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621B1 -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 Google Patents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621B1
KR101263621B1 KR1020120028260A KR20120028260A KR101263621B1 KR 101263621 B1 KR101263621 B1 KR 101263621B1 KR 1020120028260 A KR1020120028260 A KR 1020120028260A KR 20120028260 A KR20120028260 A KR 20120028260A KR 101263621 B1 KR101263621 B1 KR 10126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aling groove
sealing
dustproof
bu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하타
백승호
이기영
권용훈
주성은
최미정
이경민
Original Assignee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1Tubular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전송용 부스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진 및 방수 보호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 실링 구조를 갖는 부스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의 실링 구조는, 전력 공급용 부스덕트의 커버를 형성하며, 그 커버는 수형 덕트 형상의 제1 하우징과 암형 덕트 형상의 제2 하우징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돌출 부분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이 서로 맞닿게 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방진 및 방수를 위한 실링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실링홈의 길이에 대응되는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 실링재가 삽입된 채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HOUSING SEALING STRUCTURE FOR BUS DUCT CORRESPONDING TO DUSTPROOF AND WATERPROOF GRADE}
본 발명은 전력 전송용 부스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진 및 방수 보호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 실링 구조를 갖는 부스덕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대단위 공장 등 건축물의 전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부스 형태의 부스덕트에 의한 배선 방식의 채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부스덕트는 내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도체의 부스바가 내재되고 외부로는 보호기능을 하면서 접지 역할을 하는 하우징이 형성되고, 각각의 부스덕트는 조인트 키트에 의해 도체는 도체끼리 연결되고 외부 접지는 접지끼리 서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외부 접지 연결시에는 하우징과 조인트 키트간에 덕트 측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부스덕트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그 내부는 외부로부터 폐쇄되어 방진 및 방수가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도 1은 종래의 부스덕트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스덕트(10)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의 도체가 삽입되는 데 이는 생략되어 도시된다.
제2 하우징(12)은 'H'문자 형태에 일측 양단이 'ㄱ'자 형태로 굴곡되어 '
Figure 112012022488764-pat00001
' 형태를 취하며, 제1 하우징(11)은 모자 형태인 '
Figure 112012022488764-pat00002
'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11, 12)이 결합되면 중심부에 도체가 위치되는 내부 영역이 형성되고 최종적으로 양쪽 하우징은 볼트에 의해 체결되게 된다.
이때 외부로부터의 방진 및 방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종래의 부스덕트(10)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서로 맞닿는 면에 젤 형태의 실리콘(13)을 고르게 도포하고 도포면 실리콘이 경화되면서 제1 및 제2 하우징(11, 12)이 맞닿는 면에서의 실링을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실리콘(13)을 도포하는 방식은 부스덕트를 조립할 때마다 일일히 시리콘을 도포해야 하므로 조립 공정 시간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부스덕트의 조립이 잘못되어 재조립을 해야 하는 경우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 실리콘이 경화되어 해체가 어려우며 해체가 된다 하더라도 경화된 실리콘이 불규칙하게 하우징 내면에 덕지덕지 붙어 있어 품질에서도 문제가 생긴다.
또한, 실리콘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지 못하므로 어느 면에서는 평균치 이하의 두께로 도포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수의 효능이 떨어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방진 및 방수 보호등급 특히 IP65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 하우징의 실링 구조를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부스덕트 조립시 조립 공정이 간편하고, 실링 효율이 개선될 수 있는 부스덕트의 하우징 실링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의 실링 구조는, 전력 공급용 부스덕트의 커버를 형성하며, 그 커버는 수형 덕트 형상의 제1 하우징과 암형 덕트 형상의 제2 하우징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돌출 부분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이 서로 맞닿게 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방진 및 방수를 위한 실링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실링홈의 길이에 대응되는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 실링재가 삽입된 채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이 맞닿는 면에는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실링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모서리와 상기 체결볼트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시키되,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는 실리콘 실링재의 이탈 방지를 위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과 수직인 면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링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시키되, 상기 실링홈의 외주면은 볼록한 구형의 강도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방진 및 방수 보호등급 특히 IP65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 하우징의 실링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스덕트 조립시 조립 공정이 간편하며 재접속 및 보수를 위한 해체가 용이하며, 하우징간의 공간 밀착력을 높여 실링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부스덕트의 하우징 실링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부스덕트의 하우징 실링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의 실링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의 실링 제1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의 실링 제2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의 실링 제3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4 구조의 실링홈 형상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의 실링 구조와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덕트(200)는 내부에 도체 역할을 하는 복수의 부스바(24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덕트부(210, 220)와, 인접한 제1 및 제2 덕트부(210, 220)의 부스바(240)간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 키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진다.
