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3064A - 버스웨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웨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3064A
KR20050123064A KR1020050110463A KR20050110463A KR20050123064A KR 20050123064 A KR20050123064 A KR 20050123064A KR 1020050110463 A KR1020050110463 A KR 1020050110463A KR 20050110463 A KR20050110463 A KR 20050110463A KR 20050123064 A KR20050123064 A KR 2005012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way
jack unit
power
hole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춘석
Original Assignee
원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춘석 filed Critical 원춘석
Priority to KR102005011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3064A/ko
Publication of KR2005012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0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된 버스웨이 하우징내에 동 또는 알루미늄 등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버스바가 플라스틱(예컨대, PVC 등)에 둘러싸여 절연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고, 그 연속된 버스웨이에 서브잭 유닛을 장착하여 전력을 자유자재로 어느 위치에서든지 분기시킬 수 있고, 나아가 서브잭 유닛과 함께 통신잭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통신 단자까지 분기시킬 수 있는 버스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측면에 형상의 수용부재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형상의 수용부재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버스웨이 하우징,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그 내부에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버스바가 길이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게 2 선로 이상 구비되어 있는 절연체, 및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양단에 체결되는 엔드커버를 포함하는 버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하면, 고정나사가 동도체를 관통한 후 버스바에 직접 면접촉하여 전력을 분기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에 스프링 등을 이용한 점접촉 방식시에 야기되었던 접촉불량 등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였다. 또한, 버스웨이 본체에 파워잭 유닛를 체결시켜 버스바에 전력을 인가하고 버스웨이의 어느 위치든지 서브잭 유닛을 체결시켜 버스바로부터 전력을 분기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력 배전 및 분배 설비 외관이 매우 미려할 뿐만 아니라, 전선 노출, 절연상태 불량 등으로 인한 전기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였고, 나아가 전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선의 방치 및 전선 조각들로 인해 작업 여건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전력 분배 뿐만 아니라 통신 단자를 버스웨이 어느 곳에서든지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버스웨이 시스템에서 단순히 전원 분배 내지 분기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한계를 극복하였고, 그 결과 버스웨이 시스템내에 통신선로 및 알람선로 등을 함께 내장시킬 수 있어, 전력 분기 뿐만 아니라 통신선로 및 알람선로 까지도 자유자재로 원하는 위치에서 분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웨이 시스템{ELECTRIC BUSWAY SYSTEM}
본 발명은 버스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된 버스웨이 하우징내에 동 또는 알루미늄 등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버스바가 플라스틱(예컨대, PVC 등)에 둘러싸여 절연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고, 그 연속된 버스웨이에 서브잭 유닛을 장착하여 전력을 자유자재로 어느 위치에서든지 분기시킬 수 있고, 나아가 서브잭 유닛과 함께 통신잭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통신 단자까지 분기시킬 수 있는 버스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웨이는 클린룸, 공장, 연구소 등과 같이 대전류 용량의 배선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널리 사용되는 첨단 배전방식을 일컫는다. 최근들어, 종래의 레이스웨이(Race Way) 시스템이 가진 문제점, 예컨대 설치 완료후 콘센트 위치나 구조 변경이 불가능하고, 케이블 연결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 인건비 및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배전방식인 버스웨이 시스템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있어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15399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버스웨이 시스템의 일례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하에서는 그 구조 및 문제점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상기 종래기술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종래 기술의 버스웨이 시스템은 나동선(1)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절연체(2)가 버스웨이 본체(3)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버스웨이 시스템에 삽입형 전원 출력 유닛(4)을 장착함에 있어서, 스프링 손잡이(5)를 내측으로 누른 후 버스웨이 본체(3)의 개방부를 통하여 끼움결합시키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7)에 의해 지지되는 접점 단자(6)가 나동선(1)에 접하게 되어 삽입형 전원 출력 유닛(4)측으로 전력을 분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개시된 버스웨이 시스템은 스프링(7)의 힘에 의해 접점 단자(6)가 나동선(1)에 접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바, 장기간 사용시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또는 이물질이 접점 위치에 쌓이게 될 경우, 접점 단자(6)가 나동선(1)으로부터 이탈되어 접촉불량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들어 대부분의 부하측 장치(예컨대, 컴퓨터, 계측기, 가공설비 등)가 전원의 공급 뿐만 아니라 메인 컴퓨터 등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단자도 필요로 하고 있는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단지 전력을 분기시키는 구조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통신선으로부터 통신단자를 분기시키는 구조를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나사와 동도체를 이용하여 면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분기시킴으로써 종래에 스프링 등을 이용한 점접촉 방식에 의해 야기되었던 접촉불량 등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분배 뿐만 아니라 통신 단자를 버스웨이 어느 곳에서든지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버스웨이 시스템이 단순히 전원 분배 내지 분기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 