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617B1 -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 Google Patents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617B1
KR101263617B1 KR1020120028256A KR20120028256A KR101263617B1 KR 101263617 B1 KR101263617 B1 KR 101263617B1 KR 1020120028256 A KR1020120028256 A KR 1020120028256A KR 20120028256 A KR20120028256 A KR 20120028256A KR 101263617 B1 KR101263617 B1 KR 10126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ide plate
connection
join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하타
백승호
이기영
권용훈
주성은
최미정
이경민
Original Assignee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 H02G5/025Suppor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1Tubular casing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스덕트의 접지성능을 향상시키는 덕트 측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는, 도체인 복수의 부스바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부스바를 둘러싸는 덕트부와, 인접한 덕트부의 부스바간 연결을 위한 조인트 키트와, 상기 덕트부와 조인트 키트의 조인트 하우징간을 연결하는 덕트 측판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부덕트와 하부덕트가 서로 겹쳐져 결합되며, 상기 상부덕트 및 하부 덕트의 양측단은 직각으로 굴곡되어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양단에 엔드-블록이 고정되며, 상기 덕트 측판은 상기 덕트부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엔드-블록과 볼트 결합되는 엔드블록 연결부와, 상기 상부덕트 및 하부덕트의 날개부에 면대면 접촉되도록 연결되어 외부의 접지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덕트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DUCT SIDE-PLATE STRUCTURE FOR BUS DUCT}
본 발명은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스덕트의 접지성능을 향상시키는 덕트 측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대단위 공장 등 건축물의 전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부스 형태의 부스 덕트에 의한 배선 방식의 채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부스 덕트는 내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도체의 부스바가 내재되고 외부로는 보호기능을 하면서 접지 역할을 하는 하우징이 형성되고, 각각의 부스덕트는 조인트 키트에 의해 도체는 도체끼리 연결되고 외부 접지는 접지끼리 서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외부 접지 연결시에는 하우징과 조인트 키트간에 덕트 측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덕트 측판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338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338호에 개시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부스덕트(30)는 내부에 도체 역할을 하는 복수의 부스바(11)가 길게 연장되어 있는 덕트부(1)와, 인접한 덕트부와의 연결을 위해 덕트부(1)의 양단에 구비된 접속부(10)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져 있다.
덕트부(1)의 좌우측단에 형성된 접속부(10)는 덕트부(1) 밖으로 노출된 부스바(11)와 노출된 부스바(11)를 앞뒤로 감싸면서 설치되는 덧판(13, 본원발명의 덕트 측판에 해당됨)으로 구성된다.
덧판(13)은 플랜지(17), 연결슬롯(19), 전후방편(13-1, 13-2)으로 구성되며, 플랜지(17)도 중심선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전방 플랜지편(17-1)과 후방 플랜지편(17-2)로 나누어져 있고, 상하면 덕트(2, 3)의 양단에 덧판(13)을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15)를 결합하기 위한 마스킹 몰드(21, 본원발명의 엔드 블록에 해당됨)를 채용하게 된다. 이 마스킹 몰드(21)는 중공의 사각 블록 형태로 제작되며, 볼트(14)에 의해 상하면 덕트(2, 3)에 고정된다.
덧판(13)은 통전이 가능한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접지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마스킹 몰드(21)는 상하면 덕트(2, 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하면 덕트(2, 3) 표면에 대한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덕트부(1)에 대한 방수 성능을 높이며, 덧판(13)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접지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하지만, 덧판(13)의 경우 알루미늄판 형태의 제작이므로 압출 성형 및 열처리에 의해 제작이 가능하여 저비용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지만, 마스킹 몰드(21)의 경우는 몰드라는 호칭에서도 나타나 있지만 블록 형태이므로 생산성 및 저비용을 위해 다이캐스팅 제조 방법으로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알루미늄의 경우 다이캐스팅으로는 제조가 어려우므로 보통 다이캐스팅을 위해서는 알루미늄을 주원료한 합금재가 사용된다.
따라서, 마스킹 몰드(21) 자체를 접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비용의 단조 방법으로 제작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실제 부스 닥트에 사용되는 마스킹 몰드(21)는 전기 성능이 알루미늄에 비해 약간 떨어지더라도 합금 재료를 이용한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생산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실제로 알루미늄 대비 주물용 알루미늄 합금은 전기전도도에 있어서 대략 61% 정도의 전도성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7338호에 개시된 덧판(13)과 마스킹 몰드(21)의 접지 구조는 마스킹 몰드(21)에 의해 접지 성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단락시 접지 성능의 저하로 마스킹 몰드(21) 자체가 그 기능을 다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갖는다.
