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504B1 -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504B1
KR101118504B1 KR1020100067716A KR20100067716A KR101118504B1 KR 101118504 B1 KR101118504 B1 KR 101118504B1 KR 1020100067716 A KR1020100067716 A KR 1020100067716A KR 20100067716 A KR20100067716 A KR 20100067716A KR 101118504 B1 KR101118504 B1 KR 10111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oupling
outlets
plu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135A (ko
Inventor
황우현
황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
동양미래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 동양미래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
Priority to KR102010006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5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를 시계/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특히, 플러그(P)의 플러그단자(PD)를 꽂기 위한 플러그홀(PH)을 가지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멀티콘센트(1a, 1b)에 있어서, 멀티콘센트(1a, 1b)의 하부에 구비되어 멀티콘센트(1a, 1b)를 지지하는 밑판(10); 밑판(10)의 일측과 결합하며 플러그홀(PH)을 갖는 축(20); 축(20)의 외주면 양측에 구비되어 전극을 형성하는 플러그전극(25); 축(20)이 관통하는 관통공(31)을 중심부에 형성하는 원판(30); 원판(30)의 일측에 결합하는 결합부재(40); 결합부재(40)의 일측에 구비되어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는 제1접촉단자(41); 밑판(10)과 상접하며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홈(51)을 갖으며, 축(20)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중공인 원통 형상의 회전부재(50); 회전부재(50)의 일측에 결합부재(40)가 결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결합홀(53); 결합홀(53)과 인접하는 회전부재(50)의 일측에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어 결합부재(40)와 결합하는 제2접촉단자(55); 회전부재(50)와 상접하여 축(20)을 지지하며 회전이 가능한 회전스위치(60); 및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콘센트(1a, 1b)를 제어하는 제어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 콘센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멀티 콘센트 {Multi concent}
본 발명은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콘센트를 시계/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간의 활용을 높이고,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한 멀티 콘센트의 온/오프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콘센트는 전기/전자 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구를 다수 구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전자/전기 기기를 동시에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멀티 콘센트는 다수의 접속구가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대체로 기다란 바의 형상을 취한다.
이러한 기다란 형상의 멀티 콘센트의 경우, 접속구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멀티 콘센트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공간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한 채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또한 공간의 활용을 높일 수 없다. 예컨대 기다란 멀티 콘센트는 통행하는 사람들의 발에 차일 수도 있으며, 청소시에도 불필요하게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그 취급상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멀티 콘센트의 접속구에 플러그가 모두 접속되어 사용되지 않고 그 중 일부의 접속구에만 플러그가 접속되어 미사용 접속구가 다수 남게 되어 멀티 콘센트의 긴 길이로 인한 취급상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대부분의 전기/전자 기기에 연결되는 플러그는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플러그를 한쪽 플러그 홀에 꽂아도 다른쪽 플러그 홀을 간섭하지 않지만, 부피가 큰 어댑터를 꽂을 경우 어댑터가 다른쪽 플러그 홀을 간섭하여 다른쪽 어댑터 홀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왔다.
그리고, 멀티 콘센트의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어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를 구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멀티 콘센트의 회전이 가능하고,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 콘센트의 개발을 요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멀티 콘센트를 시계/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멀티 콘센트의 결합시에도 멀티 콘센트를 시계/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의 외형을 원형으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쥘 수 있게 하고, 사용 공간을 극대화 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멀티 콘센트를 버튼식으로 구현하여 멀티 콘센트간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멀티 콘센트를 온/오프 할 수 있는 회전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P)의 플러그단자(PD)를 꽂기 위한 플러그홀(PH)을 가지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멀티콘센트(1a, 1b)에 있어서, 멀티콘센트(1a, 1b)의 하부에 구비되어 멀티콘센트(1a, 1b)를 지지하는 밑판(10); 밑판(10)의 일측과 결합하며 플러그홀(PH)을 갖는 축(20); 축(20)의 외주면 양측에 구비되어 전극을 형성하는 플러그전극(25); 축(20)이 관통하는 관통공(31)을 중심부에 형성하는 원판(30); 원판(30)의 일측에 결합하는 결합부재(40); 결합부재(40)의 일측에 구비되어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는 제1접촉단자(41); 밑판(10)과 상접하며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홈(51)을 갖으며, 축(20)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는 중공인 원통 형상의 회전부재(50); 회전부재(50)의 일측에 결합부재(40)가 결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결합홀(53); 결합홀(53)과 인접하는 회전부재(50)의 일측에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어 결합부재(40)와 결합하는 제2접촉단자(55); 회전부재(50)와 상접하여 축(20)을 지지하며 회전이 가능한 회전스위치(60); 