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651Y1 -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651Y1
KR200323651Y1 KR20-2003-0014135U KR20030014135U KR200323651Y1 KR 200323651 Y1 KR200323651 Y1 KR 200323651Y1 KR 20030014135 U KR20030014135 U KR 20030014135U KR 200323651 Y1 KR200323651 Y1 KR 200323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lug
coupling body
brush coupl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주
김형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131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23651(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4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6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덕트에서의 부하분기를 위해 플러그인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 설치되며 플러그인 브러쉬가 삽입되어 버스바로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갖는 브러쉬 결합본체와 브러쉬 결합본체를 보호하는 결합본체 커버로 구성되는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는 플러그인 브러쉬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와, 상기 각 삽입구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플러그인 브러쉬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브러쉬 결합본체; 및 상기 브러쉬 결합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결합본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PLUG IN BRUSH DOCKING UNIT}
본 고안은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덕트로부터 부하를 분기할 때에 버스덕트와의 결합부재로서 브러쉬 한 쌍을 조합한 플러그인 브러쉬를 사용하는 경우에 플러그인 브러쉬를 버스덕트로 안내하는 브러쉬 결합본체와 브러쉬 결합본체를 덮는 결합본체 커버로 이루어진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나 변전소로부터의 전력을 송전하는 버스덕트로부터 일정량의 부하를 인출할 경우에 부하분기장치가 필요한데, 부하분기장치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인출도선 또는 버스바를 접속하여 일정량의 전력을 끌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부하분기장치로서 종래에는 탭바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도 8은 종래의 탭바방식을 채택한 부하분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버스덕트의 부하분기장치는 버스덕트(60) 내부의 버스바(미도시)에 용접을 통해 탭바(63)를 체결하고 주위에 절연부(미도시)를 형성하며, 버스바와 결합된 탭바(63)는 플랙시블바(64)를 통해 부하 분기용 차단기(70)의 1차측(71)과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이 때 플랙시블바(64)와 탭바(63)는 상호간 포개어진 상태에서 볼트(65)에 의해 접속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상기한 탭바방식을 이용한 부하분기는, 주전원인 버스바에 탭바(63)를 형성하고, 부하 분기용 차단기(70)에 연결되는 플랙시블바(64)와 탭바(63)를 볼트(65)로 조임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부하분기장치를 새로이 설치하거나 또는 차단기를 교체할 때에는 수 많은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탭바와 플렉시블바를 조이고, 토크렌치로 조임상태를 항상 확인해야 하므로 40 또는 50분 이상의 교체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인터넷 데이터 센터나 반도체를 생산하는 공장과 같이 중요장치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막대한 교체시간에 따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하를 바꾸거나 전원을 끊고자 할 경우 및 라인변경시에는 수작업으로 탭바의 볼트를 풀고 다시 조여야 하므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항상 전기실이나 기계실에 설치된 메인 차단기를 차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감시소흘로 감전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부분적인 부하를 차단하는 경우에도 메인 차단기를 차단해야 하기 때문에 메인 차단기에 연결되는 모든 부하가 동시에 차단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탭바를 버스덕트의 버스바에 부착하기 위해 용접을 이용해야 했는데, 용접은 번거롭고 위험한 기피작업으로서 작업자를 구하기도 어렵고 소요되는 비용도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플러그인 방식을 이용한 플러그인 브러쉬를 사용하여 간편한 조작에 의해 대용량의 부하분기를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인 브러쉬를 버스덕트에 손쉽게 장착하거나 해제시킬수 있도록 한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인 브러쉬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와 상기 각 삽입구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플러그인 브러쉬를 수용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브러쉬 결합본체; 및 상기 브러쉬 결합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평판형의 결합본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브러쉬 결합본체는 상기 복수의 삽입구들의 외측으로 버스덕트에 장착되는 플렌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는 수직한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4개의 면 중 대향하는 한 쌍의 면에는 버스바가 삽입되는 버스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브러쉬 결합본체는 절연성의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인 브러쉬는 전도체인 한 쌍의 브러쉬와 브러쉬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러쉬 결합본체의 각 삽입구는 상기 한 쌍의 브러쉬에 대응하는 쌍을 이루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러그인 브러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러그인 브러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가 버스덕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의 브러쉬 결합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의 브러쉬 결합본체와 버스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의 브러쉬 결합본체가 버스덕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에 부하 분기용 차단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탭바방식을 채택한 부하분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
1: 플러그인 브러쉬 2: 브러쉬
3: 클립 5: 브러쉬 홀더
20: 브러쉬 결합본체 21: 삽입구
22: 플랜지 23: 가이드부
24: 버스바 수용홈 27: 결합본체 커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를 사용하는 플러그인 브러쉬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러그인 브러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러그인 브러쉬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1)는 버스덕트(미도시)의 버스바(미도시)와 접속하는 복수의 브러쉬(2), 브러쉬(2)가 삽입되는 브러쉬 홀더(5) 및 각 브러쉬(2)의 일측과 접속하는 단자대(10)로 구성된다.
브러쉬(2)는 전도체인 막대형상으로 버스바(미도시)와 탈착하기 위해 일단이 갈라진 형상의 클립(3)이 형성된다.
