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101B1 - 대칭형 차단기 - Google Patents

대칭형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101B1
KR100711101B1 KR1020050044704A KR20050044704A KR100711101B1 KR 100711101 B1 KR100711101 B1 KR 100711101B1 KR 1020050044704 A KR1020050044704 A KR 1020050044704A KR 20050044704 A KR20050044704 A KR 20050044704A KR 100711101 B1 KR100711101 B1 KR 10071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using
line
horizontal line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321A (ko
Inventor
김일근
Original Assignee
김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근 filed Critical 김일근
Priority to KR1020050044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1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칭형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제1가로선부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1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제1세로선부와, 상기 제1세로선부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1세로상방차단회로와,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1세로선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1세로하방차단회로와,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파여지며, 상기 제1세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1상하단홈과,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1측면홈을 포함하는 제1터미널과,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제2가로선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2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제2세로선부와, 상기 제2세로선부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2세로상방차단회로와,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2세로선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2세로하방차단회로와,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파여지며, 상기 제1세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2상하단홈과, 상기 제2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2측면홈을 포함하는 제2터미널 및 그 일단은 상기 제1측면홈에 삽입되며, 그 타단은 상기 제2측면홈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상호 통전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분전함에서 대칭형으로 차단기를 구성할 시에 그 구성이 간단히 이루어져서 표준화가 가능하며, 대칭형 차단기를 제작하는 제작 시간이 단시간이며, 대칭형 차단기의 각 차단기를 통전시키는 전기선인 배선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위험요소를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칭형 차단기{Symmetrical type circuit brea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내부 배선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의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터미널 11. 제1하우징
12. 제1가로선부 13. 제1세로선부
14. 제1세로상방차단회로 15.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
16. 제1세로하방차단회로 17.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
18. 제1상하단홈 19. 제1측면홈
20. 제2터미널 21. 제2하우징
22. 제2가로선부 23. 제2세로선부
24. 제2세로상방차단회로 25.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
26. 제2세로하방차단회로 27. 제2세로하당차단스위치
28. 제2상하단홈 29. 제2측면홈
30. 연결부재 122. 제11가로선
124. 제12가로선 126. 제13가로선
132. 제11세로선 134. 제12세로선
136. 제13세로선 222. 제21가로선
224. 제22가로선 226. 제23가로선
232. 제21세로선 234. 제22세로선
236. 제23세로선
본 발명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함에 수용되어 대칭형 회로를 구성하는 대칭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배전함에는 그 건물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의 전기 기구나 전기적인 장치에게 전기를 공급하고, 과전류가 흐를 시에 그 전기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기는 결선된 전기 기구나 장치의 숫자에 따라서 복수개가 서로 전기적으로 결선이 되며, 그 용량 또한 다양하다.
그러나, 종래의 분전함은 그 분진함을 구성할 때 대칭형으로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단독형의 차단기만 개발되고 시판되고 있어 대칭형 분전함 회로를 결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동판을 사용하여 배선을 제작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분전함은 표준화가 어렵고, 그 제작 기간이 길고, 이를 사용 시 전기 배선과 금속 성분의 노출 부위가 많아서 안전상 위험성이 높았으며, 고가로 제작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분전함에서 대칭형으로 차단기를 구성할 시에 그 구성이 간단히 이루어져서 표준화가 가능하며, 대칭형 차단기를 제작하는 제작 시간이 단시간이며, 대칭형 차단기의 각 차단기를 통전시키는 전기선인 배선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위험요소를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대칭형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제1가로선부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1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제1세로선부와, 상기 제1세로선부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1세로상방차단회로와,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1세로선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1세로하방차단회로와,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 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파여지며, 상기 제1세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1상하단홈과,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1측면홈을 포함하는 제1터미널과,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제2가로선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2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제2세로선부와, 상기 제2세로선부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2세로상방차단회로와,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2세로선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2세로하방차단회로와,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파여지며, 상기 제1세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2상하단홈과, 상기 제2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2측면홈을 포함하는 제2터미널 및 그 일단은 상기 제1측면홈에 삽입되며, 그 타단은 상기 제2측면홈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상호 통전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 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제1가로선부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1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제1세로선부와, 상기 제1세로선부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1세로상방차단회로와,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1세로선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1세로하방차단회로와,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1상하돌출단과,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1측면돌출단과, 상기 제1하우징의 타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가로선부의 일단에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1측면홈을 포함하는 제1터미널 및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제2가로선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2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제2세로선부와, 상기 제2세로선부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2세로상방차단회로와,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2세로 