KR 10-0897338 B1(2009.05.06)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접지성능을 향상시키고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버스덕트용 덕트 측판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는, 도체인 복수의 부스바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부스바를 둘러싸는 덕트부와, 인접한 덕트부의 부스바간 연결을 위한 조인트 키트와, 상기 덕트부와 조인트 키트의 조인트 하우징간을 연결하는 덕트 측판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부덕트와 하부덕트가 서로 겹쳐져 결합되며, 상기 상부덕트 및 하부 덕트의 양측단은 직각으로 굴곡되어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양단에 엔드-블록이 고정되며, 상기 덕트 측판은 상기 덕트부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엔드-블록과 볼트 결합되는 엔드블록 연결부와, 상기 상부덕트 및 하부덕트의 날개부에 면대면 접촉되도록 연결되어 외부의 접지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덕트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덕트 측판은 상기 조인트 키트의 조인트 하우징과 결합되는 조인트키트 연결부와, 상기 조인트키트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의 실링 하우징의 일면과 맞닿아 실링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평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블록 연결부는 상기 실링 평면부의 양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 연결부는 상기 실링 평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덕트 및 하부덕트의 날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덕트 연결부는 양단에 상기 날개부와 면대면 접촉하여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거나 양단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덕트 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 키트의 외부에 씌워지는 실링 하우징과 가스켓을 매개로 결합되어 실링 효율을 더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덕트 및 하부덕트의 날개부 양단은 상기 덕트 연결부의 외부돌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덕트 연결부의 두께만큼의 굴곡된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버스덕트용 덕트 측판은 날개 접속 방식에 의해 버스덕트의 하우징에 직접 연결시켜 접지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쪽으로는 엔드 블록에 연결시켜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이 적용된 부스덕트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의 다른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의 또 다른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이 적용된 부스덕트의 구조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측판과 부스덕트간의 연결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덕트(100)는 내부에 도체 역할을 하는 복수의 부스바(14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덕트부(110, 120)와, 인접한 덕트부(110, 120)의 부스바(140)간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 키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진다.
덕트부(110, 120)는 상부 덕트(111, 121)와 하부 덕트(112, 122)가 서로 일단이 접하면서 하나는 수형덕트 형태 다른 하나는 암형덕트 형태를 이루며 부스바(1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좌우측의 날개을 형성하면서 하우징의 형태를 이루며 형성된다.
덕트부(110, 120)의 좌우측단으로는 조인트 키트(130)와 접속을 위한 덕트 측판(150)이 형성되고, 도체간 연결을 위한 덕트부(110, 120) 외부로 부스바(140)의 말단 부분인 바-엔드(140a)가 노출된다.
양단의 바-엔드(140a)는 조인트 키트(130)의 내부에 마련된 절연판(131) 사이로 내부의 도체판과 연결되어 양단의 부스바(14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편 절연판(131)의 내부로는 도체판(미도시)이 형성되고 도체판간에는 절연스페이서(미도시)에 의해 서로 절연거리를 유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덕트 측판(150)의 일단은 조인트 키트(130) 외부의 조인트 하우징(132)에 연결되고 타단의 내측은 엔드-블록(160)에 연결되며 타단의 외측은 상부덕트(111, 121) 및 하부덕트(112, 122)의 날개부(111a, 111b, 121a, 121b)의 외측으로 연결된다.
덕트 측판(150)과 엔드-블록(160)의 연결은 접속부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고 방수 기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며, 덕트 측판(150)과 상부덕트(111, 121) 및 하부덕트(112, 122)의 날개부(111a, 111b, 121a, 121b)의 연결은 접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상부덕트(111, 121) 및 하부덕트(112, 122)의 양단은 축방향으로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날개부(111a, 111b, 121a, 121b)를 형성하고, 상하 날개부간에는 사각 블록 형태의 엔드-블록(160)을 형성시킨다.
