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096A -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 Google Patents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096A
KR20140086096A KR1020120156167A KR20120156167A KR20140086096A KR 20140086096 A KR20140086096 A KR 20140086096A KR 1020120156167 A KR1020120156167 A KR 1020120156167A KR 20120156167 A KR20120156167 A KR 20120156167A KR 20140086096 A KR20140086096 A KR 20140086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enclosure
dustproof
phase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주성은
최미정
김현주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096A/ko
Publication of KR2014008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전송용 부스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진 및 방수 보호 등급(특히 IP54)에 대응되고, 부스덕트 외함의 재질이 Fe(철)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는, 내부에 도체 부스바가 삽입되는 Fe(철) 재질의 외함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함 덕트는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의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하부 덕트는 'ㄷ'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를 갖고, 상기 상부 덕트는 제1 상덕트와 제2 상덕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상덕트 각각은 'ㄷ'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상덕트는 면대면 용접을 통해 하나의 덕트로 구성되어 IP54 보호등급에 대응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BUS DUCT HAVING HOUSING CORRESPONDING TO DUSTPROOF AND WATERPROOF GRADE}
본 발명은 전력 전송용 부스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진 및 방수 보호 등급(특히 IP54)에 대응되고, 부스덕트 외함의 재질이 Fe(철)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대단위 공장 등 건축물의 전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부스 형태의 부스덕트에 의한 배선 방식의 채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부스덕트는 내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도체의 부스바가 내재되고 외부로는 보호기능을 하면서 접지 역할을 하는 하우징이 형성되고, 각각의 부스덕트는 조인트 키트에 의해 도체는 도체끼리 연결되고 외부 접지는 외부 하우징간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다.
외부 접지 연결시에는 하우징과 조인트 키트간에 덕트 측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부스덕트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그 내부는 외부로부터 폐쇄되어 방진 및 방수가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부스덕트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2가지 방식으로 사용되는 데, 첫째는 도체 부스바가 알루미늄이고 외함이 Fe(철)인 경우(Al-Fe Type)와 둘째는 도체 부스바와 외함이 모두 Al(알루미늄)인 경우(Al-Al Type)이다.
Al-Al Type의 경우는 외함 자체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따라 서로 맞대어지는 부분에 다양한 형태로 홈, 물결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어 면대면 실링 구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나, Al-Fe Type의 경우는 외함 자체가 강철로 이루어져 면대면 접촉되는 부분의 실링 구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하측 덕트를 조립하고 그 내부에 도체 부스바를 삽입한 상태에서 IP54 등급을 만족시키도록 별도의 외함을 형성하여 상하측 덕트에 볼트 체결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부스덕트 외함을 구성하는 부속재들이 과도하게 많게 되어 생산원가의 마진이 적고 작업 공정도 복잡하게 되어 문제가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방진 및 방수 보호등급 특히 IP54 등급에 대응되는 Fe(철) 구조물의 하우징을 제작하여 부스덕트의 방진 및 방수 구조를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부스덕트 조립시 조립 공정이 간편하고, 실링 효율이 개선될 수 있는 부스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스덕트 조립에 따른 부품수를 적게하고 접속 공정도 간편하게 하여 생산원가의 다운과 조립공정 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는 Fe(철) 외함을 갖는 부스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방진 및 방수 보호 등급인 IP41과 IP54의 외함 구조를 동일하게 하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는, 내부에 도체 부스바가 삽입되는 Fe(철) 재질의 외함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함 덕트는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의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하부 덕트는 'ㄷ'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를 갖고, 상기 상부 덕트는 제1 상덕트와 제2 상덕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상덕트 각각은 'ㄷ'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상덕트는 면대면 용접을 통해 하나의 덕트로 구성되어 IP54 보호등급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상덕트의 날개부는 상기 하부 덕트의 날개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함 덕트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는, 내부에 도체 부스바가 삽입되는 Fe(철) 재질의 외함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함 덕트는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의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부 덕트는 제1 상덕트와 제2 상덕트가 서로 면대면 용접에 의해 하나의 덕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상덕트, 제2 상덕트 및 하부 덕트 각각은 'ㄷ'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를 갖고, 상기 상부 덕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상기 도체 부스바를 삽입하고, 상기 하부 덕트를 위치시켜 상기 상부 및 하부 덕트를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IP54 보호등급에 대응하는 하우징을 갖춘 부스덕트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방진 및 방수 보호등급 특히 IP54 등급에 대응되는 Fe(철) 구조물의 하우징을 제작하여 부스덕트의 방진 및 방수 구조가 개선된 부스덕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스덕트 조립에 따른 부품수를 적게하고 접속 공정도 간편하게 하여 생산원가의 다운과 조립공정 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고, 방진 및 방수 보호 등급인 IP41과 IP54의 외함 구조를 동일하게 하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의 외함 덕트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인 본 발명의 구조와 종래의 구조의 비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의 조립 과정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부스덕트의 조립 과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구조와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10)는 외함의 재질이 Fe(철)이고, 도체 부스바(12)의 재질은 Al(알루미늄)인 Al-Fe Type으로 제한된다.
