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609B1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609B1
KR101626609B1 KR1020150139396A KR20150139396A KR101626609B1 KR 101626609 B1 KR101626609 B1 KR 101626609B1 KR 1020150139396 A KR1020150139396 A KR 1020150139396A KR 20150139396 A KR20150139396 A KR 20150139396A KR 101626609 B1 KR101626609 B1 KR 101626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groove
electrode
fix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 허
Original Assignee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3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천장이나 바닥부에 내설되어 공동주택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들을 배전하고 이를 정리 및 정돈할 수 있도록 하여 합선이나 단전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분전용 커넥터의 접속구조를 개량하여 쉽고 빠르게 접속작업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Switchboards for stable power arrangement of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전기 배전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천장이나 바닥부에 내설되어 공동주택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들을 배전하고 이를 정리 및 정돈할 수 있도록 하여 합선이나 단전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분전용 커넥터의 접속구조를 개량하여 쉽고 빠르게 접속작업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과 같이 한 동에 다수의 세대 또는 상가가 입주하는 건물에는 외부로부터 단선으로 인입되는 전선을 수용하여 각 세대 또는 상가별로 배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전 및 배선은 외부에 드러난 배전함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각 세대 또는 상가별로 유입되는 전기를 총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전기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관리 및 유지보수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수많은 전선들이 배전함으로부터 인출되면서 공동주택의 구조물 내에 전선이나 상하수관 등을 배선 및 배관하기 위해 설계한 공간 내에 복잡하게 배선되고, 특히, 이러한 공간 내에 전선이 장기간 위치하게 되면 풍화 및 마모 등으로 상기 전선의 피복이 헤지게 되어 합선 및 누전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천장 또는 바닥에 시멘트 몰탈 등을 타설하여 바닥면을 구성할 경우, 전선들을 시멘트 몰탈 등과 함께 매설하는 공법이 적용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26413호(2006.09.13)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분전용 커넥터를 설치할 때 커버를 볼트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매번 안착블록과 통전블록 사이에 전선을 끼우고 제1,2전극을 누른 상태에서 볼트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더구나, 통전블록이 탄발되게 스프링구조를 갖추어야 정확한 접촉과 안정적인 접속을 이루게 되는데, 등록특허의 구조에서는 통전블록 하부로 전선을 끼워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프링을 이용한 탄발 구조를 갖추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26413호(2006.09.13)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의 천장이나 바닥부에 내설되어 공동주택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들을 배전하고 이를 정리 및 정돈할 수 있도록 하여 합선이나 단전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분전용 커넥터의 접속구조를 개량하여 쉽고 빠르게 접속작업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측벽을 따라 상방이 개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인입홈(132)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차단돌부(131)와,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131) 사이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133)을 갖는 본체(130);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131) 사이에서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돌부가 상기 차단돌부(131)를 따라 나란하게 입설되되, 상기 돌부는 솔형태로 촘촘히 박혀 이루어지는 펜스(120); 상기 인입홈(132)을 통해 상기 본체(130)로 인입된 전선(10)의 말단을 접속 고정시키는 것으로 베이스(141)와, 상면에는 상기 전선(10)의 말단이 삽입되는 홈을 갖추고 상기 베이스(141) 상에 8개가 정렬되되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한 면을 이루면서 사각으로 배치되는 안착블록(142)과, 상기 홈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도성 재질로 되는 통전블록(143)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각 4개의 통전블록(143)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145a)를 구비하는 전도성 제2전극(145)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남은 4개의 통전블록(143)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144a)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2전극(145)과 교차하면서 중간부는 절곡되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제1전극(144)과,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의 상방에서 압력을 가해 고정하는 커버(146)를 갖는 분전용 커넥터(140); 및 상기 인입홈(132)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맞물림 시 상기 인입홈(132)으로 인입된 전선(10)을 잡아 고정하도록 둘레면에 고정홈(111)을 갖추고, 상기 본체(130)의 상면을 덮는 