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111B1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111B1
KR101733111B1 KR1020160022073A KR20160022073A KR101733111B1 KR 101733111 B1 KR101733111 B1 KR 101733111B1 KR 1020160022073 A KR1020160022073 A KR 1020160022073A KR 20160022073 A KR20160022073 A KR 20160022073A KR 101733111 B1 KR101733111 B1 KR 101733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weight
parts
gu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to KR102016002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되어 공동주택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들을 배전하고 이를 정리 및 정돈할 수 있도록 하여 합선이나 단전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면서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Switchboards for stable power arrangement of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술 중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되어 공동주택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들을 배전하고 이를 정리 및 정돈할 수 있도록 하여 합선이나 단전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면서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과 같이 한 동에 다수의 세대 또는 상가가 입주하는 건물에는 외부로부터 단선으로 인입되는 전선을 수용하여 각 세대 또는 상가별로 배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전 및 배선은 외부에 드러난 배전함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각 세대 또는 상가별로 유입되는 전기를 총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전기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관리 및 유지보수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수많은 전선들이 배전함으로부터 인출되면서 공동주택의 구조물 내에 전선이나 상하수관 등을 배선 및 배관하기 위해 설계한 공간 내에 복잡하게 배선되고, 특히, 이러한 공간 내에 전선이 장기간 위치하게 되면 풍화 및 마모 등으로 상기 전선의 피복이 헤지게 되어 합선 및 누전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시멘트 몰탈 등을 타설하여 전선들을 시멘트 몰탈 등과 함께 매설하는 공법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이는 바닥면에 설치할 경우에만 해당될 뿐 천정이나 측벽에 설치할 경우에는 가설 작업상 어려움이 많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26413호(2006.09.13)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는 주로 분전을 위한 구조에 치중한 나머지 천정면이나 측면에 설치하는 구조 자체에 대한 기술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아 분전의 효용성 측면에서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으나 고정구조에 대해서는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뿐만 아니라,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전선이 덮개와 본체에 의해 직접 눌리기 때문에 비록 고정홈과 인입홈을 반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고 해도 전선이 상하로 유동되거나 당겨질 때 파단되거나 단선될 위험이 매우 높았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26413호(2006.09.13)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의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되어 공동주택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들을 배전하고 이를 정리 및 정돈할 수 있도록 하여 합선이나 단전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면서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측벽을 따라 상방이 개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인입홈(132)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차단돌부(131)와,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131) 사이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133)을 갖는 본체(130);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131) 사이에서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돌부가 상기 차단돌부(131)를 따라 나란하게 입설되되, 상기 돌부는 솔형태로 촘촘히 박혀 이루어지는 펜스(120); 상기 인입홈(132)을 통해 상기 본체(130)로 인입된 전선(10)의 말단이 접속하는 것으로써 베이스(141)와, 상면에는 상기 전선(10)의 말단이 삽입되는 홈을 갖추고 상기 베이스(141) 상에 8개가 정렬되되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한 면에 설치되되 사각으로 배치되는 안착블록(142)과, 상기 홈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도성 재질로 되는 통전블록(143)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각 4개의 통전블록(143)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145a)를 구비하는 전도성 제2전극(145)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남은 4개의 통전블록(143)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144a)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2전극(145)과 교차하면서 중간부는 절곡되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제1전극(144)과,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의 상방에서 압력을 가해 고정하는 커버(146)를 갖는 분전용 커넥터(140); 및 상기 인입홈(132)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맞물림 시 상기 인입홈(132)으로 인입된 전선(10)을 잡아 고정하도록 둘레면에 고정홈(111)을 갖추고, 상기 본체(130)의 상면을 덮는 덮개(110);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110)와 본체(130) 사이에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가 서로 마주보고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는 