및 사무실내의 천정 벽등에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이후에도 버스웨이 라인의 위치 변경 및 확장 등 버스웨이 시스템 구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고, 해체 및 이동 설치가 간편하고, 보관후 재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버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측면에 형상의 수용부재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형상의 수용부재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버스웨이 하우징,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그 내부에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버스바가 길이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게 2 선로 이상 구비되어 있는 절연체,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양단에 체결되는 엔드커버를 포함하는 버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T 자형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버스웨이 하우징을 행거에 용이하게 설치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커버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력을 상기 버스바로 인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개방부에 플러그인 장착되는 파워잭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워잭 유닛은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동도체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파워잭 유닛 본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파워잭 유닛 커버,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접지판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동도체는 삽입시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파워잭 유닛 본체를 버스웨이 하우징에 플러그인 장착함에 있어서 고정나사가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의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동도체의 관통공을 관통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절연체에 구비된 버스바에 체결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동도체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할 경우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동도체의 말단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동도체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전원 공급라인의 말단부에 구비된 바형 연결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관통한 후 상기 동도체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도체 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바형 연결부재를 동도체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스바로부터 전력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개방부에 플러그인 장착되는 서브잭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잭 유닛은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동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서브잭 유닛 본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서브잭 유닛 커버,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접지판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동도체는 삽입시 상기 서브 잭 유닛 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서브잭 유닛 본체를 버스웨이 하우징에 플러그인 장착함에 있어서 고정나사가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의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동도체의 관통공을 관통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절연체에 구비된 버스바에 체결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동도체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할 경우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동도체의 말단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동도체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전원 분기라인의 말단부에 구비된 바형 연결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관통한 후 상기 동도체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도체 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바형 연결부재를 동도체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버스웨이 하우징의 내측 수용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통신선으로부터 통신 단자를 분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개방부에 플러그인 장착되는 통신잭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잭 유닛은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통신잭 유닛 본체와 커버, 그 내부에 실장되는 PCB 회로 기판, 상기 PCB 회로 기판에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분기 단자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 이상의 버스웨이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여 연장시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버스웨이 하우징의 요홈부에 제1 연결부재를 끼움결합하고, 버스웨이 하우징의 상측면에 제2 연결부재를 거치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볼트를 체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그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버스바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버스바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버스바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에 하측 도체 부재, 연결하고자하는 버스바 및 상측 도체 부재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고정나사가 상기 다수의 체결공으로부터 상측 도체 부재 및 버스바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최종적으로는 고정나사의 끝단이 하측 도체 부재에 체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웨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장, 사무실 등의 천장에 설치되는 버스웨이 하우징내에 절연체에 의해 감싸진 버스바를 구비시킴으로써, 파워잭 유닛(200)을 통하여 버스바에 전원을 공급하고, 버스웨이 어느 곳에서든지 서브잭 유닛(300)을 통하여 전원을 분기시키고, 나아가 통신잭 유닛(400)을 통하여 통신선 단자도 분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원공급선(201)을 통하여 인가된 전력은 파워잭 유닛(200)에 의해 버스바로 전달되고, 그 전달된 전력은 서브잭 유닛(300)에 의해 전력분기선(301)으로 분배된다.