상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2세로선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2세로하방차단회로와,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2상하돌출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가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2측면돌출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타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2가로선부의 일단에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2측면홈을 포함하는 제2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의 상기 제1가로선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제11가로선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1가로선과 이격된 제12가로선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가로선과 이격된 제13가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세로선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교차되는 제11세로선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11세로선과 이격된 제12세로선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12세로선과 이격된 제13세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1세로선은 상기 제11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12세로선은 상기 제12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13세로선은 상기 제13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며, 상기 제2가로선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제21가로선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1가로선과 이격된 제22가로선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2가로선과 이격된 제23가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세로선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선부와 교차되는 제21세로선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선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21세로선과 이격된 제22세로선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선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22세로선과 이격된 제23세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1세로선은 상기 제21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22세로선은 상기 제22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23세로선은 상기 제23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의 분리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내부 배선을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100)은 제1터미널(10)과, 제2터미널(20)과, 연결부재(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터미널(10)은 제1하우징(11)과, 제1가로선부(12)와, 제1세로선부(13)와, 제1세로상방차단회로(14)와,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16)와, 제1세로하방차 단회로(15)와,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17)와, 제1상하단홈(18)과, 제1측면홈(1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그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상기 제1가로선부(12)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가로선부(12)는 제11가로선(122)과 제12가로선(124)과 제13가로선(12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1가로선(1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제12가로선(124)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1가로선(122)과 이격된다.
상기 제13가로선(126)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가로선(124)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세로선부(13)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가로선부(12)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1가로선부(12)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세로선부(13)는 제11세로선(132)과 제12세로선(134)과 제13세로선(13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1세로선(132)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로선부(12)와 교차된다.
상기 제12세로선(134)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선부(12)와 교차되며, 상기 제11세로선(132)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3세로선(136)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선부(12)와 교차되며, 상기 제12세로선(134)과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1세로선(132)은 상기 제11가로선(122)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12세로선(134)은 상기 제12가로선(124)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13세로선(136)은 상기 제13가로선(126)과 전기적으로 접점되어 있다.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회로(14)는 상기 제1세로선부(13)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13)의 상방으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차단기에서 사용되는 차단회로를 말한다.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16)는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회로(14)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회로(14)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16)는 저절로 오프(off)되기도 하며,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16)를 오프시켜 상기 제1세로선부(13)의 상방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회로(15)는 상기 제1세로선부(13)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13)의 하방으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차단회로를 말한다.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17)는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회로(15)와 연결된 다. 따라서,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회로(15)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17)는 저절로 오프(off)되기도 하며,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17)를 오프시켜 상기 제1세로선부(13)의 상방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상하단홈(18)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파여지며, 상기 제1세로선부(13)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져 있다. 상기 제1상하단홈(18)을 통하여 각종의 전기적인 배선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측면홈(19)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제1가로선부(12)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져 있다.
상기 제2터미널(20)은 상기 제1터미널(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터미널(10)에 대칭적인 것으로서, 제2하우징(21)과, 제2가로선부(22)와, 제2세로선부(23)와, 제2세로상방차단회로(24)와,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26)와, 제2세로하방차단회로(25)와,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27)와, 제2상하단홈(28)과, 제2측면홈(2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하우징(21)은 그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상기 제2가로선부(22)는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가로선부(22)는 제21가로선(222)과 제22가로선(224)과 제23가로선(22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1가로선(2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제22가로선(224)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1가로선(222)과 이격된다.
상기 제23가로선(226)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2가로선(224)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세로선부(23)는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가로선부(22)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2가로선부(22)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세로선부(23)는 제21세로선(232)과 제22세로선(234)과 제23세로선(23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1세로선(232)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가로선부(22)와 교차된다.