덮개(11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146)의 하단면 네모서리 부근에는 종단면이 마름모 형상을 갖는 끼움구(146a)가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141)의 상면 네모서리에는 상기 끼움구(146a)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부재(147a)가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재(147a)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47a)의 내부 상단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칭되게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장공(147b)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147b)에는 각각 제1,2롤축(R1,R2)이 끼워져 장공(147b)의 길이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롤축(R1,R2)은 제1,2유동롤(147c,147d)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유동롤(147c,147d)의 각 외측에는 라운드 형태의 제1,2판스프링(147e,147f)이 고정볼트(BT)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제1,2유동롤(147c,147d)을 탄압하여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전극(144,145)의 돌부(144a,145a)에는 이를 관통하여 결속볼트(300)가 체결되며; 상기 결속볼트(300)는 볼트머리인 헤드부(310), 상기 헤드부(310)로부터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일정길이 연장된 민자부(330) 및 상기 헤드부(310)로부터 민자부(330)이 일부에 형성된 나사부(3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나사부(320)는 상기 돌부(144a,145a)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부(144a,145a) 상에서만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민자부(330)에는 통전블록(143)이 끼워지도록 통전블록(143)의 상면 중심에는 로드홈(143a)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통전블록(143)의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끼움고정홈(143b)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끼움고정홈(143b) 각각에는 편형 탄성스프링(400)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편형 탄성스프링(400)의 타단은 상기 돌부(144a,145a)의 하단면에 나사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전용 커넥터의 설치가 쉽고 빨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번거로움이 없으며, 안정적인 통전 접속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전용 커넥터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도 3의 분전용 커넥터를 부분확대 도시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등록특허 제10-0626413호의 기본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특히, 분전용 커넥터의 접속구조를 더 개량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높이고, 설치시 작업성을 편리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기본 구성은 등록특허의 내용을 그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단자함(100)은 건물의 바닥부 또는 천장 등에 매설된다.
또한, 다수의 전선(10)을 수용하여 배전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전기단자함(100)은 하나 이상의 분전용 커넥터(140)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기단자함(100)은 전선(10)의 통전을 위해 서로 접하게 되는 이음부를 보호하기 위해 분전용 커넥터(140)를 감싸 보호하는 본체(130)와, 상기 본체(130)를 덮는 덮개(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30) 및 덮개(110)는 절연성을 가지면서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된다.
한편, 상기 본체(130)의 측벽에는 다수의 인입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132)은 전선(10)이 인입 및 인출되는 출입구로, 배선되는 전선(10)의 수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입홈(132)에 상응하여 상기 덮개(110)에는 고정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11)은 인입홈(132)의 형성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기 덮개(110)를 본체(130) 상에 덮을 경우 인입홈(132) 내에 삽입되는 전선(10)이 흔들림없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인입홈(132)은 상부가 개구된 홈 형태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가 안착되는 본체(130) 내에는, 안착된 분전용 커넥터(140)의 둘레부를 막는 펜스(120)가 위치한다.
상기 펜스(120)는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돌부가 솔 형태로 촘촘히 입설된 것으로, 인입홈(132)을 통해 본체(130)로 삽입된 전선(10)의 외주면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상기 인입홈(132)을 통해 안쪽으로 유입되는 각종 먼지 및 습기 등의 이물질을 여과시킨다.
상기 펜스(120)와 분전용 커넥터(140) 사이에는 차단돌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돌부(131)는 인입홈(132)을 통해 내입된 습기가 상기 펜스(120)에 의해 걸리면서 응결된 후 본체(130)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30)의 저면에는 중간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지지대(1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60)는 상기 본체(13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서 본체(130)를 지지한다.
그런데, 상기 지지대(160)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은,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이 지지대(160)의 하방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어, 그 부피가 과도하게 크지는 않다.
