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508B1 -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508B1
KR101638508B1 KR1020150170081A KR20150170081A KR101638508B1 KR 101638508 B1 KR101638508 B1 KR 101638508B1 KR 1020150170081 A KR1020150170081 A KR 1020150170081A KR 20150170081 A KR20150170081 A KR 20150170081A KR 101638508 B1 KR101638508 B1 KR 101638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groove
receiving groove
receiving
distribu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7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맨홀(1)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대본체(100): 지지대본체(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맨홀(1)의 내부에 인입된 지중배전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200): 지지대본체(100)에 설치되어 지지대본체(100)의 부력체(130)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300): 수위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신기(5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400):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비상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신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커넥터가 지지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외력(예;지진)이 작용하더라도 횡 방향으로 커넥터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지중배전케이블의 연결상태가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케이블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Supporter}
본 발명은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1차 변전소 또는 2차 변전소로부터 배전된 전기는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송전 또는 배전되며 특고압 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수용가에까지 송배전되어 산업용, 가정용 등으로 사용된다.
이 중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한 지중을 이용하는 송배전 방식은 지중배전선이 인입되는 지중배전체에 지중 관로 어댑터를 마련하고, 지중배전선로의 끝단에 플러그를 결합하여 이 플러그를 지중 관로 어댑터에 체결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96957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외력(지진 등)이 가해질 경우 수직방향에 대한 부분은 견딜 수 있으나 수평방향에 대한 부분에는 매우 취약해 이탈 및 지중배전케이블이 단선될 우려가 있고, 또한, 맨홀의 내부에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전기합선사고에 상당히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지중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매우 편리하지만 손상이 있어 교체가 필요가 경우 커넥터를 포함해 지중배전케이블을 일부 절단하고 새로운 커넥터를 매개로 지중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96957호(지중배전선의 위치고정용 커넥터/2009.05.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배전케이블의 연결상태가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어 지중배전케이블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토록 할 수 있는 지지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관과 커버를 갖춘 맨홀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장착대와; 장착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포스트와; 포스트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력체와; 포스트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베이스로 구성된 지지대본체:
중앙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지중관을 관통해 맨홀의 내부로 인입된 지중배전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된 후크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 제1수용홈 기준으로 전후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 제1수용홈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후크의 지지편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턱,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돌기홈,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로 구성된 바디와, 돌기홈에 압입고정되는 끼움돌기를 매개로 바디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으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케이스와;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런지와, 플런지를 상호 연결하고 제1수용홈에 인입되며 후크가 걸리는 금속바와, 플런지로부터 연장되어 금속바에 걸린 후크가 서로 맞대어지게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지편으로 구성된 제2수용홈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턱,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돌기홈,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로 구성된 바디와, 돌기홈에 압입고정되는 끼움돌기를 매개로 바디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으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케이스와;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런지와, 플런지를 상호 연결하고 제1수용홈에 인입되며 후크가 걸리는 금속바와, 플런지로부터 연장되어 금속바연결부재와; 제2수용홈에 삽입되며 뚜껑에 의해 가압되어 제2수용홈에 인입된 후크의 지지편을 밀도록 된 복수의 가압스프링;으로 구성된 커넥터:
베이스의 하면에 설치되어 부력체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신기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비상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커넥터가 지지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외력(예;지진)이 작용하더라도 횡 방향으로 커넥터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지중배전케이블의 연결상태가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케이블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맨홀의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이를 수위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송신기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상주하는 관제센터를 신속하게 알려 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현재 상태를 직감적으로 파악해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지중배전케이블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 단순히 후크를 금속바에 걸어주는 것만으로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은 물론 견실하게 고정이 가능하며, 설치가 매우 쉬워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의 저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에서 커넥터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에서 커넥터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는, 지지대본체(100)와, 커넥터(200), 수위감지센서(300), 제어부(400) 및 송신기(5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맨홀(1)의 내부로 인입된 한 쌍의 지중배전케이블(L)을 상호 연결하면서 외력 작용시 연결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맨홀(1)은 지중에 매립되며 내부가 상향으로 개구된 콘크리트재질의 부재로서, 맨홀(1)의 양측에는 내부와 상호 연통되며 내측에 지중배전케이블(L)이 수용된 지중관(2)이 연결되며, 맨홀(1)의 상면에는 커버(3)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중배전케이블(L)은 지지편(Ha)을 갖춘 후크(H)의 내측으로 단부가 삽입되어 압입고정되거나, 별도의 나사를 매개로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본체(100)는 장착대(110)와 포스트(120), 부력체(130) 및 베이스(14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맨홀(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맨홀(1)의 내부로 인입된 지중배전케이블(L)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장착대(1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맨홀(1)의 바닥면에 체결수단(예;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포스트(120)는 장착대(110)의 상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기둥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부력체(130)를 가이드하면서 베이스(14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포스트(120)는 장착대(110)와 일체 구조를 이룰 수도 있고, 착탈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부력체(13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형상의 스티로폼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포스트(1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맨홀(1)로 유입된 침투수에 의해 부양(뜨게)된다.
