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333B1 -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333B1
KR101275333B1 KR1020120033499A KR20120033499A KR101275333B1 KR 101275333 B1 KR101275333 B1 KR 101275333B1 KR 1020120033499 A KR1020120033499 A KR 1020120033499A KR 20120033499 A KR20120033499 A KR 20120033499A KR 101275333 B1 KR101275333 B1 KR 101275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joint
vertical load
side plate
loa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하타
백승호
이기영
권용훈
주성은
최미정
이경민
Original Assignee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 H02G5/025Suppor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전송용 부스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상포설시 수직 하중에 의해 부스덕트가 수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 하중 지지장치로서 조인트 키트와 체결되는 덕트 측판의 하중지지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는, 도체인 복수의 부스바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부스바를 둘러싸는 덕트부와, 인접한 덕트부의 부스바간 연결을 위한 조인트 키트와, 상기 덕트부와 조인트 키트의 외측에 형성되는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간을 연결하는 덕트 측판을 갖으며, 상기 덕트 측판은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서로 맞닿으면서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 측판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선단부가 맞닿아 상기 덕트부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중지지체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하부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덕트 측판의 선단부가 맞닿아 상기 덕트부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VERTICAL LOAD SUPPORTING APPARATUS OF BUS DUCT ACCORDING TO STANDING STATUE ASSEMBLY}
본 발명은 전력 전송용 부스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상포설시 수직 하중에 의해 부스덕트가 수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 하중 지지장치로서 조인트 키트와 체결되는 덕트 측판의 하중지지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부스덕트는 내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도체의 부스바가 내재되고 외부로는 보호기능을 하면서 접지 역할을 하는 하우징이 형성되고, 각각의 부스덕트는 조인트 키트에 의해 도체는 도체끼리 연결되고 외부 접지는 접지끼리 서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부스덕트는 덕트 형태로 조립이 되며, 내부에는 도체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외부로는 하우징간의 결합으로 덕트 형태의 외함을 이룬다.
부스덕트는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선 역할을 하므로, 특히 내부의 도체 단락에 의해 발생되는 단락전류에 열적으로 기계적으로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덕트 측판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338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338호에 개시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부스덕트(30)는 내부에 도체 역할을 하는 복수의 부스바(11)가 길게 연장되어 있는 덕트부(1)와, 인접한 덕트부와의 연결을 위해 덕트부(1)의 양단에 구비된 접속부(10)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져 있다.
덕트부(1)의 좌우측단에 형성된 접속부(10)는 덕트부(1) 밖으로 노출된 부스바(11)와 노출된 부스바(11)를 앞뒤로 감싸면서 설치되는 덧판(13, 본원발명의 덕트 측판에 해당됨)으로 구성된다.
덧판(13)은 플랜지(17), 연결슬롯(19), 전후방편(13-1, 13-2)으로 구성되며, 플랜지(17)도 중심선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전방 플랜지편(17-1)과 후방 플랜지편(17-2)로 나누어져 있고, 하면 덕트(2, 3)의 양단에 덧판(13)을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15)를 결합하기 위한 마스킹 몰드(21, 본원발명의 엔드 블록에 해당됨)를 채용하게 된다.
이러한 덧판(13)은 양쪽의 덕트부(1)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조인트 키트(미도시되어 있음)와 기계적 연결 및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부스덕트의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부스덕트는 수평, 수직 또는 입상 구조로 설치되는 데, 특히 입상구조인 경우에는 부스덕트가 매우 길게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부스덕트의 자체 하중이 매우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덕트부간의 접속부 부분에서 하중에 가장 취약하게 된다.
덧판과 조인트 키트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 특히 입상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66067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6067호의 도 6을 참조하면, 부스덕트(10)와 조인트 키트(30)간의 접속구조를 설명하면, 부스덕트(10)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는 4개의 도체부재(11)가 조인트 키트(30)의 조임부재(31)를 기준으로 한쪽 부분의 접속 부스바(32)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고, 조임부재(31)의 다른쪽 부분의 접속부스바(32) 사이에는 연결구조체(50)의 이동 도체판(51)이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덕트의 양날개부는 조인트 키트(30)의 최상하단에 결합되는 패널(34)과 패널(34)과 인접한 절연부재(32a) 사이에 끼워져 패널(34)의 하단 단차 부분에 걸쳐져 체결된다.
