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218Y1 -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 Google Patents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218Y1
KR200419218Y1 KR2020060008251U KR20060008251U KR200419218Y1 KR 200419218 Y1 KR200419218 Y1 KR 200419218Y1 KR 2020060008251 U KR2020060008251 U KR 2020060008251U KR 20060008251 U KR20060008251 U KR 20060008251U KR 200419218 Y1 KR200419218 Y1 KR 200419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type contact
contact terminal
unit
t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팍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팍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팍스디자인
Priority to KR2020060008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2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멀티탭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은 제1형 접촉 단자, 제2형 접촉 단자를 4면에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을 구비한다. 제1형 접촉 단자는 내부 배선과 연결된다. 제2형 접촉 단자는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 중 제2멀티탭 유닛의 제1형 접촉 단자가 제1멀티탭 유닛의 제2형 접촉 단자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2형 접촉 단자가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된다.

Description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멀티탭{Multi-tap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upling part of the multi-tap unit}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이 구비하는 멀티탭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에 멀티탭 유닛이 결합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에서 멀티탭 유닛들이 여러 방향으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이 구비하는 멀티탭 유닛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4의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멀티탭 유닛이 덮개부를 구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멀티탭 유닛이 접촉 단자 홀과 단자 연결부를 구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컴퓨터 등의 전기 제품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많은 수의 전기 플러그를 한꺼번에 꽂을 수 있는 멀티탭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다.
일반적인 멀티탭에서는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멀티탭 유닛은 다른 멀티탭 유닛과 서로 결합되는 부분뿐만 아니라, 결합되지 않는 부분에서도, 멀티탭 유닛의 외부와 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멀티탭 유닛에서는, 다른 멀티탭 유닛과 결합되지 않는 부분에서도, 멀티탭 유닛의 외부에서 멀티탭 유닛의 내부 배선에 접근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멀티탭 유닛에 철사 등의 도전체를 접속시키면, 감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멀티탭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은 제1형 접촉 단자, 제2형 접촉 단자를 4면에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을 구비한다. 제1형 접촉 단자는 내부 배선과 연결된다. 제2형 접촉 단자는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 중 제2멀티탭 유닛의 제1형 접촉 단자가 제1멀티탭 유닛의 제2형 접촉 단자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2형 접촉 단자가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된다.
상기 멀티탭 유닛들은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제3형 접촉 단자를 각각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3형 접촉 단자는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2형 접촉 단자와 서로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은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형 접촉 단자를 2개의 면에 구비하고,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2형 접촉 단자를 나머지 2개의 면에 구비하는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 중 제1멀티탭 유닛과 제2멀티탭 유닛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1멀티탭 유닛의 제1형 접촉 단자가 제2멀티탭 유닛의 제2형 접촉 단자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2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2형 접촉 단자가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내부 배선과 연결된다.
상기 멀티탭 유닛들이 구비하는 제1형 접촉 단자들은 상기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고, 상기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이 구비하는 멀티탭 유닛의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유닛(100)은 외부의 4면 중 2면에는 결합돌부를 구비하고, 다른 2면에는 결합홈을 구비한다. 멀티탭 유닛(100)의 결합돌부가 다른 멀티탭 유닛의 결합홈과 결합됨으로써, 멀티탭 유닛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 유닛(100)은 4면에 모두 결합돌부 또는 결합홈을 구비한다. 그럼으로써, 여러 멀티탭 유닛들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모두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에 멀티탭 유닛이 결합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탭 유닛(100B)의 결합돌부와 멀티탭 유닛(100A)의 결합홈이 서로 결합된다. 그럼으로써, 멀티탭 유닛(100A)과 멀티탭 유닛(100B)은 세로 방향으로 결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200)은 여러개의 멀티탭 유닛들(100A, 100B, 100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에서 멀티탭 유닛들이 여러 방향으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멀티탭 유닛들이 가로 방향으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멀티탭 유닛들이 세로 방향으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c) 및 도 3(d)는 멀티탭 유닛들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모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본 고안의 멀티탭이 구비하는 멀티탭 유닛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 회로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멀티탭이 구비하는 멀티탭 유닛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 회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유닛(100A)은 제1형 접촉 단자(511, 513, 515, 517) 및 제2형 접촉 단자(512, 514, 516, 518)를 4면에 각각 구비한다. 제1형 접촉 단자(511, 513, 515, 517)는 내부 배선과 연결된다. 제2형 접촉 단자(512, 514, 516, 518)는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는다.
멀티탭 유닛들(100A, 100B)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2형 접촉 단자(514)가 제2멀티탭 유닛(100B)의 제1형 접촉 단자(537)와 결합된다. 그에 따라,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2형 접촉 단자(514)는 제1멀티탭 유닛(100A)의 내부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좀 더 설명하면, 멀티탭 유닛들(100A, 100B)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2멀티탭 유닛(100B)의 제1형 접촉단자(537)가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2형 접촉 단자(514)를 밀어낸다. 그에 따라,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2형 접촉 단자(514)는 제 1멀티탭 유닛(100A)의 내부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1형 접촉 단자(513)가 제2멀티탭 유닛(100B)의 제2형 접촉 단자(538)를 밀어냄으로써, 제2멀티탭 유닛(100B)의 제2형 접촉 단자(538)가 제2멀티탭 유닛(100B)의 내부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유닛(100A1)은 적어도 하나의 제1형 접촉 단자(413, 414, 417, 418)를 2개의 면에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형 접촉 단자(411, 412, 417, 418)를 나머지 2개의 면에 구비한다. 제1형 접촉 단자(413, 414, 417, 418)는 내부 배선과 연결된다. 제2형 접촉 단자(411, 412, 417, 418)는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는다.