엔드-블록(160)은 상부덕트(111, 121) 및 하부덕트(112, 1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표면에 대한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덕트부에 대한 방수 성능 및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덕트 측판(150)과 상부덕트(111, 121) 및 하부덕트(112, 122)의 연결시 덕트 측판(150)이 버스덕트(100)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처리하기 위하여 날개부(111a, 111b, 121a, 121b)의 선단부분을 덕트 측판(150)의 돌출 두께만큼 90정도 굴곡시킨 굴곡부(B)를 형성시킬 수 있다.
부스덕트(100)는 전력 전송용 케이블 기능을 가지며, 전력전송 라인인 도체는 부스바(140)이고, 접지라인은 외함인 덕트부(110, 120)가 되며 덕트부와 덕트부간의 연결은 덕트 측판(150)을 통해 접지 라인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250)은 통전이 가능한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접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덕트 측판(250)은 방수성능과 관련이 있으므로 치수 정밀도를 유지 및 생산성 효율을 위해 압출 공정에 의해 제작되며, 탄성을 유지한 채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경화 열처리를 하고, 압출 및 열처리 시에 표면에 발생한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표면 처리를 함으로써 표면 저항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덕트 측판(250)은 조인트 키트(130)의 조인트 하우징(132)과 결합되는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와, 조인트키트 연결부(251)에서 연장되어 탄성 및 강도를 보강하고 양단의 접속 높이를 맞추기 위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되는 경사부(252)와, 경사부(252)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의 실링 하우징(미도시)의 일면과 맞닿아 실링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평면부(253)와, 실링 평면부(253)의 양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엔드-블록(150)과 볼트 결합되는 엔드블록 연결부(254)와, 실링 평면부(253)로부터 연장되어 상부덕트(111, 121) 및 하부덕트(112, 122)의 날개부(111a, 111b, 121a, 121b)에 연결되어 외부의 접지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덕트 연결부(25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덕트 측판(250)은 덕트부(110, 120)와 조인트 키트(130)간의 기계적 접속 및 전기적 접지 연결을 위해 중요한 부품으로서, 기계적 연결 강도를 높이기 위해 엔드-블록(160)에 엔드블록 연결부(254)를 통해 볼트 결합을 시키며, 탄성을 유지한 채 강도를 보강할 목적으로 경사부(252)를 두고, 실링을 목적으로 실링 평면부(253)를 형성하며, 접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덕트 연결부(255)를 갖는다.
특히, 접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덕트 측판(250)은 버스덕트(100)의 외함에 직접 연결시키는 구조로 개선한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엔드-블록을 통해 버스덕트의 하우징과 덕트 측판을 연결시킬 때의 접지 성능 저하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접지 연결은 버스덕트의 하우징과 덕트 측판을 엔드-블록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연결부가 그 만큼 많아지게 되므로 접촉불량 및 접촉저항의 증가 의 요인을 안고 있는 점에 반해, 본 발명의 덕트 측판(250)은 버스덕트(100)의 하우징(즉, 상부 및 하부 덕트)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접촉불량 감소 및 접촉저항의 감소가 가능하고 또한 접지면적의 증대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엔드-블록은 다이캐스팅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다이캐스팅용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게 됨으로 순 알루미늄에 비해 약 40% 정도의 전도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엔드-블록을 매개로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본 발명과 같이 기계적 연결은 엔드-블록(160)을 통해 연결하고 전기적 연결은 순 알루미늄을 형성된 버스덕트와 덕트 측판을 직접 연결시키는 구조로 가는 것이 접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매우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종래에 비해 본 발명의 덕트 측판(250) 구조는 접지 단면적이 커져 접지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와 동일한 구조를 갖되 덕트 연결부(355)의 형상을 달리 할 수 있다.
