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821B1 -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821B1
KR100658821B1 KR1020050036770A KR20050036770A KR100658821B1 KR 100658821 B1 KR100658821 B1 KR 100658821B1 KR 1020050036770 A KR1020050036770 A KR 1020050036770A KR 20050036770 A KR20050036770 A KR 20050036770A KR 100658821 B1 KR100658821 B1 KR 10065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connection
wi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729A (ko
Inventor
최진성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주)이노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비즈 filed Critical (주)이노비즈
Priority to KR102005003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82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Abstract

본 발명은, 단락방지장지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와이어와 절연피복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절연피복 일측에 상하로 대칭되는 호 형상의 회동부가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와 절연피복 케이블의 단부에 상하로 대칭되는 호형상의 회동부에 각각의 와이어가 분리연결되는 복수의 단자가 일체로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회동부가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케이스나 컨넥터등의 접속부에 회동부가 대응되는 요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케이블이 관통되는 하우징이나 컨넥터의 밀착부에서 발생되는 전단력에 의해 케이블이 단락되어 전원공급이나 전달전달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와이어, 절연피복, 컨넥터, 하우징, 단자

Description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a connecting device using a cable with short prevention}
도1은 종래의 케이블 연결용 컨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회동블록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컨넥터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30...케이블 200...회동블록
210...블록몸체 250...스토퍼
300...접속구 340...접속구몸체
350...단자
본 발명은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와이어와 절연피복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일측및 단부에 회동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과 상기 회동부에 대응되도록 케이스나 컨넥터등의 접속부에 요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케이블이 관통되는 하우징이나 컨넥터의 밀착부에서 발생되는 전단력에 의해 케이블이 단락되어 전원공급이나 전달전달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을을 이용한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전원공급은, 전기제품의 전원공급부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그 단부에 컨넥터가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을 통하여 옥내에 설치되는 배전함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단자함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벽면의 단자함과 전기제품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게 될 경우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면서 양측단에 컨넥터가 각각 구비되는 별도의 전원코드를 통하여 한전 전원을 전기제품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기신호의 전달을 위한 케이블은, 다양한 전기신호가 동시에 전달되는 신호특성상 다수의 케이블이 하나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며, 그 단부에 다수의 핀으로 이루어진 컨넥터가 연결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케이블 이를 연결하는 컨넥터를 살펴보면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연외피(10)의 내측에 절연내피(20)로서 피복되는 복수의 케이블(25)이 위치되고, 상기 케이블(25)은 일측이 컨넥터하우징(30)의 외측에 노출토록 장착되는 각각의 단자(35)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용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의 경우 컨넥터하우징(30)의 삽입부에서 케이블의 유동시 전단이 발생되어 케이블(25)이 단락되어 수명을 저하시킴은 물론 전원공급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절곡이 힘들어 좁은 공간에 위치하는 벽면에 삽입할 경우 연결작업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이 케이스나 컨넥터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케이블로서 연결되는 전기제품의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단락등에 의해 전력및 전기신호 전달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토록 