덮개(110)와 본체(130) 내벽면에 각각 접착 고정되는 수직편(220)과, 상기 수직편(220)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연장된 수평편(230)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편(230)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된 다수의 반원형 전선가이드(2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원형 전선가이드(240)의 상면 일부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안착홈(250)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전선가이드(240)는 수평편(230) 보다 더 길게 돌출되며;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는 기본소재인 고무(RU)의 내외면을 포함한 전체면을 내화액에 딥핑하여 일정두께로 내화코팅층(TR)을 형성하고, 상기 내화코팅층(TR)중 어느 일면에는 접착제층(BO)을 형성하되, 상기 내화코팅층(TR)은 프로필렌아세테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50중량부, 폴리스티렌수지 15중량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40중량부,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 15중량부, 팽창흑연 60중량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0중량부, 규산소다 35중량부, 염화파라핀 5중량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10중량부가 혼합 조성된 것이며; 상기 접착제층(BO)은 폴리우레아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부, 페놀수지 3중량부, 산화아연 8중량부, 소디움벤조에이트 4중량부가 혼합 조성된 것이고;
상기 덮개(110)의 상면에는 블럭고정홈(330)이 더 형성되고; 상기 블럭고정홈(330)에는 조립블럭(328)의 단부를 밀어 끼우는 식으로 끼워 조립블럭(328)의 단부에 형성된 블럭고정단(332)이 상기 블럭고정홈(330)에 걸려 상기 조립블럭(328)이 분리 이탈되지 않게 고정되며; 상기 조립블럭(328)의 타단에는 간격유지판(326)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간격유지판(326)에는 고정판(324)이 고정되며; 시멘트 몰탈 타설전에 상기 덮개(110)가 설치될 천정에는 거치대(310)가 나사 고정식으로 가설되되, 상기 거치대(310)는 폭방향 양단에 걸림단(312)을 갖는 'ㄷ' 형상의 부재이며, 설치면에 대해 상기 걸림단(312)이 들뜬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324)의 전면에는 슬라이드홈(322)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322)의 하단면 중앙에는 하단면의 폭(깊이) 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상기 거치대(310)가 측방에서 밀어져 끼워졌을 때 걸림단(312)중 하측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HAG)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HAG)의 대향측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탄성고정판(40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324)의 전면 중앙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홈(322)과 연통되게 설치홈(HOM)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판(400)은 상기 설치홈(HOM) 상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고정판(400)의 양측면에는 단차를 갖는 스프링턱(420)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턱(420)의 단차만큼 상기 설치홈(HOM)의 양측면과 간격을 갖고; 상기 간격 만큼 해당되는 공간에는 스프링(SPR)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지며, 상기 설치홈(HOM)의 상단은 스프링커버(430)에 의해 커버링되고; 상기 설치홈(HOM)의 전면 하측 중앙에는 슬라이드안내홈(SLM)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안내홈(SLM)에는 스토퍼(410)가 끼워지는데, 상기 스토퍼(410)는 상기 탄성고정판(400)의 배면 하측에서 수직하게 또는 직각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단자함을 천정 또는 측벽에 설치할 때 설치가 쉽고 빨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번거로움이 없으며, 안정적인 통전 접속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전용 커넥터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단자함을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하기 쉽도록 개선된 고정가이드 및 그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고정가이드 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등록특허 제10-0626413호의 기본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특히, 분전용 커넥터의 접속구조를 더 개량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높이고, 설치시 작업성을 편리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기본 구성은 등록특허의 내용을 그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단자함(100)은 건물의 천장에 매설된다.
또한, 다수의 전선(10)을 수용하여 배전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전기단자함(100)은 하나 이상의 분전용 커넥터(140)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기단자함(100)은 전선(10)의 통전을 위해 서로 접하게 되는 이음부를 보호하기 위해 분전용 커넥터(140)를 감싸 보호하는 본체(130)와, 상기 본체(130)를 덮는 덮개(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30) 및 덮개(110)는 절연성을 가지면서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된다.
한편, 상기 본체(130)의 측벽에는 다수의 인입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132)은 전선(10)이 인입 및 인출되는 출입구로, 배선되는 전선(10)의 수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입홈(132)에 상응하여 상기 덮개(110)에는 고정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11)은 인입홈(132)의 형성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기 덮개(110)를 본체(130) 상에 덮을 경우 인입홈(132) 내에 삽입되는 전선(10)이 흔들림없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인입홈(132)은 상부가 개구된 홈 형태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가 안착되는 본체(130) 내에는, 안착된 분전용 커넥터(140)의 둘레부를 막는 펜스(120)가 위치한다.
