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495A -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 Google Patents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495A
KR20100054495A KR1020080113446A KR20080113446A KR20100054495A KR 20100054495 A KR20100054495 A KR 20100054495A KR 1020080113446 A KR1020080113446 A KR 1020080113446A KR 20080113446 A KR20080113446 A KR 20080113446A KR 20100054495 A KR20100054495 A KR 20100054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hole
connection
plate bod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9978B1 (ko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세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홍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3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9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콘센트와 콘센트 박스의 연속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 전,후,좌,우 연속하여 확장 구성함이 가능한 조립식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와 이에 조립되는 콘센트로 이루어진 배선기구로서,
개구부(203)를 형성하는 상판(202)와,사각틀체(211)의 측벽에 접속돌기(205),접속공(209)들을 형성하는 상부판체(20)와, 상기 접속돌기(205)에 걸리는 접속탄편(245)들을 형성하고, 받침홈(244)과 단자공(210)에 관통되는 관통공(246),지지벽부(267)들,접지공(266)을 형성하여 상기 사각틀체(211)에 결합되는 중간판체(24)와, 지지벽부(267)들,접지단(266)을 형성하여 상면에 통전용 접속도체(26)들을 삽입 형성하고, 접속탄편(295)들을 형성하여 상기 중간판체(24)에 저부에서 결합되는 하부판체(29)로 이루어진 조립 콘센트(2)와, 제1,제2지지대(13)와,전원공급 함체(12)와, 제1 박스본체(10)와,제2 박스본체(11)로 이루어진 콘센트 박스(1); 및 덮개(4)를 포함하는 벽 매설형 배선기구를 제공한다.
콘센트,콘센트 박스,배선기구.

Description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Wall outlet assembly and wir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에 적용되는 콘센트로서 플러그 단자삽입구조만의 독립적인 콘센트 타입 혹은 통신용 폿트의 잭, 인터넷등의 접속용 잭만을 하나의 콘센트에 독립적으로 형성하여 이를 필요에 따라 서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콘센트 자체는 무볼트의 조립구조를 갖도록 한 조립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공동주택등의 가정에서 사용되는 플러그를 꽂기 위한 콘센트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에 설치된 콘센트 박스를 먼저 가설한 뒤 건물의 거푸집을 포함하여 콘크리트로 양생한 뒤 콘센트 박스내에 콘센트를 집어 넣음으로써 가전제품의 플러그,통신단자용 잭,인터넷 네크워크 잭등의 콘센트로 사용된다.
이러한 통신용 및 인터넷용 접속잭,전원공급용 콘센트(고정식)등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단자함,외함,전선관,시스템 박스,콘센트 박스등의 내부에 형성된 콘센트(접속공)에 플러그,잭등을 접속하여 전원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크게 벽 매설 형 콘센트 박스(단자함,외함,전선관,콘센트 박스등,outlet box for wall)와, 바닥 배선용 콘센트 박스(전선관,시스템 박스등...System box of a floor covered type)의 두 종류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전자는 건물의 벽면에 매설되는 것이고,후자는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것이며, 전,후 공통적으로 거푸집에 안착되는 외함구조의 콘센트 박스를 갖고 그 내부에 단자공,잭삽입공등이 형성된 콘센트를 형성하여서 된다.
한편, 콘센트는 상기한 외함구조의 콘센트 박스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도 1c의 것과 첨부 도면의 도 1a, 1b와 같이 플러그와,전선, 및 이에 연결된 이동형 콘센트가 있다. 이러한 이동형 콘센트의 경우 멀티탭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결구조가 알려져 있다.
도 1a는 등록실용 20-0429074호의 멀티탭으로 일측면으로는 전원 케이블이 인입되고 상면으로는 콘센트 단자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는 별도의 자멀티탭이 조립되는 멀티탭으로서, 상기 멀티탭의 타측면 내지 전, 후면으로는 상기 상면에서 하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을 이루는 평면보다 하측에 위치한 수직면에서 전방으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후 수직으로 꺽여 상기 수직면과 수평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타측면 내지 전, 후면의 평면과 만나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으로는 상기 콘세트 홀과 서로 연계되어 통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돌출된 연결단자가 설치된 것이고,
도 1b는 등록실용신안 20-0258712호의 멀티탭으로 일측에는 상기 전원측에 접속되는 코드선이 구비되고 적어도 일면에는 콘센트가 구비된 멀티탭 본체와, 이 멀티탭 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면에는 콘센트를 구비하며 상호 접속가능한 다수개의 콘센트 유닛을 포함하며,상기 멀티탭 본체와 콘센트 유닛 또는 콘센트 유닛간의 결합부위에는 각각 결합돌부와 결합홈이 구비되고, 이 결합돌부와 결합홈에는 각각 암수의 도전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 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일측에만 결합돌부 또는 결합홈이 구비되어 타측은 말단처리된 것이다. 이러한 멀티탭은 벽 매설형 콘센트박스에 적용하기에는 부적당하고, 단지 콘센트 연속 연결시 단순 연결구조만을 제시하였다.
즉, 외부 콘센트몸체의 연결 구조만이므로 연속 연결구조에 따른 내부의 전원 접속도체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이 없으며, 대부분 내부에 전원선과 통전 접속도체를 연결하거나 고정할 경우 볼트를 사용할 수 밖에 없어 무볼트 조립콘트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수작업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결하지는 못하였고, 특히, 이것들은 벽 매설형의 콘센트로는 부적당하였다.
