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113B1 -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 Google Patents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8113B1 KR102238113B1 KR1020200106651A KR20200106651A KR102238113B1 KR 102238113 B1 KR102238113 B1 KR 102238113B1 KR 1020200106651 A KR1020200106651 A KR 1020200106651A KR 20200106651 A KR20200106651 A KR 20200106651A KR 102238113 B1 KR102238113 B1 KR 1022381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tribution line
- unit
- circumferential surface
- underground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하는 연결유닛(10); 바닥이나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설치되어 연결유닛(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20); 연결유닛(10)에 설치되어 누전여부를 알려주는 누전감지유닛(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누전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경광부를 매개로 누전 여부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누전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경광부를 매개로 누전 여부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누전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1차 변전소 또는 2차 변전소로부터 배전된 전기는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송전 또는 배전되며 특고압 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수용가에까지 송배전되어 산업용, 가정용 등으로 사용된다.
이 중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한 지중을 이용하는 송배전 방식은 지중배전선이 인입되는 지중배전체에 지중 관로 어댑터를 마련하고, 지중배전선로의 끝단에 플러그를 결합하여 이 플러그를 지중 관로 어댑터에 체결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8143호(2014.10.08.)에는‘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는 누전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누전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접촉할 경우 감전사고를 당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지금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누전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고,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제거하지 않고도 설치 및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피침에 도선과 피복이 함께 구속되는 구조이므로 지중배전선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으며, 피복이 관통된 피침을 감싸 줌에 따라 자연스럽게 실링되는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케이스부와 제2케이스부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힌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되, 제1케이스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된 연결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대의 말단에는 이동블록이 일체로 형성된 관형상의 절연바디와,
양단을 통해 도선과 피복으로 구성된 지중배전선이 각각 삽입되어 케이스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고, 양단 외주면에는 절연바디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원판형상의 플런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플런지 사이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렬배치되어 각각이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전선삽입구와,
절연바디의 내면에 형성되는 탄성을 갖춘 실링재와,
전선삽입구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선삽입구와 실링재 사이에 개입되되, 절연바디의 가압에 의해 내주면은 전선삽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은 실링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호판, 호판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연통공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관통해 도선에 꽂혀져 지중배전선을 물어 고정하는 피침으로 구성되어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재질의 전선연결구와,
절연바디에 설치되어 제1·2바디부의 회동을 단속하는 클램핑금구로 이루어진 연결유닛;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홈을 매개로 연결유닛의 이동블록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본체와,
레일본체의 일단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레일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일본체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레일본체와 플레이트가 서로 맞닿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암으로 구성된 레일;
연결유닛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와, 누전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로 구성된 누전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누전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경광부를 매개로 누전 여부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지중배전선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지중배전선이 이동하게 되면서 외력을 상쇄시켜줌으로 지중배전선의 단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레일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를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한 상태에서 레일본체를 힌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시켜 준 다음 레일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지지암을 회동시켜 수평면은 레일본체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수직면은 플레이트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레일본체를 지지하게 되면, 절연바디의 제1케이스에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형태가 되기 때문에 전선삽입구 및 전선연결구를 절연바디에 수용하기가 매우 수월해지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연결유닛의 피침이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관통해 도선에 꽂히게(박히게) 됨에 따라 지중배전선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로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더욱이 