상기 펜스(120)는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돌부가 솔 형태로 촘촘히 입설된 것으로, 인입홈(132)을 통해 본체(130)로 삽입된 전선(10)의 외주면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상기 인입홈(132)을 통해 안쪽으로 유입되는 각종 먼지 및 습기 등의 이물질을 여과시킨다.
상기 펜스(120)와 분전용 커넥터(140) 사이에는 차단돌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돌부(131)는 인입홈(132)을 통해 내입된 습기가 상기 펜스(120)에 의해 걸리면서 응결된 후 본체(130)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30)의 저면에는 중간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지지대(1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60)는 상기 본체(13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서 본체(130)를 지지한다.
그런데, 상기 지지대(160)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은,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이 지지대(160)의 하방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어, 그 부피가 과도하게 크지는 않다.
한편, 상기 지지대(160)의 상면부에는 턱(161)이 형성되어서 상기 지지대(160)를 통해 형성된 공간과 본체(130)를 구획한다.
이는, 상기 공간에 정체할 수 있는 각종 습기의 상승을 차단하고 상기 본체(130) 내 안착된 분전용 커넥터(140)를 보온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150)은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60)의 저면에는 완충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170)는 상기 차단막(150)과 유사한 스펀지 구조를 갖는 재질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단자함(100)을 천장 또는 바닥에 매설할 때에 상기 천장 또는 바닥에 배관되는 온수관 또는 상하수관이나 상기 천장 또는 바닥을 견고히 하기 위해 배근된 철근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170)는 전기단자함(100)이 매설되는 천장 또는 바닥 등에 배관 및 배근된 관(20) 또는 철근의 크기와 배관 위치에 관계없이, 탄성 및 연성을 갖는 상기 완충부재(170)가 상기 관(20) 또는 철근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여 상기 전기단자함(100)의 안정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관(20) 또는 철근은 전도체이므로, 전기단자함(100)에 안착된 분전용 커넥터(140)에서의 누전류가 흘러가 예기치 못한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170)는 전도체일 수 있는 상기 관(20) 또는 철근과 전기단자함(100) 간 절연을 이룬다.
상기 지지대(160)와 완충부재(170) 간의 결합은 상기 지지대(160)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고정핀(162)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162)은 스펀지 구조를 이루는 완충부재(170)에 박혀 들어가 지지대(160)와 완충부재(170)를 고정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단자함(100)은 본체(130) 내에 분전용 커넥터(140)가 안착되고,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의 상면은 덮개(110)가 씌워져 보호된다.
또한, 상기 본체(130)의 하방에는 지지대(160)가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이루면서, 상기 공간의 습기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130) 안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 차단막(150)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차단돌부(131)의 외곽 바닥면에는 배수구멍(133)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멍(133)은 상기 인입홈(132)을 통해 유입된 응결된 습기가 상기 지지대(16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배수되는 습기는 우선적으로 상기 차단막(150)에 흡수되면서, 본체(130) 내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용 커넥터(140,140')는 그 높이를 달리하여 배선 높이를 분류함으로서, 본체(130) 내에 인입된 다수의 전선(10)이 복잡하게 얽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통상,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140')의 높낮이는 베이스(141)의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단자함(100)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시멘트 몰탈에 매몰되는 전선(10)을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전선(10)으로 인한 시멘트 몰탈 내 중공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시멘트 몰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시멘트 몰탈에 매설되는 전선(10)의 수를 줄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시멘트 몰탈 내에 매설되는 전기단자함(100)에서 분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분전은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는 베이스(141)와, 상기 베이스(141)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안착블록(142)과, 상기 안착블록(14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통전블록(143)과, 상기 통전블록(143)을 상방에서 눌러 전선(10)을 고정하는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을 고정하는 커버(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140)의 일실시예를 통해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140)의 일실시예는 하나의 전선(10)을 세 전선으로 분전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전선의 접속이 용이하고 컴팩트하면서 안정된 구조로 되어서, 필요한 경우 상기 본체(130)에 긴밀하게 정렬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는 8개의 안착블록(142)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면서 사각형상으로 배열되되, 두 개의 안착블록(142)이 일면을 이루게 한다.