및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콘센트(1a, 1b)를 제어하는 제어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스위치(60)의 양측에 결합하고, 회전스위치(60)의 회전에 따라 플러그단자(PD) 및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어 멀티콘센트(1a, 1b)의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하는 접점핀(6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점핀(61)은 회전스위치(60)의 둘레방향으로 90도의 각도로 이격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밑판(10)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홈(11)에 안착 되어 결합부재(40)의 결합을 분리하는 푸시버튼(70); 및 푸시버튼(70) 및 밑판(10)에 결합하여 결합부재(40)와 결합하는 고정핀(9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푸시버튼(70)의 일측에는 고정핀(90)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91); 및 밑판(10)의 일측에는 고정핀(90)을 지지하는 제2지지대(9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핀(90)과 제1지지대(91) 및 고정핀(90)과 제2지지대(93)의 결합은 힌지결합(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푸시버튼(70)의 내측에 형성된 홈(71)에 안착 되어 푸시버튼(70)의 누름 발생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80)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재(40)의 일측에는 고정핀(9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4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재(50)의 회전에 따라 밑판(10) 및 푸시버튼(70)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20)의 내측에 삽입되어 멀티콘센트(1a, 1b)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멀티콘센트(1a, 1b)를 보호하기 위해 전류를 차단하는 퓨즈(200); 퓨즈(20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21); 및 퓨즈(200)의 삽입홀(21)을 막기 위한 덮개(2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20)은 상부면에 플러그홀(PH)을 구비하고, 원판(30)과 결합하는 위치에 단턱(2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판(30)은 멀티콘센트(1a, 1b)가 서로 결합한 경우 원판(30)이 회전하여 멀티콘센트(1b)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며, 축(20)을 중심부에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기(100)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멀티콘센트(1a, 1b)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120);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부(130); 타이머부(130)의 시간설정 또는 전류측정부(120)의 측정값 또는 무선신호의 데이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멀티콘센트(1a, 1b)를 온/오프 하는 제어부(140); 제어부(140)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50); 및 멀티콘센트(1a, 1b)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온/오프 하는 릴레이부(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지그비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 콘센트에 의하면 멀티 콘센트를 시계/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멀티 콘센트의 결합시에도 멀티 콘센트를 시계/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 콘센트의 외형을 원형으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쥘 수 있게 하고, 사용 공간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 콘센트를 버튼식으로 구현하여 멀티 콘센트간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멀티 콘센트를 온/오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콘센트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회전반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회전반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콘센터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콘센트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멀티콘센트(1a)는 제어기(100)가 있는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의 멀티콘센트(1b)는 제어기(100)가 없는 멀티콘센트(1b)의 사시도이다. 이 경우 제어기(100)가 없는 멀티콘센트(1b)는 제어기(100)가 있는 멀티콘센트(1a)에 복수개로 결합하여 멀티 콘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멀티콘센트(1b)는 제어기(100)가 있는 멀티콘센트(1a)와 그 구성에 있어서 제어기(100)의 유무에 차이만 있으므로 이하 멀티콘센트(1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 콘센트는 대략 밑판(10), 축(20), 플러그전극(25), 원판(30), 결합부재(40), 제1접촉단자(41), 회전부재(50), 결합홀(53), 제2접촉단자(55), 회전스위치(60), 및 제어기(100)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접점핀(61), 푸시버튼(70), 탄성부재(80), 고정핀(90), 및 퓨즈(200)를 더 부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 콘센트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밑판(10)은 멀티콘센트(1a)의 하부에 구비되어 멀티콘센트(1a)를 지지한다. 멀티콘센트(1a)는 플라스틱 등의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밑판(10)의 내측에는 후술할 푸시버튼(70)이 안착 되도록 안착홈(11)이 있으며, 밑판(10)의 상부면 일측에는 후술할 고정핀(90)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대(9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20)은 전술한 밑판(10)의 하부면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푸시버튼(70)과 결합하는 경우에는 푸시버튼(70)의 홈(71)에 구비되는 탄성부재(80)와 대향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축(20)의 상부면에는 플러그홀(PH)이 양측에 있으며, 축(20)이 원판(30)과 결합하는 위치에는 단턱(27)을 형성하고 있으며, 축(20)의 양 측면에는 전극을 형성하는 플러그전극(2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축(20)의 내측에는 후술할 퓨즈(20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21)이 있으며, 삽입홀(210)을 막기 위한 덮개(23)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판(30)은 전술한 축(20)이 관통하도록 관통공(31)을 중심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원판(30)은 멀티콘센트(1a, 1b)가 서로 결합한 경우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멀티콘센트(1b)의 각도를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40)는 원판(30)의 일측에 결합하여 복수의 멀티콘센트(1b)가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부재이다. 