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207B1 -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207B1
KR100772207B1 KR1020070020114A KR20070020114A KR100772207B1 KR 100772207 B1 KR100772207 B1 KR 100772207B1 KR 1020070020114 A KR1020070020114 A KR 1020070020114A KR 20070020114 A KR20070020114 A KR 20070020114A KR 100772207 B1 KR100772207 B1 KR 100772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block
contact
power suppl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우
황승욱
Original Assignee
박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우 filed Critical 박대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6Induction meters, e.g. Ferraris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량계 교체시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갖고 개폐기가 수용되는 개폐기 공간부가 형성된 단자대본체, 상기 단자대 본체의 일측 내벽에 개폐기 공간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일단이 부하측공급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단자, 상기 단자대 본체 타측 내벽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연결단자와 대향되게 돌출된 전원측공급단자, 상기 연결단자와 전원측공급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일단이 관통되며 타단은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누름막대와, 상기 누름막대에 설치되어 누름막대의 승강에 따라 상기 연결단자와 전원측공급단자에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접촉단자로 이루어진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개폐기와 연결단자에 의해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정전, 전력량계, 단자대, 개폐기

Description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Terminal Block for Wattmeter Uninterrupted Power Supply}
도 1은, 종래기술의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내부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연결단자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결합되는 전력량계의 전류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의 작용 설명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전력량계 200... 단자대 본체
300... 개폐기 310... 개폐기 설치부
400... 연결단자 1000...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본 발명은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량계 교체시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공장이나 가정 및 자영업장 등에서 사용전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게이지로서,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력선과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선의 전압과 전류를 공급받아 원형의 계측판을 돌리는 기계식방식이나 수치를 직접 나타내는 디지털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 전력량계의 종류로는 단상 2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소형과 단상 3선식 및 삼상 3선식 전용량, 삼상 4선식 전용량에 사용되고 있는 중형이 있다.
그리고, 전력량계는 박스형상으로 외관이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계측판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부하, 공급측전선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자홈을 형성한 단자대를 갖추고 있다.
이에 전력사용개소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전력량계를 고정시킨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에 부하측전선과 공급측전선의 노출부를 삽입하고 단자대에 설치된 보울트를 체결하면, 전력사용개소에서 사용되어진 전력이 하우징의 계측판 을 통해 표시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량계의 하우징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대의 구조에서 일부 해지, 증설 및 계기고장으로 인한 전력량계 교체시 단자대의 단자홈에 전선의 노출부위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전선들이 상호 접촉되어 계량기 폭발로 인한 얼굴 안면 화상이나 전면 노출부위에 화상을 입어 대형 인적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전력량계 단자대의 경우, 단자대에 형성한 단자홈의 내의 단자도체가 단자홈의 입구부측에 인접하여 설치됨으로서, 전력량계 교체시 인접한 전선 간을 혼촉하는 것이다.
이러한 혼촉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전력량계의 컷오프스위치를 "오프"하여 정전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으로 전선의 노출부위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방법이 있지만, 공동인입선을 사용하는 고객에게 장시간 전원을 공급할 수 없게 되어 불편함을 초래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의 전력량계 교체작업에 있어서 정전을 시킨 다음 전선의 노출부위를 인출하고 전력량계 교체작업을 시행한다.
최근,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안출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42352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기재된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는 전력량계(1)에 형성된 삽입편(2)과 대응결합되며, 전력공급원(4)으로부터 전력을 공 급받는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입부(13) 및 수용가(5)로 전력을 출력하는 제 1유출부(14)와 제 2유출부(15)로 구성되는 단자부(11)와, 상기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14)를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통선(30)으로 이루어지는 단자하우징(10)과; 상기 단자하우징(10)의 상면에서 좌, 우로 이동되되, 일측이 상기 제 2유출부(15)에 항상 연결되는 슬라이징핀(40)을 형성하는 부가단자하우징(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전력량계(1) 교체시에는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슬라이징핀(40)을 좌,우로 이동시킨 후 전력량계(1)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슬라이징핀(40)을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량계(1)를 제거할 경우 정전됨은 물론이고 작업자는 전류에 노출되어 감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량계 교체시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단자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생략하여 사용이 용이한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내부에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갖고 개폐기가 수용되는 개폐기 공간부가 형성된 단자대본체, 상기 단자대 본체의 일측 내벽에 개폐기 공간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일단이 부하측공급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단자, 상기 단자대 본체 타측 내벽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연결단자와 대향되게 돌출된 전원측공급단자, 상기 연결단자와 전원측공급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일단이 관통되며 타단은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누름막대와, 상기 누름막대에 설치되어 누름막대의 승강에 따라 상기 연결단자와 전원측공급단자에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접촉단자로 이루어진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막대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편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편의 상부면에는 접촉단자가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면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기는 박스 형태의 개폐기 설치부 내에 내장되되, 상기 연결단자와 전원측공급단자의 일단이 상기 개폐기 설치부를 관통하여 인입되며, 상기 누름막대의 상단이 상기 개폐기 설치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접촉단자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 상기 부하측공급단자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단자대 본체의 일측에는 전력량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1000)는 전력량계(100)의 전류편(110)과 결합되는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부하측공급단자(220)를 갖는 단자대 본체(200)와, 상기 단자대 본체(200) 내에 설치되는 개폐기(300)와, 상기 개폐기(300)에 일단이 단속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부하측공급단자(210)에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단자(4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단자대 본체(200)는 절연체(합성수지)로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제작되고, 내측 정면에는 다수개의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부하측공급단자(2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납공간(210',2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대 본체(200) 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개폐기(300)가 설치될 수 있는 개폐기 공간부(S)가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개폐기 공간부(S)는 전원측공급단자(210)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부하측공급단자(220)측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부하측공급단자(220)는 전도체(동관)로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일측이 계단형성으로 제1면(211,221)과 제2면(212,222)으로 구분된다(도 4참조).