제1 및 제2 덕트부(210, 220)는 각각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 221, 222)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일단이 접하면서 제1 하우징(211, 221)은 수형덕트 형태로, 제2 하우징(212, 222)은 암형덕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하우징(211, 212, 221, 222)은 서로 결합되어 부스바(2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좌우측의 날개을 형성하면서 하우징의 형태를 이루며 형성된다.
덕트부(210, 220)의 좌우측단으로는 조인트 키트(230)와 접속을 위한 덕트 측판(250)이 형성되고, 도체간 연결을 위한 덕트부(210, 220) 외부로 부스바(240)의 말단 부분인 바-엔드(240a)가 노출된다.
양단의 바-엔드(240a)는 조인트 키트(230)의 내부에 마련된 절연판(231) 사이로 내부의 도체판과 연결되어 양단의 부스바(24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편 절연판(231)의 내부로는 도체판(미도시)이 형성되고 도체판 간에는 절연스페이서(미도시)에 의해 서로 절연거리를 유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덕트 측판(250)의 일단은 조인트 키트(230) 외부의 조인트 하우징(232)에 연결되고 타단의 내측은 엔드-블록(260)에 연결되며 타단의 외측은 제1 하우징(211, 221) 및 제2 하우징(212, 222)의 날개부(211a, 211b, 221a, 221b)의 외측으로 연결된다.
제1 하우징(211, 221) 및 제2 하우징(212, 222)의 양단은 축방향으로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날개부(211a, 211b, 221a, 221b)를 형성하고, 상하 날개부간에는 사각 블록 형태의 엔드-블록(260)을 형성시킨다.
엔드-블록(260)은 상부덕트(211, 221) 및 하부덕트(212, 2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표면에 대한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덕트부에 대한 방수 성능 및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의 실링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덕트용 덕트부(310)는 제1 하우징(311)과 제2 하우징(3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한쪽의 덕트부도 동일하게 제1 및 제2 하우징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 및 구조는 한쪽의 덕트부(310)와 동일하다.
제1 하우징(311)은 수형덕트 형태이고, 제2 하우징(312)은 암형덕트 형태로 이루어져 제2 하우징(312)의 내측으로 제1 하우징(311)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어 일체화되고 이를 나사나 볼트에 의해 체결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하우징(311, 312)이 서로 맞닿는 면(제1 하우징(311)의 외측면(313)과 제2 하우징(312)의 내측면(314))은 소정의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 틈을 통해 먼지나 물이 스며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실링을 위해 제1 하우징(311) 외측면(313)의 소정 위치에 실링홈(315)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킬 수 있고, 실링홈(315) 사이에는 실링홈(315)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실리콘 실링재(316)를 삽입시켜 제1 하우징(311)과 제2 하우징(312)을 서로 암수 결합시켜 볼트에 의해 제1 및 제2 하우징(311, 312)을 체결하면,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실리콘 실링재(316)는 제1 및 제2 하우징(311, 312)의 실링면을 더욱 밀착시킴으로써 방진 및 방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제1 하우징(3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실링홈(315)과 실링홈(316)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실리콘 실링재(316)의 결합에 의한 실링 방식은 종래의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방식에 비해 부스덕트의 조립 공정면에서 간편하고 효율적이다.