상기 안착블록(142)의 상면에는 소정의 홈(142a)이 형성된다.
상기 홈(142a)에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의 통전블록(143)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통전블록(143)은 상기 홈(142a)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필요한 경우 상기 통전블록(143)을 상기 안착블록(142)으로부터 탄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전블록(143)은 전선과 통전하는 동시에 상기 전선을 고정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통전블록(143)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서 상기 홈(142a) 안으로 삽입된 전선(10)을 통전블록(143)이 상방에서 힘을 가해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통전블록(143) 자체가 도체이므로 전선(10)과 통전된다.
한편, 상기 통전블록(143)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에 의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선(10)은 전선(10)으로 흐르는 전류가 교류든 직류든 간에 정상적인 회로구성을 위해 두 개의 전선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선(10)을 분전할 경우에도 이러한 두 극성을 고려하여 분전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용 커넥터(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블록(142)이 베이스(141) 상에 사각으로 정렬할 시,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는 안착블록이 각각의 일면을 이루도록 하여서, 상기 일면을 이루는 두 개의 안착블록(142)이 양 극성을 갖게 한다.
즉, 사각의 일면을 이루는 한 쌍의 안착블록(142)이 하나의 전선(10)과 통전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술한 안착블록(142)을 통한 분전을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안착블록이 한 쌍을 이루면서 사각의 일면을 이룰 경우, 두 개의 안착블록 내 통전블록은 남은 3면의 안착블록들의 각 하나들과 전체적으로 통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네 면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안착블록 내 통전블록 중 하나씩이 두 개의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을 통해 각각 통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전극(144)과 제2전극(145)은 상호 합선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형상을 이룬다.
우선, 제1전극(144)은 상기 안착블록(142)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통전블록(143)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평판형상을 한 4개의 돌부(144a)를 각 말단에 포함하고, 중간부는 상기 안착블록(142)으로 둘러싸인 베이스(141)의 중심부로 절곡된 절곡부(144b)를 이룬다.
한편, 제2전극(145)은 상기 제1전극(144)과 마찬가지로 4개의 돌부(145a)를 각 말단에 포함하나, 상기 절곡부(144b)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절곡부(144b)가 상기 제1전극(144)과 제2전극(145)이 교차할 때 서로 접하지 않도록 성형된 것으로, 상기 제1전극(144)의 절곡부(144b)로 인해 제2전극(145)은 절곡될 필요없이 그대로 교차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 모두가 절곡부를 갖도록 하여, 베이스(141) 상에서 교차 배치되는 두 전극(144,145)의 접촉을 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은 전선(10)의 말단이 홈(142a)으로 삽입되면, 통전블록(143)을 눌러 전선(10)을 잡아 고정하면서 연결된 전선을 동일한 극성으로 통전시킨다.
결국,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나의 전선(10)이 상기 분전용 커넥터(140)의 일면에 접속하면, 남은 3면에 접속된 전선들에 분전하면서 각 세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극(144,145)을 일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커버(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41)에는 고정부(147)를 두어 상기 커버(146)가 전극(144,145)을 누르면서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10)와 본체(130) 사이에는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가 서로 마주보고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는 서로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되, 다만 방향만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는 덮개(110)와 본체(130) 내벽면에 접착 고정되는 수직편(220)과, 상기 수직편(220)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연장된 수평편(230)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편(230)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반원형 전선가이드(240)가 돌출된다.
이 경우, 상기 반원형 전선가이드(240)의 양단은 상기 수평편(230)의 하단면과 동일평면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야 상,하로 서로 맞물렸을 때 전선(10)이 통과하는 원을 만들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반원형 전선가이드(240)는 편의상 4개만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갯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는 부분이다.