아울러,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부하측공급단자(220)의 아래쪽에는 삽입구(210a,220a)를 형성하여 전원측전선(A)과 부하측전선(B)이 각각 삽입됨과 동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구(210a,220a)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정면, 배면, 좌우측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는 후술할 단자대 본체(200)의 타측 내벽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돌출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부하측공급단자(220)는 상기 단자대 본체(200)의 수납공간(210',22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됨을 방지하고, 후술할 연결단자(400)와 나사결합하는 각각의 나사구멍(230,23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대 본체(200)의 배면에는 상기 전력량계(100)와 결합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250)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250)는 전력량계(100)의 배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폐기(300)는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와 후술할 연결단자(4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설치되어, 전력량계(100)를 결합하거나 제거할때 그 바닥면(101)에 의해 일단이 틈새로 승하강 하며 단자대 본체(100)의 저면에 설치된 스프링(34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누름막대(320)와, 상기 누름막대(320)에 설치되어 누름막대(320)의 승강에 따라 연결단자(400)와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에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접촉단자(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개폐기(300)의 누름막대, 접촉단자(330) 및 스프링(340)을 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박스 형태의 개폐기 설치부(3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개폐기 설치부(310)는 연결단자(400)와 전원측공급단자(210)의 일단이 관통하여 인입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상부는 상기 누름막대(3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막대(320)는 절연체로서 직사각형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누름막대(320)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여러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누름막대(320)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편(321)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편(321)의 상부에는 접촉단자(330)가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면은 상기 스프링(340)에 의해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누름막대(320)는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부하측공급단자(220)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단자(330)는 상기 누름막대(320)의 돌출편(321) 상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 설치되는 전도체로서, 상기 누름막대(320)의 승하강에 의해 후술할 연결단자(400)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상기 부하측공급단자(220)로 통전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40)은 상기 누름막대(3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아울러, 상기 누름막대(320)를 탄력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상기 스프링(340) 외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40)이 설치되는 단자대 본체(200)의 개폐기 설치 부(310) 바닥에는 상기 스프링(340)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돌출부(350)가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기 설치부(300)는 상기 단자대 본체(2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참조).
한편, 연결단자(400)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전력량계(100)가 제거될 경우에 전원측전선(A)으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전달받아 부하측공급단자(22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단자(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단자(330)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410)와 부하측공급단자(220)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420)와, 상기 제1접촉부(410)와 제2접촉부(420)를 연결하는 연결부(43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단자(4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430)가 상기 단자대 본체(200) 내측 배면에 설치되고, 우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부(430)의 일단은 제1접촉부(410)가 형성되되, "ㄴ" 형상으로 접촉단자(330)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기 설치부(310) 내측으로 삽입되도 하며, 상기 연결부(430)의 타단은 부하측공급단자(220)측으로 연장되되, "ㄱ" 형상으로 상기 부하측공급단자(210)의 제1면(221)에 접촉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400)를 다수개로 형성할 경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단자(400)는 평편한 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부하측공급단자(220)에 결합되는 전력량계(100)의 전류편(110A)를 살펴보면, 상기 전류편(110A)은 상기 전력량계(100)에 결합되는 제1결합편(111a)과 상기 제1결합편(111a)에 연결되어 바깥쪽으로 절곡되고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된 제2결합편(112a)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I" 형상을 갖는 전류편(110A)에 대해서도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계의 전류편(110B)이 "L" 형상의 제1결합편(111b)과 제2결합편(112b)으로 제작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1000)를 상기 전류편(110b)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1000)는 상기 전력량계(100)의 전류편(110,110A,110B)의 종류에 따라 상,하 수직의 결합방법 뿐만 아니라, 수평의 결합방법으로도 결합이 가능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10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단자대 본체(200) 내에 전원측공급단자(210), 부하측공급단자(220), 개폐기(300) 및 연결단자(400)를 차례로 설치한 후 전력량계(100)의 전류편(110)을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부하측공급단자(220)의 삽입측으로 삽입하여 결합시 킨다.