버스웨이 본체
도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웨이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웨이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2a 및 도2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 설치 및 시공시에는 공장 또는 사무실 등의 천장에 개방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2b를 참조하면, 버스웨이 하우징(110)은 일측면에 형상의 수용부재가 2개 구비되어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형상의 수용부재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수용공간(118)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110)은 견고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함로써 변형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접지(ground)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8)에는 절연체(120)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한다. 여기서, 절연체(12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버스바(122)로부터 전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PVC 등의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체(120)에 삽입되는 버스바(122)는 전력전달매체로서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동(Cu)도체를 이용하여 각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a 및 도2b에서는 절연체(120)에 버스바(122)가 2선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지만, 절연체(120)에 구비되는 버스바(122)의 선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설치 장소 및 필요한 전원에 따라 선로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버스웨이 시스템에 의하면 3상4선(380V, 220V 분리 사용), 3상3선(380V, 220V 선택 사용), 단상2선(220V 2회로 사용) 등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122)를 절연체(120)에 삽입하여 장착함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유닛이 외측으로부터 체결되어 상기 버스바(122)에 직접 면접촉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도2b를 참조하면, 버스바(122)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절연체(120)를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8)에 삽입하여 장착한 다음, 절연체(120)의 단부에 엔드캡(130)을 끼움 결합하여 고전류가 흐르는 버스바(122)가 외부로 노출되어 감전 등의 전기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도2a 및 2b를 참조하면, 버스웨이 하우징(110)의 단부에는 엔드커버(140)가 장착된다. 엔드커버(140)를 버스웨이 하우징(110)의 단부에 부착시킨 다음, 볼트(142)가 엔드커버(140)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부(144)를 관통하여 2개의 형상의 수용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나사산(112)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도2b를 참조하면, 버스웨이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플라스틱 커버(150)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 커버(150)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체결돌기(152)가 구비되어 있어, 버스웨이 하우징(110)에 삽입하여 체결할 경우 상기 형상의 수용부재 사이에 형성된 나사산(112)에 끼움결합된다. 즉, 상기 플라스틱 커버(150)의 체결돌기(152)에 형성된 나사산이 버스웨이 하우징(110)의 나사산(112)과 맞물려 체결되므로, 체결후 외부적인 힘이 가해져도 플라스틱 커버(150)가 이탈되지 않는다.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의 수용부재에서 굴절 부위(114, 116)의 너비는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라스틱 커버(150)의 내측면에도 상기 굴절 부위(114, 116)의 너비와 대응되는 지점에 돌출부(156 154)를 구비하여, 플라스틱 커버(150) 삽입시 돌출부(156, 154)가 굴절 부위(114, 116)의 내측 일면과 접하여 플라스틱 커버(150)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커버(150)가 버스웨이 하우징(110)에 상하 역적된 상태로 삽입될 경우, 상기 돌출부(156, 154)가 정확하게 굴절 부위(114, 116)에 접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작업자는 플라스틱 커버(150)의 삽입 방향이 바뀌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버스웨이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T 자형 체결부재가 구비되는데, 상기 형상의 수용부재와 T 자형 체결부재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나사산(1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을 행거 등에 볼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고정시킬 수 있다.
파워잭 유닛의 구조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결합된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잭 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잭 유닛(200)은 버스웨이 하우징 본체(100)의 개방부에 플러그인 장착되어 버스바(122)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닛이다. 파워잭 유닛(200)은 파워잭 유닛 본체(210), 파워잭 유닛 커버(230), 파워잭 유닛용 전선 홀더(226), 및 접지 역할을 하는 접지판(228)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210)는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동도체(25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잭 유닛 본체(21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224)이 형성되고,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210)의 삽입공(212)에 삽입되는 동도체(250)는 삽입시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2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22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252)이 형성된다.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210)를 버스웨이 본체(100)에 체결함에 있어서, 고정나사(225)는 파워잭 유닛 본체(210)의 삽입공(212)에 삽입된 동도체(250)와 절연체(120)에 감싸여 있는 버스바(122)를 상호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나사(225)는 파워잭 유닛 본체(210)의 체결공(224)으로부터 동도체(250)에 형성된 관통공(252)을 관통한 후, 절연체의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버스바(122)에 견고하게 체결되고, 그 결과 동도체(250)와 버스바(122)는 전기도체인 고정나사(225)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상호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파워잭 유닛 커버(230)는 외부에서 파워잭 유닛 내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파워잭 유닛 커버(230)의 일측에는 파워잭 유닛 커버(230)가 파워잭 유닛 본체(210)에 체결될 경우, 외부로부터 파워잭 유닛 내측으로 유입되는 전원공급선(201)이 배치될 수 있도록 요입부(232)가 형성된다. 