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970B1 -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 Google Patents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970B1
KR100925970B1 KR1020070034347A KR20070034347A KR100925970B1 KR 100925970 B1 KR100925970 B1 KR 100925970B1 KR 1020070034347 A KR1020070034347 A KR 1020070034347A KR 20070034347 A KR20070034347 A KR 20070034347A KR 100925970 B1 KR100925970 B1 KR 10092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unit
duct
plug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906A (ko
Inventor
허성수
김동욱
박성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97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6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conductor and enclosure
    • H02G5/068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conductor and enclosure being part of the junction between two enclo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75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wo blocks, e.g. by mea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인 유닛의 브러시 홀더와 베이스에 각각 요철을 주고 베이스와 브러시 사이에 그리고 베이스와 상면 덕트 사이에 개스킷 개재시켜 전체적인 방수 및 방오(防汚) 성능을 향상시킨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31)은 기부를 이루는 베이스(35), 상기 베이스(35) 위에 덮이도록 결합되는 커버(37), 및 상기 베이스(35)와 커버(37) 사이에 접촉 브러시(33)를 고정하도록 개재되는 브러시 홀더(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러그인 유닛에 의하면, 베이스와 브러시 홀더의 접촉 부분에 형성된 요철부와 이 요철부 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에 의해 플러그인 유닛 내부로의 물이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여 이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부스 덕트, 플러그인 유닛, 방수, 방오, 요철부

Description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 구비하는 부스 덕트{Waterproof Plug-in Unit for Bus Duct and Bus Duct comprising the Plug-in Unit}
도 1은 종래의 플러그인 유닛을 구비한 부스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인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유닛이 적용된 부스 덕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러그인 유닛의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플러그인 유닛의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플러그인 유닛의 브러시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부스 덕트 2, 3 : 상하면 덕트
5 : 측면 덕트 10 : 덕트부
11 : 부스바 20 : 접속부
31 : 플러그인 유닛 33 : 접촉 브러시
35 : 베이스 37 : 커버
39 : 브러시 슬롯 41 : 브러시 홀더
45 : 끼워 맞춤 슬롯 47, 48 : 요철부
47 : 오목홈 48 : 돌출부
51, 53 : 개스킷
본 발명은 부스 덕트용 플러그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인 유닛의 브러시 홀더와 베이스에 각각 요철을 주고 베이스와 브러시 사이에 그리고 베이스와 상면 덕트 사이에 개스킷을 개재시켜 전체적인 방수 및 방오(防汚) 성능을 향상시킨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는 전력 배선 방식으로 전선케이블을 이용한 배선 방식을 널리 채용하여 왔으나, 최근 들어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대단위 공장 등 건축물의 전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부스바를 사용하는 부스 덕트에 의한 배선 방식의 채용이 확산되고 있다. 부스 덕트와 케이블은 도체와 절연체를 가지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케이블과 비교하여 볼 때, 부스 덕트는 대량의 전류를 도체를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금속 덕트로서 도체와 절연체를 보호할 수 있고, 증설과 이설이 가능하며, 사고 발생 시 사고 처리가 용이하고, 계통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부스 덕트의 한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부스 덕트(101)를 들 수 있다. 이 부스 덕트(101)는 덕트부(110) 양단에 형성된 접속부(120)의 형태가 동일한 동형 접속부를 구비한 부스 덕트로서, 도시된 것처럼 덕트부(110)와, 이 덕트부(110)의 양단에 형성된 동형 접속부(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덕트부(110)는 다시 상면 덕트(102)와 하면 덕트(103) 그리고 상하면 덕트(102, 103)를 연결하는 측면 덕트(105)로 구성되며, 측면 덕트(105)에는 중심선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보강나사부(109)가 체결되어 있는 한편, 접속부(120)는 덕트부(110)에서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부스바(11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부스 덕트(101)는 부하 분기를 위해 도시된 것처럼 상면 덕트(102) 위에 플러그인 유닛(131)이 장착되는바, 이 플러그인 유닛(131)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상면 덕트(102)에는 복수의 접촉 브러시(133)가 쌍을 이루며 관통되어 있으며, 각 브러시(133)의 상단은 단면 'ㄴ'자 형태로 절곡 되어 있는 반면, 하단은 덕트부(110)의 내부에서 부스바(111)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플러그인 유닛(131)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브러시(133)와 결합되는 베이스(135)와 베이스(135) 위를 덮도록 