참고로, 상기 부력체(130)가 침투수에 의해 부양될 시 이를 베이스(140)의 하면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30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4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포스트(120)의 상단에 얹혀져 고정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14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ㅗ’형상인 가이드홈(141)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홈(141)에는 커넥터(200)가 가이드돌기(211f)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40)의 하면에는 수위감지센서(30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200)는 케이스(210)와 연결부재(220) 및 가압스프링(23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단부에 후크(H)가 고정된 지중배전케이블(L)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부재(220)를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210)에 수용된 가압스프링(230)에 의해 후크(H)와 연결부재(220)가 견실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작업(예: 전선을 상호 꼬아서 연결하거나, 나사로 각각 조여 고정)없이 지중배전케이블(L)을 케이스(210) 내에 수용시켜 주는 것만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배전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200)가 지지본체(1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외력(예;지진)이 작용하더라도 횡 방향으로 커넥터(200)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지중배전케이블(L)의 연결상태가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케이블(L)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10)는 바디(211)와 뚜껑(212)으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측으로 각각 인입된 지중배전케이블(L)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바디(211)는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되, 중앙에는 내부가 상방으로 개방된 제1수용홈(211a)이 형성되고, 제1수용홈(211a)을 기준으로 전후에는 결합홈(211b)이 형성되며, 제1수용홈(211a)을 기준으로 좌우에는 제2수용홈(211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수용홈(211a)과 제2수용홈(211c)에는 지지턱(211d)이 형성되고, 바디(211)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돌기홈(211e)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가이드홈(14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돌기(211f)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용홈(211a)에는 연결부재(220)의 금속바(222)와 탄지편(223) 및 지중배전케이블(L)의 단부에 고정된 후크(H)가 수용되고, 결합홈(211b)에는 연결부재(220)의 플런지(221)가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며, 제2수용홈(211c)에는 후크(H)의 지지편(Ha) 및 가압스프링(230)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지지턱(211d)은 제2수용홈(211c)에 수용된 가압스프링(230)이 뚜껑(212)에 의해 가압되어 눌려질 때 가압스프링(23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211f)는 지지대본체(110)의 가이드홈(1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대본체(100)와 커넥터(200)를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뚜껑(212)은 바디(211)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바디(211)의 돌기홈(211e)에 뚜껑(212)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돌기(212a)가 압입고정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디(211)와 뚜껑(212)을 상호 고정한 다음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속수단(예;고무밴드, 타이밴드, 벨크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20)는 플런지(221)와 금속바(222) 및 탄지편(223)으로 구성된 전도성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211)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어 후크(H)를 상호 고정 및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플런지(221)는 사각형상의 편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211)의 결합홈(211b)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된다.
