이한 지중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2292268B1 (ko) * 2020-11-25 2021-08-25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지중 배전케이블의 보호시설
KR102387454B1 (ko) * 2021-11-26 2022-04-18 (주)한백에프앤씨 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409709B1 (ko) 2021-11-30 2022-06-16 박정민 케이블 접속장치
KR102672471B1 (ko) * 2023-11-15 2024-06-05 주식회사 태화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36Y1 (ko) * 1998-03-02 2000-06-01 권오확 전기기구용 콘센트
KR101039358B1 (ko) 2011-02-17 2011-06-08 미래기술단(주)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063326B1 (ko) * 2011-04-27 2011-09-07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지중 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KR101607656B1 (ko) * 2015-12-21 2016-03-30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지중배전선로의 절연형 연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36Y1 (ko) * 1998-03-02 2000-06-01 권오확 전기기구용 콘센트
KR101039358B1 (ko) 2011-02-17 2011-06-08 미래기술단(주)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063326B1 (ko) * 2011-04-27 2011-09-07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지중 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KR101607656B1 (ko) * 2015-12-21 2016-03-30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지중배전선로의 절연형 연결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040B1 (ko) 2020-03-23 2020-05-20 주식회사 테라 고착물 분리가 용이한 지중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2292268B1 (ko) * 2020-11-25 2021-08-25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지중 배전케이블의 보호시설
KR102387454B1 (ko) * 2021-11-26 2022-04-18 (주)한백에프앤씨 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409709B1 (ko) 2021-11-30 2022-06-16 박정민 케이블 접속장치
KR102672471B1 (ko) * 2023-11-15 2024-06-05 주식회사 태화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848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043700B1 (ko)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45850B1 (ko) 신속한 화재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238113B1 (ko)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2131877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549595B1 (ko)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CN101394040B (zh) 连接适配器
KR102269202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2585631B1 (ko) 배전선로 전기설비의 낙뢰방지시스템
KR102022861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KR102024668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KR100945293B1 (ko) 인터넷 및 전화통신 매개용 지중 광케이블 커넥터
KR101987084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1882189B1 (ko) 건축물에 배선된 배전케이블의 누전 차단형 트레이장치
EP2615693B1 (en) Easy-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aterproof socket and plug assembly
KR101091116B1 (ko) 지중배전선 절연탑재용 보호파이프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2047366B1 (ko) 제연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1920203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067491B1 (ko)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코인접지구조
KR10224722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0902181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지지관
CN213845562U (zh) 用于接地线的短路保护用挂钩
KR101559832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