이렇게 덕트와 조인트 키트가 연결되면, 부스덕트의 입상 설치 구조에서 조인트 키트의 상측에 위치한 덕트부의 하중을 제대로 받쳐주지 못하게 됨으로 인해 덕트부간의 접속부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구조적 결함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한 보수 유지 또는 재설치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KR 10-0897338 B1(2009.05.06) KR 10-0996067 B1(2010.11.22)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덕트부간의 접속부에서 접속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덕트부들의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조인트 키트와 덕트 측판간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에 사용되던 조인트 키트의 구조를 변경하여 덕트부의 수직 하중에 대한 수직내하중을 강화시킨 조인트 키트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는, 도체인 복수의 부스바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부스바를 둘러싸는 덕트부와, 인접한 덕트부의 부스바간 연결을 위한 조인트 키트와, 상기 덕트부와 조인트 키트의 외측에 형성되는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간을 연결하는 덕트 측판을 갖으며, 상기 덕트 측판은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서로 맞닿으면서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 측판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선단부가 맞닿아 상기 덕트부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중지지체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하부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덕트 측판의 선단부가 맞닿아 상기 덕트부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중지지체는 상기 덕트 측판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끝단이 만곡되어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덕트 측판의 선단부는 그 단면 형태가 삼각형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중지지체는 상기 덕트 측판의 폭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덕트부의 수직하중을 최대한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덕트 측판은 상기 조인트 키트의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조인트키트 연결부와, 상기 조인트키트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의 실링 하우징의 일면과 맞닿아 실링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평면부와, 상기 실링 평면부의 양단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덕트부의 단부에 체결된 엔드-블록과 볼트 결합되는 엔드블록 연결부와, 상기 실링 평면부로부터 연장되는 덕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체는 상기 조인트키트 연결부와 상기 경사부가 만나는 접선부의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덕트부간의 접속부에서 접속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덕트부들의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던 조인트 키트의 구조를 변경하여 덕트부의 수직 하중에 대한 수직내하중을 강화시킨 조인트 키트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가 조립된 부스덕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가 부착된 덕트 측판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가 조립된 부스덕트 접속부의 입상시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구조와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가 조립된 부스덕트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덕트(100)는 내부에 도체 역할을 하는 복수의 부스바(14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덕트부(110, 120)와, 인접한 제1 및 제2 덕트부(110, 120)의 부스바(140)간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 키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진다.
제1 및 제2 덕트부(110, 120)는 각각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121, 122)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일단이 접하면서 제1 하우징(111, 121)은 수형덕트 형태로, 제2 하우징(112, 122)은 암형덕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121, 122)은 서로 결합되어 부스바(1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좌우측의 날개을 형성하면서 하우징의 형태를 이루며 형성된다.
제1 및 제2 덕트부(110, 120)의 좌우측단으로는 조인트 키트(130)와 접속을 위한 덕트 측판(150)이 형성되고, 도체간 연결을 위한 덕트부(110, 120) 외부로 부스바(140)의 말단 부분인 바-엔드(140a)가 노출된다.
양단의 바-엔드(140a)는 조인트 키트(130)의 내부에 마련된 절연판(131) 사이로 내부의 도체판과 연결되어 양단의 부스바(14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편 절연판(131)의 내부로는 도체판(미도시)이 형성되고 도체판 간에는 절연스페이서(미도시)에 의해 서로 절연거리를 유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덕트 측판(150)의 일단은 조인트 키트(130) 외부의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에 연결되고 타단의 내측은 엔드-블록(160)에 연결되며 타단의 외측은 제1 하우징(111, 121) 및 제2 하우징(112, 122)의 날개부(111a, 111b, 121a, 121b)의 외측으로 연결된다.
제1 하우징(111, 121) 및 제2 하우징(112, 122)의 양단은 축방향으로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날개부(111a, 111b, 121a, 121b)를 형성하고, 상하 날개부간에는 사각 블록 형태의 엔드-블록(160)을 매개시켜 결합되도록 한다.