또한, 실링홈(315)과 실리콘 실링재(316)의 결합은 방진 및 방수 보호등급 특히 IP65등급에 최적화된 모델로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실링홈(315)과 실리콘 실링재(316)의 결합은 재조립 및 보수를 위해 해체가 용이하고 해체한 후에도 하우징의 면에 잔여 실리콘 등이 남지 않는다.
실링홈(315)은 다각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실리콘 실링재(316)는 실링홈(315)의 단면 형태에 따라 그에 맞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실링홈(315)의 형성 위치 및 형성 수는 다양하게 설계가 가능할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본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의 실링 제1 내지 제3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스덕트는 제1 및 제2 하우징(411, 412)의 암수 덕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하우징(411, 412)이 서로 맞닿는 면(413, 414)에는 적정의 갯수로 체결볼트(417)에 의해 체결된다.
제1 및 제2 하우징(411, 412)이 서로 맞닿는 면(제1 하우징의 외측면(413), 제2 하우징의 내측면(414))의 소정 위치에는 실링홈(4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실링홈(415)에는 실리콘 실링재(416)가 삽입되고 체결볼트(417) 체결에 의해 실리콘 실링재(416)는 제1 및 제2 하우징(411, 412)을 더욱 밀착시켜 그 부위에서 방진 및 방수 기능의 실링을 구현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 및 작용효과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제1 구조 내지 제3 구조에 있어 동일하다.
도 4에서 실링홈(415)은 제1 하우징(411)의 모서리측에 형성시킨 예를 보인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링홈(515)은 제1 하우징의 외측면(413)에 형성되며 체결볼트(417)와 제1 하우징(411)의 모서리 사이에 형성시킨 예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실링홈(615)은 한 쌍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며, 제1 하우징의 모서리측과 체결볼트(417)와 제1 하우징(411)의 모서리 사이의 제1 하우징의 외측면(413)에 형성시킨 예를 나타낸다.
특히,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링홈(415, 515, 615) 구조는 제1 하우징 외측면(413, 513, 613)에 형성되므로, 기존의 제1 하우징(411, 511, 611)의 압출 생산 방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실링홈을 형성하는 데 있어 추가적인 가공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도 7은 도 4 구조의 실링홈 형상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 실링 구조는 제1 하우징(711)과 제2 하우징(712)이 결합되어 맞닿는 면에 특히 제1 하우징(711)의 모서리 부분에 실링홈(715)이 형성되는 구조에 있어서 의미가 있다.
모서리에 실링홈(715)이 형성되면 실링홈(715) 자체가 한쪽이 개구되어 단면이 1/4 원 형태가 되므로 실리콘 실링재(716)의 이탈이 생길 수 있게 된다. 반원 형태의 실링홈(715)을 형성하여 실리콘 실링재(71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하우징의 외측면(713)과 수직인 면에 소정의 두께(t)를 갖는 이탈 방지부(701)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홈(715)의 외측면으로는 꺾인 부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구형 형태로 볼록하게 강도 보강부(702)를 형성시킬 수 있다.
실제로 부스덕트 내부 도체의 단락시 단락에 의한 파단력에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덕트의 강도가 요구된다.
종래의 부스덕트의 경우, 하우징 모서리 부분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모서리가 90도로 절곡된 형태를 갖음으로 인해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은 단락시 파단력에 의한 취약점이 된다.