그 다음,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부하측공급단자(220)에 각각의 전원측전선과 부하측전선을 결선시킴으로 전류는 전원측공급단자(210)로부터 전력량계(100)의 전류편(110)을 통해 부하측공급단자(220)로 흐르게 함으로서 수용가측에 전류가 통전되게 된다.
이후, 전력량계(100)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전력량계(100)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량계(100)를 파지한 후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개페기 설치부(310) 내에 설치된 스프링(34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던 누름막대(320)가 승강하게 되고 이어, 상기 누름막대(320)에 설치된 접촉단자(330)가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연결단자(400)에 접촉되게 됨으로서, 상기 전력량계(100)의 전류편(110)을 통하지 않고도 수용가측으로 전류가 통전되게 된다.
한편, 교체할 전력량계(100)를 결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부하측공급단자(220)의 삽입측으로 상기 전력량계(100)의 전류편(11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누름막대(320)는 전력량계(100)의 바닥면(101)에 맞닿아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스프링(340)이 압축된 상태로 눌리게 된다. 이때, 누름막대(320)의 돌출편(321)에 설치된 접촉단자(330)는 전원측공급단자(210) 및 연결단자(400)로부터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연결단자(400)로부터 통전되는 전류는 차단되고 전력량계를 통해 전류가 통전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1000)와 상기 전력량계(100)의 봉인은 통상적인 기술과 기능이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 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기와 연결단자에 의해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량계 교체시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별도로 단자대를 조작할 필요없이 원터치식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다.

Claims (10)

  1. 내부에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갖고 개폐기가 수용되는 개폐기 공간부가 형성된 단자대본체,
    상기 단자대 본체의 일측 내벽에 개폐기 공간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일단이 부하측공급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단자,
    상기 단자대 본체 타측 내벽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연결단자와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 전원측공급단자,
    상기 연결단자와 전원측공급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일단이 관통되며 타단은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누름막대와, 상기 누름막대에 설치되어 누름막대의 승강에 따라 상기 연결단자와 전원측공급단자에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접촉단자로 이루어진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막대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편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편의 상부면에는 접촉단자가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면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박스 형태의 개폐기 설치부 내에 내장되되, 상기 연결단자와 전원측공급단자의 일단이 상기 개폐기 설치부를 관통하여 인입되며, 상기 누름막대의 상단이 상기 개폐기 설치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접촉단자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
    상기 부하측공급단자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 본체의 일측에는 전력량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20114A 2007-01-26 2007-02-28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KR100772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8452 2007-01-26
KR1020070008452 2007-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207B1 true KR100772207B1 (ko) 2007-11-01

Family

ID=3906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114A KR100772207B1 (ko) 2007-01-26 2007-02-28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20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80B1 (ko) * 2008-04-23 2010-12-01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전력량계용 어댑터
KR101124457B1 (ko) * 2008-10-23 2012-03-21 한국전력공사 전기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어댑터용 전력량계
KR101138287B1 (ko) 2012-03-12 2012-04-24 박명애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62894B1 (ko) 2011-06-03 2012-07-05 태형산업주식회사 비교계량가능한 고압고객 전력량계용 무정전 교체단자대
CN103904453A (zh) * 2014-04-04 2014-07-02 常州市佳雷电子有限公司 轻便插拔的触头式组合模块
KR102013189B1 (ko) * 2018-05-09 2019-10-21 한국전력공사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KR102100321B1 (ko) * 2020-02-27 2020-05-15 주식회사 비파워 무정전 전력량계
KR102137078B1 (ko) * 2019-10-10 2020-07-23 한국전력공사 고압전자식전력량계 및 고압전자식전력량계에 설치된 브라켓
KR102169763B1 (ko) * 2019-04-18 2020-10-26 한국전력공사 전자식 전력량계
KR102190380B1 (ko) * 2019-10-14 2020-12-11 한국전력공사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JP2021021690A (ja) * 2019-07-30 2021-02-18 中部電力株式会社 電力量計用バイパス工具