브러쉬 홀더(5)는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 브러쉬(2)가 삽입되는 복수의 브러쉬 수용부(6)와 상기 브러쉬 수용부(6)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7)이 형성된다. 지지판(7)에는 브러쉬 수용부(6)의 위로 노출된 브러쉬(2)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로 결합되는 단자대(10)가 설치된다.
접속바(15)는 버스바의 재질과 관계없이 구리 등의 재질로 구성되고, 접속된 브러쉬(2)로부터 끌어온 전류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며, 단자대(10)의 일측은 브러쉬(2)의 상단일측과 볼트(11)로 고정하여 접속한다. 접속바(15)에는 부하 분기용 차단기(미도시)는 플랙시블바(19)를 통해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가 버스덕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의 브러쉬 결합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는 플러그인 브러쉬(미도시)의 접속을 안내하는 브러쉬 결합본체(20)와 브러쉬 결합본체(20)를 보호하는 결합본체 커버(27)로 구성된다.
브러쉬 결합본체(20)의 상면에는 사각으로 관통된 복수의 브러쉬 삽입구(21)가 정열되어 형성되고 브러쉬 삽입구(21)의 외측의 가장자리에는 버스덕트(30)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2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각 브러쉬 삽입구(21)로부터 연장된 4개의 면에 의해 사각의 통로를 형성하여 플러그인 브러쉬를 버스바(미도시)로 안내하는 가이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브러쉬 결합본체(20)가 버스덕트에 장착될 때 가이드부(23)에 버스바의 상부가 수용되어야 하므로, 가이드부(23)의 4면 중 한 쌍의 마주보는 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버스바 수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브러쉬 결합본체(20)는 각 플러그인 브러쉬 상호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의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된다.
결합본체 커버(27)는 버스덕트에 장착되거나 또는 버스덕트에 인접한 다른 곳에 장착되는 것 중 어느 것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덕트에 인접한 다른 장치(39)에 장착하였다. 이 때 결합본체 커버(27)는 브러쉬 결합본체(20)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결합본체 커버(27)의 일측이 장치(39)에 힌지(28)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의 브러쉬 결합본체가 버스덕트에 장착된 내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의 브러쉬 결합본체가 버스덕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덕트(30)에 브러쉬 결합본체(20)가 결합되면 각 가이드부(23)의 버스바 수용홈(24)에 버스바(31)의 상부가 수용된다. 이에 따라 브러쉬 결합본체(20)의 삽입구(21)에 플러그인 브러쉬(미도시)가 삽입되면, 삽입된 각 플러그인 브러쉬는 버스바(31)의 일부를 프레스 성형한 접속구(33)와 접속하게 된다. 버스바(31)의 접속구(33) 인접부는 플러그인 브러쉬가 삽입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에 부하 분기용 차단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박스(50)에는 일정크기 이상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부하 분기용 차단기(40)와 플러그인 브러쉬(1)가 내장되고, 차단기 박스(50)는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가 설치되는 버스덕트(30)의 상부에 설치된다.
부하 분기용 차단기(40)는 플러그인 브러쉬(1)의 플렉시블바(19)와 접속하는1차측(41)과 플러그인 브러쉬(1)로부터 받은 전류를 부하로 내보내는 2차측(42)이 형성되고, 일정크기 이상의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기 스위치(43)가 구비되어 있다.
부하 분기용 차단기(40)와 플렉시블바(19)를 통해 연결된 플러그인 브러쉬(1)는 브러쉬 결합본체(20)의 삽입구(21)를 통해 버스덕트(30) 내부로 삽입되고, 브러쉬(2)의 클립(3)이 버스덕트 내부에서 버스바(미도시)에 접속된다. 플러그인 브러쉬(1)는 2조의 브러쉬(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1개의 버스바에 2조의 브러쉬(2)가 결합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결합본체 커버(27)는 브러쉬 결합본체(20)를 덮는 사각의 평판으로 브러쉬 결합본체(20)에 인접하도록 힌지를 통해 고정되므로, 브러쉬 결합본체(20)에 플러그인 브러쉬(1)를 결합하지 않을 때는 결합본체 커버(27)로 덮어서 보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브러쉬 결합본체에 8개의 삽입구를 형성하였으나, 이는 4상의 버스바를 사용한 경우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고안은 브러쉬 결합본체에 4, 6개의 삽입구를 형성하거나 8개 이상의 삽입구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브러쉬 결합본체의 삽입구 및 가이드부의 형상으로 사각형을 채택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하지 않고, 육각형이나 모서리에 라운드를 형성한 직사각형의 형상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가 적용되는 장치로서 버스덕트를 채택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하지 않고,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장치를 저압배전반(MCC반)의 버스바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에 따르면, 전원의 인출용량이 제한되어 버스덕트나 배전반에는 사용이 곤란하였던 단독의 브러쉬를 개량한 2조의 플러그인 브러쉬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버스덕트와 상기한 플러그인 브러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를 사용하여 버스덕트에 플러그인 브러쉬를 접속함으로써 대용량의 전원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대용량의 부하분기에 사용이 편리한 플러그인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통전중에도 메인 차단기를 차단하지 않은 채로 차단기박스를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므로, 메인 차단기에 연결된 다른 부하는 그 동안에도 사용을 계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단기 박스를 버스덕트에 설치할 때에 차단기 박스를 플러그인 홀에 삽입만 하면되므로,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인 브러쉬(1)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21)와 상기 각 삽입구(21)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플러그인 브러쉬(1)를 수용하는 가이드부(23)로 이루어지는 브러쉬 결합본체(20); 및
    상기 브러쉬 결합본체(2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평판형의 결합본체 커버(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결합본체(20)는 상기 복수의 삽입구(21)들의 외측으로 버스덕트(30)에 장착되는 플렌지(2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3)는 수직한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4개의 면 중 대향하는 한 쌍의 면에는 버스바(31)가 삽입되는 버스바 수용홈(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결합본체(20)는 절연성의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브러쉬(1)는 전도체인 한 쌍의 브러쉬(2)와 브러쉬 홀더(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러쉬 결합본체(20)의 각 삽입구(21)는 상기 한 쌍의 브러쉬(2)에 대응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장치.
KR20-2003-0014135U 2003-05-07 2003-05-07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KR200323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135U KR200323651Y1 (ko) 2003-05-07 2003-05-07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135U KR200323651Y1 (ko) 2003-05-07 2003-05-07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651Y1 true KR200323651Y1 (ko) 2003-08-19