한편, 상기 지지대(160)의 상면부에는 턱(161)이 형성되어서 상기 지지대(160)를 통해 형성된 공간과 본체(130)를 구획한다.
이는, 상기 공간에 정체할 수 있는 각종 습기의 상승을 차단하고 상기 본체(130) 내 안착된 분전용 커넥터(140)를 보온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150)은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60)의 저면에는 완충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170)는 상기 차단막(150)과 유사한 스펀지 구조를 갖는 재질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단자함(100)을 천장 또는 바닥에 매설할 때에 상기 천장 또는 바닥에 배관되는 온수관 또는 상하수관이나 상기 천장 또는 바닥을 견고히 하기 위해 배근된 철근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170)는 전기단자함(100)이 매설되는 천장 또는 바닥 등에 배관 및 배근된 관(20) 또는 철근의 크기와 배관 위치에 관계없이, 탄성 및 연성을 갖는 상기 완충부재(170)가 상기 관(20) 또는 철근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여 상기 전기단자함(100)의 안정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관(20) 또는 철근은 전도체이므로, 전기단자함(100)에 안착된 분전용 커넥터(140)에서의 누전류가 흘러가 예기치 못한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170)는 전도체일 수 있는 상기 관(20) 또는 철근과 전기단자함(100) 간 절연을 이룬다.
상기 지지대(160)와 완충부재(170) 간의 결합은 상기 지지대(160)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고정핀(162)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162)은 스펀지 구조를 이루는 완충부재(170)에 박혀 들어가 지지대(160)와 완충부재(170)를 고정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단자함(100)은 본체(130) 내에 분전용 커넥터(140)가 안착되고,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의 상면은 덮개(110)가 씌워져 보호된다.
또한, 상기 본체(130)의 하방에는 지지대(160)가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이루면서, 상기 공간의 습기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130) 안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 차단막(150)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차단돌부(131)의 외곽 바닥면에는 배수구멍(133)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멍(133)은 상기 인입홈(132)을 통해 유입된 응결된 습기가 상기 지지대(16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배수되는 습기는 우선적으로 상기 차단막(150)에 흡수되면서, 본체(130) 내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용 커넥터(140,140')는 그 높이를 달리하여 배선 높이를 분류함으로서, 본체(130) 내에 인입된 다수의 전선(10)이 복잡하게 얽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통상,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140')의 높낮이는 베이스(141)의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단자함(100)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시멘트 몰탈에 매몰되는 전선(10)을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전선(10)으로 인한 시멘트 몰탈 내 중공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시멘트 몰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시멘트 몰탈에 매설되는 전선(10)의 수를 줄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시멘트 몰탈 내에 매설되는 전기단자함(100)에서 분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분전은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는 베이스(141)와, 상기 베이스(141)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안착블록(142)과, 상기 안착블록(14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통전블록(143)과, 상기 통전블록(143)을 상방에서 눌러 전선(10)을 고정하는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을 고정하는 커버(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140)의 일실시예를 통해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140)의 일실시예는 하나의 전선(10)을 세 전선으로 분전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전선의 접속이 용이하고 컴팩트하면서 안정된 구조로 되어서, 필요한 경우 상기 본체(130)에 긴밀하게 정렬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는 8개의 안착블록(142)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면서 사각형상으로 배열되되, 두 개의 안착블록(142)이 일면을 이루게 한다.
상기 안착블록(142)의 상면에는 소정의 홈(142a)이 형성된다.
상기 홈(142a)에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의 통전블록(143)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통전블록(143)은 상기 홈(142a)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필요한 경우 상기 통전블록(143)을 상기 안착블록(142)으로부터 탄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전블록(143)은 전선과 통전하는 동시에 상기 전선을 고정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통전블록(143)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서 상기 홈(142a) 안으로 삽입된 전선(10)을 통전블록(143)이 상방에서 힘을 가해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통전블록(143) 자체가 도체이므로 전선(10)과 통전된다.
