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769B1 -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769B1
KR100932769B1 KR1020090023234A KR20090023234A KR100932769B1 KR 100932769 B1 KR100932769 B1 KR 100932769B1 KR 1020090023234 A KR1020090023234 A KR 1020090023234A KR 20090023234 A KR20090023234 A KR 20090023234A KR 100932769 B1 KR100932769 B1 KR 100932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busba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univer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대
Original Assignee
(주)대성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에스이 filed Critical (주)대성에스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2Linking several PL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의해 제어정보를 수집하고,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고려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전송하는 제1 피엘씨(PLC)보드와,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제1 PLC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제1 PLC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제1 범용 부스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이적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운반기 및; 상기 운반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기와 상기 운반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운반기는 상기 부스바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부스바를 통해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와,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운반기를 제어하며, 상기 운반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 피엘씨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PLC보드와 제1 범용 부스바 통신부간의 통신방식과 제2 PLC보드와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간의 통신방식은 직렬통신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23234
범용 부스바 통신장치, 이적, 하역, 부스바, 트로리바, 통신, RS485

Description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NIVERSAL BUS-BAR}
본 발명은 범용부스바(Bus bar)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범용의 부스바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용부스바 통신장치는 이적 및 하역 작업 등과 같이 물품을 무인화 상태에서 자동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 것으로, 무인운반차(AGV: Automotrice Grande Vitesse), 전기 모노레일 시스템(EMS: Electrical Monorail System), 자동창고(무인창고) 시스템 등에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면, 무인운반차(AGV)는 컨트롤러에 의해 자체의 구동력으로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운반 컨베이어와 레일 방식의 대차와는 달리 자유로운 궤도 설정이 가능하고, 목적에 맞는 이재 장치를 쉽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주변기기와의 연결 및 시스템의 확장시 수정이 용이하다.
전자 모노레일 시스템은 운반자동화를 위해 운반작업을 할 수 있도록 운반장 치의 동선이 되는 영역에 레일을 설치하여 레일을 따라 자동화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창고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좁은 공간에 많은 보관물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보관하는 것으로, 여기에 운반자동화를 위한 장치, 관리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 등의 자동화기기를 연계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이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종래의 범용부스바 통신장치는 제어기(지상제어반)와 운반기로 이루어져, 작업과 작업 동선을 고려하여 제작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물품을 하역 및 이적한다.
제어기는 운반기를 제어하여 전반적인 물품의 이적 및 하역 작업등과 같은 운반작업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지상제어반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
운반기는 제어기로부터 제어명령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여 물품의 운반동작을 수행한다. 즉 운반기는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지령에 따라 기 작성된 프로그래밍된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운반기는 전차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
여기서, 제어기와 운반기는 상호 통신 케이블 등과 같은 통신라인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슬레이브 운반기의 구동전원은 통신 케이블과는 별도로 작업 동선을 고려하여 천정 혹은 바닥면에 형성되는 레일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운반기가 위치한 근접 영역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 라인은 직선보다는 대체적으로 코일형상을 갖는다.
전술한 슬레이브 운반기는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지령을 수신하고, 슬레이 브 운반기의 상태정보를 마스터 제어기로 전송하는 통신보드와, 통신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지령에 대응하여 프로그래밍된 운반기의 동작을 제어(Processing)하며, 통신보드로 슬레이브 운반기의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보드를 구비하여,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지령에 따라 운반기를 동작시켜 물품을 운반한다.
그러나, 종래 범용부스바 통신장치의 전원라인은 천정 혹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운반기가 위치한 근접 영역으로 이동해서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빈번한 이동으로 전원라인의 꺾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단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일 형상이외의 전원라인인 경우에도 전원라인이 이동하여 운반기에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환경이므로, 전원 라인의 단선이 발생한다.
한편, 통신보드가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PLC 보드로 전송하면, PLC 보드에 의해 램프, 모터, led 등의 출력 기기가 제어된다. 또한 PLC 보드가 운반기의 상태정보를 통신보드로 전송하여 통신보드가 제어기측으로 운반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제어기는 운반기의 상태를 인식하여 그에 따라 제어신호를 운반기로 전송한다.