엔드-블록(160)은 제1 하우징(111, 121) 및 제2 하우징(112, 1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표면에 대한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덕트부에 대한 방수 성능 및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덕트 측판(150)과 상부덕트(111, 121) 및 하부덕트(112, 122)의 연결시 덕트 측판(150)이 버스덕트(100)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처리하기 위하여 날개부(111a, 111b, 121a, 121b)의 선단부분을 덕트 측판(150)의 돌출 두께만큼 90정도 굴곡시킨 굴곡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부스덕트(100)는 전력 전송용 케이블 기능을 가지며, 전력전송 라인인 도체는 부스바(140)이고, 접지라인은 외함인 덕트부(110, 120)가 되며 덕트부와 덕트부간의 연결은 덕트 측판(150)을 통해 접지 라인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덕트 측판(150)은 덕트부(110, 120)의 접속시 덕트부(110, 120)와 조인트키트(130)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덕트 측판(15)의 상세 구조는 도 2를 통해 다시 설명되며, 덕트 측판(150)과 조인트 키트(130)의 연결 상세 구조는 도 3을 통해 다시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가 부착된 덕트 측판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150)은 통전이 가능한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접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덕트 측판(150)은 방수성능과 관련이 있으므로 치수 정밀도를 유지 및 생산성 효율을 위해 압출 공정에 의해 제작되며, 탄성을 유지한 채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경화 열처리를 하고, 압출 및 열처리 시에 표면에 발생한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표면 처리를 함으로써 표면 저항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덕트 측판(150)은 조인트 키트(130)의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과 결합되는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와,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에서 연장되어 탄성 및 강도를 보강하고 양단의 접속 높이를 맞추기 위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되는 경사부(252)와, 경사부(252)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의 실링 하우징(미도시)의 일면과 맞닿아(요철(256)부분과 맞닿아) 실링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평면부(253)와, 실링 평면부(253)의 양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엔드-블록(150)과 볼트 결합되는 엔드블록 연결부(254)와, 실링 평면부(253)로부터 연장되어 상부덕트(111, 121) 및 하부덕트(112, 122)의 날개부(111a, 111b, 121a, 121b)에 연결되어 외부의 접지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덕트 연결부(255)와, 조인트 키트(130)의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의 선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하중지지체(25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덕트 측판(150)은 덕트부(110, 120)와 조인트 키트(130)간의 기계적 접속 및 전기적 접지 연결을 위해 중요한 부품으로서, 기계적 연결 강도를 높이기 위해 엔드-블록(160)에 엔드블록 연결부(254)를 통해 볼트 결합을 시키며, 탄성을 유지한 채 강도를 보강할 목적으로 경사부(252)를 두고, 실링을 목적으로 실링 평면부(253)를 형성하며, 접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덕트 연결부(255)를 갖는다.
또한, 하중지지체(257)는 조인트 키트(130)를 기준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ㄱ'자형태로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와의 사이에서 체결홈(258)을 형성시키고 조인트 키트(130)의 폭 넓이 만큼 형성시켜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의 선단부가 체결홈(258) 안쪽에 위치되도록 하고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의 폭 전체가 체결홈(258)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특히, 하중지지체(257)는 부스덕트의 입상 조립시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부스덕트가 수직하중이 작용할 때 역으로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는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는 데, 이때의 하중지지체(257)가 받는 기계적 하중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와 경사부(252)가 연결되는 접선부(259)로부터 돌출되어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가 조립된 부스덕트 접속부의 입상시 조립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덕트는 내부로는 도체(3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측 및 외측 도체판(313a, 313b)과 내측 및 외측 도체판(313a, 313b)의 단락을 예방하기 위한 내측 및 외측 절연판(312a, 313b)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조인트 키트(130)는 중심부를 관통하는 볼트(315)에 의해 체결되며,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과 조인트 키트(130)의 연결은 덕트 측판(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덕트 측판(150)의 일측은 엔드-블록(160)을 매개로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과 엔드블록 연결부(254)에 의해 연결되고, 타측은 조인트키트 연결부(251)가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와 외측 절연판(312a)와의 사이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때 조인트키트 연결부(251)는 소정의 각도로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어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와 외측 절연판(312a)와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외측으로 탄성력이 부가되면서 조립이 된다.
조립이 완료되면,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의 일단은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의 단차부(314)에 위치되고,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의 선단부는 덕트 측판(150)과 하중지지체(257)가 형성하는 체결홈(258) 내부로 삽입되어 하중지지체(257)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로 설치되면, 부스덕트의 입상 조립시 접속부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덕트부의 수직 하중에 의해 점점 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기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데, 하측에서는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의 선단과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의 단차부(314)에 의해 하중 지지 구조가 성립되고 상측에서는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의 선단과 덕트 측판(150)의 하중지지체(257)에 의해 하중 지지 구조가 성립된다.
부스덕트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수직 입상되어 설치되고 그 길이가 상당히 길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접속개소는 늘어날 수 밖에 없으며 늘어난 접속개소만큼 접속부에서는 상측 덕트부의 수직 하중을 그대로 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입상 설치 구조에 있어서 덕트부의 수직 하중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구조는 상당히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덕트 측판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하측에서의 조인트 키트와의 결합 구조를 가지게 하므로써 덕트부의 수직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측의 지지 구조를 확대시키보면,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의 선단부(401, 402)의 단면 형상을 화살촉과 같이 형성시킬 수 있는 데 이는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의 선단부(401, 402)가 조인트 키트(130)의 중심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조인트키트 연결부(251)는 외측 방향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132)와 외측 절연판(312a)이 이루는 공간 사이로 삽입되면서 외측으로 탄성력이 부가되면서 결합된다. 하지만, 상측 덕트부의 하중에 의해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의 선단부가 내측방향으로 벗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그 선단부에 테이퍼를 주어 단차부(314)와의 접촉력을 높이는 구조로 개선한다.