특히, 상기 반원형 전선가이드(240)의 상면 일부, 더 정확하게는 상기 수평편(230)의 폭과 대응되는 폭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안착홈(25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50)은 상기 덮개(110)에 형성된 고정홈(111) 부분이 안착되면서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반대쪽에서는 본체(130)에 형성된 인입홈(132) 부분이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상기 반원형 전선가이드(240)를 수평편(230) 보다 더 길게 돌출시키는 이유는 도 2에 예시된 덮개(110)와 본체(130)는 리지드(Rigid)한 두 부재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데 고정홈(111)과 인입홈(132)을 형성하더라도 그 사이에 끼워진 전선(10)이 유동할 때 피복이 벗겨지면서 파단, 또는 단선의 위험이 높기 때문이며, 단시간내 파단 또는 단선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피로하중이 맞물린 부분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문제의 소지가 높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반원형 전선가이드(240)를 포함한 상부가이드(200) 및 하부가이드(210)가 플렉시블한 고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선(10)의 유동시 함께 움직이면서 그 만큼 전선(10)이 받는 피로하중을 줄여 주게 된다.
다만, 고무는 화재에 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강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6의 (a)에 확대 도시한 단면도에서와 같이,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의 기본소재인 고무(RU)의 내외면을 포함한 전체면을 내화액에 딥핑하여 일정두께로 코팅하여 내화코팅층(TR)을 형성하고, 상기 내화코팅층(TR)중 어느 일면, 즉 접착되어야할 면에는 접착제층(BO)을 형성하며, 접착제층(BO)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필름(RF)이 부착된 형태의 층상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내화코팅층(TR)을 구성하는 내화액은 프로필렌아세테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50중량부, 폴리스티렌수지 15중량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40중량부,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 15중량부, 팽창흑연 60중량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0중량부, 규산소다 35중량부, 염화파라핀 5중량부, Ammonium Polyphosphate 10중량부로 조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필렌아세테이트는 독성이 낮은 유기용매이며, 상기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는 염소계 난연제로서 열에 의해 분해되면서 불연성 기체를 발생시켜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난연기능을 수행하고, 폴리스트렌수지는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혼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일종의 에스테르로서 점착성이 있어 고무(RU)에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고,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은 경화를 촉진하기 위해 첨가되며, 팽창흑연은 그라파이트 층상구조를 갖기 때문에 열을 받을 경우 입자가 수백배 팽창하면서 난연강화 기능을 수행하고,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은 수지와 무기계 난연제인 팽창흑연의 커플링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규산소다는 겔화를 유도하여 표면에서의 내화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염화파라핀과 Ammonium Polyphosphate는 난연성 보강을 위한 무기계 난연제이다.
이렇게 조성된 내화액에 딥핑한 소재, 즉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를 접착제 도포전에 난연성 확인을 위해 소재의 일측에서 토치를 이용하여 화염을 방사하고 약 900℃의 온도로 8분간 가열하였다.
그리고, 반대쪽에서 적외선 온도계로 측정한 결과, 145.6℃로 검출되었다. 이를 통해, 난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내화코팅층(TR)의 일측에는 접착제층(BO)이 형성되는데, 접착제로는 주성분인 폴리우레아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부, 페놀수지 3중량부, 산화아연 8중량부, 소디움벤조에이트 4중량부가 혼합되어 조성된다.