피복(Lb)이 피침과 함께 지중배전선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지중배전선의 이탈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피침이 피복을 관통함에 있어 피침의 둘레면이 피복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싸지면서 실링하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의 결합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의 여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에서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에서 누전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요소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의 여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에서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에서 누전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요소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의 결합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의 여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에서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에서 누전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요소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는 연결유닛(10)과 레일(20) 및 누전감지유닛(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누전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해 줄 수 있고, 지중배전선(L)의 피복(Lb)을 제거하지 않고도 설치 및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피침(14b)에 도선(La)과 피복(Lb)이 함께 구속되는 구조이므로 지중배전선(L)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으며, 피복(Lb)이 관통된 피침(14b)을 감싸 줌에 따라 자연스럽게 실링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유닛(10)는 절연바디(11)와 전선삽입구(12), 실링재(13), 전선연결구(14) 및 클램핑금구(15)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바디(11)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케이스부(11a)와 제2케이스부(11b)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힌지(도 6c 및 도 6d 참조)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벌어지거나, 오므려져 관 형상을 이루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부(11a)와 제2케이스부(11b)의 양단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플런지부(11c)가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있어 내측으로 수용되는 실링재(13) 및 전선연결구(14)의 이탈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부(11a)의 외주면에는 나란하게 돌출된 판 형상의 연결대(11a-1)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대(11a-1)의 말단에는 이동블록(11a-2)이 일체로 형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이동블록(11a-2)을 매개로 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선삽입구(12)는 내부 중간에 일체로 형성된 격판(12c)에 의해 공간이 분할되어 격판(12c)을 기준으로 양단으로 개구된 원통형상의 절연재질의 부재로서,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지중배전선(L)을 인입하더라도 격판(12c)으로 인해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선삽입구(12)의 양단 외주면에는 원판형상의 플런지(12a)가 일체로 형성되고, 플런지(12a) 사이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렬배치되며, 각각이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공(12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지(12a)는 절연바디(11)의 양단에 마련된 플런지부(11c)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절연바디(1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연통공(12b)은 전선연결구(14)의 피침(14b)에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링재(13)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소프트하면서도 탄성이 있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절연바디(11)의 내면에 부착되며, 절연바디(11)의 가압시 전선연결구(14)의 둘레면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연결구(14)는 호판(14a)과 피침(14b)으로 구성된 전도성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선삽입구(12)와 실링재(13) 사이에 개입되며, 절연바디(11)의 가압에 의해 이동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지중배전선(L)의 이탈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판(14a)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 전선삽입구(1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선삽입구(12)와 실링재(13) 사이에 개입되고, 이렇게 배치된 호판(14a)은 절연바디(11)의 가압에 의해 내주면은 전선삽입구(12)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은 실링재(13)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피침(14b)은 원뿔형상의 부재로, 호판(14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통공(12b)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며, 절연바디(11)의 가압에 의한 호판(14a)의 이동에 의해 함께 연통공(12b)을 따라 이동되어 지중배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힘(박힘)으로써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지중배전선(L)을 물어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지중배전선(L)을 전선삽입구(12)에 삽입한 상태에서 절연바디(11)로 전선연결구(14)를 가압하게 되면, 절연바디(11)의 가압에 의한 호판(14a)의 이동에 의해 피침(14b)이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고, 피침(14b)은 연통공(12b)을 따라 이동되어 지중배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되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L)의 도선(La)은 피침(14b)과 호판(14a)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피침(14b)이 지중배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됨에 따라 지중배전선(L)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로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더욱이 피복(Lb)이 피침(14b)과 함께 지중배전선(L)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지중배전선(L)의 