선단부(401, 402)의 단면 구조는 (A)와 (B)의 구조로 실시할 수 있으며 그 단면 형태는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와 같이 선단부(401)의 단면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또는 (B)와 같이 선단부(402)의 단면이 이등변삼각형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부스덕트 110, 120 : 덕트부
111, 112, 121, 122 : 하우징 111a, 112a, 121a, 122a : 날개부
130 : 조인트 키트 140 : 부스바
131 : 절연판 132 :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
140a : 바-엔드 150 : 덕트 측판
160 : 엔드-블록 251 : 조인트키트 연결부
252 : 경사부 253 : 실링 평면부
254 : 엔드블록 연결부 255 : 덕트 연결부
256 : 요철부 257 : 하중지지체
258 : 체결홈 259 : 접선부
311 : 도체 312a : 외측 절연판
312b : 내측 절연판 313a : 외측 도체판
313b : 내측 도체판 314 : 단차부
315 : 볼트 401, 402 : 선단부

Claims (5)

  1. 도체인 복수의 부스바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부스바를 둘러싸는 덕트부와, 인접한 덕트부의 부스바간 연결을 위한 조인트 키트와, 상기 덕트부와 조인트 키트의 외측에 형성되는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간을 연결하는 덕트 측판을 갖으며,
    상기 덕트 측판은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서로 맞닿으면서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 측판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선단부가 맞닿아 상기 덕트부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중지지체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하부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덕트 측판의 선단부가 맞닿아 상기 덕트부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체는 상기 덕트 측판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끝단이 만곡되어 상기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홈을 형성시키는,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측판의 선단부는 그 단면 형태가 삼각형 형태를 취하는,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체는 상기 덕트 측판의 폭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측판은 상기 조인트 키트의 조인트 하우징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조인트키트 연결부와, 상기 조인트키트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의 실링 하우징의 일면과 맞닿아 실링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평면부와, 상기 실링 평면부의 양단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덕트부의 단부에 체결된 엔드-블록과 볼트 결합되는 엔드블록 연결부와, 상기 실링 평면부로부터 연장되는 덕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체는 상기 조인트키트 연결부와 상기 경사부가 만나는 접선부의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KR1020120033499A 2012-03-30 2012-03-30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KR101275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499A KR101275333B1 (ko) 2012-03-30 2012-03-30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499A KR101275333B1 (ko) 2012-03-30 2012-03-30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333B1 true KR101275333B1 (ko) 2013-06-17

Family

ID=4886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499A KR101275333B1 (ko) 2012-03-30 2012-03-30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522A (ko) * 2017-03-30 2018-10-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643A (ja) 1999-12-24 2001-07-06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接続部
KR20080090900A (ko) * 2007-04-06 2008-10-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덧판을 구비한 부스 덕트
KR20110110410A (ko) * 2010-04-01 2011-10-07 주식회사 신화기전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US8163998B2 (en) 2008-09-11 2012-04-24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al busway flange end stu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643A (ja) 1999-12-24 2001-07-06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接続部
KR20080090900A (ko) * 2007-04-06 2008-10-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덧판을 구비한 부스 덕트
US8163998B2 (en) 2008-09-11 2012-04-24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al busway flange end stub
KR20110110410A (ko) * 2010-04-01 2011-10-07 주식회사 신화기전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522A (ko) * 2017-03-30 2018-10-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KR102521917B1 (ko) * 2017-03-30 2023-04-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0830B1 (en)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three busway at its three ends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US20100012375A1 (en) Electrical busway and offset coupling assembly therefor
KR102195372B1 (ko)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KR100986678B1 (ko) 플러그 인 부스 덕트
KR102146064B1 (ko) 분전반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KR101962953B1 (ko) 공기절연을 활용한 부스덕트
KR100897338B1 (ko) 덧판을 구비한 부스 덕트
EP3025359B1 (en) A preassembled transformer substation
KR101275333B1 (ko)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263618B1 (ko) 접속부의 수밀 특성이 개선된 부스덕트
US201303275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different size busway sections
KR101828043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10091249A (ko) 스토퍼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 접속부
KR101916686B1 (ko) 전기배선 분배용 가변형 버스덕트
KR101263621B1 (ko)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CN206742805U (zh) 一种防水防火母线槽
KR101282533B1 (ko) 부스덕트 도체의 열팽창을 고려한 조인트 키트
CN205960587U (zh) 一种母线槽壳体
KR102375263B1 (ko) 화재예방에 효과적인 부스덕트 연결구
KR101263617B1 (ko)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KR20140086096A (ko)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US4413307A (en) Bus bar extensions to outside of busway for external connections
KR20110054540A (ko) 반금속 가스켓을 이용한 부스 덕트 접속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