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007B1 -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 Google Patents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007B1
KR101727007B1 KR1020160151903A KR20160151903A KR101727007B1 KR 101727007 B1 KR101727007 B1 KR 101727007B1 KR 1020160151903 A KR1020160151903 A KR 1020160151903A KR 20160151903 A KR20160151903 A KR 20160151903A KR 101727007 B1 KR101727007 B1 KR 10172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roove
movement guide
distribution line
energiz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이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우 filed Critical 이광우
Priority to KR102016015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8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vertical withdraw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되는 배전선로와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기기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는, 상면이 개구된 수용홈을 구비하고, 측면에 다수개의 배전선로가 고정되는 박스형상으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통전체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배전선로 및 통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뎁터, 상기 수용홈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부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통전홈과, 상기 통전홈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전체와 접하는 통전부재와, 상측이 개구되고 내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오목부를 가지면서 상기 통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대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승강체,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된 바 형상이고, 끝단에는 상기 오목부로 삽입되면서 통전대와 전기적으로 접하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보호관을 구비한 돌출단자를 갖추되, 상기 통전부재를 통해 유입된 전기를 변압하여 배전처리하는 배전기기,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외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승강로가 형성된 승강가이드, 상기 승강체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저면에 상기 승강로를 따라 이동되는 제1바퀴가 구비된 한 쌍의 제1이동안내부, 상기 승강체의 저면 타측에 상기 제1이동안내부 간의 간격 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는 제2바퀴가 구비된 한 쌍의 제2이동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SUPPLY OF ELECTRIC POWER STRUCTURE ABLE TO DISTRIBUTING WIRES}
본 발명은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배전을 위해 배전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배전이라 하면, 발전소로부터 전송된 고압의 전기를 소비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압한 후 이를 분전하는 것으로, 변압기 및 개폐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전기기는 배전선로가 지중에 설치되더라도 그 관리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지상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중의 배전선로를 지상의 배전기기로 인출해야 한다.
그런데, 지중에 매설된 배전선로와 배전기기는 한번 설치가 이루어지면 배전선로 환경을 쉽게 변경할 수 없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구조에서 전기사용의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에 맞춰 배전선로와 배전기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매설된 배전선로를 파내야 하고, 뒤이어 배전기기를 요구되는 사용용량에 맞게 교체해야 하는 것이다. 물론, 배전선로와 배전기기의 전기적인 연결공사는 별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배전선로 및 배전기기의 교체공사는 적지 않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도시환경과 문화 등이 급격히 바뀌면서 요구되는 전기사용량의 변화 또한 빈번하다. 이에 발맞춰 배전선로와 배전기기의 개조 및 변경이 용이한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23037호(2007.05.2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되는 배전선로와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기기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는, 상면이 개구된 수용홈을 구비하고, 측면에 다수개의 배전선로가 고정되는 박스형상으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통전체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배전선로 및 통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뎁터, 상기 수용홈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부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통전홈과, 상기 통전홈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전체와 접하는 통전부재와, 상측이 개구되고 내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오목부를 가지면서 상기 통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대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승강체,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된 바 형상이고, 끝단에는 상기 오목부로 삽입되면서 통전대와 전기적으로 접하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보호관을 구비한 돌출단자를 갖추되, 상기 통전부재를 통해 유입된 전기를 변압하여 배전처리하는 배전기기,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외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승강로가 형성된 승강가이드, 상기 승강체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저면에 상기 승강로를 따라 이동되는 제1바퀴가 구비된 한 쌍의 제1이동안내부, 상기 승강체의 저면 타측에 상기 제1이동안내부 간의 간격 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는 제2바퀴가 구비된 한 쌍의 제2이동안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벽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수직설치되고, 상기 제1이동안내부가 상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제1삽입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제1레일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벽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수직설치되고, 상기 제2이동안내부가 상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제2삽입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제2레일부, 상기 수용홈의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바퀴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제1이동안내부가 상기 제1레일부의 제1삽입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뎁터는 다수개가 하나의 고정판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벽면에는 상기 고정판 및 어뎁터가 승강되는 승강홈과,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로 상기 승강홈과 직각을 이루는 나선홀이 더 형성되며,