CN114696155A (zh) * 2022-05-02 2022-07-01 秦明福 一种不断电更换的电能表
KR102610129B1 (ko) * 2023-07-14 2023-12-07 권태관 무정전 적산 전력계 융합 단자대
KR102692734B1 (ko) 2024-03-19 2024-08-07 주식회사 태경이엔씨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 작업용 착탈형 연결단자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3977U (ko) 1985-01-23 1986-08-04
KR200175532Y1 (ko) 1999-10-27 2000-03-15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단자 안전카바
KR200218273Y1 (ko) 2000-10-16 2001-03-15 수목기전주식회사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KR200245801Y1 (ko) 2001-05-31 2001-10-29 전명수 무정전 안전형 적산전력계 교체장치
KR20030038297A (ko) * 2001-11-02 2003-05-16 조근석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KR100618161B1 (ko) 2006-06-03 2006-09-0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적산전력계
KR100674146B1 (ko) 2006-05-15 2007-01-30 이종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3977U (ko) 1985-01-23 1986-08-04
KR200175532Y1 (ko) 1999-10-27 2000-03-15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단자 안전카바
KR200218273Y1 (ko) 2000-10-16 2001-03-15 수목기전주식회사 변성기부 전력량계용 시험용 단자대
KR200245801Y1 (ko) 2001-05-31 2001-10-29 전명수 무정전 안전형 적산전력계 교체장치
KR20030038297A (ko) * 2001-11-02 2003-05-16 조근석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KR100674146B1 (ko) 2006-05-15 2007-01-30 이종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100618161B1 (ko) 2006-06-03 2006-09-0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적산전력계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80B1 (ko) * 2008-04-23 2010-12-01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전력량계용 어댑터
KR101124457B1 (ko) * 2008-10-23 2012-03-21 한국전력공사 전기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어댑터용 전력량계
KR101162894B1 (ko) 2011-06-03 2012-07-05 태형산업주식회사 비교계량가능한 고압고객 전력량계용 무정전 교체단자대
KR101138287B1 (ko) 2012-03-12 2012-04-24 박명애 전자식 전력량계
CN103904453A (zh) * 2014-04-04 2014-07-02 常州市佳雷电子有限公司 轻便插拔的触头式组合模块
CN103904453B (zh) * 2014-04-04 2016-04-06 常州市维益科技有限公司 轻便插拔的触头式组合模块
KR102013189B1 (ko) * 2018-05-09 2019-10-21 한국전력공사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KR102169763B1 (ko) * 2019-04-18 2020-10-26 한국전력공사 전자식 전력량계
JP2021021690A (ja) * 2019-07-30 2021-02-18 中部電力株式会社 電力量計用バイパス工具
JP7253737B2 (ja) 2019-07-30 2023-04-07 中部電力株式会社 電力量計用バイパス工具
KR102137078B1 (ko) * 2019-10-10 2020-07-23 한국전력공사 고압전자식전력량계 및 고압전자식전력량계에 설치된 브라켓
KR102190380B1 (ko) * 2019-10-14 2020-12-11 한국전력공사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KR102100321B1 (ko) * 2020-02-27 2020-05-15 주식회사 비파워 무정전 전력량계
CN114696155A (zh) * 2022-05-02 2022-07-01 秦明福 一种不断电更换的电能表
KR102610129B1 (ko) * 2023-07-14 2023-12-07 권태관 무정전 적산 전력계 융합 단자대
KR102692734B1 (ko) 2024-03-19 2024-08-07 주식회사 태경이엔씨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 작업용 착탈형 연결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207B1 (ko)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KR101030727B1 (ko)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KR102100321B1 (ko) 무정전 전력량계
KR100674146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JP4766884B2 (ja) 電力量計アダプタ装置
KR101239876B1 (ko)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US6747864B2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US7408766B2 (en) Mounting and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 components
KR200423528Y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20170136665A (ko) 전력량계의 단자대
CN101197227B (zh) 适配器及其低压自动空气断路器
KR100804080B1 (ko) 무정전 단자대와 그 무정전 단자대에 결합하는 전력량계결합체 및 배선용 차단기 결합체
KR101434600B1 (ko)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KR100804084B1 (ko)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
CN105958283A (zh) 嵌入式快充插座
CN109085400B (zh) 电能计量用多功能联合接线盒用电流检测开关结构
CN206180272U (zh) 一种接线结构及具有其的电器设备
KR101207896B1 (ko)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CN106058510B (zh) 验电接地接口通用装置
KR101457625B1 (ko)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EP1220357A3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CN218602350U (zh) 断路器
JP2020054102A (ja) 分電盤
KR20190013059A (ko) 무정전 단자대
CN210957315U (zh) 一种进线采用插入式的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