이탈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피침(14b)이 피복(Lb)을 관통함에 있어 피침(14b)의 둘레면이 피복(Lb)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싸지면서 실링하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상기 클램핑금구(15)는 제1·2케이스부(11a,11b)의 회동을 단속하는 공지의 결합구로서, 제1케이스부(11a)의 외주면에는 후크형상의 걸이부(15a)가 설치되고, 제2케이스부(11b)의 외주면에는 체결부(15b)가 설치되며, 이러한 클램핑금구(15)는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레일(20)은 레일본체(21)와 플레이트(22) 및 지지암(23)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닥이나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설치되어 연결유닛(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본체(21)는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과 상면으로 개구된 부재로서, 내측에는 이동블록(11a-2)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홈(21a)에는 연결대(11a-1)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22)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부재로서, 레일본체(21)의 하면에 힌지(H)를 매개로 상호 절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암(23)은 대략 삼각형태를 갖는 부재로서, 레일본체(21)에 힌지(미도시)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일본체(21)와 플레이트(22) 사이에 배치되어 레일본체(21)와 플레이트(22)가 서로 맞닿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레일본체(21)와 플레이트(22)의 양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구멍이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서, 상기 레일본체(21)와 플레이트(22) 및 지지암(23)을 서로 포갠 상태에서 벽면 또는 바닥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레일본체(21)와 플레이트(22) 및 지지암(23)을 서로 포갠 상태로 벽면에 고정하게 되면, 지중배전선(L)을 연결유닛(10)에 상호 연결함에 있어 절연바디(11)가 하방으로 개구되는 형태를 띠게 되므로 전선삽입구(12) 및 전선연결구(14)를 절연바디(11)에 수용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힘들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2)를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한 상태에서 레일본체(21)를 힌지(H)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시켜 준 다음 레일본체(21)의 하면에 설치된 지지암(23)을 회동시켜 수평면은 레일본체(21)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수직면은 플레이트(22)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레일본체(21)를 지지하게 되면, 절연바디(11)의 제1케이스(11a)에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형태가 되기 때문에 전선삽입구(12) 및 전선연결구(14)를 절연바디(11)에 수용하기가 매우 수월해지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누전감지유닛(30)은 누전감지센서(31)와 제어부(32) 및 경광부(3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결유닛(10)을 통해 주위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31)는 연결유닛(10)의 절연바디(11)에 설치되어 절연바디(11)의 표면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32)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32)는 통상의 마이컴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결대(11a-1)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31)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33)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광부(33)는 연결유닛(10)의 연결대(11a-1)에 설치되며 제어부(3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해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경광부(33)의 불빛을 보고 연결유닛(10)에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어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연결유닛(10)이 노후,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표면에 맺힌 수분으로 인해 누전이 발생하게 된 경우, 절연바디(11)의 표면으로 흐르는 전류를 누전감지센서(31)가 감지하여 누전감지신호를 제어부(32)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32)는 누전감지센서(31)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33)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경광부(33)는 제어부(3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붉은색 불빛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경광부(33)에 붉은색 불빛을 보고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은 피하고, 신속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를 참조하면, 우선 도선(La)의 말단까지 피복(Lb)이 감싸진 지중배전선(L)을 전선삽입구(12)의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밀어 넣어 준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전선삽입구(12)에 지중배전선(L)이 삽입되면, 전선삽입구(12)의 외주면으로 전선연결구(14)를 각각 배치하여 전선연결구(14)의 피침(14b)이 연통공(12b)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절연바디(11)를 구성하는 제1케이스부(11a)의 내측으로 전선삽입구(12)를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제1케이스부(11a)의 내측으로 전선삽입구(12)가 삽입되면, 개방되어 있던 제2케이스부(11b)를 힌지를 매개로 회동시켜 전선연결구(14)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절연바디(11)의 가압에 의한 호판(14a)이 이동하게 되고, 호판(14a)의 이동에 의해 피침(14b)도 함께 연통공(12b)을 따라 이동되어 지중배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되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L)의 도선(La)은 피침(14b)과 호판(14a)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말단이 서로 맞대어지면, 절연바디(1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이부(15a)와 체결부(15b)로 구성된 클램핑금구(15)로 절연바디(11)가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연결유닛(10)을 매개로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L)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지중배전선(L)이 이동하게 되면서 연결유닛(10)은 레일(2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외력을 상쇄시켜줄 수 있어 지중배전선(L)의 단선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노후 