파워잭 유닛용 전선 홀더(226)는 파워잭 유닛 본체(210)의 일측면에 배치된 전선 홀더 지지부(214)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파워잭 유닛에 인입되는 전원공급선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3c를 참조하여 전원공급선(240)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이 파워잭 유닛(200)에 의해 어떻게 버스바(122)에 전달하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공급선(240)은 볼트 등에 의해 접지판(228)에 체결되는 접지 공급라인과 다수의 전원 공급라인(24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원 공급라인은 그 말단에 바형 연결부재(244)가 구비된다. 바형 연결부재(244)는 다수의 체결공(224)에 인접하게 형성된 관통공(222)에 관통되게 삽입된다. 동도체(250)에는 삽입공(212) 삽입시 상기 관통공(222)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254)가 형성되고, 동도체(250)의 말단면에는 상기 결합공(254)과 연통되도록 동도체 체결공(25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2)을 통하여 관통된 바형 연결부재(244)는 동도체(250)의 결합공(254)에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도체 체결공(253)에 볼트(223)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바형 연결부재(244)를 동도체(250)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전원공급선(240)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바형 연결부재(244)(및 볼트(223))에 의해 동도체(250)로 전달된다. 고정나사(225)는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잭 유닛 본체(210)의 체결공(224)으로부터 상기 동도체(250)를 삽입공(212)에 삽입할 경우 상기 체결공(2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252)을 관통한 후, 버스웨이 본체(100)의 버스바(122)에 직접 체결된다. 따라서, 동도체(250)로 전달된 전력은 고정나사(225)를 매체로 하여 버스웨이 본체(100) 내측에 설치된 버스바(122)로 전달된다. 도3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동도체(250)를 도시하였으나, 버스웨이 본체(100)에 내장된 버스바 선로수 또는 필요한 전원에 따라 파워잭 유닛 본체(210)의 삽입공(212)에 삽입되는 동도체(250)의 개수 및 전원공급선(24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급라인(242)의 개수도 달라질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잭 유닛 본체(2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체결요홈(218, 220)의 너비는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버스웨이 하우징의 형상의 수용부재에서 서로 상이한 너비를 가지는 굴절 부위(114, 116)에 각각 대응하게 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잭 유닛(200)이 역방향으로 체결될 경우, 안전사고 내지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상호 대응하는 체결부위의 너비를 상이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파워잭 유닛(200)을 버스웨이 본체(100)에 정확하게 정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서브잭 유닛의 구조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결합된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잭 유닛(300)은 버스웨이 본체(100)의 버스바(122)로부터 전력을 분기시키는 유닛으로서, 서브잭 유닛 본체(310), 서브잭 유닛 커버(330), 서브잭 유닛용 전선 홀더(326), 및 접지 역할을 하는 접지판(328)으로 구성된다.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310)는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동도체(35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잭 유닛 본체(31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324)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310)의 삽입공(312)에 삽입되는 동도체(350)는 삽입시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3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32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352)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310)를 버스웨이 본체(100)에 체결함에 있어서, 고정나사(325)는 서브잭 유닛 본체(310)의 삽입공(312)에 삽입된 동도체(350)와 절연체(120)에 감싸여 있는 버스바(122)를 상호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나사(325)는 동도체(350)에 형성된 관통공(352)을 관통한 후, 절연체(120)의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버스바(122)에 견고하게 체결되고, 그 결과 동도체(350)와 버스바(122)는 전기도체인 고정나사(325)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상호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서브잭 유닛 커버(330)는 외부에서 파워잭 유닛 내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서브잭 유닛 커버(330)의 일측에는 서브잭 유닛 커버(330)가 서브잭 유닛 본체(310)에 체결될 경우, 파워잭 유닛 내측으로부터 분기되는 전원분기선(301)이 배치될 수 있도록 요입부(332)가 형성된다. 서브잭 유닛용 전선 홀더(326)는 서브잭 유닛 본체(310)의 일측면에 배치된 전선 홀더 지지부(314)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서브잭 유닛으로부터 분기되는 전원분기선을 지지 내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4a를 참조하여 서브잭 유닛(300)이 버스바(122)를 흐르는 전력을 어떻게 분기시키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분기선(340)은 볼트 등에 의해 접지판(328)에 체결되는 접지 공급라인과 다수의 전원 분기라인(34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원 공급라인(342)은 그 말단에 바형 연결부재(344)가 구비된다. 바형 연결부재(344)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324)에 인접하게 형성된 관통공(322)에 관통되게 삽입된다. 동도체(350)에는 삽입공(312) 삽입시 상기 관통공(322)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354)이 형성되고, 동도체(350)의 말단면에는 상기 결합공(354)과 연통되도록 동도체 체결공(35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22)을 통하여 관통된 바형 연결부재(344)는 동도체(350)의 결합공(354)에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도체 체결공(353)에 볼트(323)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바형 연결부재(344)를 동도체(350)에 고정시킨다. 고정나사(325)는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잭 유닛 본체(310)의 체결공(324)으로부터 상기 동도체(350)를 삽입공(312)에 삽입할 경우 상기 체결공(3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352)을 관통한 후, 버스웨이 본체(100)의 버스바(122)에 직접 체결된다. 따라서, 버스바(122)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력은 고정나사(325)를 매체로 하여 버스웨이 본체(100)의 삽입공(312)에 삽입된 동도체(350)로 전달된다. 