하고, 전단력의 발생을 최소화 하여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컨넥터의 연결이 가능하여 전원및 신호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이 용이함은 물론 생산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와이어와 절연피복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절연피복 일측에 상하로 대칭되는 호 형상의 회동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와 절연피복 케이블의 단부에 상하로 대칭되는 호형상의 회동부에 각각의 와이어가 분리연결되는 복수의 단자가 일체로 구비되는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110)(130)은, 단부에 원형의 회동블록(200)이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회동블록(200)은, 케이블(110)(130)의 단부에 몰딩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회동블록(200)은, 복수개로 분리되어 상호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110)(130)은, 절연피복의 내측에 각각의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케이블이 내측피복을 통하여 분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회동블록(200)은, 복수의 케이블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전극(230a)(230b)이 설치되도록 장착홀(210a)을 갖는 원형의 몸체(210)와 상기 제1,2전극을 분리하는 스토퍼(25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회동블록(200)이 장착되는 접속구(300)는, 그 단부에 단자(350)가 돌출되는 컨넥터(340) 및 다른 케이블(130)이 일체로 연결되는 컨넥터(340)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컨넥터(340)는, 회동블록(200)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일측에 테이퍼형의 섭동부(320a)가 구비되며, 상기 섭동부(320a)에 연결되면서 회동블록(200)과 대응토록 원형의 회동공간(320b)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공간(320b)의 내측에 스토퍼(250)가 대응되어 그 스트로크가 조정되는 원주형상의 슬롯(320b-1)이 설치되고, 상기 회동공간(320b)에 제1,2전극(230a)(230b)이 접속되는 접속판(360a)(360b)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블(110)의 단부에 원형의 회동블록(200)이 일체로 연결되어 이를 접속구(300)에 삽입하면 상기 회동블록(200)이 접속구(30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상태로 케이블이 360°방향에서 자유롭게 회동토록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케이블(110)이 접속구(300)의 일측에서 돌출된 상태로 자유롭게 회전토록 되어 케이블(110)이 접속구(300)의 일측에서 꺽이어 발생되는 단락이나 숏트등을 방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회동블록(200)은, 구형의 몸체(210)가 케이블(110)의 단부에 몰딩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으며, 본 발명의 도3에서와 같이 볼트결합이나 후크등을 이용한 억지끼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상,하부케이스에 의해 구형의 몸체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회동블록(200)은, 복수의 제1,2전극(230a)(230b)이 상호 분리토록 되어 케이블(110)에 분할되는 와이어와 각각 연결되어 이에 연결되는 접속구(300)의 접속판(360a)(360b)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상이한 + 및 -전원을 각각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분할되는 상,하부케이스에 의해 제1,2전극(230a)(230b)을 고정할 경우 상기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장착홀(210a)에 전극을 삽입한후 상,하부케이스를 상호 결합하면 제1,2전극이 케이스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계속하여, 상기 회동블록(200)이 삽입토록 되는 접속구(300)는, 그 단부에 단자(350)가 돌출되는 컨넥터(340) 및 다른 케이블(130)이 일체로 연결되는 컨넥터(340)중에서 선택되어 외부전원에 직접연결하거나 간접연결하도록 할 때 컨넥터(340)에 의해 케이블의 꺽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한 실시예에 의한 접속구를 살펴보면, 상기 회동블록(200)이 지지되는 컨넥터(340)가, 일측에 테이퍼형의 섭동부(320a)가 구비되면서 상기 섭동부(320a)에 연결되어 회동블록(200)과 대응토록 원형의 회동공간(320b)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내측에 제1,2전극(230a)(230b)이 접속되는 접속판(360a)(360b)이 각각 설치되어 회동블록의 회동과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져 회동블록의 이동과 상관없이 전원이 항상 연결토록 된다.
이때, 상기 회동블록(200)의 제1,2전극(230a)(230b) 사이에 상기 제1,2전극을 분리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250)가 슬롯(320b-1)에서만 이동하도록 되어 상이한 전극의 접속에 의한 숏트를 방지토록 한다.
이와동시에 상기 스토퍼(250)는, 회동블록(200)이 이동하는 스토로크를 제공하게 되어 일정방향에서만 이동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회동블록(200) 일측에 케이블(110)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토록 회동공간(320b)의 일측에 섭동부(320a)가 연결되어 케이블의 꺽임을 완벽하게 방지토록 한다.