상기 금속바(222)는 원형의 봉으로서, 플런지(221) 사이에 형성되어 플런지(221)를 상호 연결하며, 바디(211)의 제1수용홈(211a)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바(222)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후크(H)가 각각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후크(H)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탄지편(223)은 판스프링으로서, 플런지(221)에 상호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금속바(222)에는 후크(H)가 각각 걸리게 되는데, 이때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탄지편(223)은 후크(H)로 인해 외측으로 밀리게 되며, 역으로 탄지편(223)은 자체 복원력에 의해 후크(H)를 강하게 밀어 상호 밀착시켜 주게 되므로 금속바(222)에 걸려 있는 후크(H)는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금속바(222)를 따라 후크(H)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금속바(222)와 후크(H) 간에 스파크가 일어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중배전케이블(L)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 단순히 후크(H)를 금속바(222)에 걸어주는 것만으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쉬워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스프링(230)은 단면이 역‘V’자 모양을 갖는 판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211)의 제2수용홈(211c)에 삽입되어 지지턱(211d)과 후크(H)의 지지편(Ha) 사이에 배치되며, 뚜껑(212)에 의해 가압되어 후크(H)의 지지편(Ha)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후크(H)가 금속바(222)에 걸려 탄지편(223)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뚜껑(212)을 덮게 되면, 뚜껑(212)에 의해 가압스프링(230)이 가압되면서 후크(H)의 지지편(Ha)을 외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별도의 작업(예: 전선을 상호 꼬아서 연결하거나, 나사로 각각 조여 고정)없이도 후크(H)와 금속바(222) 간에 결속력을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수위감지센서(300)와 제어부(400) 및 송신기(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300)는 베이스(140)의 하면에 설치되어 부력체(130)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고, 제어부(400)는 수위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신기(500)를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송신기(500)는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비상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300)는 통상의 비접촉센서이다.
일 예로서, 상기 맨홀(1)의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됨에 따라 부력체(130)가 이에 의해 서서히 부양하게 되고, 이때 부력체(130)의 부양을 수위감지센서(300)가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감지신호(부양체와의 거리)를 제어부(40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수위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게 되고, 기설정 값을 초과하게 되면 송신기(50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송신기(500)는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비상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관제센터로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현재 상태를 직감적으로 파악해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과정을 설명하고,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지지대본체(100)의 장착대(110)를 맨홀(1)의 바닥면에 고정한 다음, 지지대본체(100)의 가이드홈(141)에 커넥터(200)의 가이드돌기(211f)를 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 지지대본체(100)와 커넥터(20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본체(100)와 커넥터(200)가 상호 연결되면, 커넥터(200)에 지중관(2)을 관통해 맨홀(1)의 내측으로 인입된 한 쌍의 지중배전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면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넥터(200)의 케이스(210)를 구성하는 바디(211)의 제1수용홈(211a)과 결합홈(211b)에 각각 연결부재(220)를 구성하는 금속바(222)와 플런지(221)를 삽입시켜 주며, 바디(211)의 제2수용홈(211c)에는 가압스프링(230)을 삽입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지중배전케이블(L)의 단부에 고정된 지지편(Ha)을 갖춘 후크(H)를 각각 금속바(222)에 걸어 주면 된다.
이때, 상기 후크(H)를 금속바(222)에 걸어 연결하는 과정에 탄지편(223)은 후크(H)에 의해 가압되며, 역으로 가압된 탄지편(223)은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H)를 가압하게 됨에 따라 후크(H)는 서로 밀착된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에 의해 후크(H)는 금속바(222)에 보다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후크(H)를 금속바(222)에 걸어주는 과정에 후크(H)의 지지편(Ha)은 바디(211)의 제2수용부(11c)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바디(211)의 내부에 지중배전케이블(L)을 수용시켜 준 상태에서 바디(211)의 상면으로 뚜껑(212)를 덮어주면 케이스(210)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뚜껑(212)가 바디(211)의 상면에 고정되는 과정에 상부로 돌출된 가압스프링(230)이 뚜껑(212)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이에 의해 가압스프링(230)이 펴지면서 지지턱(211d)과 지지편(Ha)을 강하게 밀게 되면서 후크(H)와 금속바(222) 간에 결속력을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작업(예: 전선을 상호 꼬아서 연결하거나, 나사로 각각 조여 고정)없이도 후크(H)와 금속바(222) 간에 결속력을 크게 강화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바디(211)와 뚜껑(212)가 상호 고정되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속수단(예:고무밴드, 타이밴드, 벨크로 등)을 이용해 한번 더 고정해주면 된다.