또한 첨부 도면중 도 1c는 등록실용 20-0312266호의 종래 건물의 벽면에 매입 설치되는 배선기구박스로서, 전기콘센트,전화터미널,TV잭 및 통신터미널등의 여러 배선기구를 일체로 장착 할 수 있는 전기콘센트 조립구멍, 전화터미널조립구멍, TV잭조립구멍, 및 통신터미널 조립구멍이 형성된 커버와, 내부면에 형성된 끼움구의 끼움홈에 전자파를 차단하는 격벽이 끼워지는 매입박스가 결합되는 멀티조인트박스이다. 이 단자함은 그 내부에전선 케이블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 또는 약화된 전파를 보다 멀리 정확하게 송신하기위하여 증폭기 등이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컴퓨터의 대량 보급으로 인하여 다기능 장치의 증설이 요구되는 추세에 있 다. 종래의 단자함은 규격이 획일화되어 다양한 용도에 따라 필요한 크기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데 제한이 있었고, 여러크기의 단자함을 제조하는데는 비용도 크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설치 이후 장치를 부가하기 위해서는 종전단자함이 확장되지 않아 새로운 단자함으로 교환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었다. 또한, 컴퓨터 등의 다양한 통신기기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케이블과 연결장치가 필요함에 따라 하나의 단자함에 다양한 통신기기를 설치시 강전과 약전사이의 전기적 신호에 의한 간섭현상으로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첫째, 콘센트 박스의 간편 조립구조에 대응하는 조립 콘센트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콘센트와 콘센트 박스의 연속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셋째, 전,후,좌,우 연속하여 확장 구성함이 가능한 삽입 및 조립원리를 새롭게하여 궁극적으로 전원접속용 플러그, 외부 전원공급용 전원케이블과의 연결성,인터넷 통신용 잭등의 단일화한 콘센트들을 독립적 콘센트로서 각 콘센트박스마다 전,후,좌,우로 연결되어 종합적인 배선기구로서 세트화한 조립식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와 이에 조립되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벽에 매설되는 콘센트 박스에 대응하여 단일의 기능별 콘센트가 다수 조립 가능한 새로운 조립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콘센트가 콘센트 박스내에서 간단히 삽입 조립되고, 잠금과 해제가 가능한 콘센트 결합방식이 구현된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는,
상면중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부판체와, 상부판체의 플러그 삽입요에 탄설되는 접지단자와, 상기 상부판체의 하방 사각틀체에 맞추어지는 사각몸체로서 안내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사각틀체에 결합되는 중간판체와, 상기 중간판체의 저부와 대응하여 지지벽부들,접지공을 형성하여 상면에 통전용 접속도체들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안내장공의 직하방에 형성되는 안내홈에 출몰편을 수용하여 상기 중간판체에 저부에서 결합되는 하부판체와, 상기 개구부에서 안내장공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출몰편을 가압 출몰시키는 결합구로 이루어져, 콘센트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콘센트 장착구에서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한 조립 콘센트로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는,
상면중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판와,이 상판의 하방에 형성된 사각틀체로 이루어 지고, 그 내부에 이 사각틀체의 측벽에 접속돌기,접속공들을 형성하는 상부판체와, 상기 상부판체의 하방 사각틀체에 맞추어지는 사각몸체로서 상기 접속홈에 걸리는 접속탄편와 안내장공을 사각몸체의 연부를 따라 한 쌍씩 대향 형성하고, 상기 접지단자의 저부를 받쳐주는 받침홈과 단자공에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저부에는 통전용 접속도체들이 삽입되도록 지지벽부들,접지공을 형성하여 상기 사각틀체에 결합되는 중간판체와, 상기 중간판체의 저부와 대응하여 지지벽부 들,접지단을 형성하여 상면에 통전용 접속도체들을 삽입 형성하고, 상기 중간판체의 접속홈에 걸려 결합되는 서로 길이가 다른 한 쌍의 접속탄편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장공의 직하방에 형성되는 안내홈을 형성하여 출몰편을 수용하고, 저면으로 피복전원선이 끼워지는 삽입공들을 형성하여 상기 중간판체에 저부에서 결합되는 하부판체와, 상기 결합구의 하방에서 위치하되 상기 안내홈에 안착되어 상기 결합구의 가압작동으로 측면의 기어형 돌조가 출몰되어 결합구에 맞물리거나 해제되는 기어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콘센트 박스 본체내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서 플러그 단자의 접속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상기 상부판체의 상면은 자석이 매설되고, 이에 덮여지는 덮개에 서로 흡착력을 갖는 자석을 매입하여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상기 상부판체의 저면에서 가운데로 단자공의 직하방에 경사면과 관공을 형성하고, 그 저면은 시이소오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부에 탄성부재로서 일방 탄력이 가해지는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상기 접속도체는 제1,제2도체가 일체로 연결되고, 각각은 접속바에 접속되는 접속홀더와, 전선삽지편및 단자접속편을 형성한 한 쌍과, 이들 사이에 접지단을 형성한 접지도체을 위치하여 상기 중간판체의 저부에 형성된 지지벽부들에 의하여 삽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상기 상부판체의 저부에서 사각틀체의 양측으로 관통하여 플러그 삽입요부로 두 끝이 노출되게 탄설되는 접지단자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상부판체는 상면중 일부에 개구부를 대향 형성하고, 중간판체는 안내장공을 상기 개구부에 맞추어 대향 형성하고, 하부판체는 상기 안내장공의 하방에 대응하도록 안내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판체의 개구부로 부터 하부판체의 안내홈에 이르도록 바디부의 상방에 헤드부를 형성하되, 하단에는 접속단을 형성한 결합구를 승강 가능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안내홈에는 