베이스(135)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137)로 구성되어, 상면 덕트(102) 위에 장착될 때 베이스(135)에 관통된 복수의 브러시 슬롯(139)에 접촉 브러시(133)가 삽입되도록 하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137)에 의해 브러시(133)가 삽입된 베이스(135) 상면을 덮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플러그인 유닛(131)은 베이스(135)와 상면 덕트(102) 또는 베이스(135)와 브러시(133) 사이의 틈새가 개스킷에 의해서만 밀봉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인 방수성능이 높지 않아 실질적인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부스 덕트용 플러그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플러그인 유닛의 베이스에 덕트부로부터 돌출된 브러시를 고정하기 위해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브러시 홀더를 장착함과 동시에, 베이스와 브러시 홀더의 접촉 부분을 요철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베이스의 상하면에 개재되는 개스킷과 함께 플러그인 유닛의 방수 및 방오 성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부를 이루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덮이도록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접촉 브러시를 고정하도록 개재되는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덮는 판형 몸체부와, 상기 브러시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관통된 복수의 끼워 맞춤 슬롯으로 이루어져 있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러시 홀더는 접촉부분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끼워 맞춤 결합되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요철부는 브러시 슬롯을 에워싸면서 상기 베이스 상면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끼워 맞춤 슬롯을 에워싸면서 상기 브러시 홀더 저면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러시 홀더 사이에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러시 홀더의 접촉면을 밀봉하는 개스킷이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하면 덕트 사이에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하면 덕트의 접촉면을 밀봉하는 개스킷이 개재되어 있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스킷은 상기 오목홈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오목홈과 동일한 단면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오목홈에 끼워 맞춤 되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베이스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되, 상기 브러시 슬롯을 에워싸도록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내부에 부스바가 배설된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양단에 형성된 접속부로 구성되며, 상기 덕트부의 상하면 덕트에 플러그인 유닛을 포함하고 있는 부스 덕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유닛은 상기 상하면 덕트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를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 사이에, 상기 부스바에서 상기 상하면 덕트를 관통해 돌출된 접촉 브러시를 고정하도록 브러시 홀더가 개재되어 있는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덮는 판형 몸체부와, 상기 브러시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관통된 복수의 끼워 맞춤 슬롯으로 이루어져 있는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면의 테두리 부분에 브러시 슬롯을 에워싸도록 형성된 오목홈이, 상기 브러시 홀더는 저면의 테두리 부분에 상기 끼워 맞춤 슬롯을 에워싸면서 상기 오목홈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러시 홀더 사이에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러시 홀더의 접촉면을 밀봉하는 개스킷이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하면 덕트 사이에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하면 덕트의 접촉면을 밀봉하는 개스킷이 개재되어 있는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은 도 3에 도면부호 3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5), 커버(37), 및 브러시 홀더(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턱트(1)에 적용된다.
이때, 부스 덕트(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면 덕트(2, 3)와 측면 덕트(5)에 의해 내부의 부스바(11)를 둘러싸고 있는 덕트부(10)와, 이 덕트부(10) 양측단에 형성된 접속부(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좌우의 접속부(20)에 결합되는 조인트 키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이웃한 부스 덕트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부스 덕트(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 덕트(2) 또는 하면 덕트(3)에 플러그인 유닛(31)이 장착되는바, 이 플러그인 유닛(31)은 상면 덕트(2)를 관통하여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 브러시(33)와 결합되어 덕트부(10) 내부를 통과하는 부스바(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플러그인 유닛(31)은 기본적으로 기부를 이루며 상면 덕트(2)에 장착되는 베이스(35)와 이 베이스(35)를 덮기 위해 베이스(35)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37)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베이스(35)와 커버(37) 사이에 덕트부(10)의 상면 덕트(2)를 뚫고 올라온 접촉 브러시(33)를 고정하기 위한 브러시 홀더(41)가 추가로 장착된다.