하단이 베어링을 통해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며, 상기 나선홀을 따라 하강 작동되어 상기 어뎁터가 상기 배전선로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는, 지중에 매설되는 배전선로와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기기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배전기기의 교체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적용된 배전기기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적용된 하우징과 승강체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적용된 어뎁터와 가압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적용된 하우징과 승강체의 개략적인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적용된 배전기기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적용된 하우징과 승강체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적용된 어뎁터와 가압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에 적용된 하우징과 승강체의 개략적인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는, 상면이 개구된 수용홈(11)을 구비하고, 측면에 다수개의 배전선로(120)가 고정되는 박스형상으로, 상기 수용홈(11)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부(13)와, 상기 끼움부(13)의 일측에 형성되는 통전체(14)를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배전선로(120) 및 통전체(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뎁터(20), 상기 수용홈(11)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부에는 상기 끼움부(1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통전홈(31)과, 상기 통전홈(31)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전체(14)와 접하는 통전부재(32)와, 상측이 개구되고 내면에는 걸림턱(33)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오목부(34)를 가지면서 상기 통전부재(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대(35)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삽입홈(36)이 형성된 승강체(30), 상기 삽입홈(36)으로 삽입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된 바 형상이고, 끝단에는 상기 오목부(34)로 삽입되면서 통전대(35)와 전기적으로 접하는 통전부재(41)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33)에 걸려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보호관(43)을 구비한 돌출단자(42)를 갖추되, 상기 통전부재(41)를 통해 유입된 전기를 변압하여 배전처리하는 배전기기(40),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외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승강로(51)가 형성된 승강가이드(50), 상기 승강체(3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저면에 상기 승강로(51)를 따라 이동되는 제1바퀴(61)가 구비된 한 쌍의 제1이동안내부(60), 상기 승강체(30)의 저면 타측에 상기 제1이동안내부(60)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승강로(51)를 따라 승강되는 제2바퀴(71)가 구비된 한 쌍의 제2이동안내부(7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공공주택의 내부 기계실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매설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면이 개구된 수용홈(11)을 구비하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는 배전선로(120)가 물리적으로 끼움 고정되는 다수개의 인입구(17)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의 바닥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1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2)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끼움부(13)와, 상기 끼움부(13)의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통전체(14)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상기 수용홈(11)의 내부 양측벽에는 상호 대칭되는 승강홈(15) 및 상기 승강홈(15)과 직각을 이루는 나선홀(16)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홈(15)은 후술되는 고정판(110) 및 어뎁터(2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높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이며, 상기 인입구(17)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나선홀(16)은 후술되는 가압부(140)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조이고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에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그 하단은 상기 승강홈(15)과 연결된다.
상기 어뎁터(20)는 상기 배전선로(120)와 통전체(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홈(15)에 위치되고, 배전선로(120)의 끝단에 위치된 통전단자(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10)과 배전선로(12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어뎁터(20)는 배전선로(1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인입구(17)에는 각각 2개의 배전선로(120)가 삽입되고, 2개의 어뎁터(20)가 하나의 고정판(110) 저면에 배전선로(120)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40)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140)는 하우징(10)의 상측에서 나선홀(16)에 체결되며 하측 일부분이 승강홈(15)에 위치된 상태에서 베어링(B)을 통해 고정판(110)의 연결구(111)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4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고정판(110) 및 어뎁터(20)는 회전되지 않고 승강 작동만 한다.
상기 가압부(140)는 상기 나선홀(16)을 따라 하강되어, 상기 고정판(110)과 어뎁터(20)를 하강시키고, 어뎁터(20)는 상기 배전선로(120)의 통전단자(121)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인입구(17)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지진이나 각종 충격요인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120)가 인입구(17)에서 인출되지 않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체(30)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 및 높이를 갖는 직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체(30)는 하우징(10)의 수용홈(11)에 삽입되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승강체(30)의 하부에는 상기 끼움부(13)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통전홈(31)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전홈(31)의 내부에는 통전부재(32)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통전홈(31)이 상기 끼움부(13)와 맞물리게 되고, 통전체(14)와 통전부재(32)가 서로 맞닿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승강체(3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삽입홈(36)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6)은 상측이 개구된 구조로, 내면에는 걸림턱(33)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오목부(34)를 가지면서 상기 통전부재(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대(35)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인입구(17)로 삽입된 배전선로(120)의 전기는 상기 배전선로(120)의 통전단자(121)로부터 흘러나와 승강홈(15)에 위치된 어뎁터(20)를 통해 통전체(14)로 전달되고, 끼움부(13)가 통전홈(31)과 맞물림으로서 통전체(14)의 전기는 통전부재(32)로 흘러가며, 통전부재(32)의 전기는 통전대(35)로 전달된다.
이때, 걸림턱(33)은 보호관(43)을 지지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돌출단자(42)가 승강체(30)의 삽입홈(36)으로 삽입되면, 보호관(43)은 일정 깊이까지 돌출단자(42)와 함께 삽입되다가 상기 걸림턱(33)에 걸리면서 정지된다. 그리고 돌출단자(42)는 아무런 간섭 없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보호관(43)으로 감싸인 통전부재(41)가 외부로 노출되고, 결과적으로 통전부재(41)와 통전대(35)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전기기(40)는 케이스(130)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를 받는다. 상기 케이스(130)는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며, 환기를 위한 환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전기기(40)는 상기 승강체(30)의 상면에 안착되며, 배전선로(12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저면에는 삽입홈(36)과 대응하는 돌출단자(4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자(42)는 견고한 재질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배전기기(4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통전구조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단자(42)는 상기 승강대의 삽입홈(36)에 삽입되고, 내측에 형성된 통전구조가 승강체(30)의 내측에 형성된 통전구조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체(30)는 배전기기(40)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호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출단자(42)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삽입홈(36)으로 삽입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된 바 형상이고, 끝단에는 상기 오목부(34)로 삽입되면서 통전대(35)와 전기적으로 접하는 통전부재(41)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33)에 걸려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보호관(43)을 구비한다.