본 발명의 접속구(300)는, 단자(350)의 구비와 케이블(130)이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컨넥터(340)로 이루어 지나 상기 회동블록(200)이 접촉되므로써 이루어 지는 동작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회동블록(200)이 접속구의 내측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는 회동블록의 전극및 접속구의 접속판이 항상 접속토록 되어 전원공급에도 문제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이 컨넥터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케이블로서 연결되는 전기제품의 동작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단락등에 의해 전력및 전기신호 전달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토록 하고, 전단력의 발생을 최소화 하여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컨넥터의 연결이 가능하여 전원및 신호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이 용이함은 물론 생산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이한 전원의 와이어로서 이루어진 케이블(110)이 스토퍼(250)를 통하여 분리 설치되는 제1,2전극(230a)(230b)에 각각 연결되는 구형상의 회동블록(200)을 지지하면서 360°방향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접속구(300)가 설치되며,
    상기 접속구(300)는, 회동블록(200)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일측에 테이퍼형의 섭동부(320a)가 구비되며, 상기 섭동부(320a)에 연결되면서 회동블록(200)과 대응토록 원형의 회동공간(320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공간(320b)의 내측에 스토퍼(250)가 대응되는 원주형상의 슬롯(320b-1) 양측으로 제1,2전극(230a)(230b)이 접속되는 접속판(360a)(360b)이 각각 설치되는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300)는, 그 단부에 접속판(360a)(360b)과 연결되는 단자(350)가 각각 돌출되는 컨넥터(3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300)는, 그 단부에 접속판(360a)(360b)과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130)을 갖는 컨넥터(3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KR1020050036770A 2005-05-02 2005-05-02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KR100658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770A KR100658821B1 (ko) 2005-05-02 2005-05-02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770A KR100658821B1 (ko) 2005-05-02 2005-05-02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29A KR20060114729A (ko) 2006-11-08
KR100658821B1 true KR100658821B1 (ko) 2006-12-19

Family

ID=3765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770A KR100658821B1 (ko) 2005-05-02 2005-05-02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188B1 (ko) 2020-08-26 2020-12-11 주식회사 천일엠이씨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벽체 케이블 단락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32B1 (ko) * 2013-11-15 2014-02-27 (주)성창종합기술단 배선용 주름관과 배전박스 연결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301A (ja) * 1990-01-12 1991-03-22 Fuji Electric Co Ltd プロセス制御における極点判別方法
JPH0474878A (ja) * 1990-07-18 1992-03-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ケールの溶解除去組成物
KR200255394Y1 (ko) 2001-08-16 2001-12-13 김용민 조립형 전기 콘센트
JP2004319227A (ja) 2003-04-15 2004-11-11 Jst Mfg Co Ltd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301A (ja) * 1990-01-12 1991-03-22 Fuji Electric Co Ltd プロセス制御における極点判別方法
JPH0474878A (ja) * 1990-07-18 1992-03-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ケールの溶解除去組成物
KR200255394Y1 (ko) 2001-08-16 2001-12-13 김용민 조립형 전기 콘센트
JP2004319227A (ja) 2003-04-15 2004-11-11 Jst Mfg Co Ltd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188B1 (ko) 2020-08-26 2020-12-11 주식회사 천일엠이씨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벽체 케이블 단락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29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975B2 (en) Power connector with light indicator
KR102579795B1 (ko) 연결 단자 및 전기 커넥터
KR910013620A (ko) 원형 din 전기 콘넥터
JP2010501110A (ja) 光電プラグおよびコンセント
JP2005516354A (ja) パッチプラグ構造及びそれ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US3437976A (en) Swiveling connector for electric cord
US6887094B2 (en) Shielded connection arrangement for data transfer
KR100658821B1 (ko) 단락방지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한 접속장치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US20210021076A1 (en) Single Pair Ethernet Connector
KR100922149B1 (ko) 조인트커넥터 어셈블리
CN215070550U (zh) 一种穿墙式连接器
FI124741B (fi) Kaksoispistorasia
JP2020506513A (ja) 印刷回路基板用コネクタ
CN111834852A (zh) 电连接器组合
JP2004537154A5 (ko)
CN220672962U (zh) 一种连接器及电子设备
CN210607766U (zh) 一种Mini型高频传输连接器
CN208093796U (zh) 新型风扇连接器及电子设备
KR20230013963A (ko) 케이블 꼬임 방지용 접속장치
EP2250709B8 (en) Power supply connector
KR200149666Y1 (ko) 전자렌지의 파워코드
KR100299300B1 (ko) 전기배선의분기결선을위한컨넥터
CN114142311A (zh) 一种多条并行电缆分别对接转接器
KR200381509Y1 (ko)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