도 2의 덕트 연결부(255)는 상부덕트(111, 121) 및 하부덕트(112, 122)의 날개부(111a, 112a, 121a, 122a)의 폭만큼 그 폭이 형성되어 양단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나, 도 3의 덕트 연결부(355)는 일측 날개부에서 타측 날개부까지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어 그 만큼의 접지 단면적을 더 확보하여 접지 성능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을 참조하면, 도 3과 동일한 구조를 갖되 실링 평면부(453)의 구조를 변경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덕트 측판(450)의 실링 평면부(453)는 외부 하우징과 실링재를 매개로 면대면 접촉이 되는 데, 이때 실링재와 맞닿는 실링 평면부(453)는 매끄러운 표면 보다는 본 발명과 같이 요철부(456)를 형성시킬 때 실링 성능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2와 같은 구조의 덕트 측판(250)의 실링 평면부(253)에 도 4와 같은 요철부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부스덕트 110, 120 : 덕트부
111, 121 : 상부덕트 112, 122 : 하부덕트
111a, 112a, 121a, 122a : 날개부 130 : 조인트 키트
131 : 절연판 132 : 조인트 하우징
140 : 부스바 140a : 바-엔드
150, 250, 350, 450 : 덕트 측판 160 : 엔드-블록
251, 351, 451 : 조인트키트 연결부 252, 352, 452 : 경사부
253, 353, 453 : 실링 평면부 254, 354, 454 : 엔드블록 연결부
255, 355, 455 : 덕트 연결부 456 : 요철부

Claims (5)

  1. 도체인 복수의 부스바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부스바를 둘러싸는 덕트부와, 인접한 덕트부의 부스바간 연결을 위한 조인트 키트와, 상기 덕트부와 조인트 키트의 조인트 하우징간을 연결하는 덕트 측판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부덕트와 하부덕트가 서로 겹쳐져 결합되며, 상기 상부덕트 및 하부 덕트의 양측단은 직각으로 굴곡되어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양단에 엔드-블록이 고정되며,
    상기 덕트 측판은 상기 덕트부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엔드-블록과 볼트 결합되는 엔드블록 연결부와, 상기 상부덕트 및 하부덕트의 날개부에 면대면 접촉되도록 연결되어 외부의 접지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덕트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측판은 상기 조인트 키트의 조인트 하우징과 결합되는 조인트키트 연결부와, 상기 조인트키트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의 실링 하우징의 일면과 맞닿아 실링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평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블록 연결부는 상기 실링 평면부의 양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 연결부는 상기 실링 평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덕트 및 하부덕트의 날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연결부는 양단에 상기 날개부와 면대면 접촉하여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거나 양단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 키트의 외부에 씌워지는 실링 하우징과 가스켓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덕트 및 하부덕트의 날개부 양단은 상기 덕트 연결부의 외부돌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덕트 연결부의 두께만큼의 굴곡된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KR1020120028256A 2012-03-20 2012-03-20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KR101263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256A KR101263617B1 (ko) 2012-03-20 2012-03-20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256A KR101263617B1 (ko) 2012-03-20 2012-03-20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617B1 true KR101263617B1 (ko) 2013-05-10

Family

ID=4866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256A KR101263617B1 (ko) 2012-03-20 2012-03-20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10287A1 (it) * 2018-11-13 2020-05-13 Iam Industrial Asset Man S R L Elemento di terra per modulo di blindosbarr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9598B1 (en) 1999-08-27 2001-12-11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resistant busway with water drainage du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9598B1 (en) 1999-08-27 2001-12-11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resistant busway with water drainage du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10287A1 (it) * 2018-11-13 2020-05-13 Iam Industrial Asset Man S R L Elemento di terra per modulo di blindosbarra
WO2020100031A1 (en) * 2018-11-13 2020-05-22 IAM Industrial Asset Management S.r.l. Earth element for a busbar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25992T2 (de) Elektrisches verdrahtungssystem
US8608515B2 (en) Device connector
US20120238143A1 (en) Device connector
CA2735141A1 (en) Efficient high-ampacity bowl-shaped tubular conductors
WO2015076043A1 (ja) 端子付き電線
US20140134855A1 (en) Dual Material Ground Clip For A Busway Plug In Unit
WO2020235416A1 (ja) コネクタ
KR100897338B1 (ko) 덧판을 구비한 부스 덕트
KR101263617B1 (ko)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KR101263621B1 (ko)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US20110124240A1 (en) One-piece terminal block assembly
KR101361717B1 (ko) 밀집형 절약 버스웨이
KR101263618B1 (ko) 접속부의 수밀 특성이 개선된 부스덕트
CN102195217A (zh) 连接器
US201303275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different size busway sections
CN203660465U (zh) 一种用于输变电的母线槽
WO2013165027A1 (en) Crimped terminal, electric wire connecting structur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CN108963487A (zh) 一种铜排连接结构
KR101212056B1 (ko) 전원분배유니트
JP2017214042A (ja) バスバー連結構造
KR100912577B1 (ko)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101275333B1 (ko)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KR100925970B1 (ko)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CN213484464U (zh) 带等电位端子的外壳pe母线槽
KR101282533B1 (ko) 부스덕트 도체의 열팽창을 고려한 조인트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