또한 외함의 IP(국제번호) 등급은 IP54에 대응되는 규격을 갖으며, 여기서 '5'는 방진등급(먼지로부터의 보호정도)을 의미하고 '4'는 방수등급(물에 대한 보호정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IP54가 요구하는 규격은 외함에 의해 먼지로부터 보호되고 모든 방향의 스프레이로부터 물을 분사할 때 방수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부스덕트(10)는 전력 전송용 케이블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외함 덕트(11)와, 외함 덕트(11) 내부에 삽입되는 도체 부스바(12)로 이루어진다.
외함 덕트(11)는 Fe(철)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도체 부스바(12)를 보호하며 접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전력케이블의 금속 시스 역할을 한다.
도체 부스바(12)는 도전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가벼운 Al(알루미늄) 재질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도체 부스바(12)는 일반적으로 3선, 4선 또는 5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체 부스바(12)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13)에 의해 피복된다.
도체 부스바(12)가 외함 덕트(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체 부스바(1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외함 덕트(11)는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14)에 의해 체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의 외함 덕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부스덕트(10)의 외함 덕트(11)는 상부 덕트(21)와 하부 덕트(22)로 구분된다.
상부 덕트(21)와 하부 덕트(22)는 결합에 의해 외함 덕트(11)를 이루고,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그 빈 공간내에 도체 부스바(12)를 삽입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 덕트(21)는 제1 상덕트(23)와 제2 상덕트(24)로 이루어지며, 제1 상덕트(23)와 제2 상덕트(24)는 면대면 접촉되어 가장자리 주변으로 용접이 이루어진 용접부(25)에 의해 하나의 몸체가 된다.
외함 덕트(11)는 결합에 의해 H자 형태를 이루며 내부의 빈공간에 도체 부스바가 삽입되고, 양단은 도체 접속부에서의 접속부 외함과의 체결, Wall 플랜지와의 체결, 외부 케이스의 체결 등을 위해 날개부(22b, 23b)를 갖는다.
제1 상덕트(23)는 'ㄷ'자 형태의 본체(23a)와 본체(23a)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23b)로 이루어지며, 제2 상덕트(23)는 'ㄷ'자 형태의 본체(24a)와 본체(24a)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24b)로 이루어지고, 하부 덕트(22)는 마찬가지로 'ㄷ'자 형태의 본체(22a)와 본체(22a)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22b)로 이루어진다.
