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394Y1 - 조립형 전기 콘센트 - Google Patents

조립형 전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94Y1
KR200255394Y1 KR2020010024834U KR20010024834U KR200255394Y1 KR 200255394 Y1 KR200255394 Y1 KR 200255394Y1 KR 2020010024834 U KR2020010024834 U KR 2020010024834U KR 20010024834 U KR20010024834 U KR 20010024834U KR 200255394 Y1 KR200255394 Y1 KR 200255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ing
binding
groov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이철이
Original Assignee
김용민
이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민, 이철이 filed Critical 김용민
Priority to KR2020010024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9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개의 플러그를 꼿을 수 있는 멀티타입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필요 숫자에 따라 콘센트의 숫자를 증감시켜 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한 개 이상의 플러그가 꼿힐 수 있는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의 양측에는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시키는 한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수단을 구비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필요한 삽입구의 숫자에 맞는 멀티 전기 콘센트의 제공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형 전기 콘센트{Construction type concent}
본 고안은 여러개의 플러그를 꼿을 수 있는 멀티타입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필요 숫자에 따라 콘센트의 숫자를 증감시켜 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멀티타입 전기 콘센트는 플러그를 꼿을 수 있는 장소가 2,3,5 곳등 미리 정해져 있게 되어 사용상 불합리한 것이었다.
즉 플러그를 2개 꼿을 곳에 5구짜리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면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콘센트가 발생하게 되고, 플러그를 5개 꼿을 장소에 3구짜리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면 콘센트를 교체하거나 별도의 콘센트를 추가하여 설치하여야만 한다.
이같이 기존의 멀티타입 전기 콘센트는 플러그를 꼿을 위치가 미리 고정되어있는 관계로 플러그를 꼿을 곳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없어 합리적인 사용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멀티타입 전기 콘센트를 플러그가 꼿힐 수 있는 여러개의 유닛을 조립하여 필요한 개수의 플러그를 꼿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플러그를 조립하여 필요한 콘센트를 완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한 개 이상의 플러그가 꼿힐 수 있는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의 양측에는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시키는 한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수단을 구비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연결 유닛 정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연결 유닛 배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연결 유닛 결합상태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연결 유닛 결합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연결 유닛 배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9 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0 은 본 고안의 연결 유닛 결합상태 측면도
도 11 은 본 고안의 연결 유닛 결합상태 단면도
도 12 는 본 고안의 연결 유닛 측면도
도 13 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14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다른 각도의 분해사시도
도 15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6 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본 유닛 11 : 플러그 삽입구 12 : 결합구
13 : 돌턱 삽입홈 14 : 접속단자 20 : 유닛
21 : 플러그 삽입구 22 : 결합돌기 23 : 돌턱
24 : 접속단자 31 : 결합홈 33 : 분해버튼
41 : 결합턱 43 : 연결고리홈 44 : 분해버튼
46 : 연결고리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플러그(17)가 연결되고 내부에 퓨즈가 내장되며 리셋버튼(16)과 스위치(15) 및 플러그 삽입구(11)가 형성된 기본 유닛(10)과, 1개 이상의 플러그 삽입구(21)가 형성된 유닛(2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본 유닛(10)과 유닛(20)의 일측에는 돌턱 삽입홈(13)이 형성된 결합구(12)를 형성시키는 한편 접속단자(14)를 설치하고, 유닛(20)의 타측에는 돌턱(23)이 형성된 결합돌기(22)를 형성시키는 한편 접속단자(24)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기본 유닛(10)은 플러그(17)가 설치되고 수 개의 플러그 삽입구(11)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삽입구(11)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며, 스위치(15)는 플러그(17)에서 플러그 삽입구(11)로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시킬 수 있도록 하고 리셋버튼(16)은 내장된 퓨즈가 오픈되어 전기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이를 원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다.
기본 유닛(10)과 유닛(20)은 결합돌기(22)가 결합구(1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결합돌기(22)의 돌턱(23)이 결합구(12)의 돌턱 삽입홈(13)에 끼워져 결합되게 되며, 이 때 접속단자(14)(24)는 각기 탄성을 갖고 접속되어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접속단자(14)(24)는 플러그 삽입구(1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 때 결합구(12)는 한쪽방향으로만 결합돌기(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결합돌기(22)의 돌턱(23)이 돌턱 삽입홈(13)에 꼭맞게 들어가도록 하여 결합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8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유닛(10)과 유닛(20)의 일측에 단자 삽입공(32)이 구비된 결합홈(31)을 형성시키고, 유닛(20)의 타측에는 접속단자(42)가 구비된 결합턱(41)을 형성시키며,
상기 결합턱(41)의 양측에는 연결고리홈(43)을 형성시키고 기본 유닛(20)과 유닛(10)의 측면에는 분해버튼(23)(44)을 설치한다.
