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509Y1 -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 Google Patents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509Y1
KR200381509Y1 KR20-2005-0000394U KR20050000394U KR200381509Y1 KR 200381509 Y1 KR200381509 Y1 KR 200381509Y1 KR 20050000394 U KR20050000394 U KR 20050000394U KR 200381509 Y1 KR200381509 Y1 KR 200381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rizontal line
accommodated
lines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수
Original Assignee
김홍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수 filed Critical 김홍수
Priority to KR20-2005-0000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가로선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세로선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세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상하돌출단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가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측면돌출단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가로선부의 일단에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측면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조립식으로 복잡한 분전함의 배선 회로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으며, 독립 식 블록 구조로 형성되어 일반적인 통선 배선 방식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며 안전하고 제작시간이 단축되며, 배선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 없이 블록 간의 조립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 for connecting of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함을 구성하는 차단기의 결선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배전함에는 그 건물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의 전기 기구나 전기적인 장치에게 전기를 공급하고, 과전류가 흐를 시에 그 전기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기는 결선된 전기 기구나 장치의 숫자에 따라서 복수개가 서로 전기적으로 결선이 되며, 그 용량 또한 다양하다.
도 1에 종래의 배전함에서 사용되는 각종 차단기들이 결합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함에는 동선 등으로 이루어진 전기선들을 각 차단기(1,2,3,4,5,6,7)에 일일이 결선시켰다.
도 1에서 차단기(1)는 주전원에서 오는 전원을 필요시에 차단하는 차단기를 나타내며, 나머지 차단기(2,3,4,5,6,7)들은 각 사용측에서 사용되는 전원을 필요시에 차단하는 차단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각 차단기(1,2,3,4,5,6,7)들은 전기선인 배선(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점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9는 배선(8)들이 접접되는 곳을 표기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배전함의 차단기(1,2,3,4,5,6,7)를 결선하기 위해서는 그 결선되는 전기선인 배선(8)들이 복잡하게 얽혀서 결선되었고, 그 결선을 위해서는 차단기(1,2,3,4,5,6,7)의 덮개를 분해하고 결선을 하여야 했으므로 그 결선 작업이 복잡하고 그 결선에 소요되는 비용도 고가이었으며, 그 결선 작업을 하기 위한 시간도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전함의 차단기(1,2,3,4,5,6,7)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8)들이 외부로 많이 노출되어 있었으므로 전기적인 안전성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전함에 새로 추가되는 차단기를 설치할 경우, 예를 들어 도 1에서 차단기(1)와 차단기(2)에 새로운 차단기를 추가로 삽입시켜야 할 경우 등에는 먼저 결선된 모든 배선을 다 분리하고 새로운 배전함을 추가시켜야 하였으므로 그 작업이 까다롭고 장시간이 소용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식으로 복잡한 분전함의 배선 회로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으며, 독립 식 블록 구조로 형성되어 일반적인 통선 배선 방식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며 안전하고 제작시간이 단축되며, 배선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 없이 블록 간의 조립이 가능한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가로선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세로선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세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상하돌출단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가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측면돌출단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가로선부의 일단에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측면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은, 내부에 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가로선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세로선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세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상하돌출단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가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측면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의 사시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미널 블록의 내부 배선을 나타낸 도면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터미널 블록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100)은 하우징(10)과, 가로선부(20)와, 세로선부(30)와, 상하돌출단(40)과, 측면돌출단(50)과, 측면홈(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상기 가로선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로선부(20)는 제1가로선(22)과 제2가로선(24)과 제3가로선(26)을 가지는 세 개의 선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제1가로선(22)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다.
상기 제2가로선(24)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선(22)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3가로선(26)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선(24)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세로선부(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선부(20)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가로선부(20)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된다. 즉 상기 세로선부(30)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세로선(32)과 제2세로선(34)과 제3세로선(36)을 가지는 세 개의 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세로선(32)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선부(20)와 교차된다.
상기 제2세로선(34)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선부(20)와 교차되며, 상기 제1세로선(32)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3세로선(36)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선부(20)와 교차되며, 상기 제2세로선(34)과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세로선(32)은 상기 제1가로선(22)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2세로선(34)은 상기 제2가로선(24)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3세로선(36)은 상기 제3가로선(26)과 전기적으로 접점되어 있다.
상기 상하돌출단(40)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세로선부(30)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상기 측면돌출단(50)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가로선부(20)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상기 측면홈(60)은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가로선부(20)의 일단에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상하돌출단(40)에 원하는 전기적 장치(예를 들어 차단기)를 결합시키거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의 선을 배선한다. 또한 상기 측면돌출단(50)에도 원하는 전기적 배선을 한다.
이어서, 하나의 차단기와 다른 차단기를 연결하는 전기적 배선 대신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터미널 블록(100)에 다른 터미널 블록(100)을 연이어 접속시킨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블록(100)의 측면돌출단(50)을 인접하는 다른 터미널 블록(100)의 측면홈(60)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측면홈(60)에 삽입된 상기 측면돌출단(50)은 인접한 다른 터미널 블록(100)의 상기 가로선부(20)와 통전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방법으로 복수개의 여러 터미널 블록(100)을 상호 연결할 수가 있으므로, 차단기를 추가하거나 교체할 때 교체할 때 일일이 차단기와 전기선으로 이루어진 배선들을 해체할 필요 없이 바로 상기 터미널 블록(100)을 연결함으로써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와 같은 배선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기적으로 안전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으로 측면돌출단(50)이 형성되고 이 측면돌출단(50)이 다른 인접한 터미널 블록(100)의 측면홈(60)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도 5에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선용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200)을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선용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200)은 측면홈(260)의 형상과 위치, 그리고 연결부(270)를 가지는 것 외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록(200)의 상기 측면홈(260)은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가로선부(20)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져 있다.
상기 연결부(270)는 그 일단이 상기 측면홈(260)에 삽입되어 그 측면홈(260)에 나사(95)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로선부(20)와 통전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록(200)은 인접하는 다른 터미널 블록(200)과 연결될 때, 상기 측면홈(260)에 상기 연결부(270)를 나사(95) 등으로 간단히 결합만 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측면홈(260)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까지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을 분해할 필요 없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바로 상기 연결부(270)를 상기 측면홈(260)에 삽입시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에 의하면, 조립식으로 복잡한 분전함의 배선 회로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으며, 독립 식 블록 구조로 형성되어 일반적인 통선 배선 방식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며 안전하고 제작시간이 단축되며, 배선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 없이 블록 간의 조립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전함에서 사용되는 차단기들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미널 블록의 내부 배선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터미널 블록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가로선부
30. 세로선부 40. 상하돌출단
50. 측면돌출단 60, 260. 측면홈
270. 연결부