한편, 상기 맨홀(1)의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침투수에 의해 부력체(130)가 서서히 부양하게 되고, 이때 부력체(130)의 부양을 베이스(140)의 하면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300)가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감지신호(부양체와의 거리)를 제어부(40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수위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게 되고, 기설정 값을 초과하게 되면 송신기(50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송신기(500)는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비상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관제센터로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현재 상태를 직감적으로 파악해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커넥터(200)가 지지본체(1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외력(예;지진)이 작용하더라도 횡 방향으로 커넥터(200)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지중배전케이블(L)의 연결상태가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케이블(L)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중배전케이블(L)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 단순히 후크(H)를 금속바(222)에 걸어주는 것만으로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은 물론 견실하게 고정이 가능하며, 설치가 매우 쉬워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맨홀 2: 지중관 3: 커버
100: 지지대본체 110: 장착대 120: 포스트
130: 부력체 140: 베이스 141: 가이드홈
200: 커넥터 210: 케이스 211: 바디
211a: 제1수용홈 211b: 결합홈 211c: 제2수용홈
211d: 지지턱 211e: 돌기홈 211f: 가이드돌기
212: 뚜껑 212a: 끼움돌기 220: 연결부재
221: 플런지 222: 금속바 223: 탄지편
230: 가압스프링 300: 수위감지센서 400: 제어부
500: 송신기

Claims (1)

  1. 지중관(2)과 커버(3)를 갖춘 맨홀(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장착대(110)와; 장착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포스트(120)와; 포스트(1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력체(130)와; 포스트(120)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41)이 형성된 베이스(140)로 구성된 지지대본체(100):
    중앙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지중관(2)을 관통해 맨홀(1)의 내부로 인입된 지중배전케이블(L)의 단부에 고정된 후크(H)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211a), 제1수용홈(211a)을 기준으로 전후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211b), 제1수용홈(211a)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후크(H)의 지지편(Ha)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211c), 제1수용홈(211a)과 제2수용홈(211c)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턱(211d),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돌기홈(211e),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홈(1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211f)로 구성된 바디(211)와, 돌기홈(211e)에 압입고정되는 끼움돌기(212a)를 매개로 바디(211)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212)으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케이스(210)와; 결합홈(211b)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런지(221)와, 플런지(221)를 상호 연결하고 제1수용홈(211a)에 인입되며 후크(H)가 걸리는 금속바(222)와, 플런지(221)로부터 연장되어 금속바(222)에 걸린 후크(H)가 서로 맞대어지게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지편(223)으로 구성된 제2수용홈(211c)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턱(211d),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돌기홈(211e),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홈(1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211f)로 구성된 바디(211)와, 돌기홈(211e)에 압입고정되는 끼움돌기(212a)를 매개로 바디(211)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212)으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케이스(210)와; 결합홈(211b)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런지(221)와, 플런지(221)를 상호 연결하고 제1수용홈(211a)에 인입되며 후크(H)가 걸리는 금속바(222)와, 플런지(221)로부터 연장되어 금속바(222)연결부재(220)와; 제2수용홈(211c)에 삽입되며 뚜껑(212)에 의해 가압되어 제2수용홈(211c)에 인입된 후크(H)의 지지편(Ha)을 밀도록 된 복수의 가압스프링(230);으로 구성된 커넥터(200):
    베이스(140)의 하면에 설치되어 부력체(130)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수위감지센서(300):
    수위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신기(500)를 동작제어하도록 된 제어부(400):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비상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된 송신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KR1020150170081A 2015-12-01 2015-12-01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KR101638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081A KR101638508B1 (ko) 2015-12-01 2015-12-01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081A KR101638508B1 (ko) 2015-12-01 2015-12-01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508B1 true KR101638508B1 (ko) 2016-07-11

Family