여기서 결합턱(41)을 결합홈(31)에 끼우면 접속단자(42)가 단자삽입공(32)에 끼워져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고, 분해버튼(33)은 힌지(45) 결합된 연결고리(46)를 들어 연결고리(46)선단을 연결고리홈(43)에서 이탈시키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13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20)에 별도의 결속구(50)를 탈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유닛(20)의 일측에 결속돌기(54)를 형성시키고 상기 결속돌기(54)가 끼워지는 결속홈(53)이 형성된 결속구(50)를 구비하되 결속구(50)에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접속단자(51)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구(50)는 결속돌기(54)에 결속홈(53)을 끼우고 반회전 시킴에 따라 결합이 완료되고 반대로 반회전 시킴에 따라 결속이 해제되는 것으로, 결속구(50)의 하부와 결속돌기(54)의 외측에 돌기부(52)(55)를 형성시켜 결속구(50)의 결합시 결합이 단단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본 유닛(10)에 유닛(20)을 결합시킴으로써 필요한 숫자만큼의 플러그를 꼿을 수 있는 멀티 전기 콘센트가 완성되는 것으로, 이 때 멀티 전기 콘센트는 허용 전류이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유닛(20)의 숫자를 제한하여야 한다.
기본 유닛(10)을 뒤집어 놓고 유닛(20)의 결합돌기(22)를 결합구(12)에 끼워 결합시키도록 하되 돌턱(23)이 돌턱 삽입홈(13)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게 한다.
이같이 결합돌기(22)가 결합구(12)에 끼워져 기본 유닛(10)에 여러개의 유닛(20)에 결합되게 되고, 유닛(20)이 결합될 때 접속단자(14)(24)가 접속되어 플러그 삽입구(11)(21)에 끼워지는 플러그에 전기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때 유닛(20)은 플러그 삽입구(21)가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게 되며 최외측에 결합되는 유닛에는 결합구(12) 및 접속단자(14)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혹시 발생할지도 모를 감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유닛(20)의 결합이나 분리작업시에는 스위치(15)를 오프시켜 전기공급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결합이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같이 본 고안은 유닛(20)의 숫자를 조절하여 필요한 숫자만큼의 플러그삽입구(11)(21)를 갖는 멀티 콘센트를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그 실시예와 많이 유닛(20)을 기본 유닛(10)에 결합시킬 때 결합턱(41)을 결합홈(31)에 끼워주도록 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접속단자(42)는 단자 삽입공(32)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결합턱(41)이 결합홈(31)에 끼워질 때 연결고리(46)가 들리면서 끼워지게 되고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연결고리(46)의 선단이 연결고리홈(43)에 끼워져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유닛(20)을 분리시킬 경우는 분해버튼(33)(44)을 눌러 연결고리(46)를 들어 올린 후 유닛(20)을 빼내면 된다.
여기서도 최외측에 위치하는 유닛(20)에는 결합홈(31)을 형성시키지 않아 불의의 감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13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51)가 형성된 결속구(50)를 유닛(2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시에만 결속구(50)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속구(50)는 결속돌기(54)에 결속홈(53)을 끼워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되어 지는 것으로 불필요시에는 결속구(50)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유닛(20)에는 다른유닛이 결합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개의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된 멀티 전기 콘센트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되 유닛을 여러개 결합시켜 원하는 숫자의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필요한 숫자보다 많거나 적은 플러그 삽입구를 가진 기존 멀티 전기 콘센트 사용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한 플러그 삽입구만큼 유닛을 조립 사용하게 되므로 플러그 삽입구가 고정된 형태의 기존 멀티 전기 콘센트 사용시 보다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한 개 이상의 플러그 삽입구(11)가 형성되고 한쪽으로 플러그(17)가 연결된 기본 유닛(10)과,
    한 개 이상의 플러그 삽입구(21)가 형성되고 상기 기본 유닛(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유닛(20)과,
    상기 기본 유닛(10)에 유닛(20)을 끼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기본 유닛(10)에 유닛(20)이 결합될 때 기본 유닛(10)에서 유닛(20)으로 전기를 공급시키는 전기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