멀티탭 유닛들(100A1, 100B1)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1멀티탭 유닛(100A1)의 제1형 접촉단자(413, 414)가 제2멀티탭 유닛(100B1)의 제2형 접촉 단자(438, 437)를 밀어낸다. 그에 따라, 제2멀티탭 유닛(100B1)의 제2형 접촉 단자(438, 437)는 제2멀티탭 유닛(100B1)의 내부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멀티탭 유닛(100A1, 100B1)이 구비하는 제1형 접촉 단자들(413, 414, 417, 418, 433, 434, 435, 436)은, 멀티탭 유닛들(100A1, 100B1)이 서로 결합하지 않는 경우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고 멀티탭 유닛들(100A1, 100B1)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 내부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a)는 도 4(a)의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4(a)의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멀티탭 유닛들(100A, 100B)은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제3형 접촉 단자를 각각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3형 접촉 단자(554)만이 도시되어 있다.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 도 5(a)를 참조하면, 제2멀티탭 유닛(100B)의 제1형 접촉단자(537),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2형 접촉단자(514) 및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3형 접촉단자(554)는 서로 결합되지 않는다.
반면에,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도 5(b)를 참조하면, 제2멀티탭 유닛(100B)의 제1형 접촉단자(537)가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2형 접촉 단자(514)를 밀어낸다. 그에 따라, 제2멀티탭 유닛(100B)의 제1형 접촉단자(537)는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2형 접촉 단자(514)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2형 접촉 단자(514)는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3형 접촉 단자(554)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1멀티탭 유닛(100A)의 제2형 접촉 단자(514)는 제1멀티탭 유닛(100B)의 내부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형 접촉 단자들(537, 514, 554)은 내부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1멀티탭 유닛(100A)과 제2멀티탭 유닛(100B)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형 접촉 단자(537), 제2형 접촉 단자(514) 및 제3형 접촉 단자(554)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접촉 단자들(537, 514, 554)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접촉 단자들(537, 514, 554)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단자들(537, 514, 554)이 내부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b)의 멀티탭 유닛들(100A1, 100B1)도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제3형 접촉 단자를 각각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형 접촉 단자에 관한 동작은 앞서 설명된 도 4(a)의 멀티탭 유닛들(100A, 100B)에 관한 동작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와 결합되는 경우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600)의 멀티탭 유닛(100A~100C)이 덮개부(611, 615, 631, 635)를 구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600)은 덮개부들(611, 615, 631, 635)을 구비하는 멀티탭 유닛들(100A, 100B, 100C)을 구비한다.
각각의 멀티탭 유닛(100A, 100B, 100C)은 결합돌부(651)과 결합홈(657, 677)을 각각 둘러싸는 덮개부들(611, 615, 631, 635)을 구비한다. 덮개부들(611, 615)은 결합되지 않는 결합돌부(651) 또는 결합홈(657)을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결합되는 결합돌부 또는 결합홈(677)은 덮개부로 둘러싸이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결합되지 않는 결합돌부(651) 또는 결합홈(657)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에 따라, 결합되지 않는 결합돌부(651) 또는 결합홈(657)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부들(611, 615, 631, 635)은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결합되지 않는 결합돌부(651) 또는 결합홈(657)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700)의 멀티탭 유닛 (100A~100C)이 접촉 단자 홀(731, 732)과 단자 연결부(730)를 구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멀티탭 유닛(100B1)은 제1형 접촉 단자(431, 432)를 구비하는 면에 접촉 단자 홀(731, 732)을 구비한다. 다른 멀티탭 유닛과 서로 결합하지 않는 면에 구비되는 제1형 접촉 단자(431, 432)는 대응되는 접촉 단자 홀(731, 732)에 넣어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제1형 접촉 단자(431, 432)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그에 따라 결합되지 않는 제1형 접촉 단자(431, 432)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다른 멀티탭 유닛과 서로 결합하지 않는 면에 구비되는 제1형 접촉 단자(411, 412)는 접촉 단자 홀에 넣어지지 않은 상태로, 다른 멀티탭 유닛의 제2형 접촉 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제1형 접촉 단자(431, 432)는 접촉 단자 홀(731, 732)에 넣어지는 경우,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결합되지 않는 제1형 접촉 단자(431, 432)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멀티탭 유닛(100A1, 100B1)은 단자 연결부(710, 7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단자 연결부(710, 730)는 멀티탭 유닛(100A1, 100B1)의 외부 면에 위치하고, 제1형 접촉 단자(411, 412, 431, 432)를 표면에 구비한다.