상기 보호관(43)은 평상시에 통전부재(4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돌출단자(42)의 통전부재(41)는 삽입홈(36)의 바닥에 배치된 통전대(35)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통전대(35)는 통전부재(41)가 정확히 맞물리도록 오목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승강가이드(50)는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 각각 볼팅 결합 또는 용접 결합된다.
상기 승강가이드(50)의 외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승강로(51)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로(51)와 후술되는 제1이동안내부(60) 및 제2이동안내부(70)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승강체(30) 및 배전기기(40)를 승강체(30)의 수용홈(11)에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가이드(50)는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을 지지함에 따라, 지진이나 각종 충격요인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및 배전기기(4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60)와 제2이동안내부(70)는 상기 결합된 상태의 승강체(30) 및 배전기기(40)를 하우징(10)의 내부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60)는 2개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승강체(30)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이동안내부(60)는 승강체(30) 및 배전기기(4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안내부(60)의 저면에는 제1바퀴(61)가 설치된다. 상기 제1바퀴(61)는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로(51)를 따라 구름 이동한다.
상기 제2이동안내부(70)는 2개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승강체(30)의 저면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이동안내부(60) 간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격된다. 상기 제2이동안내부(70)는 승강체(30) 및 배전기기(4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제2이동안내부(70)의 저면에는 제2바퀴(71)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바퀴(71)는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로(51)를 따라 구름이동한다.
즉, 승강체(30)의 상면에 배전기기(40)를 안착하여 돌출단자(42)가 삽입홈(36)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제1바퀴(61)와 제2바퀴(71)를 승강로(51)의 하측에서부터 최상측까지 구름이동 시키므로서, 승강체(30) 및 배전기기(40)를 수용홈(11)의 개구부까지 용이하게 상승 이동시켜 수용홈(11)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수용홈(11)의 상부 양측벽에는 제1바퀴(61)의 구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삽입가이드(1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삽입가이드(100)는 평평한 직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는 형태가 된다. 상기 삽입가이드(100)는 상기 제1바퀴(61)의 구름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제1이동안내부(60)와 제1바퀴(61)가 후술되는 제1레일부(8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제2이동안내부(70)와 제2바퀴(71)가 후술되는 제2레일부(9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승강체(30) 및 배전기기(40)의 상,하 이동방향을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벽에는 한 쌍의 제1레일부(80)가 수직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타측벽에는 한 쌍의 제2레일부(90)가 수직설치된다.
상기 제1레일부(80)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60)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이동안내부(60)와 제1바퀴(61)가 상방에서 삽일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제1삽입홈(36)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부(90)는 상기 제2이동안내부(70)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이동안내부(70)와 제2바퀴(71)가 상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제2삽입홈(91)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체(30) 및 배전기기(40)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60)와 제2이동안내부(70)와 제1레일부(80) 및 제2레일부(90)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수용홈
12 : 지지대 13 : 끼움부
14 : 통전체 15 : 승강홈
16 : 나선홀 17 : 인입구
20 : 어뎁터 30 : 승강체
31 : 통전홈 32,41 : 통전부재
33 : 걸림턱 34 : 오목부
35 : 통전대 36 : 삽입홈
40 : 배전기기 42 : 돌출단자
43 : 보호관 50 : 승강가이드
51 : 승강로 60 : 제1이동안내부
61 : 제1바퀴 70 : 제2이동안내부
71 : 제2바퀴 80 : 제1레일부
81 : 제1삽입홈 90 : 제2레일부
91 : 제2삽입홈 100 : 삽입가이드
110 : 고정판 111 : 연결구
120 : 배전선로 121 : 통전단자
130 : 케이스 140 : 가압부

Claims (3)

  1. 상면이 개구된 수용홈(11)을 구비하고, 측면에 다수개의 배전선로(120)가 고정되는 박스형상으로, 상기 수용홈(11)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부(13)와, 상기 끼움부(13)의 일측에 형성되는 통전체(14)를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배전선로(120) 및 통전체(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뎁터(20),
    상기 수용홈(11)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부에는 상기 끼움부(1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통전홈(31)과, 상기 통전홈(31)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전체(14)와 접하는 통전부재(32)와, 상측이 개구되고 내면에는 걸림턱(33)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오목부(34)를 가지면서 상기 통전부재(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대(35)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삽입홈(36)이 형성된 승강체(30),
    상기 삽입홈(36)으로 삽입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된 바 형상이고, 끝단에는 상기 오목부(34)로 삽입되면서 통전대(35)와 전기적으로 접하는 통전부재(41)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33)에 걸려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보호관(43)을 구비한 돌출단자(42)를 갖추되, 상기 통전부재(41)를 통해 유입된 전기를 변압하여 배전처리하는 배전기기(40),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외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승강로(51)가 형성된 승강가이드(50),