  2. 제 1 항에서, 결합수단은 기본 유닛(10)과 유닛(20)의 일측에 결합구(12)를 형성시키되 상기 결합구(12)에는 돌턱 삽입홈(13)을 형성시키고,
    상기 유닛(20)의 타측에는 결합구(12)에 끼워지는 결합돌기(22)를 형성시키되 상기 결합돌기(22)에는 돌턱 삽입홈(13)에 끼워지는 돌턱(23)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
  3. 제 1 항에서, 결합수단은 기본 유닛(10)과 유닛(20)의 일측에 결합홈(31)을 형성시키는 한편 측면에 분해버튼(33)(44)을 형성시키고 유닛(20)의 타측에는 연결고리홈(43)에 형성된 결합턱(41)을 형성시키되 상기 분해버튼(33)(44)으로 연결고리(46)를 이동시켜 연결고리홈(43)에 끼워진 연결고리(46)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
  4. 제 1 항에서, 전기 연결 수단은 기본 유닛(10)의 결합구(12) 내측과 유닛(20)의 결합돌기(22) 전면에 탄성을 갖는 접속 단자(14)(24)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
  5. 제 1 항에서, 유닛(20)의 일측에는 결속돌기(54)를 형성시키는 한편 외주연으로 돌기부(55)를 형성시키고,
    상기 결속돌기(54)에 끼워지는 결속홈(53)을 결속구(50)의 하부에 형성시키는 한편 그 외주연으로 돌기부(52)를 형성시키며,
    상기 결속구(50)의 상부에는 접속단자(51)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
KR2020010024834U 2001-08-16 2001-08-16 조립형 전기 콘센트 KR200255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834U KR200255394Y1 (ko) 2001-08-16 2001-08-16 조립형 전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834U KR200255394Y1 (ko) 2001-08-16 2001-08-16 조립형 전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394Y1 true KR200255394Y1 (ko) 2001-12-13

Family

ID=7308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834U KR200255394Y1 (ko) 2001-08-16 2001-08-16 조립형 전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9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821B1 (ko) 2005-05-02 2006-12-19 (주)이노비즈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KR101019978B1 (ko) 2008-11-14 2011-03-09 세홍산업 주식회사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KR101263113B1 (ko) 2011-10-25 2013-05-15 현민웅 안전 콘센트
WO2019078531A1 (ko) * 2017-10-20 2019-04-25 임기영 교체식 멀티 콘센트
KR20220090755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케이아이씨텍 매립형 IoT 기기의 전원 연결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821B1 (ko) 2005-05-02 2006-12-19 (주)이노비즈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KR101019978B1 (ko) 2008-11-14 2011-03-09 세홍산업 주식회사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KR101263113B1 (ko) 2011-10-25 2013-05-15 현민웅 안전 콘센트
WO2019078531A1 (ko) * 2017-10-20 2019-04-25 임기영 교체식 멀티 콘센트
KR20190044245A (ko) * 2017-10-20 2019-04-30 임기영 교체식 멀티 콘센트
KR102012737B1 (ko) * 2017-10-20 2019-08-21 임기영 교체식 멀티 콘센트
KR20220090755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케이아이씨텍 매립형 IoT 기기의 전원 연결 장치
KR102538208B1 (ko) * 2020-12-23 2023-05-31 주식회사 케이아이씨텍 매립형 IoT 기기의 전원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52235Y (zh) 一种组合式插座
US8079877B1 (en) Power adapter connecting in a surface to surface contact
TW201806217A (zh) 電池組和組裝電池組的方法
KR200255394Y1 (ko) 조립형 전기 콘센트
KR101484010B1 (ko) 절전형 멀티탭
CN112820571A (zh) 一种搭接小型电器的按钮开关
CN209844018U (zh) 一种大电流连接器
CN2901611Y (zh) 板对板连接器
US7824201B2 (en) Switch actuated normalling jack for patchbays
EP0588849B1 (en) Improvements in fused electrical connectors
KR200212538Y1 (ko) 간이 멀티타입 암수형 커넥터
CN205900888U (zh) 一种带有旋转座的移动插座
KR101763340B1 (ko)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KR20110087686A (ko) 뒤집어진 멀티탭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KR200330733Y1 (ko) 2극 차단 접속콘센트
CN213905668U (zh) 一种可快拆装电源插头
CN101351933B (zh) 用于将插头连接至不同类型的电源插座的适配器
CN214957510U (zh) 插座
CN217740846U (zh) 插排的插座模块和插排
CN203660204U (zh) 插座
KR200379816Y1 (ko) 분리형 콘센트
CN214957437U (zh) 插座的插套模块
CN217642016U (zh) 二次插座
CN216353929U (zh) 一种熔断器式隔离开关用触刀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