출몰편을 위치시키고, 매설형 콘센트 박스 본체내측에는 체결공를 형성한 지지부와, 이 지지부로 부터 ㄱ자형으로 절곡되고, 내측으로 기어형 돌기를 형성한 상부로 이루어진 콘센트 장착구를 설치하여, 상기 결합구의 하단 접속단이 출몰편에서 승강 가압하므로서 안내홈의 경사면을 따라 출몰편이 출몰되어 콘센트 장착구의 기어형 돌기에서 잠금 혹은 분리 작동이 이루어져 콘센트가 콘센트 박스에서 결합,해제되는 결합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상기 콘센트의 상부판체의 사각틀체의 측벽에 접속공을 형성하고, 이 접속공에 접속되어 연결되는 걸림편들을 형성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콘센트가 연속 조립되는 경우 그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첫째, 콘 센트 박스의 간편한 조립구조에 대응하는 조립 콘센트를 제공 할 수 있으며, 둘째,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콘센트와 콘센트 박스의 연속 조립이 가능하며, 셋째, 전,후,좌,우 연속하여 확장 구성함이 가능한 삽입 및 조립원리를 새롭게하여 궁극적으로 전원접속용 플러그, 외부 전원공급용 전원케이블과의 연결성,인터넷 통신용 잭등의 단일화한 콘센트들을 독립적 콘센트로서 각 콘센트박스마다 전,후,좌,우로 연결되어 종합적인 배선기구로서 세트화한 조립식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와 이에 조립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벽에 매설되는 콘센트 박스에 대응하여 단일의 기능별 콘센트가 다수 조립 가능한 새로운 조립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본 발명은 콘센트가 콘센트 박스내에서 간단히 삽입 조립되고, 잠금과 해제가 가능한 콘센트 결합방식이 구현된 콘센트를 제공한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와, 이에 결합되는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2구 콘센트의 연속 연결시의 분리사시도이고,도 3b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2구 콘센트의 연속 연결시의 다른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1구 타입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2구 타입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는 크게 상부 판체(20)와,중간판체(24)와, 제1,제2하부판체(29)(29a)와,결합구(23)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부판체(20)는 상면중 일부에 개구부(203)를 형성하는 상판(202)과,이 상판(202)의 하방에 형성된 사각틀체(201)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이 사각틀체(201)의 측벽에 접속돌기(205),접속공(206)들을 형성하고, 상면중 일부에 개구부(203)를 형성하며, 중심부에는 플러그 삽입요부(207)를 이루고, 그 내벽에 접지공(204)을 형성하고, 바닥측에 단자공(208)을 형성하며, 상판(202)에는 후술하는 자석(33)이 삽입되는 요홈이다. 요홈(209)에 자석(33)을 삽입후 덮개판(34)를 결합여 콘센트(2)의 상부를 형성하게 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석(33)과 반대 극성의 자석을 매입한 덮개(4)가 자력으로 덮여져 있으며, 플러그 삽입시 덮개(4)를 열어 다른 금속판에 흡착시킨 뒤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중간판체(24)는 상기 상부판체(20)의 하방 사각틀체(201)에 맞추어지는 사각몸체로서 상기 접속홈(205)에 걸리는 접속탄편(245)과 안내장공(243)을 사각몸체의 연부를 따라 한 쌍씩 대향 형성하고, 상기 접지단자(22)의 저부를 받쳐주는 받침홈(244)과 단자공(208)에 관통되는 관통공(246)을 형성하고, 저부에는 통전용 접속도체(26)들이 삽입되도록 지지벽부(267)들,접지공(266)을 형성하여 상기 사각틀체(201)에 결합합된다.
하부판체는 제1하부판체(29)와 제2하부판체(29a)로 구분되며, 공히, 상기 중간판체(24)의 저부와 대응하여 지지벽부(294)들 사이에 통전용 접속도체(26)들을 삽입 형성하고, 상기 중간판체(24)의 접속홈(241)에 걸려 결합되는 서로 길이가 다 른 한 쌍의 접속탄편(295)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장공(243)의 직하방에 형성되는 안내홈(292)을 형성하여 출몰편(28)을 수용하고, 저면으로 피복전원선이 끼워지는 삽입공(291)들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246)에 연통하는 단자홈(293)을 형성하여 상기 중간판체(24)의 저부에서 결합된다.
다만, 제2하부판체(29a)는 제1하부판체(29)보다 길이가 길어 후술하는 바와같이 1구 콘센트 조립시에는 제1하부판체(29)만 적용하고, 2구 콘센트 조립시에 적용되며, 상부판체(2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연결하는 보조부재(32)가 더 삽입되며(간격이 있음), 후방으로 다수의 전선 삽입공(291)들이 더 형성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상기 중간판체(24)와 제1,제2 하부판체(29)(29a)들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203)에서 안내장공(243)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내홈(292)에 까지 이르러 상기 출몰편(28)을 가압 출몰시키는 결합구(23)로 연결되며, 콘센트 박스(1)의 내부에 설치된 콘센트 장착구(17)와 기어형 돌조(282)(173)로서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즉, 상기 결합구(23)의 하방에서 위치하되 상기 안내홈(292)에 안착되어 상기 결합구(23)의 가압(하강)작동으로 측면의 기어형 돌조(282)를 출몰시켜 콘센트 박스(1)의 박스본체(10)(11)내 장착구(17)의 기어형 돌조(173)에 맞물려 잠그어지거나 물림이 풀려(결합구 상승시 기어형 돌조들이 서로 벌어짐) 해제되는 출몰편(28)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부판체(20)의 저면에서 가운데로 단자공(208)의 직하방에 경사 면(212)과 관공(215)을 형성하고, 그 저면에 시이소오면(216)을 형성함과 아울러 돌편(214)과의 사이에 탄성부재(213)로서 일방 탄력이 가해지는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를 더 구비하여서 된다.
또한, 단자 안내부재(21)이 설치된 그 저부에는 다시 X자형으로 상기 상부판체(20)의 저부에서 사각틀체(201)의 양측으로 관통하여 플러그 접지공(204)로 두 끝이 노출되게 탄설되는 접지단자(22)를 더 설치하여서 된다.