상기 제22세로선(234)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선부(22)와 교차되며, 상기 제21세로선(232)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3세로선(236)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선부(22)와 교차되며, 상기 제22세로선(234)과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1세로선(232)은 상기 제21가로선(222)과 전기적으로 접점되 고, 상기 제22세로선(234)은 상기 제22가로선(224)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23세로선(236)은 상기 제23가로선(226)과 전기적으로 접점되어 있다.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회로(24)는 상기 제2세로선부(23)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23)의 상방으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차단기에서 사용되는 차단회로를 말한다.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26)는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회로(24)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회로(24)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26)는 저절로 오프(off)되기도 하며,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26)를 오프시켜 상기 제2세로선부(23)의 상방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회로(25)는 상기 제2세로선부(23)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23)의 하방으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차단회로를 말한다.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27)는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회로(25)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회로(25)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27)는 저절로 오프(off)되기도 하며,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27)를 오프시켜 상기 제2세로선부(23)의 상방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상하단홈(28)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2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파여지며, 상기 제2세로선부(23)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져 있다. 상기 제2상하단홈(28)을 통하여 각종의 전기적인 배선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측면홈(29)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2하우징(2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제2가로선부(22)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져 있다.
상기 연결부재(30)는 그 일단은 상기 제1측면홈(19)에 삽입되며, 그 타단은 상기 제2측면홈(29)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터미널(10)과 제2터미널(20)을 상호 통전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는 나사(50) 등의 체결구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100)는 다음과 같이 대칭형 분전함을 구성한다.
먼저, 상기 제1상하단홈(18)과 제2상하단홈(28)에 원하는 전기적 장치를 결합시키거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의 선을 배선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홈(19)과 제2측면홈(29)의 한 쪽 방향에도 원하는 전기적 배선을 한다.
이어서, 제1터미널(10)과 제2터미널(20)을 서로 통전되도록 접속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연결부재(30)를 상기 제1측면홈(19)의 배선되지 않은 부분과, 상기 제2측면홈(29)의 배선되지 않은 부분에 삽입하여 나사(50) 등으로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터미널(10)과 제2터미널(20)이 간단히 서로 통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선인 배선이나 금속 성분이 노출되는 부위가 적으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100)은 안전하며 그 배선을 간단히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측면홈(19)과 제2측면홈(29)은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21)의 상면까지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21)을 각각 분해할 필요 없이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21)의 상면에서 바로 상기 연결부재(30)를 상기 제1측면홈(19)과 제2측면홈(29)에 삽입시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5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500)는 제1터미널(600)과 제2터미널(7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터미널(600)은 제1하우징(11)과, 제1가로선부(12)와, 제1세로선부(13)와, 제1세로상방차단회로(14)와,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15)와, 제1세로하방차단회로(16)와,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17)와, 제1상하돌출단(510)과, 제1측면돌출단(520)과, 제1측면홈(53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1가로선부(12)와, 제1세로선부(13)와, 제1세로상방차단회로(14)와,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15)와, 제1세로하방차단회로(16)와,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17)는 앞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1상하돌출단(510)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13)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상기 제1측면돌출단(520)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가로선부(12)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상기 제1측면홈(530)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타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가로선부(12)의 일단에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져 있다.
상기 제2터미널(700)은 제2하우징(21)과, 제2가로선부(22)와, 제2세로선부(23)와, 제2세로상방차단회로(24)와,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25)와, 제2세로하방차단회로(26)와,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27)와, 제2상하돌출단(610)과, 제2측면돌출단(620)과, 제2측면홈(63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21)과, 제2가로선부(22)와, 제2세로선부(23)와, 제2세로상방차단회로(24)와,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25)와, 제2세로하방차단회로(26)와,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27)는 앞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2상하돌출단(610)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23)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상기 제2측면돌출단(620)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가로선부(22)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상기 제2측면홈(630)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타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2가로선부(22)의 일단에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져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5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상하돌출단(510)과, 제2상하돌출단(610)에 원하는 전기적 장치를 결합시키거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의 선을 배선한다.
이어서, 제1터미널(600)과 제2터미널(700)을 서로 통전되도록 접속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제2터미널(700)의 제2측면돌출단(620)을 상기 제1터미널(600)의 제1측면홈(530)에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터미널(600)과 제2터미널(700)이 간단히 서로 통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차단기에 의하면, 분전함에서 대칭형으로 차단기를 구성할 시에 그 구성이 간단히 이루어져서 표준화가 가능하며, 대칭형 차단기를 제작하는 제작 시간이 단시간이며, 대칭형 차단기의 각 차단기를 통전시키는 전기선인 배선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위험요소를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제1가로선부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1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제1세로선부와,
    상기 제1세로선부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1세로상방차단회로와,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1세로선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1세로하방차단회로와,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파여지며, 상기 제1세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1상하단홈과,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1측면홈을 포 함하는 제1터미널;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제2가로선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2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제2세로선부와,
    상기 제2세로선부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2세로상방차단회로와,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2세로선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2세로하방차단회로와,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파여지며, 상기 제1세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2상하단홈과,
    상기 제2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파여지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2측면홈을 포함하는 제2터미널; 및
    그 일단은 상기 제1측면홈에 삽입되며, 그 타단은 상기 제2측면홈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상호 통전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차단기.