    상기 승강체(3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저면에 상기 승강로(51)를 따라 이동되는 제1바퀴(61)가 구비된 한 쌍의 제1이동안내부(60),
    상기 승강체(30)의 저면 타측에 상기 제1이동안내부(60)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승강로(51)를 따라 승강되는 제2바퀴(71)가 구비된 한 쌍의 제2이동안내부(70)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벽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수직설치되고, 상기 제1이동안내부(60)가 상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제1삽입홈(81)을 구비하는 한 쌍의 제1레일부(8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타측벽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수직설치되고, 상기 제2이동안내부(70)가 상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제2삽입홈(91)을 구비하는 한 쌍의 제2레일부(90),
    상기 수용홈(11)의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바퀴(61)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제1이동안내부(60)가 상기 제1레일부(80)의 제1삽입홈(8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가이드(100)를 더 포함하는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20)는 다수개가 하나의 고정(110)판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11)의 내벽면에는 상기 고정판(110) 및 어뎁터(20)가 승강되는 승강홈(15)과,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로 상기 승강홈(15)과 직각을 이루는 나선홀(16)이 더 형성되며,
    하단이 베어링을 통해 상기 고정판(110)과 연결되며, 상기 나선홀(16)을 따라 하강 작동되어 상기 어뎁터(20)가 상기 배전선로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부(140)를 더 포함하는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20160151903A 2016-11-15 2016-11-15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172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903A KR101727007B1 (ko) 2016-11-15 2016-11-15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903A KR101727007B1 (ko) 2016-11-15 2016-11-15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007B1 true KR101727007B1 (ko) 2017-04-14

Family

ID=5857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903A KR101727007B1 (ko) 2016-11-15 2016-11-15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0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202B1 (ko)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KR102320470B1 (ko) 2021-07-22 2021-11-03 (주)하늘천 공동주택용 실내전기의 변압기에 접속되는 케이블 누수감지 시스템
KR102349539B1 (ko) 2021-07-26 2022-01-12 (주)하늘천 공동주택 전기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옥외전선 누전 차단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320A (ja) * 1995-03-31 1996-10-18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配電用開閉装置
KR100723037B1 (ko) 2007-02-23 2007-06-07 신한전설(주)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1602677B1 (ko) * 2015-10-27 2016-03-14 김호이앤씨(주)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320A (ja) * 1995-03-31 1996-10-18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配電用開閉装置
KR100723037B1 (ko) 2007-02-23 2007-06-07 신한전설(주)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1602677B1 (ko) * 2015-10-27 2016-03-14 김호이앤씨(주)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470B1 (ko) 2021-07-22 2021-11-03 (주)하늘천 공동주택용 실내전기의 변압기에 접속되는 케이블 누수감지 시스템
KR102349539B1 (ko) 2021-07-26 2022-01-12 (주)하늘천 공동주택 전기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옥외전선 누전 차단 시스템
KR102311202B1 (ko)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007B1 (ko)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0905762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1038748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KR101795463B1 (ko) 접지일체형 지중배전기기 기초대
KR102243941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101271746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2238276B1 (ko) 건축용 바닥패널 및 상기 바닥패널 시공방법
KR100728073B1 (ko)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한 배전선로 구조
KR101733111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CN204727362U (zh) 控制装置用引线箱
KR10181546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다기능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US8198966B2 (en) Docking station for a transforme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transformer station
KR101466137B1 (ko) 인입형 특고압 전력케이블의 변전소 설치형 절연트레이
KR20100003466A (ko) 배전용 지하 전력구 케이블 지지대.
CN106786246A (zh) 一种敷设用高分子合金电缆桥架
KR20180016135A (ko) 변류기
KR101544949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663727B1 (ko) 건설용 리프트의 전원공급장치
KR101836473B1 (ko) 공동주택용 배전선 설치용 배전반
KR101318396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626609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895952B1 (ko) 특고압 전기 송배전선 전용 지중전선 고정대
KR102549598B1 (ko) 지중배전 및 송전을 위한 전선접속형 지지장치
KR100735912B1 (ko) 지중 배전형 변압기 설치구조
CN204215873U (zh) 配电变压器和配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