또한, 전술한 결합구(23)는 상기 상부판체(20),중간판체(24) 및 제1,제2 하부판체(29)(29a)들을 수직 관통하여 상기 개구부(203)에서 안내장공(243), 안내홈(292)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접속도체(26)는 제1,제2도체(261)(262)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접속도체를 이루되 각각은 접속바(32)에 접속되는 접속홀더(268), 전선삽지편(264) 및 단자접속편(263)을 형성한 한 쌍이 설치되며, 이들 접속도체(26)들의 사이에 접지단(266)을 형성한 접지도체(265)를 형성하여 상기 중간판체(24)의 저부에 형성된 지지벽부(247)들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들 접속도체(26)들의 지지는 하부판체(29)(29a)가 저부에서 결합되어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선삽지공(291)을 통하여 삽입된 피복전선의 끝은 나선을 이루고 있고 이 나선을 상기 전선삽지공(291)에 삽입하면 판스프링(25)에 의하여 그 나전선부분이 강하게 탄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나전선의 이탈은 누름해제구(27)의 누름작동으로 판스프링(25)의 일측을 누름으로써 나전선의 빠짐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판체(20)의 상면은 덮개(4)와의 사이에 자석(33)이 개재되어 매설되도록 하며, 덮여지는 덮개(4)의 자석에 의하여 서로 흡착력을 갖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5a는 본 발명 1구 타입 조립 콘센트의 상부판체(20)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기 저면에 시이소오면(216)을 형성한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 1구 타입 조립 콘센트의 상부판체(20)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로서 접지단자(22)를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위에서 접지공(204)측으로 양단이 노출되게 삽입 설치하여서 된다.
첨부 도면중 도 6a는 본 발명 1구 타입 조립 콘센트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b,6c,6d는 본 발명 1구 타입 조립 콘센트의 하부판체를 분리시킨 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조립 콘센트의 접속도체(26)의 설치상태로서도 6a는 본 발명 콘센트의 하부판체(29) 분리전 피복전선의 나전선 상태로 삽입공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후단이나 측면에 삽입공(291)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도면중 도 6b,도 6c,도 6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콘센트 접속도체(26)는 하부판체(29)를 분리한 뒤 중간판체(24)에 플러그 단자의 끝 부분과 접속되는 단자접속편(263)을 형성한 제1도체와, 상기 피복전선의 나전선부분이 삽입되는 삽입공(291)을 관통하여 접속되는 전선삽지편(264)를 형성한 제2도체(262)가 일체로 형성되어(별도 제조되어 용접되거나 제조시에 일체로 제조됨) 제1,제2극성(+)(-)의 접속도체(26)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제1,제2도체(261)(262)의 가운데에는 접지단(266)을 형성한 접지도체(265)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다른 지지벽부(247)들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즉, 1구 타입 콘센트의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선삽지편(264)이 제1하부몸체(29)에서 피복전선의 나전선부분을 삽입공(291)에 삽입가능하게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다.
첨부 도면중 도 7a는 본 발명 2구 타입 조립 콘센트의 제1,제2하부판체를 분리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 2구 타입 콘센트의 하부판체를 분리하고 도체봉을 설치한 상태의 저부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2구 타입 콘센트의 조립 구조는 2개의 조립 콘센트(여기서는 하부판체를 제외한 상태임)를 상기 콘센트(2)의 상부판체(20)의 사각틀체(201) 측벽에 형성된 접속공(206)에 연결부재(30)의 걸림편(302)들을 접속하여 2개 콘센트를 연결하고, 제1도체(261)과 제2도체(262)들에 형성된 각 접속홀더(268)에 도체봉(32)를 접속하므로서 2 콘센트에 동시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탈방지편(25)을 각 삽입공(291)에 넣어진 나전선부분에 탄착시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각 하부판체(29)(29a)의 개공(296)을 통하여 가압면(271)이 노출되게 누름해제구(27)를 끼워놓음으로서 전선의 삽입이 완료된다. 누름해제구(27)의 가압은 전선의 이탈을 위하여 필요하며 가압면(271)을 누름으로써 가능하고 접속면(272)이 이탈방지편(25)을 누르면 전선의 탄압상태가 해제되어 전선의 나전선부분이 이탈가능하게 된다. 이후 제1,제2하 부판체(29)를 조립하므로서 2구 타입 콘센트가 완성된다.
첨부 도면중 도 8a, 8b는 본 발명 조립 콘센트의 2구 조립 콘센트가 콘센트 박스(10)(11)에 조립됨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들이고, 도 9a,9b, 10a,10b는 본 발명 콘센트와 이 콘센트가 조립되는 콘센트 박스의 분해사시도들이다.
이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센트, 콘센트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벽 매설형 배선기구는 크게 콘센트 박스(1)과, 콘센트(2)와, 덮개(4)로 이루어진다.
콘센트 박스(1)는 제1,제2박스 본체(10)(11)와, 전원공급함체(12)와, 제1,제2지지대(13)와, 측면커버(15)와, 장착구(17)로 이루어지고, 콘센트(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판체(20),안내부재(21)와,접지단자(22)와, 결합구(23)와, 중간판체(24)와, 접속도체부(26)와, 출몰편(28)과, 하부판체(29)(29a)드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박스본체(10)는 3면이 개구되고, 3면이 벽부로 이루어지진 대략 U형 단면의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공급 함체(120)의 접속공(122)에 걸려 연결되는 접속탄편(102)을 제1,제2 개구면 접속연부(101)들에 형성하고, 바닥을 제외한 양측 벽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걸림돌조(102)를 한 쌍씩 형성하고, 대향하는 벽부 외측으로 한 쌍의 걸림편(103)들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다.
제2박스본체(11)는 3면이 개구되고, 3면이 벽부로 이루어지진 대략 U형 단면의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제1 개구면에는 상기 제1 박스본체(10)의 접속탄편(102)에 걸려 연결되는 접속공(115)을 바닥측 하접속연부에 형성하고, 양측 벽부측에는 상기 제1 박스본체(10)의 개구면 접속연부(101)가 삽지되는 지지홈(118a)를 형성한 지지편(118)를 내설하며, 타측 개구면에는 접속연부(111)와, 접속탄편(112)을 형성하는 제2 박스본체(11)로 이루어져,각각의 박스본체(11)의 접속탄편(112)과 접속공(116)끼리 연속 접속되게 하여서 된다.
제1,제2지지대(13)는 선단측에 접속돌기(132)를 형성하여서 된다.