멀티탭 유닛(100B1)이 다른 멀티탭 유닛과 서로 결합하지 않는 경우, 단자 연결부(730)는 도 7에 도시된 형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멀티탭 유닛(100A1)이 다른 멀티탭 유닛과 서로 결합하는 경우, 단자 연결부(710)는 도 7에서처럼 90도만큼 눕혀진다. 그에 따라, 단자 연결부(710)가 구비하는 제1형 접촉 단자(411, 412)는 접촉 단자 홀에 넣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은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멀티탭 유닛들의 결합되지 않는 부분에서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제1형 접촉 단자; 및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는 제2형 접촉 단자를 4면에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 중 제1멀티탭 유닛과 제2멀티탭 유닛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2멀티탭 유닛의 제1형 접촉 단자가 제1멀티탭 유닛의 제2형 접촉 단자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2형 접촉 단자가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멀티탭 유닛은,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제3형 접촉 단자를 각각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 중 제1멀티탭 유닛과 제2멀티탭 유닛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3형 접촉 단자는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2형 접촉 단자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 중 제1멀티탭 유닛과 제2멀티탭 유닛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제1형 접촉 단자가 제2멀티탭 유닛의 제2형 접촉 단자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2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2형 접촉 단자가 상기 제2멀티 탭 유닛의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 접촉 단자, 상기 제2형 접촉 단자 및 상기 제3형 접촉 단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멀티탭 유닛은,
    외부의 4면 중 2면에는 결합돌부를 구비하고, 다른 2면에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멀티탭 유닛들 중 하나의 멀티탭 유닛의 결합돌부가 다른 멀티탭 유닛의 결합홈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멀티탭 유닛은,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홈을 각각 둘러싸는 덮개부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서로 결합되지 않는 상기 결합돌부 또는 상기 결합홈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들은,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9.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형 접촉 단자를 2개의 면에 구비하고,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2형 접촉 단자를 나머지 2개의 면에 구비하는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 중 제1멀티탭 유닛과 제2멀티탭 유닛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1멀티탭 유닛의 제1형 접촉 단자가 제2멀티탭 유닛의 제2형 접촉 단자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2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2형 접촉 단자가 상기 제1멀티탭 유닛의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 유닛들은,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제3형 접촉 단자를 각각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멀티탭 유닛들 중 제1멀티탭 유닛과 제2멀티탭 유닛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3형 접촉 단자는 상기 제2멀티탭 유닛의 상기 제2형 접촉 단자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 유닛들이 구비하는 제1형 접촉 단자들은,
    상기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고, 상기 멀티탭 유닛들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멀티탭 유닛은,
    상기 제1형 접촉 단자를 구비하는 면에, 상기 제1형 접촉 단자에 대응되는 접촉 단자 홀을 더 구비하고,
    다른 멀티탭 유닛과 서로 결합하지 않는 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1형 접촉 단자는, 대응되는 접촉 단자 홀에 넣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 접촉 단자는,
    상기 접촉 단자 홀에 넣어지는 경우 상기 내부 배선과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멀티탭 유닛은,
    상기 멀티탭 유닛의 외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형 접촉 단자를 표면에 구비하는 단자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자 연결부는, 상기 제1형 접촉 단자를 상기 접촉 단자 홀에 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KR2020060008251U 2006-03-28 2006-03-28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KR200419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51U KR200419218Y1 (ko) 2006-03-28 2006-03-28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51U KR200419218Y1 (ko) 2006-03-28 2006-03-28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218Y1 true KR200419218Y1 (ko) 2006-06-19

Family

ID=4176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251U KR200419218Y1 (ko) 2006-03-28 2006-03-28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2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04B1 (ko) * 2010-07-14 2012-03-12 주식회사 세코 멀티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04B1 (ko) * 2010-07-14 2012-03-12 주식회사 세코 멀티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6194C1 (ru) Адаптер и система штепсель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8062076B2 (en) Terminal block having a connector
KR20000007090U (ko) 커넥터어셈블리
TWM481528U (zh) 轉接器
CN102377035A (zh) 电连接器以及电路板组件
CN101626127A (zh) 带有短路模块及模块锁紧功能的连接器
US7614919B2 (en) Bussing connector
US5662483A (en) Surge voltage preventing D-sub connector
US7329131B1 (en)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CN101803119A (zh) 反向共面电连接器
KR200419218Y1 (ko)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CN205646372U (zh) 电连接器组件
CN110391563A (zh) 电互连系统
KR200419219Y1 (ko) 전기 플러그가 꽂히지 않은 경우에 콘센트의 내부와 외부가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콘센트를 구비하는 멀티탭
CN203166210U (zh) 防水连接器及控制装置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CN108511999B (zh) 一种英标插头
CN206211160U (zh) 插头电连接器、插座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CN205355425U (zh) 高效防电磁干扰可正反插接式连接器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KR100863201B1 (ko) 개량형 유에스비 젠더
DE60210978D1 (de) Steckverbinder für eine mehrzahl von anschlussbuchsen für koaxialkabel
CN218602783U (zh) 插座
CN218101962U (zh) 一种新型插座模组
KR200432943Y1 (ko) 버스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