이때, 폴리우레아수지는 요소수지로서 열변형성과 흘러내림성이 적고 접착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사용되며, 아크릴로니트릴은 열경화성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되고, 페놀수지는 내열성, 굴곡성, 박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산화아연은 무기충전제로 첨가되고, 소디움벤조에이트는 불연성을 증대시키면서 부착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이형필름(RF)은 PET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시멘트 몰탈 타설전에 전기단자함(100)의 천정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7 및 도 8과 같은 고정가이드(3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고정가이드(300)는 천정에 고정되는 거치대(310)와, 상기 거치대(31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이동대(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거치대(310)는 폭방향 양단에 걸림단(312)을 갖는 대략 'ㄷ' 형상의 부재이며, 설치면에 대해 상기 걸림단(312)이 들뜬 상태로 유지되도록 면접촉된 후 나사공(314)을 통해 나사 고정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320)는 사각 블럭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시와 같이 두 개의 판이 단차를 두고 맞붙어 있는 형태와 같이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냥 사각블럭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이동대(320)는 도 8과 같이,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슬라이드홈(322)이 형성된 고정판(324)과, 상기 고정판(324)의 배면에 일체로 고정된 간격유지판(326) 및 상기 간격유지판(326)에서 돌출된 조립블럭(3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24)의 슬라이드홈(322)의 하단면 중앙에는 하단면의 폭(깊이) 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상기 거치대(310)가 측방에서 밀어져 끼워졌을 때 걸림단(312)중 하측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HAG)가 돌출되고, 걸림부(HAG)의 대향측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탄성고정판(400)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고정판(400)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324)의 전면 중앙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홈(322)과 연통되게 설치홈(HOM)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고정판(400)은 상기 설치홈(HOM) 상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탄성고정판(40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탄성고정판(400)은 도 7과 같이 양측면에 단차를 갖는 스프링턱(420)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턱(420)의 단차만큼 상기 설치홈(HOM)의 양측면과 간격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 간격만큼 해당되는 공간에 스프링(SPR)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지며, 상기 설치홈(HOM)의 상단은 스프링커버(430)에 의해 커버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설치홈(HOM)의 전면 하측 중앙에는 슬라이드안내홈(SLM)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안내홈(SLM)에는 스토퍼(410)가 끼워지는데, 상기 스토퍼(410)는 상기 탄성고정판(400)의 배면 하측에서 수직하게 돌출된다.
때문에, 상기 탄성고정판(400)은 상기 스프링(SPR)이 밀어 내리더라도 상기 스토퍼(410) 때문에 슬라이드안내홈(SLM) 내에서만 이동가능하며 하사점까지 내려왔을 때, 다시 말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탄성고정판(400)의 하단이 상기 걸림부(HAG)의 돌출 높이와 대응된 길이 만큼 슬라이드홈(322) 쪽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또한 상기 걸림부(HAG)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홈(322)의 전면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들떠 있는 형태이므로 그 사이로 상기 걸림단(312)이 끼워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고정판(400)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설치홈(HOM)의 양측 하부가 대략 'ㄷ'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는 형태로 삽입설치되며, 설치된 후에는 전방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거치대(310)에 고정할 때는 고정판(324)을 약간 기울여 상기 걸림부(HAG)가 걸림단(312)중 어느 하나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탄성고정판(400)을 상부로 당긴다.
그러면, 스프링(SPR)이 압축되면서 탄성고정판(400)이 당겨져 올라오므로 슬라이드홈(322)으로 노출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다른쪽 걸림단(312)이 간섭되지 않아 걸림단(312)이 완전히 슬라이드홈(322) 속으로 끼워지게 하는데 문제가 없다.
이렇게 된 상태에서, 양쪽 걸림단(312) 모두가 슬라이드홈(322) 속으로 모두 들어 오면 당겼던 탄성고정판(400)을 놓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SPR)은 탄성복귀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탄성고정판(400)을 하강시켜 탄성고정판(400)의 하단이 슬라이드홈(322) 속으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양쪽 걸림단(312) 모두가 걸림부(HAG)와 탄성고정판(400)의 하단에 의해 모두 걸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판(324)은 탄성고정판(400)을 당겼다 놓기만 해도 쉽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110)의 상면 일부에는 블럭고정홈(330)이 형성되는데 상기 블럭고정홈(330)은 양단이 각각 'ㄷ' 형상을 가지고 있고, 조립블럭(328)에는 상기 블럭고정홈(330)에 끼워지는 블럭고정단(332)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 방식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어 끼우는 형태로 조립하게 되면 상기 전기단자함(100)을 쉽고 빠르게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덮개(110)의 상면 일부만 홈 가공하면 되고, 나머지는 부수되는 부재를 더 구비하여 체결하면 쉽고 빠르게 조립 고정할 수 있게 된다.