측면커버(15)는 상기 제1박스본체(10)의 제2 개구면에 연결되도록 접속공(151)들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2지지대(13)의 접속편(132)이 접속되는 고정공(152)들을 형성하여서 된다.
콘센트(2)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이루어진 콘센트(2)와,이 콘센트(2)를 수용하는 콘센트 박스(1)의 조립구조는 자석을 형성한 덮개(4)를 형성하므로서 벽 매설형 배선기구를 완성한다.
특히, 이러한 콘센트(2)를 콘센트 박스(1)내에 결합기 위해서는 콘센트(2)의 상부판체(20) 개구부(203)로 부터 하부판체(29)(29a)의 안내홈(292)에 이르도록 출몰편(28)과 함께 결합구(23)을 위치시키고, 콘센트박스 본체(10)(11)내측에는 콘센트 장착구(17)의 기어형 돌기(173)에 출몰편(28)이 기어맞춤 혹은 기어분리되게 하여 콘센트(2)가 박스본체(10)(11)내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여 벽 매설형 배선기구를 완성하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11a는 본 발명 벽 매설형 배선기구 콘센트의 박스의 전원공급 함체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 벽 매설형 배선기구의 콘센트 박스의 제1 박스본체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1c는 본 발명 벽 매설형 배선기구의 콘센트 박스의 제2 박스본체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1d는 본 발명 벽 매설형 배선기구 의 콘센트 박스의 지지대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1e는 본 발명 벽 매설형 배선기구의 콘센트 박스의 측면커버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1f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의 콘센트 장착구의 발췌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는 크게 제1 박스본체(10)와, 제2 박스본체(11)와, 전원공급 함체(12)와, 측면커버(15)와, 제1,제2지지대(13)들과,프리커버(14)와, 보조커버(16)와, 콘센트 장착구(17)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박스본체(10)는 3면이 개구되고, 3면이 벽부로 이루어지진 대략 U형 단면의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공급 함체(12)의 접속공(122)에 걸려 연결되는 접속탄편(102)을 제1,제2 개구면 접속연부(101)들에 형성하고, 바닥을 제외한 양측 벽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걸림돌조(103)와 걸림요부(103a)들을 한 쌍씩 형성하여 걸림돌조(103)들과 걸림요부(103a)들이 제1 박스본체(10)끼리의 측벽 대 측벽으로 맞추어져 서로 결합될 수 있다(구체적인 결합 태양은 후술한다).
또한, 상방 개구된 제2 개구면의 접속연부를 따라 내측에 턱부(104a)를 형성한 상연부(104)를 형성하며,턱부(104a)는 전술하는 프리커버(14)가 삽지되도록 한다.
제2 박스본체(11)는 3면이 개구되고, 3면이 벽부로 이루어진 대략 U형 단면의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제1 개구면에는 상기 제1 박스본체(10)의 접속탄편(102)에 걸려 연결되는 접속공(115)을 하측 접속연부(111)와 양측 접속연부(111)에 각각 형성하되, 전술한 제1 박스본체(10) 혹은 제2 박스본체(11)끼리의 접속연부(101)(111)들이 삽지되는 지지홈(118a)를 형성한 지지편(118)을 마련하며, 제2 개구면의 타측에는 접속연부(111)와, 접속탄편(112)을 형성하며, 양측의 대향하는 벽부중 하나에는 외측으로 걸림돌조(113)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벽부 외측에는 상기 걸림돌조(113)가 걸리는 걸림요부(113a)를 형성하여서 되며, 상방 개구된 제2 개구면의 상연부를 따라 내벽측에 턱부(104a)를 형성한 상연부(104)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제2 박스본체(11)의 상연부(104)에는 전술한 프리커버(14)가 덮여진다.
한편, 후술하는 지지대(13)에 의하여 일측이 연결되는 전원공급 함체(12)는 일면이 개방된 사각함체로서 6면중 일면은 개구면을 이루고 나머지는 측벽을 형성하며, 이 중 상,하면을 제외한 대향하는 복수의 제1,제2측벽으로는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케이블 관통공(126)을 각각 형성하고, 제3측벽은 상기 제1지지대(13)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공(121)을 형성하고, 개구부를 이루는 제4측벽의 연부에는 접속공(122)(123)들이 형성된다.
측면커버(15)는 상기 제2 박스본체(11)의 제2 개구면의 접속탄편(112)에 연결되도록 접속공(151)들을 형성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제2지지대(13)의 접속편(132)이 접속되는 고정공(152)들을 형성하며, 상방 연부에는 상연부(154)를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제2지지대(13)를 연결하는 고정공(152)들은 지지대(130)의 고정 높이에 맞추어 높이에 맞게 수직으로 수 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제2 지지대(13)들은 선단측에 접속돌기(132)를 형성하고 후단에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거푸집 철근등에 고정되는 지지대를 이룬다. 이 지지대(13)들의 후단에는 다수의 연결살(131)들이 공간(133)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측 을 절취하므로써 절단이 용이하다. 거푸집의 시공간격에 맞게 지지대(13)들의 길이를 맞추기 위하여 절단이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대(13)들은 좌,우 한 쌍이 콘센트 박스의 양측을 거푸집의 철근등에 철선으로 고정하여 콘센트 박스의 높이와 간격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13)들의 형태는 선단측에 접속돌기(132)를 형성하고 후단이 길이 조절용 연결살(131)들이 형성되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의 타설시 사이사이로 콘크리트가 스며들도록 공간(133)이 형성되고, 콘센트 박스(10)(11)에 근접하여 충분하게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구조로서 본 발명과 같이 접속돌기(132)근접하여 공간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는 제1 박스본체(10)에 제2 박스본체(11)를 연결하여 연속하여 콘센트 박스의 기능별 콘센트의 장착공간을 1구,2구,3구, 4구등으로 넓혀 갈 수 있다.
특히, 양측이 대향 개구부를 이루는 면의 일측에 형성된 접속탄편(102)(112)들이 타측의 접속공(115)들에 접속되게 하는 방식으로 제2 박스본체(11)를 증가하면서 X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물론 이러한 일방향의 연속 연장과 더불어 혹은 독립적으로 다른 방향(Y축방향)으로도 연속 연장가능하다.