  2.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제1가로선부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1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제1세로선부와,
    상기 제1세로선부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1세로상방차단회로와,
    상기 제1세로상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1세로상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1세로선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1세로하방차단회로와,
    상기 제1세로하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1세로하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제1세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1상하돌출단과,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1측면돌출단과,
    상기 제1하우징의 타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가로선부의 일단에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1측면홈을 포함하는 제1터미널; 및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된 제2가로선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가로선부와 대응하는 숫자의 선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제2가로선부의 선들 중 어느 하나의 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접점되는 제2세로선부와,
    상기 제2세로선부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2세로상방차단회로와,
    상기 제2세로상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2세로상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2세로선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로 통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제2세로하방차단회로와,
    상기 제2세로하방차단회로와 연결되는 제2세로하방차단스위치와,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제2세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2상하돌출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가로선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제2측면돌출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타측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2가로선부의 일단에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파여진 제2측면홈을 포함하는 제2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차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선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제11가로선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1가로선과 이격된 제12가로선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가로선과 이격된 제13가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세로선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교차되는 제11세로선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11세로선과 이격된 제12세로선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선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12세로선과 이격된 제13세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1세로선은 상기 제11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12세로선은 상기 제12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13세로선은 상기 제13가로선 과 전기적으로 접점되며,
    상기 제2가로선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제21가로선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1가로선과 이격된 제22가로선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2가로선과 이격된 제23가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세로선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선부와 교차되는 제21세로선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선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21세로선과 이격된 제22세로선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기를 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선부와 교차되며, 상기 제22세로선과 이격된 제23세로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1세로선은 상기 제21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22세로선은 상기 제22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제23세로선은 상기 제23가로선과 전기적으로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차단기.
KR1020050044704A 2005-05-26 2005-05-26 대칭형 차단기 KR10071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704A KR100711101B1 (ko) 2005-05-26 2005-05-26 대칭형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704A KR100711101B1 (ko) 2005-05-26 2005-05-26 대칭형 차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491U Division KR200379570Y1 (ko) 2005-01-07 2005-01-07 대칭형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321A KR20060081321A (ko) 2006-07-12
KR100711101B1 true KR100711101B1 (ko) 2007-04-24

Family

ID=3717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704A KR100711101B1 (ko) 2005-05-26 2005-05-26 대칭형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1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512U (ko) * 1998-12-03 2000-07-0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부속품 결합장치
KR20040080917A (ko) * 2003-03-11 2004-09-20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배선용 차단기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512U (ko) * 1998-12-03 2000-07-0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부속품 결합장치
KR20040080917A (ko) * 2003-03-11 2004-09-20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배선용 차단기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실용신안공개 20-1998-0054542
실용신안공개 20-2000-0011512
특허공개 10-2004-00809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321A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8499B2 (en) Low voltage electricity distribution circuit
US7753739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KR100772207B1 (ko)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US7247045B1 (en) Modular connection assembly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JP2007287708A (ja) 分岐回路遮断器の付加警報ユニット
KR100711101B1 (ko) 대칭형 차단기
KR100804080B1 (ko) 무정전 단자대와 그 무정전 단자대에 결합하는 전력량계결합체 및 배선용 차단기 결합체
JP4081703B2 (ja) 分岐回路遮断器の付加警報ユニット
KR100711102B1 (ko)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KR200379570Y1 (ko) 대칭형 차단기
JP2008061455A (ja) 4極用ブレーカのプラグイン取付アダプタ
KR20050123064A (ko) 버스웨이 시스템
KR200381509Y1 (ko)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KR100656147B1 (ko) 차단기 결선용 터미널 블록
KR200351819Y1 (ko)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GB2266810A (en) Multi socket outlet assembly
KR100370106B1 (ko) 전동기 보호용 계전기
JP2007318875A (ja) 住宅用分電盤
JP6433336B2 (ja) 分電盤
KR200379568Y1 (ko)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KR200337152Y1 (ko) 퓨즈가 내장된 플러그
KR200218312Y1 (ko) 전력량계의 안전 단자블록
KR100871732B1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JP4696005B2 (ja) 電力量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