제2 상덕트(24)의 날개부(24b)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하부 덕트(22) 및 제1 상덕트(23)의 날개부(22b, 23b)는 'ㄱ'자로 꺾인 형태를 갖으며, 제2 상덕트(24)의 날개부(24b)는 상부 덕트(21)와 하부 덕트(22) 결합시 하부 덕트(22)의 날개부(22b) 안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날개부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복잡한 형상으로 다수개의 굴곡된 철판을 볼트에 의해 체결하도록 하여 조립이 복잡하게 되고, 다수개의 부속재를 볼트에 의해 체결하게 됨으로써 IP54에 대응하기 위해 별도의 방진 및 방수용 외함을 덧씌우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나, 본 발명의 외함 덕트(11)는 2개의 굴곡된 철판을 맞대기 용접하여 하나의 덕트를 이루게 함으로써 그 내부로는 먼지나 뿌려지는 물이 인입될 수 없도록 하여 조립 부속재를 적게하여 접속 공정이 용이하면서 방진 및 방수에 대응할 수 있는 외함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인 본 발명의 구조와 종래의 구조의 비교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Fe 외함을 갖는 부스덕트 단면구조이고, (B)는 종래의 Fe 외함을 갖는 부스덕트 단면구조이다.
(A)에서 도면기호 30a는 IP41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Fe 외함을 갖는 부스덕트이고, 도면기호 30b는 IP54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Fe 외함을 갖는 부스덕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덕트(10)의 외함 덕트(11)는 상부 덕트(31)가 제1 상덕트와 제2 상덕트가 용접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부 덕트(31)와 하부 덕트(32)의 결합에 의해 자연적으로 IP54 보호등급에 대응되면서 IP41 보호등급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외함체를 이용하여 IP41 등급 및 IP54 등급의 구조를 동일화할 수 있으므로 각각을 별개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를 없애 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달리, 종래의 부스덕트의 구조를 보면, (B)의 도면기호 30c는 IP41 보호등급에 대응되는 구조이고 도면기호 30d는 IP54에 대응되는 구조이다.
30c와 30d를 보면, 제1 측판(34a), 제2 측판(34b), PP 보강제(35), 상커버(36a), 하커버(36b) 및 IP54용 외함(38) 등의 다수개의 부속재들이 결합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속재에 따른 원가상승의 단점이 있으며, 조립 공정 또한 매우 복잡함을 알 수 있다.
또한 IP54에 대응되는 외함 덕트를 만족하기 위해 30d에서와 같이 IP54용 외함(38)을 더 체결해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의 조립 과정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부스덕트의 조립 과정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스덕트 조립 공정을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덕트(31)를 제1 상덕트(31a)를 아래 방향에 제2 상덕트(31b)를 윗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킨다(a).
그리고 도체 부스바(33)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상부 덕트(31)의 내부에 삽입시킨다(b).
도체 부스바(33)를 삽입시킨 후 하부 덕트(32)를 결합시키고(c),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41)에 의해 상부 덕트(31)와 하부 덕트(32)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부스덕트의 조립을 완료한다(d).
반면에, 종래의 부스덕트 조립 공정은 도 5와 같다.
먼저, 제2 측판(34b)를 위치시키고(a), 제2 측판(34b) 위로 도체 부스바(39)를 적층하여 위치시키며(b), 도체 부스바(39)의 양측에 도체 부스바(39) 고정용 PP 보강재(35)를 위치시킨다(c).
그리고, 제1 측판(34a)을 위치시켜 볼트에 의해 제1 측판(34a)과 PP 보강재(35)를 함께 체결한다(d).
이 상태에서 상커버(36a)를 제1 및 제2 측판(34a, 34b)과 수직이 되도록 외측에 볼트 결합하고(e), 마찬가지로 하커버(36b)를 반대측에 볼트 결합한다(f).