즉, 제1 박스본체(10)나, 제2 박스본체(11)의 각각에는 측벽부에 외측으로 걸림돌조(103)(113)한 쌍씩과, 걸림요부(103a)(113a)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걸림돌조(103)(113)들이 걸림요부(103a,113a)에 하방에서 수직으로 삽입되어져 삽입되어 연결되므로서 제2방향(Y축 방향)으로의 박스본체의 1구,2구,3구등 연장이 이루어진다.
보조커버(16)는 얇은 판형의 판체로서 프리커버(14)와 같은 두께를 이루되 측벽면을 따라 대향하는 2측벽면에 접속탄편(162)를 한 쌍씩 형성하여서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스본체(11)들의 연장으로 프리커버(14)가 2개 이상 연속연결되는 경우 그 사이의 공간은 보조커버(16)의 접속탄편(162)가 프리커버(14)의 접속장공(141)에 삽입됨과 아울러 접속공(143)에 걸려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는 그 박스본체(100)(10)(11)들의 내부에 각종 기능의 콘센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구(17)가 마련된다.
즉, 콘센트(2)에 형성된 결합구(부호생략)의 가압(하강)작동으로 측면의 기어형 돌조(부호생략)를 출몰시켜 콘센트 박스(1)의 박스본체(10)(11)내 장착구(17)에 형성된 기어형 돌조(173)에 맞물려 잠그어지거나 물림이 풀려(결합구 상승시 기어형 돌조들이 서로 벌어짐) 해제되는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 도 11h는 본 발명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i는 본 발명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의 배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의한 단자 안내부재(21)는 상부판체(20)(20a)의 중심 단자공(208)직하방에 경사면(212)과 관공(215)이 형성된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고, 저면에는 시이소오면(216)을 형성함과 아울러 사각몸체(201)내부와 돌편(214)과의 사이에 탄성 부재(213)를 설치하여 탄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플러그 단자가 동시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경사면(212)을 타고 동시에 관공(215)을 관통하지만 단자공(208)중 어느 하나에 젖가락등이 삽입되면 시이소오면(216)이 기울어짐에 따라 젖가락이 경사면(212)에서 미끌어지지 않아 전원의 통전이 차단된다.
첨부 도면중 도 12a는 본 발명 배선기구에서 3구의 콘센트가 제1방향(X축방향)으로 연속 조립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2b는 본 발명 배선기구에서 4구의 콘센트가 제1방향(X축방향)과 제2방향으로 연속 조립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10c는 본 발명 조립 콘센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통신용 잭(35)을 형성한 콘센트이다.
이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콘센트,콘센트박스 및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는 각 기능별 콘센트, 예를들면 220V 전원공급 플러그용 콘센트(텔레비젼용), 인터넷 통신용 잭을 형성한 콘센트,네트웍용 통신 폿드용 잭을 형성한 콘센트등을 독립적으로 형성하여 각 콘센트 박스(1)의 제2박스본체(11)내부에 결합되므로서 기존의 벽 매설형 콘센트,콘센트 박스로 이루어진 배선기구와는 전혀 다른 조립식의 배선기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접지단자외에는 볼트의 체결구조없이 조립가능한 새로운 벽 매설형 콘센트 배선기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a, 1b는 종래 다수 콘센트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멀티탭의 예시도이고, 도 1c는 종래 콘센트박스 다른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와, 이에 결합되는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2구 콘센트의 연속 연결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2구 콘센트의 연속 연결시의 다른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1구 타입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용 콘센트의 2구 타입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5b는 본 발명 1구 타입 조립 콘센트의 상부판체(20)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 1구 타입 조립 콘센트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b,6c,6d는 본 발명 1구 타입 조립 콘센트의 하부판체를 분리시킨 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 2구 타입 조립 콘센트의 제1,제2하부판체를 분리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 2구 타입 콘센트의 하부판체를 분리하고 도체봉을 설 치한 상태의 저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8a, 8b는 본 발명 조립 콘센트의 2구 조립 콘센트가 콘센트 박스에 조립됨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들이고,
도 9a,9b, 10a,10b는 본 발명 콘센트와 이 콘센트가 조립되는 콘센트 박스의 분해사시도들이고,
도 11a는 본 발명 벽 매설형 배선기구 콘센트의 박스의 전원공급 함체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 벽 매설형 배선기구의 콘센트 박스의 제1 박스본체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1c는 본 발명 벽 매설형 배선기구의 콘센트 박스의 제2 박스본체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1d는 본 발명 벽 매설형 배선기구의 콘센트 박스의 지지대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1e는 본 발명 벽 매설형 배선기구의 콘센트 박스의 측면커버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1f는 본 발명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의 콘센트 장착구의 발췌사시도이고,도 11h는 본 발명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i는 본 발명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12a는 본 발명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의 배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콘센트, 2:콘센트 박스, 4:덮개, 10,11:제1,제2박스본체,
12:전원공급함체, 13:제1,제2지지대,14:프리커버,15:측면커버,
20:상부판체, 22:접지단자, 24:중간판체, 29:하부판체, 132:접속돌기,
121:고정공, 122:접속공,102:접속탄편,101:접속연부,102:걸림돌조,
103:걸림편, 115:접속공,118:지지편,111:접속연부,112:접속탄편,
151:접속공,152:고정공,203:개구부, 202:상판,211:사각틀체,
205:접속돌기, 209:접속공, 245:접속탄편, 244:받침홈,210:단자공,
246:관통공, 267:지지벽부,266:접지공, 266:접지단,241:접속홈,
295:접속탄편,291:삽입공,

Claims (12)

  1. 조립 콘센트에 있어서,
    상면중 일부에 개구부(203)를 형성하는 상부판체(20)와, 상부판체(20)의 플러그 삽입요부(207)에 탄설되는 접지단자(22)와, 상기 상부판체(20)의 하방 사각틀체(211)에 맞추어지는 사각몸체로서 안내장공(243)을 형성하여 상기 사각틀체(211)에 결합되는 중간판체(24)와, 상기 중간판체(24)의 저부와 대응하여 지지벽부(267)들,접지공(266)을 형성하여 상면에 통전용 접속도체(26)들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안내장공(243)의 직하방에 형성되는 안내홈(292)에 출몰편(28)을 수용하여 상기 중간판체(24)에 저부에서 결합되는 하부판체(29)와, 상기 개구부(203)에서 안내장공(243)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출몰편(28)을 가압 출몰시키는 결합구(23)로 이루어져,
    콘센트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콘센트 장착구(17)에서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한 조립 콘센트.