그러나, 제어기와 운반기간의 통신 수행시, 일정 전압의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외부작업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노이즈가 발생하여 운반기가 오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기가 운반기의 정확한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기와 운반기 내부의 통신보드와 PLC 보드간의 통신라인은 1대의 운 반기를 제어하기 위해 통신보드에서 PLC 보드측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위해 16개의 접점과, PLC 보드에서 통신보드측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위해 16개의 접점이 필요하여 총 32개의 접점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범용부스바 통신장치는 통신보드와 PLC 보드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32개의 통신라인을 이용하여 구성해야 하므로, 복잡한 구성과 데이터 통신 처리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범용의 부스바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범용 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범용의 부스바를 이용한 통신방식에 의해 물품의 이적 및 하역에 관련된 운반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범용 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범용의 부스바를 이용한 통신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확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범용 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범용의 부스바를 이용하여 범용 부스바 통신장치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범용 부스바 통신부간에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범용 부스바 통신장치 및 그 제어 및 통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범용부스바 통신장치의 제어기와 운반기 내부의 부스바 통신부와 PLC 보드간의 데이터 통신 라인을 최소화하며, 통신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범용부스바 통신장치는,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의해 제어정보를 수집하고,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고려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전송하는 제1 피엘씨(PLC)보드와,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제1 PLC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제1 PLC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제1 범용 부스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제1 PLC보드는 상기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따라 상기 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제1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직렬통신방식에 의거하여 상기 수집된 제어정보를 상기 제1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범용 부스바 통신부는 상기 제1 PLC보드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부스바로 송신하고, 상기 부스바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를 상기 제1 송수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이적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운반기 및;
상기 운반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기와 상기 운반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운반기는 상기 부스바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부스바를 통해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와,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운반기를 제어하며, 상기 운반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 PLC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PLC보드와 제1 범용 부스바 통신부간의 통신방식과 제2 PLC보드와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간의 통신방식은 직렬통신방식인 것으로,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는 상기 부스바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부스바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제2 송수신부; 상기 직렬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제2 PLC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PLC보드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부; 및 상기 제2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를 상기 제3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2 PCL보드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송수신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PLC보드는 상기 직렬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 전송하는 제4 통신부; 및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따라 상기 제4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제4 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렬통신방식은, RS485, RS232C, RS423 및 RS422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범용부스바 통신장치를 통한 특정 작업에 의해 순간적으로 외부 고전압 발생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한 범용부스바 통신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방식을 적용하여 범용부스바 통신장치의 제어기와 운반기 내부의 통신보드와 PLC 보드간의 데이터 통신 라인을 최소화하며, 통신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방식을 적용하여 범용 부스바 통신부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부스바를 이용함과 동시에 통신방식을 적용하여 함으로써, 통신속도와 통신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은 이적 및 하역 작업 등과 같이 물품을 무인화 상태에서 자동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기와 운반기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제어기와 운반기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한다. 이때 제어기와 운반기간의 통신은 제어기와 운반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스바 혹은 트로리 바(Trolley-bar)에 의해 가능하며, 제어기와 운반기의 각각의 내부에는 PLC보드와 범용 부스바 통신부가 구비되어, 내부적으로도 PLC 보드와 범용 부스바 통신부간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안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통신방식은 RS485, RS232C, RS423 및 RS422 방식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재되지 않은 통신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이러한 통신방식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피엘씨(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산업 플랜트의 자동 제어 및 감시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상태정보는 운반기에 대한 위치정보, 완료정보 및 운반기의 현재상태정보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부스바 통신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범용부스바 통신장치(100)의 제어기(10)는 작업자의 동작요청시, 지령에 해당하는 제어정보를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부스바(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운반기(20)는 부스바(3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해당하는 동작으로 이적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부스바(30)는 전원라인과 송수신라인 및 접지라인으로 구성되어, 전원라인에 연결된 운반기(20)측으로 AC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송수신 라인과 접지 라인을 통해 제어기(10)와 운반기(20)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운반기(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부스바에 접촉되는 운반기(20)의 각 라인을 집전자(collector)를 이용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기(10)와 운반기(2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부스바 통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마스터(MASTER)는 제어기(10)를 의미하는 바로 사용하였으며, 슬레이브(SLAVE)는 운반기(20)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였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MASTER) PLC(11)와 마스터 보드(MASTER BOARD)(13)는 제어기(10)에 구비되고,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21)와 슬레이브(SLAVE) PLC(23)는 운반기(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범용부스바 통신장치(100)의 동작을 통신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마스터 PLC(11)는 작업자의 제어요청시, 수집되는 각종 제어정보(INPUT, OUTPUT, CALCULATION)를 RS485(또는 RS232C)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마스터 보드(13)로 전송한다. 그러면 마스터 보드(13)의 제어부(MICROCONTROLLER UNIT: MCU)는 RS485 방식을 통해 마스터 PLC(11)로부터 수신한 제어정보를 증폭회로(AC AMPLIFIER CIRCUIT)를 이용하여 소정레벨로 증폭한 후 부스바(30)를 통해 슬레이브 보드(21)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슬레이브 보드(21)는 부스바(3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중에 노이즈가 삽입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노이즈를 필터링한 후 증폭회로(AC AMPLIFIER CIRCUIT)를 이용하여 미약한 제어정보의 레벨을 소정 증폭한다.