본 발명의 부스덕트의 강도 보강부(702)는 곡선굽힘이 있는 부분으로서 굽힘 강성 즉 단면이차모멘트가 크게되어 굽힘 휨은 단면이차모멘트가 클수록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실링홈(715)을 제1 하우징(711)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시키되, 실링홈(715) 일측으로는 이탈 방지부(701)를 형성시키고 실링홈(715)이 형성된 모서리 내측 부분에는 구형형태의 볼록 강도 보강부(702)를 형성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 부스덕트 210, 220, 310 : 덕트부
211, 221, 311, 411, 511, 611, 711 : 제1 하우징
212, 222, 312, 412, 512, 612, 712 : 제2 하우징
211a, 212a, 221a, 222a : 날개부 230 : 조인트 키트
231 : 절연판 240 : 부스바
240a : 바-엔드 250 : 덕트 측판
260 : 엔드-블록
313, 413, 513, 613, 713 : 제1 하우징의 외측면
314, 414, 514, 614, 714 : 제2 하우징의 내측면
315, 415, 515, 615, 715 : 실링홈
316, 416, 516, 616, 716 : 실리콘 실링재
317, 417, 517, 617 : 체결볼트

Claims (5)

  1. 전력 공급용 부스덕트의 커버를 형성하며, 그 커버는 수형 덕트 형상의 제1 하우징과 암형 덕트 형상의 제2 하우징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돌출 부분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이 서로 맞닿게 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방진 및 방수를 위한 실링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링홈의 길이에 대응되는 실링재가 삽입된 채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이 결합되는,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이 맞닿는 면에는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실링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모서리와 상기 체결볼트 사이에 형성되는,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시키되,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는 실리콘 실링재의 이탈 방지를 위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과 수직인 면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시키되, 상기 실링홈의 외주면은 볼록한 구형의 강도 보강부가 형성되는,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KR1020120028260A 2012-03-20 2012-03-20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KR10126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260A KR101263621B1 (ko) 2012-03-20 2012-03-20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260A KR101263621B1 (ko) 2012-03-20 2012-03-20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621B1 true KR101263621B1 (ko) 2013-05-10

Family

ID=4866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260A KR101263621B1 (ko) 2012-03-20 2012-03-20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6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975B1 (ko) * 2018-07-06 2019-02-08 주식회사 광명전기 부스덕트 조인트 방수구조
KR102172708B1 (ko) 2020-07-08 2020-11-02 (주) 백산정밀판금 Ip55 방진 및 방수 등급을 갖는 배전반(분전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678B1 (ko) 2009-11-30 2010-10-08 주식회사 광명전기 플러그 인 부스 덕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678B1 (ko) 2009-11-30 2010-10-08 주식회사 광명전기 플러그 인 부스 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975B1 (ko) * 2018-07-06 2019-02-08 주식회사 광명전기 부스덕트 조인트 방수구조
KR102172708B1 (ko) 2020-07-08 2020-11-02 (주) 백산정밀판금 Ip55 방진 및 방수 등급을 갖는 배전반(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316B1 (ko) 버스웨이 구성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420934B2 (en) Crossing bus support apparatus, connectors, systems, and assemblies and methods of installing same
CN203218828U (zh) 一种母线槽
KR100986678B1 (ko) 플러그 인 부스 덕트
KR101263621B1 (ko)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KR100958487B1 (ko) 컴팩트화가 가능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101263618B1 (ko) 접속부의 수밀 특성이 개선된 부스덕트
CN201584575U (zh) 一种新型重载电缆组件
CN203278147U (zh) 一种母线槽连接器
CN206742805U (zh) 一种防水防火母线槽
KR100912577B1 (ko)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CN212896901U (zh) 一种防水防潮型聚氨酯板
KR101263619B1 (ko) 단락 강도가 보강된 부스덕트용 하우징
CN215001890U (zh) 空调
KR100925970B1 (ko)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KR20140086096A (ko)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JP7159009B2 (ja) モジュール設置具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設置構造
CN107732827B (zh) 一种供电室母线槽
KR101263617B1 (ko)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CN105048122A (zh) 一种高压输电设备接线器
CN210224886U (zh) 一种母线槽用防漏电绝缘保护装置
CN210265392U (zh) 一种板式家具用隐形弹连扣连接件
KR101275333B1 (ko)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CN207542737U (zh) 一种防漏电型母线槽
KR200229459Y1 (ko) 전력 배선용 플러그-인 부스바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