한편, 상기 통전블록(143)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에 의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선(10)은 전선(10)으로 흐르는 전류가 교류든 직류든 간에 정상적인 회로구성을 위해 두 개의 전선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선(10)을 분전할 경우에도 이러한 두 극성을 고려하여 분전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블록(142)이 베이스(141) 상에 사각으로 정렬할 시,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는 안착블록이 각각의 일면을 이루도록 하여서, 상기 일면을 이루는 두 개의 안착블록(142)이 양 극성을 갖게 한다.
즉, 사각의 일면을 이루는 한 쌍의 안착블록(142)이 하나의 전선(10)과 통전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술한 안착블록(142)을 통한 분전을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안착블록이 한 쌍을 이루면서 사각의 일면을 이룰 경우, 두 개의 안착블록 내 통전블록은 남은 3면의 안착블록들의 각 하나들과 전체적으로 통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네 면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안착블록 내 통전블록 중 하나씩이 두 개의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을 통해 각각 통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전극(144)과 제2전극(145)은 상호 합선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형상을 이룬다.
우선, 제1전극(144)은 상기 안착블록(142)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통전블록(143)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평판형상을 한 4개의 돌부(144a)를 각 말단에 포함하고, 중간부는 상기 안착블록(142)으로 둘러싸인 베이스(141)의 중심부로 절곡된 절곡부(144b)를 이룬다.
한편, 제2전극(145)은 상기 제1전극(144)과 마찬가지로 4개의 돌부(145a)를 각 말단에 포함하나, 상기 절곡부(144b)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절곡부(144b)가 상기 제1전극(144)과 제2전극(145)이 교차할 때 서로 접하지 않도록 성형된 것으로, 상기 제1전극(144)의 절곡부(144b)로 인해 제2전극(145)은 절곡될 필요없이 그대로 교차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 모두가 절곡부를 갖도록 하여, 베이스(141) 상에서 교차 배치되는 두 전극(144,145)의 접촉을 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은 전선(10)의 말단이 홈(142a)으로 삽입되면, 통전블록(143)을 눌러 전선(10)을 잡아 고정하면서 연결된 전선을 동일한 극성으로 통전시킨다.
결국,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나의 전선(10)이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의 일면에 접속하면, 남은 3면에 접속된 전선들에 분전하면서 각 세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극(144,145)을 일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커버(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41)에는 고정부(147)를 두어 상기 커버(146)가 전극(144,145)을 누르면서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분전용 커넥터(140)의 조립 구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버(146)와 베이스(141) 간의 결합구조가 도 6과 같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커버(146)는 상술한 예와 달리 볼트 고정방식을 탈피하여 원터치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변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146)의 하단면 네모서리 부근에는 종단면이 마름모 형상을 갖는 끼움구(146a)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구(146a)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부(147)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의 고정부재(147a)로 변형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147a)의 내부 상단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칭되게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장공(147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공(147b)에는 각각 제1,2롤축(R1,R2)이 끼워져 장공(147b)의 길이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2롤축(R1,R2)은 제1,2유동롤(147c,147d)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유동롤(147c,147d)의 각 외측에는 라운드 형태의 제1,2판스프링(147e,147f)이 고정볼트(BT)를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유동롤(147c,147d)은 상기 제1,2판스프링(147e,147f)이 각각 탄압하는 힘에 의해 중앙으로 모여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끼움구(146a)와 고정부재(147a)의 구조는 베이스(141)의 상면 네모서리 및 커버(146)의 하면 네모서리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됨으로써 커버(146)를 눌러 끼우기만 하면 아주 쉽고 빠르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즉, 커버(146)를 베이스(141)의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4개의 끼움구(146a)가 4개의 고정부재(147a)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일치시킨다.