이러한 슬레이브 보드(21)의 동작은 슬레이브 보드(21)에 구비된 제어부(MICROCONTROLLER UNIT: MCU)를 통해서 가능하다.
제어부는 RS485(또는 RS232C) IC를 통해 슬레이브 PLC(23)와의 RS485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슬레이브 PLC(23)로 전송하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슬레이브 PLC(23)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처리한다.
이에, 운반기(20)는 이적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운반기(20)는 운반기(20)에 대한 상태정보를 RS485의 통신방식과 부스터(30)를 이용하여 마스터 PLC(11)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태정보를 마스터 PLC(11)로 전송하는 과정은 앞서 기술한 운반기(20)를 제어하기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지 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있어, 제어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10)는 PLC보드(11)와, 범용 부스바 통신부(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PLC보드(11)는 작업자의 키조작에 의해 운반기(20)의 제어를 요청하는 경우, 제어정보(INPUT, OUTPUT, CALCULATION)를 수집하여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정보를 범용 부스바 통신부(13)로 전송한다. 여기서 PLC보드(11)는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따라 제어정보를 수집하여 통신부(11b)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11a)와, 데이터 처리부(11a)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방식에 의해 수신된 제어정보를 범용 부스바 통신부(13)로 전송하고, 범용 부스바 통신부(13)로부터 운반기(2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11a)로 전송하는 통신부(11b)를 구비한다.
범용 부스바 통신부(13)는 PLC보드(11)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제어정보를 통신방식에 의해 부스바(30)를 통해 운반기(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범용 부스바 통신부(13)는 PLC 보드(11)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3a)와, 제어정보를 부스바(30)로 송신하고, 부스바(30)로부터 운반기(2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13b)와, 통신부(13)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를 송수신부(13b)로 전송하고, 송수신부(13b)로부터 수신된 운반기(20)의 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제어정보를 부스바(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기(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0)는 제어정보와 상태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자동화 운반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어, 운반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반기(20)는 범용 부스바 통신부(21)와, PLC보드(23)와 전원부(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범용 부스바 통신부(21)는 부스바(3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통신방식에 의해 전송한다. 또한 범용 부스바 통신부(21)는 PCL보드(23)으로부터 운반기(20)의 상태정보수신하여 부스바(30)로 전송한다. 그러면 부스바(30)는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제어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범용 부스바 통신부(21)는 부스바(3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부스바(30)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송수신부(21a)와, 통신방식에 의해 제어정보를 PLC보드(21)로 전송하고, PLC보드(21)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21b)와, 송수신부(21a)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를 통신부(21b)로 전송하고, PCL보드(23)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송수신부(21a)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c)를 포함한다.
PLC보드(23)는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따라 범용 부스바 통신부(2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처리하여 운반기(20)를 제어한다. 또한 PLC보드(23)는 운반기(20)의 상태정보를 범용 부스바 통신부(21)로 전송한다. 여기서 PLC보드(23)는 통신방식에 의해 범용 부스바 통신부(21)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집한 상태정보를 범용 부스바 통신부(21)로 전송하는 통신부(23a)와,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 에 따라 통신부(23a)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처리하고, 수집한 상태정보를 통신부(23a)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23b)를 포함한다.
전원부(25)는 부스바(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운반기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부스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범용부스바 통신장치(100)는 작업자로부터 운반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된다(S501).
이후, 제어기(10)는 동작요청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503).
판단결과 동작요청이 수신되면, 제어기(10)는 동작 요청에 따른 지령의 제어정보를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부스바(30)로 전송한다(S505). 이에 부스바(30)는 제어기(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통신방식에 의해 운반기(20)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운반기(20)는 제어정보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한다(S511).
판단결과,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운반기(20)는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S513).
이후, 필터링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제어정보를 증폭한 후,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운반기(20) 내부의 PLC보드(23)로 전송한다(S515).