  2. 조립 콘센트에 있어서,
    상면중 일부에 개구부(203)를 형성하는 상판(202)와,이 상판(202)의 하방에 형성된 사각틀체(211)로 이루어 지고, 그 내부에 이 사각틀체(211)의 측벽에 접속돌기(205),접속공(209)들을 형성하는 상부판체(20)와,
    상기 상부판체(20)의 하방 사각틀체(211)에 맞추어지는 사각몸체로서 상기 접속돌기(205)에 걸리는 접속탄편(245)을 사각몸체의 연부를 따라 한 쌍씩 대향 형성하고, 상기 접지단자(22)의 저부를 받쳐주는 받침홈(244)과 단자공(210)에 관통되는 관통공(246)을 형성하고, 저부에는 통전용 접속도체(26)들이 삽입되도록 지지벽부(267)들,접지공(266)을 형성하여 상기 사각틀체(211)에 결합되는 중간판체(24)와,
    상기 중간판체(24)의 저부와 대응하여 지지벽부(267)들,접지단(266)을 형성하여 상면에 통전용 접속도체(26)들을 삽입 형성하고, 상기 중간판체(24)의 접속홈(241)에 걸려 결합되는 서로 길이가 다른 한 쌍의 접속탄편(295)을 형성하고,저면으로 피복전원선이 끼워지는 삽입공(291)들을 형성하여 상기 중간판체(24)에 저부에서 결합되는 하부판체(29)로 이루어지는 조립 콘센트.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체(20)의 상면은 자석(33)이 매설되고, 이에 덮여지는 덮개(4)에 서로 흡착력을 갖는 자석을 매입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용 콘센트 조립셋트.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체(20)의 저면에서 가운데로 단자공(204)의 직하방에 경사면(212)과 관공(215)을 형성하고, 그 저면은 시이소오면(216)을 형성함과 아울러 부에 탄성부재(213)로서 일방 탄력이 가해지는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를 더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콘센트.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도체(26)는 제1,제2도체(261)(262)가 일체로 연결되고, 각각은 접속바(32)에 접속되는 접속홀더(268)와, 전선삽지편(264)및 단자접속편(263)을 형성한 한 쌍과, 이들 사이에 접지단(266)을 형성한 접지도체(265)을 위치하여 상기 중간판체(24)의 저부에 형성된 지지벽부(267)들에 의하여 삽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콘센트.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체(20)의 저부에서 사각틀체(201)의 양측으로 관통하여 플러그 삽입요부(207)로 두 끝이 노출되게 탄설되는 접지단자(2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콘센트.
  7.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판체(20)는 상면중 일부에 개구부(203)를 대향 형성하고, 중간판체(24)는 안내장공(243)을 상기 개구부(203)에 맞추어 대향 형성하고, 하부판체(29)(29a)는 상기 안내장공(243)의 하방에 대응하도록 안내홈(292)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판체(20)의 개구부(203)로 부터 하부판체(29)(29a)의 안내홈(292)에 이르도록 바디부(231)의 상방에 헤드부(232)를 형성하되, 하단에는 접속단(233)을 형성한 결합 구(23)를 승강 가능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안내홈(292)에는 출몰편(28)을 위치시키고, 매설형 콘센트 박스 본체(10)(11)내측에는 체결공(174)를 형성한 지지부(172)와, 이 지지부(172)로 부터 ㄱ자형으로 절곡되고, 내측으로 기어형 돌기(173)를 형성한 상부(171)로 이루어진 콘센트 장착구(17)를 설치하여,
    상기 결합구(23)의 하단 접속단(233)이 출몰편(28)에서 승강 가압하므로서 안내홈(292)의 경사면을 따라 출몰편(28)이 출몰되어 콘센트 장착구(17)의 기어형 돌기(173)에서 잠금 혹은 분리 작동이 이루어져 콘센트(2)가 콘센트 박스(10)(11)에서 결합,해제되는 결합구(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콘센트.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2)의 상부판체(20)의 사각틀체(201)의 측벽에 접속공(206)을 형성하고, 이 접속공(206)에 접속되어 연결되는 걸림편(302)들을 형성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콘센트(2)가 연속 조립되는 경우 그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30)을 더 포함하는 조립 콘센트.