여기에서, 베이스(35)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단이 경사져 있는 두꺼운 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전후좌우 4 모서리 부분에 상면 덕트(2)로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5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면의 좌우 양측단 어느 한 쪽에 커버(37)를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힌지 소켓(59)이 앞뒤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향 측단의 상변 중앙에는 스냅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35)는 또한, 상면 중앙에 4개의 브러시 슬롯(39)이 위아래로 관통되어 있는바, 각각의 슬롯(39)은 좌우로 긴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좌우로 어긋난 상태에서 횡배열 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35)는 상면 덕트(2) 위에 장착될 때, 상면 덕트(2)를 관통하여 돌출된 복수의 접촉 브러시(33)가 브러시 슬롯(39)에 각각 삽입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유닛(31)의 베이스(35)는 브러시 홀더(41)와 접촉하는 브러시 슬롯(39)을 에워싸고 있는 바깥쪽 테두리 부분에 오목홈(4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37)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버와 마찬가지로 베이스(35)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판체로서, 베이스(35) 상면을 덮도록 예컨대, 베이스(35)의 일측변에 형성된 힌지 소켓(59)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를 위해 커버(37)는 일측 변에 힌지 소켓(59)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힌지핀(6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핀(61)의 대향측 변 중앙에는 베이스(35)의 스냅돌기(61)에 스냅 결합되면서 커버(37)를 베이스(35)에 개폐시키는 스냅훅(65)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부스 덕트(1)에 적용된 플러그인 유닛(31)은 도 10 내지 13에 도시된 브러시 홀더(41)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브러시 홀더(41)는 덕트부(10) 내부의 부스바(11)에서 상면 덕트(2)를 관통하여 돌출된 접촉 브러시(3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는바, 도시된 것처럼 판형의 몸체부(43)와 이 몸체부(43)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끼워 맞춤 슬롯(45)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몸체부(43)는 베이스(35) 상면에 그대로 포개질 수 있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몸체부(43)의 돌출된 끼워 맞춤 슬롯(45)은 베이스(35)의 브러시 슬롯(39) 위로 튀어나온 접촉 브러시(33)에 끼워 맞춤 되어 이 접촉 브러시(33)를 베이스(35) 즉, 플러그인 유닛(3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브러시 홀더(41)는 베이스(35)와 접촉하는 저면의 끼워 맞춤 슬롯(45) 테두리 부분에 끼워 맞춤 슬롯(45)을 에워싸면서 돌출부(48)가 형성되는바, 이 돌출부(48)는 베이스(35) 상면의 오목홈(47)에 끼워 맞춤 결합됨으로써 플러그인 유닛(31)의 내외부 차단 및 내부 밀봉 성능을 보다 확고하게 해준다.
한편, 베이스(35)와 브러시 홀더(41) 사이에는 둘 사이의 틈새를 보다 확실하게 밀봉하기 위해 두 부재의 접촉면에 임의의 형태로 밀봉 부재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바, 예컨대, 베이스(35)의 오목홈(47)과 브러시 홀더(41)의 돌출부(48) 사이에 개스킷(51)을 개재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개스킷(51)은 오목홈(47) 안으로 압입될 수 있도록 오목홈(47)과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갖는 사각링 형태로 제작된다.
아울러, 상면 덕트(2)에 장착되는 플러그인 유닛(31)의 베이스(35) 저면과 상면 덕트(2)의 접촉면 사이에는 베이스(35)와 상면 덕트(2)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개스킷(53)이 개재되는바, 이 개스킷(53)은 플러그인 유닛(31) 장착시 베이스(35) 밖으로 삐져나오지 않도록 베이스(35)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면 덕트(2)를 뚫고 올라온 접촉 브러시(33)가 걸리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브러시 슬롯(39)의 하단을 에워싸는 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의 작용을 설명한다.