100: 전기단자함 110: 덮개
120: 펜스 130: 본체
140: 분전용 커넥터 150: 차단막
160: 지지대 170: 완충부재

Claims (1)

  1. 측벽을 따라 상방이 개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인입홈(132)과,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차단돌부(131)와,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131) 사이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133)을 갖는 본체(130); 상기 측벽과 차단돌부(131) 사이에서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돌부가 상기 차단돌부(131)를 따라 나란하게 입설되되, 상기 돌부는 솔형태로 촘촘히 박혀 이루어지는 펜스(120); 상기 인입홈(132)을 통해 상기 본체(130)로 인입된 전선(10)의 말단이 접속하는 것으로써 베이스(141)와, 상면에는 상기 전선(10)의 말단이 삽입되는 홈을 갖추고 상기 베이스(141) 상에 8개가 정렬되되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한 면에 설치되되 사각으로 배치되는 안착블록(142)과, 상기 홈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도성 재질로 되는 통전블록(143)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각 4개의 통전블록(143)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145a)를 구비하는 전도성 제2전극(145)과,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남은 4개의 통전블록(143) 상면과 맞물려 압력을 가하는 4개의 돌부(144a)를 구비하면서 상기 제2전극(145)과 교차하면서 중간부는 절곡되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제1전극(144)과, 상기 제1전극(144) 및 제2전극(145)의 상방에서 압력을 가해 고정하는 커버(146)를 갖는 분전용 커넥터(140); 및 상기 인입홈(132)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맞물림 시 상기 인입홈(132)으로 인입된 전선(10)을 잡아 고정하도록 둘레면에 고정홈(111)을 갖추고, 상기 본체(130)의 상면을 덮는 덮개(110);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110)와 본체(130) 사이에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가 서로 마주보고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는 덮개(110)와 본체(130) 내벽면에 각각 접착 고정되는 수직편(220)과, 상기 수직편(220)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연장된 수평편(230)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편(230)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된 다수의 반원형 전선가이드(2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원형 전선가이드(240)의 상면 일부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안착홈(250)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전선가이드(240)는 수평편(230) 보다 더 길게 돌출되며; 상부가이드(200)와 하부가이드(210)는 기본소재인 고무(RU)의 내외면을 포함한 전체면을 내화액에 딥핑하여 일정두께로 내화코팅층(TR)을 형성하고, 상기 내화코팅층(TR)중 어느 일면에는 접착제층(BO)을 형성하되, 상기 내화코팅층(TR)은 프로필렌아세테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50중량부, 폴리스티렌수지 15중량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40중량부,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 15중량부, 팽창흑연 60중량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0중량부, 규산소다 35중량부, 염화파라핀 5중량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10중량부가 혼합 조성된 것이며; 상기 접착제층(BO)은 폴리우레아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부, 페놀수지 3중량부, 산화아연 8중량부, 소디움벤조에이트 4중량부가 혼합 조성된 것이고;
    상기 덮개(110)의 상면에는 블럭고정홈(330)이 더 형성되고; 상기 블럭고정홈(330)에는 조립블럭(328)의 단부를 밀어 끼우는 식으로 끼워 조립블럭(328)의 단부에 형성된 블럭고정단(332)이 상기 블럭고정홈(330)에 걸려 상기 조립블럭(328)이 분리 이탈되지 않게 고정되며; 상기 조립블럭(328)의 타단에는 간격유지판(326)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간격유지판(326)에는 고정판(324)이 고정되며; 시멘트 몰탈 타설전에 상기 덮개(110)가 설치될 천정에는 거치대(310)가 나사 고정식으로 가설되되, 상기 거치대(310)는 폭방향 양단에 걸림단(312)을 갖는 'ㄷ' 형상의 부재이며, 설치면에 대해 상기 걸림단(312)이 들뜬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324)의 전면에는 슬라이드홈(322)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322)의 하단면 중앙에는 하단면의 폭(깊이) 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상기 거치대(310)가 측방에서 밀어져 끼워졌을 때 걸림단(312)중 하측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HAG)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HAG)의 대향측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탄성고정판(40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324)의 전면 중앙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홈(322)과 연통되게 설치홈(HOM)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판(400)은 상기 설치홈(HOM) 상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고정판(400)의 양측면에는 단차를 갖는 스프링턱(420)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턱(420)의 단차만큼 상기 설치홈(HOM)의 양측면과 