Claims (3)

  1.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가로선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세로선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세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상하돌출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가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측면돌출단;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가로선부의 일단에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측면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2.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가로선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세로선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세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상하돌출단;
    상기 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가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측면홈; 및
    그 일단이 상기 측면홈에 삽입되어 그 측면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로선부와 통전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선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제1가로선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선과 이격된 제2가로선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선과 이격된 제3가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선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선부와 교차되는 제1세로선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선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1세로선과 이격된 제2세로선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선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2세로선과 이격된 제3세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세로선은 상기 제1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2세로선은 상기 제2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3세로선은 상기 제3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KR20-2005-0000394U 2005-01-06 2005-01-06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KR200381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394U KR200381509Y1 (ko) 2005-01-06 2005-01-06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394U KR200381509Y1 (ko) 2005-01-06 2005-01-06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703A Division KR100656147B1 (ko) 2005-05-26 2005-05-26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509Y1 true KR200381509Y1 (ko) 2005-04-14

Family

ID=4368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394U KR200381509Y1 (ko) 2005-01-06 2005-01-06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5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3014A1 (en) Switch/power drop unit for modular wiring system
JP2010094014A (ja) 電気モータインタフェース、そのための電気プラグ部品、電気モータ端子、及び電気モータ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KR200381509Y1 (ko)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KR100656147B1 (ko)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JP2012529146A (ja) 雌型プラグ及びリレーのハウジング用のソケット
JP4062741B2 (ja) 端子変換ユニット
US7534151B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KR100711102B1 (ko)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KR200383307Y1 (ko) 입출력전원선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전력량계
JP2007318875A (ja) 住宅用分電盤
KR100711101B1 (ko) 대칭형 차단기
KR100370106B1 (ko) 전동기 보호용 계전기
US6290511B1 (en) Grounding of snap switches in a wiring box
KR200406540Y1 (ko) 보조 전원단자를 구비한 커넥터
KR200379570Y1 (ko) 대칭형 차단기
KR200419218Y1 (ko)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US9351413B2 (en) Electrical device powered through neutral or ground
CN219329456U (zh) 一种汇流排
KR200231274Y1 (ko)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전화단자대
JP2005038737A (ja) 天井照明用配線接続構造及び配線接続方法
AU709346B2 (en) Modular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and switching system
KR100909453B1 (ko)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분전반의 회로차단기 장착구조
JP3155652U (ja) 接続箱
JP2022171140A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