Family

ID=4941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135U KR200323651Y1 (ko) 2003-05-07 2003-05-07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6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22B1 (ko) * 2005-10-13 2007-07-10 엘지노텔 주식회사 핫 플러그인 보호 장치
KR100925970B1 (ko) 2007-04-06 2009-11-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22B1 (ko) * 2005-10-13 2007-07-10 엘지노텔 주식회사 핫 플러그인 보호 장치
KR100925970B1 (ko) 2007-04-06 2009-11-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0464B2 (en) Device for a busbar system
US5202538A (en) Portable power distribution cabinet
EP2181487B1 (en) Panelboard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US7247045B1 (en) Modular connection assembly
US11837829B2 (en) Adapter device for power busbar systems
GB2477182A (en) Configurable deadfront fuse board
US5627720A (en) Power distribution box with surge suppressor
WO1996030980A3 (de) Schienenkanalsystem einer niederspannungs-schaltanlage
HU223704B1 (hu) Bővíthető funkcionális fővezeték egység kisfeszültségű villamos kapcsolómezőhöz
KR20080003842U (ko) 배전반
JP6209277B2 (ja) バスバーキット
KR10099685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WO2020204344A1 (ko) 전원 분배장치
KR200323651Y1 (ko)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KR200331163Y1 (ko) 배전반
EP2124303A1 (en) Adapter, adapter in combination with an MCCB for a low voltage switchboard, use of such adapter and an electric switchboard comprising such adapter
US11784468B2 (en) Busbar board
US7121856B2 (en) Device for connection of busbars to equipment of an electrical switchboard
KR200317638Y1 (ko) 플러그인 브러쉬장치
US10297985B2 (en) Modular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same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CN220306716U (zh) 用于开关柜的分线盒及开关柜
JPH0684710U (ja) 無停電分電盤
CN210403622U (zh) 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221

Effective date: 2008082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23

Effective date: 20090515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617

Effective date: 2009082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901

Effective date: 20090930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