위와 같이 플러그인 유닛(31)은 예컨대 부스 덕트(1) 등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부스 덕트(1)의 상하면 덕트(2, 3)에 장착되어, 부스바(11)에 유기되는 부하를 외부로 분기할 수 있게 되는바, 플러그인 유닛(31)의 본래적 의미로서 부스바(11)와 외부 물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러그인 유닛(31)의 베이스(35) 위에 커버(37)를 설치함으로써 개방된 베이스(35)로 인해 이물질이 유닛(3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베이스(35)와 커버(37) 또 베이스(35)와 상하면 덕트(2, 3) 사이에 개스킷(51, 53)을 개재시킴으로써 베이스(35)와 커버(37) 또는 상하면 덕트(2, 3) 사이의 틈새로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베이스(35)와 커버(37) 사이에 개재되는 브러시 홀더(41)뿐 아니라, 이 홀더(41)와 베이스(35)의 접촉면에 형성된 요철부(47, 48)는 상호 간의 끼움 맞춤에 의한 결합을 통해 플러그인 유닛(31)의 위와 같은 방수 및 방오 성능을 일층 강화하게 되며, 특히 개스킷(51)은 오목부(47)와 돌출부(48)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배증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에 의하면, 플러그인 유닛의 베이스와 이 베이스 위를 덮는 커버 사이에 그리고, 플러그인 유닛이 장착되는 덕트부의 상하면 덕트와 베이스 사이에 개스킷을 개재시키고, 또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접촉 브러시를 고정하는 브러시 홀더를 장착하며, 이에 더해 베이스와 브러시 홀더의 접촉 부분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끼워 맞춤 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의 상면과 커버 또는 베이스와 브러시 홀더 그리고 베이스 하면과 상하면 덕트 각각의 접촉면 틈새를 통해 플러그 유닛 내부로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부스 덕트는 플러그인 유닛의 방수 및 방오 성능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궁극적으로 침수 등으로 인한 고장을 줄이고, 가용 수명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기부를 이루는 베이스(35),
    상기 베이스(35) 위에 덮이도록 결합되는 커버(37), 및
    상기 베이스(35)와 커버(37) 사이에 접촉 브러시(33)를 고정하도록 개재되는 브러시 홀더(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41)는 상기 베이스(35)의 상면을 덮는 판형 몸체부(43)와, 상기 브러시(33)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몸체부(43)에 관통된 복수의 끼워 맞춤 슬롯(45)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5)와 브러시 홀더(41)는 접촉부분에 요철부(47, 48)가 형성 되어 끼워 맞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47, 48)는 베이스(35)에 형성된 브러시 슬롯(39)을 에워싸면서 상기 베이스(35) 상면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오목홈(47)과, 상기 오목홈(47)에 결합되도록 상기 브러시 홀더(41) 저면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48)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은 부스 덕트(1)의 상하면 덕트(2, 3)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35)와 상기 브러시 홀더(41) 사이에 상기 베이스(35)와 상기 브러시 홀더(41)의 접촉면을 밀봉하는 개스킷(51)이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35)와 상기 상하면 덕트(2, 3) 사이에 상기 베이스(35)와 상기 상하면 덕트(2, 3)의 접촉면을 밀봉하는 개스킷(53)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47, 48)는 베이스(35)에 형성된 브러시 슬롯(39)을 에워싸면서 상기 베이스(35) 상면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오목홈(47)과, 상기 오목홈(47)에 결합되도록 상기 브러시 홀더(41) 저면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48)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스킷(51)은 상기 오목홈(47)과 상기 돌출부(48)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오목홈(47)과 동일한 단면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오목홈(47)에 끼워 맞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53)은 상기 베이스(35)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되, 베이스(35)에 형성된 브러시 슬롯(39)을 에워싸도록 중앙에 개구(5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8. 내부에 부스바(11)가 배설된 덕트부(10)와, 상기 덕트부(10)의 양단에 형성된 접속부(20)로 구성되며, 상기 덕트부(10)의 상하면 덕트(2, 3)에 플러그인 유닛(31)을 포함하고 있는 부스 덕트(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유닛(31)은 상기 상하면 덕트(2, 3)에 부착되는 베이스(35)와 상기 베이스(35) 위를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37) 사이에, 상기 부스바(11)에서 상기 상하면 덕트(2, 3)를 관통해 돌출된 접촉 브러시(33)를 고정하도록 브러시 홀더(41)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41)는 상기 베이스(35)의 상면을 덮는 판형 몸체부(43)와, 상기 브러시(33)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몸체부(43)에 관통된 복수의 끼워 맞춤 슬롯(45)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10.