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연결유닛(10)이 손상된 경우 절연바디(11)의 표면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흐르는 전류를 누전감지센서(31)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32)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32)는 누전감지센서(31)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33)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경광부(33)는 제어부(3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해 시각적으로 알리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경광부(33)의 불빛을 보고 누전 여부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누전감지센서(31)와 제어부(32) 및 경광부(33)를 매개로 누전 여부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유닛(10)이 이동함에 따라 지중배전선(L)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지중배전선(L)이 이동하게 되면서 외력을 상쇄시켜줌으로 지중배전선(L)의 단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레일(20)을 구성하는 플레이트(22)를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한 상태에서 레일본체(21)를 힌지(H)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시켜 준 다음 레일본체(21)의 하면에 설치된 지지암(23)을 회동시켜 수평면은 레일본체(21)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수직면은 플레이트(22)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레일본체(21)를 지지하게 되면, 절연바디(11)의 제1케이스(11a)에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형태가 되기 때문에 전선삽입구(12) 및 전선연결구(14)를 절연바디(11)에 수용하기가 매우 수월해지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10)의 피침(14b)이 지중배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됨에 따라 지중배전선(L)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로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더욱이 피복(Lb)이 피침(14b)과 함께 지중배전선(L)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지중배전선(L)의 이탈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피침(14b)이 피복(Lb)을 관통함에 있어 피침(14b)의 둘레면이 피복(Lb)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싸지면서 실링하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연결유닛 11: 절연바디 11a: 제1케이스부
11b: 제2케이스부 12: 전선삽입구 12a: 플런지
12b: 연통공 12c: 격벽 13: 실링재
14: 전선연결구 14a: 호판 14b: 피침
15: 클램핑금구 15a: 걸이부 15b: 체결부
20: 레일 21: 레일본체 21a: 안내홈
22: 플레이트 23: 지지암 30: 누전감지유닛
31: 누전감지센서 32: 제어부 33: 경광부
11b: 제2케이스부 12: 전선삽입구 12a: 플런지
12b: 연통공 12c: 격벽 13: 실링재
14: 전선연결구 14a: 호판 14b: 피침
15: 클램핑금구 15a: 걸이부 15b: 체결부
20: 레일 21: 레일본체 21a: 안내홈
22: 플레이트 23: 지지암 30: 누전감지유닛
31: 누전감지센서 32: 제어부 33: 경광부
Claims (1)
-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케이스부(11a)와 제2케이스부(11b)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힌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되, 제1·2케이스부(11a,11b)의 양단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플런지부(11c)가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제1케이스부(11a)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된 연결대(11a-1)가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대(11a-1)의 말단에는 이동블록(11a-2)이 일체로 형성된 관형상의 절연바디(11)와,
양단을 통해 도선(La)과 피복(Lb)으로 구성된 지중배전선(L)이 각각 삽입되어 케이스(11)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고, 양단 외주면에는 절연바디(1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원판형상의 플런지(12a)가 일체로 형성되며, 플런지(12a) 사이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렬배치되어 각각이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공(12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전선삽입구(12)와,
절연바디(11)의 내면에 형성되는 탄성을 갖춘 실링재(13)와,
전선삽입구(1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선삽입구(12)와 실링재(13) 사이에 개입되되, 절연바디(11)의 가압에 의해 내주면은 전선삽입구(12)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은 실링재(13)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호판(14a), 호판(14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연통공(12b)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지중배전선(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혀져 지중배전선(L)을 물어 고정하는 피침(14b)으로 구성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재질의 전선연결구(14)와,
절연바디(11)에 설치되어 제1·2케이스부(11a,11b)의 회동을 단속하는 클램핑금구(15)로 이루어진 연결유닛(10);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홈(21a)을 매개로 연결유닛(10)의 이동블록(11a-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본체(21)와,
레일본체(21)의 일단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22)와,
레일본체(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일본체(21)와 플레이트(22) 사이에 배치되어 레일본체(21)와 플레이트(22)가 서로 맞닿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암(23)으로 구성된 레일(20);
연결유닛(10)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31)와, 누전감지센서(31)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부(33)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32)와, 제어부(32)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부(33)로 구성된 누전감지유닛(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6651A KR102238113B1 (ko) | 2020-08-25 | 2020-08-25 |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6651A KR102238113B1 (ko) | 2020-08-25 | 2020-08-25 |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8113B1 true KR102238113B1 (ko) | 2021-04-09 |
Family