그 다음, 동도체(350)로 전달된 전력은 그 동도체(350)에 고정되는 바형 연결부재(344)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전원 분기라인선(343)으로 분기된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잭 유닛 본체(3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체결요홈(318, 320)의 너비는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버스웨이 하우징의 형상의 수용부재에서 서로 상이한 너비를 가지는 굴절 부위(114, 116)에 각각 대응하게 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통신잭 유닛의 구조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결합된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5a 및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잭 유닛(400)은 버스웨이 하우징을 따라 구비되는 통신선으로부터 통신단자를 분기시키는 유닛으로서,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통신잭 유닛 본체(410)와 커버(420), 그 내부에 실장되는 PCB 회로기판(416), 상기 PCB 회로기판(416)에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단자(412a, 412b)와 적어도 하나의 분기단자(414)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웨이 시스템의 버스웨이 하우징에는 버스바와 같은 전력배전용 도체뿐만 아니라 통신선이 포설될 수 있다. 버스웨이 본체의 수용공간내에 포설된 통신선은 수용공간에 끼움결합되는 통신선 클립(418)에 의해 정리 및 정돈된다. 다만, 상기와 같이 통신선을 전원선에 인접하게 설치할 경우,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강한 전자기장이 인접한 통신선에 써지(surge) 등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웨이 하우징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역 형상의 격벽이 전원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부하측 장치가 전원과 별도로 통신 단자를 요할 경우, 상기 버스웨이에 포설된 통신선으로부터 통신단자를 분기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통신잭 유닛(400)을 버스웨이 본체(100)에 장착하고, 그 통신선을 PCB 회로기판(416)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단자(412a, 412b)에 각각 점프 연결하면, PCB 회로기판(416)의 타측에 구비된 분기단자(414)로 통신 단자를 분기시킨다. 도5a에서는 2개의 분기단자(414)를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단자를 분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신잭 유닛(400)에 의해 작업자는 통신선으로부터 자유자재로 통신단자를 분기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도 전원과 함께 통신단자를 간단하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버스웨이 하우징 연결판 버스바 연결판의 구조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공간에 버스웨이 시스템을 설치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버스웨이 하우징 및 그 속에 삽입된 버스바를 상호 연결하여 연장해야 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하기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버스웨이 하우징과 버스바를 연결부재(500, 510) 및 버스바 연결판(530)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하, 도6a 및 도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웨이 하우징을 상호 연결시키는 방식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웨이 하우징의 T형 체결부재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에 끼움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500)를 매개로 하여, 버스웨이 하우징(110)을 상호 연결한다. 그 다음, 버스웨이 하우징의 상측면에 제2 연결부재(510)을 거치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500, 510)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502, 512)를 통하여 볼트(522)를 견고하게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 공간에 따라 버스웨이 하우징(110)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를 상호 연결시키는 방식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 연결판(530)을 이용하여 버스바(120)를 연장 내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버스바 연결판(53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버스바(12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534)이 형성되고, 양측 말단부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절연체 지지부(538)가 구비된다. 버스바 연결판(530)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532)이 형성된다. 버스바 연결판(530)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버스바(122)를 상호 연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동(Cu) 등과 같이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재질로 제조된 하측 도체 부재(540)를 상기 삽입공(534)에 삽입한다. 그 다음, 상기 삽입공(534)에 삽입된 하측 도체 부재(540) 상에 버스바(122)를 버스바 연결판(530)의 양단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삽입공(534)의 나머지 공간에 상측 도체 부재(550)를 끼움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상측 도체 부재(550)는 삽입공(532) 삽입시 상기 체결공(532)에 대응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5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나사(536)를 상기 버스바 연결판(53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공(532)으로부터 상기 상측 도체 부재(550)의 대응 관통공(552)을 관통하도록 체결하고, 나아가 그 고정나사(536)의 끝단이 버스바(122)까지도 관통하여 최종적으로는 하측 도체 부재(540)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그 결과, 버스바(122)가 버스바 연결판(530)의 삽입공(534)내에서 상기 하측 도체 부재(540), 상측 도체 부재(550) 및 고정나사(536)에 의해 연결된다. 부재번호 538은 절연체 지지부(538)를 나타내며, 이는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버스바(122) 연결시 절연체(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버스바(122)를 상호 체결한 후에는 연결판 커버(560)를 버스바 연결판(530)의 상측에 씌워줌으로써 버스바 연결판(530)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외부로부터 버스바 연결판(530)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버스웨이 시스템의 구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고,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웨이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고정나사가 동도체를 관통한 후 버스바에 직접 면접촉되어 전력을 분기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에 스프링 등을 이용한 점접촉 방식시에 야기되었던 접촉불량 등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였다.