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5)는 상면의 테두리 부분에 브러시 슬롯(39)을 에워싸도록 형성된 오목홈(47)이, 상기 브러시 홀더(41)는 저면의 테두리 부분에 상기 오목홈(47)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돌출부(48)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5)와 상기 브러시 홀더(41) 사이에 상기 베이스(35)와 상기 브러시 홀더(41)의 접촉면을 밀봉하는 개스킷(51)이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35)와 상기 상하면 덕트(2, 3) 사이에 상기 베이스(35)와 상기 상하면 덕트(2, 3)의 접촉면을 밀봉하는 개스킷(53)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KR1020070034347A 2007-04-06 2007-04-06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KR10092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347A KR100925970B1 (ko) 2007-04-06 2007-04-06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347A KR100925970B1 (ko) 2007-04-06 2007-04-06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06A KR20080090906A (ko) 2008-10-09
KR100925970B1 true KR100925970B1 (ko) 2009-11-09

Family

ID=4015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347A KR100925970B1 (ko) 2007-04-06 2007-04-06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642B1 (ko) * 2011-03-11 2012-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플러그 인 버스웨이
KR20140040411A (ko) * 2012-09-26 2014-04-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배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시스템
CN108777465B (zh) * 2018-07-10 2023-06-27 镇江加勒智慧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中心专用防错相联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613A (ja) * 1988-06-08 1990-02-09 General Electric Co (Ge) 電気母線路システム用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
KR200323651Y1 (ko) 2003-05-07 2003-08-19 엘지전선 주식회사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KR20060037975A (ko) * 2004-10-29 2006-05-03 삼성물산 주식회사 플러그인몰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613A (ja) * 1988-06-08 1990-02-09 General Electric Co (Ge) 電気母線路システム用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
KR200323651Y1 (ko) 2003-05-07 2003-08-19 엘지전선 주식회사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KR20060037975A (ko) * 2004-10-29 2006-05-03 삼성물산 주식회사 플러그인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06A (ko)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423B2 (en) Contact region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mber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KR100986678B1 (ko) 플러그 인 부스 덕트
KR100925970B1 (ko)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JP7366833B2 (ja) 端子台
AU2007349106C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KR200345657Y1 (ko) 케이블 트레이의 그라운드 본딩 점퍼 결합 구조
KR20110061724A (ko) 통전율 증가를 위한 부스덕트 접속부재
CN212033714U (zh) 一种防水防尘母线槽
CN212811231U (zh) 一种密集型母线槽
KR20110139439A (ko) 커넥터용 블록시일
KR100912577B1 (ko)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US20200350729A1 (en) Plug connector of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and set comprising a plug connector and functional element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KR102249090B1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KR101263621B1 (ko)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TWM606365U (zh) 插頭連接器
US20030181087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147058B1 (ko) 조립식 분전반
KR20190050069A (ko) 부스덕트
KR100995433B1 (ko) 편리하고 안전한 전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선을 연결하는 방법
KR101626609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US916632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guard
CN215070550U (zh) 一种穿墙式连接器
KR101501990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