ID=5649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081A KR101638508B1 (ko) 2015-12-01 2015-12-01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50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723B1 (ko) 2017-02-01 2017-05-29 (주)성화이엔지 고정력을 향상시킨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연결장치
KR101795463B1 (ko) * 2017-09-05 2017-11-10 안성감리설계(주) 접지일체형 지중배전기기 기초대
CN110044422A (zh) * 2019-06-04 2019-07-23 南京奇崛电子科技有限公司 应用于ph、电导率、温度三合一传感器的检测固定结构
KR102098382B1 (ko) 2019-09-26 2020-04-07 주식회사 훈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222702B1 (ko) * 2020-08-24 2021-03-04 (주)사성기술단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
KR102235859B1 (ko) * 2020-06-24 2021-04-05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장치
KR102243941B1 (ko) * 2020-08-31 2021-04-2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102393709B1 (ko) * 2021-09-08 2022-05-04 (유)남양기술단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KR102435050B1 (ko) * 2021-09-08 2022-08-23 주식회사 대덕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KR102446660B1 (ko) * 2021-09-08 2022-09-23 주식회사 대덕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KR102584135B1 (ko) * 2022-11-03 2023-10-04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957B1 (ko) 2009-02-16 2009-05-12 (주)서광전기컨설팅 지중배전선의 위치고정용 커넥터
KR101145351B1 (ko) * 2012-02-06 2012-05-15 태형전기(주)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1447208B1 (ko) * 2014-06-27 2014-10-06 김미희 매설위치 표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957B1 (ko) 2009-02-16 2009-05-12 (주)서광전기컨설팅 지중배전선의 위치고정용 커넥터
KR101145351B1 (ko) * 2012-02-06 2012-05-15 태형전기(주)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1447208B1 (ko) * 2014-06-27 2014-10-06 김미희 매설위치 표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 연결용 커넥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723B1 (ko) 2017-02-01 2017-05-29 (주)성화이엔지 고정력을 향상시킨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연결장치
KR101795463B1 (ko) * 2017-09-05 2017-11-10 안성감리설계(주) 접지일체형 지중배전기기 기초대
CN110044422A (zh) * 2019-06-04 2019-07-23 南京奇崛电子科技有限公司 应用于ph、电导率、温度三合一传感器的检测固定结构
KR102098382B1 (ko) 2019-09-26 2020-04-07 주식회사 훈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235859B1 (ko) * 2020-06-24 2021-04-05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장치
KR102222702B1 (ko) * 2020-08-24 2021-03-04 (주)사성기술단 변전소의 배전 설비구조
KR102243941B1 (ko) * 2020-08-31 2021-04-2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102393709B1 (ko) * 2021-09-08 2022-05-04 (유)남양기술단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KR102435050B1 (ko) * 2021-09-08 2022-08-23 주식회사 대덕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KR102446660B1 (ko) * 2021-09-08 2022-09-23 주식회사 대덕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송전선 연결장치
KR102584135B1 (ko) * 2022-11-03 2023-10-04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50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KR101771074B1 (ko)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0983015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238113B1 (ko) 누전감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CN104283320B (zh) 一种针对电气保护压板的状态监测终端结构
US20110189877A1 (en) Water-tight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erally compressed o-ring
KR101331179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한 고정브래킷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181546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다기능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022861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KR101586454B1 (ko) 공동주택의 배전선 합선방지용 보호대
KR101996494B1 (ko) 침수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기구
KR102047357B1 (ko)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KR101321834B1 (ko) 배전가공전선의 이탈방지를 위한 고정식 완철
KR101987084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1669889B1 (ko) 가공 배전선로 고정용 절연애자
KR101727007B1 (ko)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1543741B1 (ko) 전원분배용 터미널 블럭
US20140256170A1 (en) Screwless terminal block
KR101773831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102459033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CN203014315U (zh) 一种终端线夹
KR100872144B1 (ko) 분배전반 보호용 전신주의 배전함
KR102056171B1 (ko)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