둘째, 버스웨이 본체에 파워잭 유닛를 체결시켜 버스바에 전력을 인가하고 버스웨이의 어느 위치든지 서브잭 유닛을 체결시켜 버스바로부터 전력을 분기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력 배전 및 분배 설비 외관이 매우 미려할 뿐만 아니라, 전선 노출, 절연상태 불량 등으로 인한 전기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였고, 나아가 전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선의 방치 및 전선 조각들로 인해 작업 여건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세째, 전력 분배 뿐만 아니라 통신 단자를 버스웨이 어느 곳에서든지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버스웨이 시스템에서 단순히 전원 분배 내지 분기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한계를 극복하였고, 그 결과 버스웨이 시스템내에 통신선로 및 알람선로 등을 함께 내장시킬 수 있어, 전력 분기 뿐만 아니라 통신선로 및 알람선로 까지도 자유자재로 원하는 위치에서 분기시킬 수 있다.
네째, 파워잭 유닛에 의해 버스웨이 시스템내의 버스바에 3상4선, 3상3선 또는 단상 전원을 분리 공급가능함으로써, 서브잭 유닛을 이용하여 1개의 버스웨이로부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각기 다른 전원을 분기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섯째, 공장 및 사무실내의 천정 벽등에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이후에도 버스웨이 라인의 위치 변경 및 확장 등 버스웨이 시스템 구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고, 해체 및 이동 설치가 간편하고, 보관후 재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버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웨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웨이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웨이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결합된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잭 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결합된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잭 유닛이 버스웨이 본체에 결합된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웨이 하우징을 상호 연결시키는 방식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를 상호 연결시키는 방식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7은 종래의 기술 구성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버스웨이 본체 110:버스웨이 하우징
120:절연체 122:버스바
130:엔드캡 140:엔드커버
150:플라스틱 커버 200:파워잭 유닛
300:서브잭 유닛 400:통신잭 유닛
500:제1 연결부재 510:제2 연결부재
530:버스바 연결판

Claims (11)

  1. 일측면에 형상의 수용부재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형상의 수용부재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버스웨이 하우징;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그 내부에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버스바가 길이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게 2 선로 이상 구비되어 있는 절연체; 및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양단에 체결되는 엔드커버;
    를 포함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T 자형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버스웨이 하우징을 행거에 용이하게 설치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을 상기 버스바로 인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개방부에 플러그인 장착되는 파워잭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워잭 유닛은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동도체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파워잭 유닛 본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파워잭 유닛 커버,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접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동도체는 삽입시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파워잭 유닛 본체를 버스웨이 하우징에 플러그인 장착함에 있어서 고정나사가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의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동도체의 관통공을 관통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절연체에 구비된 버스바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동도체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할 경우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동도체의 말단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동도체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전원 공급라인의 말단부에 구비된 바형 연결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관통한 후 상기 동도체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도체 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바형 연결부재를 동도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로부터 전력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개방부에 플러그인 장착되는 서브잭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잭 유닛은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동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서브잭 유닛 본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서브잭 유닛 커버,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접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동도체는 삽입시 상기 서브 잭 유닛 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서브잭 유닛 본체를 버스웨이 하우징에 플러그인 장착함에 있어서 고정나사가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의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동도체의 관통공을 관통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절연체에 구비된 버스바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잭 유닛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동도체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할 경우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동도체의 말단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동도체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전원 분기라인의 말단부에 구비된 바형 연결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관통한 후 상기 동도체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도체 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바형 연결부재를 동도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버스웨이 하우징의 내측 수용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통신선으로부터 통신 단자를 분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개방부에 플러그인 장착되는 통신잭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잭 유닛은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통신잭 유닛 본체와 커버, 그 내부에 실장되는 PCB 회로 기판, 상기 PCB 회로 기판에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분기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버스웨이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여 연장시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버스웨이 하우징의 요홈부에 제1 연결부재를 끼움결합하고, 버스웨이 하우징의 상측면에 제2 연결부재를 거치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웨이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그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버스바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버스바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버스바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에 하측 도체 부재, 연결하고자하는 버스바 및 상측 도체 부재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고정나사가 상기 다수의 체결공으로부터 상측 도체 부재 및 버스바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최종적으로는 고정나사의 끝단이 하측 도체 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시스템.