이에 PLC보드(23)는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따라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처리하여 운반기(20)를 제어한다(S517).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범용 부스바 통신방법은, 도면을 첨부하지는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부스바를 이용하여 상호통신하는 제1,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를 구비한 범용 부스바 통신 장치의 통신방법으로서, 범용 부스바 통신부(13)가 범용 부스바 통신부(21)를 구비한 유닛(예컨대: 운반기)을 제어하고자 지령의 제어정보를 부스바(30)로 전송하고, 범용 부스바 통신부(21)가 부스바(30)와의 통신방식에 의해 부스바(3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범용 부스바 통신부(21)가 제어정보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유닛의 상태정보를 부스바(30)로 전송하고, 범용 부스바 통신부(13)가 부스바(30)로부터 상태정보 수신시, 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범용 부스바 통신부(21)로 제어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부스바(3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부스바 통신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부스바 통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있어, 제어기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도 1에 있어, 운반기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부스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Claims (11)

  1.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의해 제어정보를 수집하고,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고려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전송하는 제1 피엘씨(PLC)보드와,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제1 PLC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제1 PLC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제1 범용 부스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제1 PLC보드는 상기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따라 상기 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제1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직렬통신방식에 의거하여 상기 수집된 제어정보를 상기 제1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범용 부스바 통신부는 상기 제1 PLC보드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부스바로 송신하고, 상기 부스바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를 상기 제1 송수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이적 및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운반기 및;
    상기 운반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기와 상기 운반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운반기는 상기 부스바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부스바를 통해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와,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운반기를 제어하며, 상기 운반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 PLC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PLC보드와 제1 범용 부스바 통신부간의 통신방식과 제2 PLC보드와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간의 통신방식은 직렬통신방식인 것으로,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는 상기 부스바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부스바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제2 송수신부; 상기 직렬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제2 PLC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PLC보드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부; 및 상기 제2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를 상기 제3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2 PCL보드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송수신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PLC보드는 상기 직렬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제2 범용 부스바 통신부로 전송하는 제4 통신부; 및 기 프로그래밍된 동작에 따라 상기 제4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제4 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부스바 통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통신방식은,
    RS485, RS232C, RS423 및 RS422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부스바 통신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023234A 2008-12-12 2009-03-18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 KR100932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832 2008-12-12
KR20080126832 2008-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769B1 true KR100932769B1 (ko) 2009-12-21

Family

ID=4168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234A KR100932769B1 (ko) 2008-12-12 2009-03-18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9082A (zh) * 2018-02-01 2018-12-25 贺桂和 一种基于热特性图像的图像采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643A (ko) * 2001-02-21 2002-08-28 주식회사 효진콘텍 원격 제어에 의한 자동 창고 설비의 동작 방법 및 그 자동창고 설비 시스템
KR20050123064A (ko) * 2005-11-17 2005-12-29 원춘석 버스웨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643A (ko) * 2001-02-21 2002-08-28 주식회사 효진콘텍 원격 제어에 의한 자동 창고 설비의 동작 방법 및 그 자동창고 설비 시스템
KR20050123064A (ko) * 2005-11-17 2005-12-29 원춘석 버스웨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9082A (zh) * 2018-02-01 2018-12-25 贺桂和 一种基于热特性图像的图像采集系统
CN109089082B (zh) * 2018-02-01 2020-09-29 湖南人文科技学院 一种基于热特性图像的图像采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0934C (zh) 轨道式输送机控制装置
US7398850B2 (en) Transport apparatus
KR101527686B1 (ko) 자동 반송 시스템용 데이터 전송 시스템
CN104737270A (zh) 通信装置和通信设备及通信系统
CN103848343B (zh) 一种面向有道岔变换的搬运系统天车运动控制方法
CN102722169A (zh) 基于双车同轨的rgv小车智能控制装置
EP2581327A1 (en)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in conveyance system
CN204475939U (zh) 仓储式机械式停车设备控制系统
KR100932769B1 (ko) 범용부스바 통신장치 및 방법
KR20160121646A (ko) 자동 반송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03197676A (zh) 可对单一站点实行多功能设置的agv控制方法
CN108349650B (zh) 输送系统
JP2004280646A (ja) 無人搬送車の運用システム、運用管理コンピュータ及び運用制御方法
CN201285512Y (zh) 在集散控制自行小车中的光传输装置
CN103309330B (zh) 煤矿地面生产自动化控制系统
JP6137311B2 (ja) 走行車システム、および、走行車システムの省電力方法
CN202694122U (zh) 基于双车同轨的rgv小车智能控制装置
EP3144761B1 (en) Device that assists worker who collects waste material from plurality of production devices
JP2003273785A (ja) 施設内通信方法及び施設内通信装置
CN206479800U (zh) 轨道小车传输系统通讯与控制装置
CN213122680U (zh) 一种用于桥梁施工的底模移动台控制系统
CN203552058U (zh) 应用can总线设计的agv
CN113964915B (zh) 多作业部轨道机器人协同工作的控制方法
KR20200035108A (ko)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JP2002182743A (ja) Idリーダーを搭載した搬送車システム及びid情報相違時の復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