그런 다음, 커버(146)를 하강시켜 누르게 되면 마름모 형태의 종단면을 갖는 끼움구(146a)가 두 개의 제1,2유동롤(147c,147d) 사이로 침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구(146a)의 하단은 첨탑 형태로 뾰족하기 때문에 두 개의 제1,2유동롤(147c,147d) 사이로 침투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그러면, 두 개의 제1,2유동롤(147c,147d)은 두 개의 제1,2판스프링(147e,147f)의 탄압력을 이기고 밀려 나게 되므로 제1,2판스프링(147e,147f)은 내벽 쪽으로 변형되면서 탄성복귀에너지가 축적되고, 벌어진 제1,2유동롤(147c,147d) 사이로 침투한 끼움구(146a)는 마름모 형태의 양측 정점을 지난 다음 다시 폭이 좁아지므로 정점을 지난 후에는 제1,2유동롤(147c,147d)이 다시 모이면서 끼워진 끼움구(146a)를 탄성고정하게 된다.
때문에, 웬만한 리프팅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커버(146)는 쉽게 벗겨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단순히 눌러 끼우기만 해도 쉽게 조립 고정할 수 있는 원터치식 조립구조를 갖춤으로써 조립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안착블록(142)에는 스프링 구조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탄성기능을 통전블록(143)에 구현하도록 개량될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제1,2전극(144,145)의 돌부(144a,145a)에는 이를 관통하여 결속볼트(300)가 체결된다.
상기 결속볼트(300)는 볼트머리인 헤드부(310), 상기 헤드부(310)로부터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일정길이 연장된 민자부(330) 및 상기 헤드부(310)로부터 민자부(330)이 일부에 형성된 나사부(3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나사부(320)는 상기 돌부(144a,145a)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부(144a,145a) 상에서만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민자부(330)에는 통전블록(143)이 끼워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통전블록(143)의 상면 중심에는 상기 민자부(3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로드홈(143a)이 요입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로드홈(143a)은 완전히 관통되는 것이 아니라, 통전블록(143) 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깊이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전블록(143)의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끼움고정홈(143b)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통전블록(143)의 하면에는 일정곡률을 갖는 전선고정홈(143c)이 요입형성되는데, 상기 전선고정홈(143c)은 전선(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를 맞무는 형태로 파지하여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끼움고정홈(143b) 각각에는 편형 탄성스프링(400)의 일단이 끼워진다.
상기 편형 탄성스프링(400)은 호형상을 갖는 만곡진 형상의 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끼움고정홈(143b)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돌부(144a,145a)의 하단면에 나사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조를 갖춘 통전블록(143)과 제1,2전극(144,145)이 도 3,4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커버(146)를 끼워 조립하면 자동적으로 통전블록(143)이 전선(10)을 탄성고정하기 때문에 아주 쉽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다.
특히, 상기 통전블록(143)은 탄압력에 따라 상기 결속볼트(300)의 민자부(330)을 타고 상하 유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전선(10)에 가해지는 장력변화에 따라 고정력이 자동조절되면서 탄성 고정하게 된다.