  9. 벽 매설형 배선기구에 있어서,
    선단측에 접속돌기(132)를 형성한 제1,제2지지대(13)와,
    일면이 개방된 사각함체로서 상,하면을 제외한 대향하는 제1,제2측면으로 케이블이 관통되고, 제3측면은 상기 제1지지대(13)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공(121)을 형성하고, 개구면 하접속연부측에는 접속공(122)들을 형성한 전원공급 함체(12)와,
    3면이 개구되고, 3면이 벽부로 이루어지진 대략 U형 단면의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공급 함체(120)의 접속공(122)에 걸려 연결되는 접속탄편(102)을 제1,제2 개구면 접속연부(101)들에 형성하고, 바닥을 제외한 양측 벽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걸림돌조(102)를 한 쌍씩 형성하고, 대향하는 벽부 외측으로 한 쌍의 걸림편(103)들을 각각 형성하는 제1 박스본체(10)와,
    3면이 개구되고, 3면이 벽부로 이루어지진 대략 U형 단면의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제1 개구면에는 상기 제1 박스본체(10)의 접속탄편(102)에 걸려 연결되는 접속공(115)을 바닥측 하접속연부에 형성하고, 양측 벽부측에는 상기 제1 박스본체(10)의 개구면 접속연부(101)가 삽지되는 지지홈(118a)를 형성한 지지편(118)를 내설하며, 타측 개구면에는 접속연부(111)와, 접속탄편(112)을 형성하는 제2 박스본체(11)로 이루어져,
    상기 제2박스본체(11)의 제2 개구면에 연결되도록 접속공(151)들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2지지대(13)의 접속편(132)이 접속되는 고정공(152)들을 형성한 측면커버(15)로 이루어진 콘센트 박스(1); 및
    상면중 일부에 개구부(203)를 형성하는 상판(202)와,이 상판(202)의 하방에 형성된 사각틀체(211)로 이루어 지고, 그 내부에 이 사각틀체(211)의 측벽에 접속돌기(205),접속공(209)들을 형성하는 상부판체(20)와, 상기 상부판체(20)의 하방 사각틀체(211)에 맞추어지는 사각몸체로서 상기 접속홈(205)에 걸리는 접속탄편(245)을 사각몸체의 연부를 따라 한 쌍씩 대향 형성하고, 상기 접지단자(22)의 저부를 받쳐주는 받침홈(244)과 단자공(210)에 관통되는 관통공(246)을 형성하고, 저부에는 통전용 접속도체(26)들이 삽입되도록 지지벽부(267)들,접지공(266)을 형성하여 상기 사각틀체(211)에 결합되는 중간판체(24)와, 상기 중간판체(24)의 저부와 대응하여 지지벽부(267)들,접지단(266)을 형성하여 상면에 통전용 접속도체(26)들을 삽입 형성하고, 상기 중간판체(24)의 접속홈(241)에 걸려 결합되는 서로 길이가 다른 한 쌍의 접속탄편(295)을 형성하고, 저면으로 피복전원선이 끼워지는 삽입공(291)들을 형성하여 상기 중간판체(24)에 저부에서 결합되는 하부판체(29)로 이루어진 콘센트(2); 및
    자력을 형성하는 덮개(4)를 포함하는 벽 매설형 배선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는,
    양측 벽부의 외측으로 서로 대응하여 걸려져 연속 연결되는 걸림편(113)과 이 걸림편(113)들이 서로 걸려지도록 걸림홈(113a)을 각각 한 쌍씩 형성한 제2 박스본체(11)로 이루어져,각각의 박스본체(11)의 걸림편(113)끼리 접속시켜 Y축방향으로 박스본체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설형 배선기구.
  11. 제 9항에 있어서,
    박스본체(10)(11)(100)내측에 체결공(174)를 형성한 지지부(172)와, 이 지지부(172)로 부터 ㄱ자형으로 절곡되고, 내측으로 기어형 돌기(173)를 형성한 상부(171)로 이루어진 콘센트 장착구(1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설 형 배선기구.
  12. 제 9항에 있어서,
    단자공(208)의 직하방에 경사면(212)과 관공(215)을 형성하고, 그 저면에 시이소오면(216)을 형성함과 아울러 돌편(214)과의 사이에 탄성부재(213)로서 일방 탄력이 가해지는 플러그 단자 안내부재(2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매설형 배선기구.
KR1020080113446A 2008-11-14 2008-11-14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KR101019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446A KR101019978B1 (ko) 2008-11-14 2008-11-14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446A KR101019978B1 (ko) 2008-11-14 2008-11-14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495A true KR20100054495A (ko) 2010-05-25
KR101019978B1 KR101019978B1 (ko) 2011-03-09

Family

ID=4227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446A KR101019978B1 (ko) 2008-11-14 2008-11-14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9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7073A (zh) * 2017-12-30 2018-04-20 中为建筑工程有限公司 墙体内安装开关面板和/或插座面板的接线盒的固位装置
WO2019078531A1 (ko) * 2017-10-20 2019-04-25 임기영 교체식 멀티 콘센트
CN109830846A (zh) * 2019-02-12 2019-05-31 东莞市华之力电子有限公司 一种串接式电源插座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394Y1 (ko) 2001-08-16 2001-12-13 김용민 조립형 전기 콘센트
JP2003100401A (ja) 2001-09-25 2003-04-04 Yoshinobu Ito 電源コード接続用コンセント・セット
KR200429074Y1 (ko) 2006-07-26 2006-10-17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531A1 (ko) * 2017-10-20 2019-04-25 임기영 교체식 멀티 콘센트
CN107947073A (zh) * 2017-12-30 2018-04-20 中为建筑工程有限公司 墙体内安装开关面板和/或插座面板的接线盒的固位装置
CN109830846A (zh) * 2019-02-12 2019-05-31 东莞市华之力电子有限公司 一种串接式电源插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978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52666B2 (en) The electric power connecting kit
US20160126683A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in-wall power
CN103262348A (zh) 用于接线装置的端子结构
KR101019978B1 (ko)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GB2430087A (en) Mounting box for electrical wiring accessories with pluggable connector
CN205212002U (zh) 一种挂片式插座
KR200461300Y1 (ko) 접지형 매입콘센트
JPH0287920A (ja) カーペット下の電力用配線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タ
JP2008218009A (ja) コンセント設置構造及びコンセント設置工法
KR200451438Y1 (ko) 콘센트 결합장치
CN105428858A (zh) 一种挂片式插座
KR101108085B1 (ko) 콘센트 탈착장치
CN204927751U (zh) 一种挂式移动插座
KR200485071Y1 (ko) 조립식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70120338A (ko) 콘센트 구조
KR101511952B1 (ko)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GB2473842A (en) Modular electrical wall assembly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200423752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GB2325353A (en) Adaptor socket-outlet
US2006005433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KR100849484B1 (ko) 측면 콘센트 및 플러그
KR200454899Y1 (ko) 스위치 콘센트의 램프 어셈블리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