이어서, 제2 측판(34b)에 보강판(37)을 더 조립하고(g), 마지막으로 IP54용 외함(38)을 체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부스덕트의 조립 공정은 종래의 부스덕트의 조립 공정에 비해 매우 간단해졌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차이는 부속재의 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부속재의 수 감소 및 IP54에 대응한 구조는 제1 상덕트와 제2 상덕트 간의 용접 공정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부스덕트 11 : 외함 덕트
12, 33 : 도체 부스바 13 : 절연체
14, 41 :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 21, 31 : 상부 덕트
22, 32 : 하부 덕트 23 : 제1 상덕트
24 : 제2 상덕트 22a, 23a, 24a : 본체
22b, 23b, 24b : 날개부 25 : 용접부

Claims (3)

  1. 내부에 도체 부스바가 삽입되는 Fe(철) 재질의 외함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함 덕트는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의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하부 덕트는 'ㄷ'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를 갖고,
    상기 상부 덕트는 제1 상덕트와 제2 상덕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상덕트 각각은 'ㄷ'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상덕트는 면대면 용접을 통해 하나의 덕트로 구성되는,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덕트의 날개부는 상기 하부 덕트의 날개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함 덕트를 이루는,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3. 내부에 도체 부스바가 삽입되는 Fe(철) 재질의 외함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함 덕트는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의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부 덕트는 제1 상덕트와 제2 상덕트가 서로 면대면 용접에 의해 하나의 덕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상덕트, 제2 상덕트 및 하부 덕트 각각은 'ㄷ'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를 갖고,
    상기 상부 덕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상기 도체 부스바를 삽입하고, 상기 하부 덕트를 위치시켜 상기 상부 및 하부 덕트를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IP54 보호등급에 대응하는 하우징을 갖춘 부스덕트를 구현하는,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KR1020120156167A 2012-12-28 2012-12-28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KR20140086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67A KR20140086096A (ko) 2012-12-28 2012-12-28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67A KR20140086096A (ko) 2012-12-28 2012-12-28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96A true KR20140086096A (ko) 2014-07-08

Family

ID=5173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167A KR20140086096A (ko) 2012-12-28 2012-12-28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60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708B1 (ko) 2020-07-08 2020-11-02 (주) 백산정밀판금 Ip55 방진 및 방수 등급을 갖는 배전반(분전반)
KR102375263B1 (ko) * 2021-06-09 2022-03-16 주식회사 신화기전 화재예방에 효과적인 부스덕트 연결구
CN115207855A (zh) * 2022-08-04 2022-10-18 伊顿母线(江苏)有限公司 一种基于多层结构的高防护型耐火母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708B1 (ko) 2020-07-08 2020-11-02 (주) 백산정밀판금 Ip55 방진 및 방수 등급을 갖는 배전반(분전반)
KR102375263B1 (ko) * 2021-06-09 2022-03-16 주식회사 신화기전 화재예방에 효과적인 부스덕트 연결구
CN115207855A (zh) * 2022-08-04 2022-10-18 伊顿母线(江苏)有限公司 一种基于多层结构的高防护型耐火母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2003B2 (ja) インバータとモータ内蔵ドライブトレインとの電気的接続構造
EP246144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busbar components
KR101524233B1 (ko)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KR101270556B1 (ko) 다중 절곡 방식에 의하여 형상화된 외함구조 보강형 배전반
US9601975B2 (en) High altitude, high voltage rear terminal block assembly
KR102146064B1 (ko) 분전반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JP5332660B2 (ja) バッテリボックスユニットのアース構造
KR20140086096A (ko)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EP3025359B1 (en) A preassembled transformer substation
KR20080090900A (ko) 덧판을 구비한 부스 덕트
KR20170029877A (ko) 부스바용 도어형 절연블록
US201303275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different size busway sections
KR101263618B1 (ko) 접속부의 수밀 특성이 개선된 부스덕트
JP2019176569A (ja) バスダクトのフィードイン接続構造
KR101263621B1 (ko)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CN220914647U (zh) 连接装置、户外柜模块及储能系统
KR101158642B1 (ko) 플러그 인 버스웨이
CN110091817A (zh) 一种多点集中接地装置以及多点集中接地系统
CN206820447U (zh) 一种35kV预制式电缆中间接头
JP2007288869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KR101263617B1 (ko) 부스덕트용 덕트 측판
CN213461040U (zh) 一种组合拼接式封闭性母线槽
CN210744515U (zh) 交直流馈电柜安装梁
KR102100057B1 (ko) 착탈형 컨택터
CN208257341U (zh) 金属封闭式母线桥架及其壳体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