때문에, 전선(10)의 두께차가 발생하더라도 변형 내지 파손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성요소의 일부를 변형함으로써 기존에 얻을 수 없었던 조립상 수월함, 편리함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무엇보다도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 및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전기단자함 110: 덮개
120: 펜스 130: 본체
140: 분전용 커넥터 150: 차단막
160: 지지대 170: 완충부재

Claims (1)

  1. 측벽을 따라 상방이 개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인입홈(132)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차단돌부(131)와,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131) 사이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133)을 갖는 본체(130);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131) 사이에서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돌부가 상기 차단돌부(131)를 따라 나란하게 입설되되, 상기 돌부는 솔형태로 촘촘히 박혀 이루어지는 펜스(120); 상기 인입홈(132)을 통해 상기 본체(130)로 인입된 전선(10)의 말단을 접속 고정시키는 것으로 베이스(141)와, 상면에는 상기 전선(10)의 말단이 삽입되는 홈을 갖추고 상기 베이스(141) 상에 8개가 정렬되되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한 면을 이루면서 사각으로 배치되는 안착블록(142)과, 상기 홈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도성 재질로 되는 통전블록(143)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각 4개의 통전블록(143)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145a)를 구비하는 전도성 제2전극(145)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남은 4개의 통전블록(143)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144a)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2전극(145)과 교차하면서 중간부는 절곡되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제1전극(144)과,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의 상방에서 압력을 가해 고정하는 커버(146)를 갖는 분전용 커넥터(140); 및 상기 인입홈(132)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맞물림 시 상기 인입홈(132)으로 인입된 전선(10)을 잡아 고정하도록 둘레면에 고정홈(111)을 갖추고, 상기 본체(130)의 상면을 덮는 덮개(11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146)의 하단면 네모서리 부근에는 종단면이 마름모 형상을 갖는 끼움구(146a)가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141)의 상면 네모서리에는 상기 끼움구(146a)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부재(147a)가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재(147a)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47a)의 내부 상단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칭되게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장공(147b)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147b)에는 각각 제1,2롤축(R1,R2)이 끼워져 장공(147b)의 길이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롤축(R1,R2)은 제1,2유동롤(147c,147d)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유동롤(147c,147d)의 각 외측에는 라운드 형태의 제1,2판스프링(147e,147f)이 고정볼트(BT)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제1,2유동롤(147c,147d)을 탄압하여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전극(144,145)의 돌부(144a,145a)에는 이를 관통하여 결속볼트(300)가 체결되며; 상기 결속볼트(300)는 볼트머리인 헤드부(310), 상기 헤드부(310)로부터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일정길이 연장된 민자부(330) 및 상기 헤드부(310)로부터 민자부(330)의 일부에 형성된 나사부(3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나사부(320)는 상기 돌부(144a,145a)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부(144a,145a) 상에서만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민자부(330)에는 통전블록(143)이 끼워지도록 통전블록(143)의 상면 중심에는 로드홈(143a)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통전블록(143)의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끼움고정홈(143b)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끼움고정홈(143b) 각각에는 편형 탄성스프링(400)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편형 탄성스프링(400)의 타단은 상기 돌부(144a,145a)의 하단면에 나사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20150139396A 2015-10-02 2015-10-02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626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96A KR101626609B1 (ko) 2015-10-02 2015-10-02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96A KR101626609B1 (ko) 2015-10-02 2015-10-02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609B1 true KR101626609B1 (ko) 2016-06-01

Family

ID=5613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396A KR101626609B1 (ko) 2015-10-02 2015-10-02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289B1 (ko) * 2021-05-28 2021-12-22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케이블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13B1 (ko) 2006-04-06 2006-09-20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JP2009277631A (ja) * 2008-05-19 2009-11-2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壁用電装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13B1 (ko) 2006-04-06 2006-09-20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JP2009277631A (ja) * 2008-05-19 2009-11-2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壁用電装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289B1 (ko) * 2021-05-28 2021-12-22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케이블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424B1 (ko) 배전선 안착용 전선라인 절연대
KR100633457B1 (ko)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아파트의 배전함
KR100626413B1 (ko)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KR100978866B1 (ko)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KR101733111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199516B1 (ko)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KR101626609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884013B1 (ko)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101262793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JPS62104417A (ja) フロアパネルの配線装置
KR100699920B1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100626412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의 고정구조
KR20140132626A (ko) 인입선 지지 구조체
KR101811007B1 (ko) 시공이 편리한 분전반
KR100616139B1 (ko) 다세대주택의 다전선 배선박스의 위치조절구조
KR101908692B1 (ko) 전기 온돌판넬 모듈 및 이를 갖는 전기 온돌시스템
KR100842794B1 (ko)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전기선 매설구조
KR100925970B1 (ko)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KR10217473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KR102341289B1 (ko)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케이블 고정장치
KR20200144285A (ko) 전기통신용 시스템박스
KR101920968B1 (ko) 저압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