간격을 갖고; 상기 간격 만큼 해당되는 공간에는 스프링(SPR)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지며, 상기 설치홈(HOM)의 상단은 스프링커버(430)에 의해 커버링되고; 상기 설치홈(HOM)의 전면 하측 중앙에는 슬라이드안내홈(SLM)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안내홈(SLM)에는 스토퍼(410)가 끼워지는데, 상기 스토퍼(410)는 상기 탄성고정판(400)의 배면 하측에서 수직하게 또는 직각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20160022073A 2016-02-24 2016-02-24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73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73A KR101733111B1 (ko) 2016-02-24 2016-02-24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73A KR101733111B1 (ko) 2016-02-24 2016-02-24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111B1 true KR101733111B1 (ko) 2017-05-08

Family

ID=6016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073A KR101733111B1 (ko) 2016-02-24 2016-02-24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1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671A (ko) * 2018-02-28 2019-09-05 한국전력공사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20200045659A (ko) * 2018-10-23 2020-05-06 이대유 배선유입구의 유해가스 차단 흡착구
CN113036622A (zh) * 2021-02-02 2021-06-25 海南车库电桩科技有限公司 一种地下车库充电桩的专用配电箱
KR102341289B1 (ko) * 2021-05-28 2021-12-22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케이블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13B1 (ko) * 2006-04-06 2006-09-20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KR100633457B1 (ko) 2006-04-14 2006-10-16 (주)동화이엔씨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아파트의 배전함
KR101118563B1 (ko) 2010-09-10 2012-02-24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전기 배전함 및 통신함 설치용 냉온유지장치
KR101523286B1 (ko) * 2014-12-17 2015-05-28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13B1 (ko) * 2006-04-06 2006-09-20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KR100633457B1 (ko) 2006-04-14 2006-10-16 (주)동화이엔씨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아파트의 배전함
KR101118563B1 (ko) 2010-09-10 2012-02-24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전기 배전함 및 통신함 설치용 냉온유지장치
KR101523286B1 (ko) * 2014-12-17 2015-05-28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671A (ko) * 2018-02-28 2019-09-05 한국전력공사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102114541B1 (ko) 2018-02-28 2020-05-25 한국전력공사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20200045659A (ko) * 2018-10-23 2020-05-06 이대유 배선유입구의 유해가스 차단 흡착구
KR102118801B1 (ko) * 2018-10-23 2020-06-03 이대유 배선유입구의 유해가스 차단 흡착구
CN113036622A (zh) * 2021-02-02 2021-06-25 海南车库电桩科技有限公司 一种地下车库充电桩的专用配电箱
KR102341289B1 (ko) * 2021-05-28 2021-12-22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케이블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111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JP6300944B2 (ja) スマートハウスの電源接続システム
CN101673884B (zh) 电汇流通道法兰端插头
KR20170010711A (ko) 이동식 소켓들을 위한 가압 레일의 배열
JP2016077128A (ja) バスダクトの分岐装置及びバスダクトの分岐構造
KR20170029877A (ko) 부스바용 도어형 절연블록
KR101884013B1 (ko)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CN108458398B (zh) 一种自发热地板系统
CN106877184A (zh) 覆盖件组件、用于隔离电力导体的系统以及电气系统
JP2008218009A (ja) コンセント設置構造及びコンセント設置工法
KR100699920B1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CN111448712B (zh) 地板系统
JP4088441B2 (ja) 配線器具、配線装置およびライティングダクト装置
KR101811007B1 (ko) 시공이 편리한 분전반
KR101626609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CN110311338B (zh) 一种装配式室内电源供电系统
US4121879A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conductor rails
KR102341289B1 (ko)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케이블 고정장치
KR20100054495A (ko)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CN219418817U (zh) 嵌入式开关盒、多联排嵌入式开关盒和开关组件
CN110289529B (zh) 一种插排式电源母线槽
CN211088596U (zh) 一种过线装置及包含其的空调
CN107706651B (zh) 用于集成墙板电路系统的线材与可插拔外设连接装置
CN213905624U (zh) 一种电连接器结构
CN213845647U (zh) 一种适用于多个位置安装的开关制固定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