ID=7544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6651A KR102238113B1 (ko) | 2020-08-25 | 2020-08-25 |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8113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43983A (zh) * | 2022-06-07 | 2022-08-02 | 北京市海实电气安装工程有限公司 | 一种电力工程管道及其施工方法 |
KR102520683B1 (ko) * | 2022-10-24 | 2023-04-12 | 주이앤씨(주) | 접지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용 전력구 |
KR102532704B1 (ko) * | 2022-10-27 | 2023-05-16 | 주식회사 우리감리단 | 지중배전선 손상 파악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접속형 커넥터장치 |
KR102586054B1 (ko) * | 2023-03-06 | 2023-10-10 | 이연기술단 주식회사 |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
KR102641475B1 (ko) * | 2023-01-19 | 2024-02-27 | 주식회사 유림감리 | 지중배전선 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기능 탑재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
KR102641476B1 (ko) * | 2023-01-19 | 2024-02-27 | 주식회사 유림감리 |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사고 방지형 배전함 |
KR102649383B1 (ko) * | 2023-01-19 | 2024-03-19 | 주식회사 백두 | 누전감지 기능 탑재 안전형 지중배전 연결기구 |
KR102649382B1 (ko) * | 2023-01-19 | 2024-03-19 |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복합기능 탑재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
CN117991146A (zh) * | 2024-04-03 | 2024-05-07 | 山东省计量科学研究院 | 一种家用电器漏电检测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3416B1 (ko) * | 2011-09-15 | 2011-11-14 | (주)우진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
KR101448143B1 (ko) | 2014-06-05 | 2014-10-08 | 미래컨설턴트(주) |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
KR102043700B1 (ko) * | 2019-04-30 | 2019-11-13 | 김경현 |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
-
2020
- 2020-08-25 KR KR1020200106651A patent/KR1022381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3416B1 (ko) * | 2011-09-15 | 2011-11-14 | (주)우진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
KR101448143B1 (ko) | 2014-06-05 | 2014-10-08 | 미래컨설턴트(주) |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
KR102043700B1 (ko) * | 2019-04-30 | 2019-11-13 | 김경현 |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43983A (zh) * | 2022-06-07 | 2022-08-02 | 北京市海实电气安装工程有限公司 | 一种电力工程管道及其施工方法 |
KR102520683B1 (ko) * | 2022-10-24 | 2023-04-12 | 주이앤씨(주) | 접지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용 전력구 |
KR102532704B1 (ko) * | 2022-10-27 | 2023-05-16 | 주식회사 우리감리단 | 지중배전선 손상 파악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접속형 커넥터장치 |
KR102641475B1 (ko) * | 2023-01-19 | 2024-02-27 | 주식회사 유림감리 | 지중배전선 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기능 탑재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
KR102641476B1 (ko) * | 2023-01-19 | 2024-02-27 | 주식회사 유림감리 |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사고 방지형 배전함 |
KR102649383B1 (ko) * | 2023-01-19 | 2024-03-19 | 주식회사 백두 | 누전감지 기능 탑재 안전형 지중배전 연결기구 |
KR102649382B1 (ko) * | 2023-01-19 | 2024-03-19 |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복합기능 탑재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
KR102586054B1 (ko) * | 2023-03-06 | 2023-10-10 | 이연기술단 주식회사 | 누전감지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
CN117991146A (zh) * | 2024-04-03 | 2024-05-07 | 山东省计量科学研究院 | 一种家用电器漏电检测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8113B1 (ko) |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 |
KR100909263B1 (ko) |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 |
KR102045848B1 (ko) |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 |
KR101638508B1 (ko) |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 |
KR102549595B1 (ko) |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 |
KR102243941B1 (ko) |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 |
KR101083424B1 (ko) | 배전선 안착용 전선라인 절연대 | |
KR102261503B1 (ko) |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방지형 배전함 | |
KR102246276B1 (ko) |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배전선용 건축물트렌치 | |
CN210779959U (zh) | 一种岸基光电分离箱 | |
KR101882189B1 (ko) | 건축물에 배선된 배전케이블의 누전 차단형 트레이장치 | |
KR102236902B1 (ko) |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 |
KR101920203B1 (ko) |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 |
CN109116056B (zh) | 输电线路上的漏电检测装置组安装结构 | |
KR102459033B1 (ko) |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 |
CN214152487U (zh) | 防爆电缆、防爆电缆漏电检测装置和供电电路 | |
CN110297107A (zh) | 配电终端继保试验电流回路接线转接装置 | |
CN213845562U (zh) | 用于接地线的短路保护用挂钩 | |
KR101941107B1 (ko) |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로 고정장치 | |
KR102576691B1 (ko) | 셀프 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정온식 감지기 | |
CN117095956B (zh) | 切换极性、工作模式的可插拔开关、供电设备及海缆系统 | |
KR102639261B1 (ko) | 이상감지기능을 마련한 지중배전라인 접속형 지지장치 | |
DE60227719D1 (de) | Erdelektrodeneinheit für eine elektrische Vorrichtung unter Wasser | |
CN216161946U (zh) | 一种电力输送用线缆 | |
CN212569102U (zh) | 一种零序电流互感器功能完整性检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