KR1020050110463A 2005-11-17 2005-11-17 버스웨이 시스템 KR20050123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63A KR20050123064A (ko) 2005-11-17 2005-11-17 버스웨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63A KR20050123064A (ko) 2005-11-17 2005-11-17 버스웨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601U Division KR200412122Y1 (ko) 2005-11-17 2005-11-17 버스웨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064A true KR20050123064A (ko) 2005-12-29

Family

ID=3729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463A KR20050123064A (ko) 2005-11-17 2005-11-17 버스웨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30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69B1 (ko) * 2008-12-12 2009-12-21 (주)대성에스이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
US10461483B2 (en) 2017-11-04 2019-10-29 Architectural busSTRUT Corporation Strut end condition, end block, and connector
KR20220055128A (ko) * 2020-10-26 2022-05-03 윤덕칠 부스덕트를 이용한 전기차 저속 충전기의 배선 구조
KR102476593B1 (ko) * 2021-11-02 2022-12-12 김산홍 전기자동차 충전용 버스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69B1 (ko) * 2008-12-12 2009-12-21 (주)대성에스이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
US10461483B2 (en) 2017-11-04 2019-10-29 Architectural busSTRUT Corporation Strut end condition, end block, and connector
US10770850B2 (en) 2017-11-04 2020-09-08 Architectural busSTRUT Corporation Strut end condition, end block, and connector
KR20220055128A (ko) * 2020-10-26 2022-05-03 윤덕칠 부스덕트를 이용한 전기차 저속 충전기의 배선 구조
KR102476593B1 (ko) * 2021-11-02 2022-12-12 김산홍 전기자동차 충전용 버스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0038B2 (en) Modular terminal and modular terminal block
RU2561710C2 (ru) Систем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RU2398322C1 (ru) Система шин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US7753739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RU2012122362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масштабирования
US10524377B2 (en) Power distribution unit with interior busbars
US9425603B2 (en) Bus plug apparatus using multiple interconnected enclosures
JP2005522849A (ja) 照明装置の機械的および電気的接続のための連結器
WO2011099801A2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DE69926273D1 (de) Verbindungsvorrichtung für zwei rinnenförmige Leitungen für elektrische Kabelinstallationen
HUP9900686A2 (hu) Bővíthető funkcionális fővezeték egység kisfeszültségű villamos kapcsolómezőhöz
KR20050123064A (ko) 버스웨이 시스템
KR20080003842U (ko) 배전반
JP2006238562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KR200412122Y1 (ko) 버스웨이 시스템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US7837498B2 (en) Wire distributed 5th jaw system for multi-position metering
KR20050121650A (ko)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US5627724A (en) Combination service entrance device with provisions for distributing power to multiple service disconnects
US4557541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cables to printed circuit boards
KR20090081903A (ko) 수평 분기형 버스바 및 이를 구비한 버스덕트
CN209748146U (zh) 一种轨道式小母线配电设备
EP2693576B1 (en) Electric power base and electric power gateway
PL179204B1 (pl) Urzadzenie do przylaczania elektrycznych urzadzen instalacyjnych P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