이때 결합부재의 일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단자(4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접촉단자(41)는 플러그전극(25)과 전력선(300)으로 연결되어 멀티콘센트(1a)의 결합부재(40)가 다른 멀티콘센트(1b)의 결합홀(53)에 결합하는 경우 전기를 전달할 수 있다. 결합부재(40)의 하부면에는 결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후술할 고정핀(90)이 결합하는 결합홈(43)이 있다. 결합부재(40)는 멀티콘센트(1a, 1b)가 서로 결합한 경우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멀티콘센트(1b)의 각도를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50)는 밑판(10)과 서로 접하여 있으며, 이때 푸시버튼(70)이 결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부재(50)의 외주면에는 원판(30) 및 회전부재(50)의 회전시 멀티콘센트(1a)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회전홈(5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50)에는 멀티콘센트(1a)의 결합부재(40)가 원판(30)과 결합하는 대향하는 위치에 다른 멀티콘센트(1b)의 결합부재(40)가 결합하기 위한 홈을 갖는 결합홀(5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콘센트(1a)의 결합홀(53)과 다른 멀티콘센트(1b)의 결합부재(40)가 결합하는 경우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제2접촉단자(55)를 결합홀(53)과 인접하는 위치에 회전부재(50)의 일측에 구비할 수 있다. 회전부재(50)의 하부면 일측에는 멀티콘센트(1a)와 제어기(100)를 연결하는 전력선(300)이 관통하며 전력선(300)을 보호하기 위한 전력선보호부(95)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스위치(60)는 축(20)을 지지하여 축(20)을 고정시키며, 둘레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스위치(60)의 양측에는 접점핀(6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스위치(60)의 회전에 따라 접점핀(61)이 회전하게 되며, 접점핀(61)은 플러그단자(PD) 및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거나 떨어지게 되어 멀티콘센트(1a)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접점핀(61)은 회전스위치(60)의 둘레방향으로 90도의 각도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회전스위치(60)의 90도 회전에 의해 멀티콘센트(1a)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또한, 접점핀(61)을 회전스위치(60)의 둘레방향으로 180도의 각도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회전스위치(60)의 180도 회전에 의해 멀티콘센트(1a)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70)은 밑판(10)의 내측에 있는 안착홈(11)에 안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콘센트(1a)의 결합홀(53)에 다른 멀티콘센트(1b)의 결합부재(40)가 결합한 경우 푸시버튼(70)을 누름으로써 쉽게 고정핀(90)을 분리할 수 있다. 푸시버튼(70)의 내측에는 푸시버튼(70)의 누름 발생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80)를 삽입할 수 있는 홈(7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70)의 상부면 일측에는 고정핀(90)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대(9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80)는 푸시버튼(70)의 누름힘 발생시 고정핀(90)을 결합부재(40)와 분리시킨 후 푸시버튼(70)을 원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핀(90)은 결합부재(40)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홈(43)에 결합하여 결합부재(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핀(90)은 밑판(10)에 부착된 제1지지대(91)와 푸시버튼(70)에 부착된 제2지지대(93)에 의해 지지되며 각각의 결합은 힌지결합(H)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00)는 전력선(300)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콘센트(1a)를 온/오프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0)는 대략 통신부(110), 전류측정부(120), 타이머부(130), 제어부(140), 메모리부(150), 및 릴레이(16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무선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지그비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류측정부(120)는 멀티콘센트(1a)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며, 일정 전류 이하인 경우에 멀티콘센트(1a)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타이머부(130)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멀티콘센트(1a)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시간을 카운트 하는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타이머부(130)의 시간설정 또는 전류측정부(120)의 측정값 또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여 멀티콘센트(1a)를 온/오프 시키는 수단이다.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EEPROM 또는 Flash ROM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통신부(110), 타이머부(130), 제어부(140)는 원칩화된 마이컴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다. 릴레이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멀티콘센트(1a)에 공급되는 220V 또는 110V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퓨즈(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20)의 내측에 삽입되어 멀티콘센트(1a)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멀티콘센트(1a)를 보호하기 위해 전류를 차단하는 수단이다.
<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멀티콘센터의 동작>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회전반경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회전반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회전형 멀티콘센트의 회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멀티콘센트(1a, 1b)가 서로 결합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푸시버튼(70)을 결합한 경우에는 회전부재(50)의 회전에 의해 결합홀(53), 푸시버튼(70), 밑판(10), 및 고정핀(90)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콘센트(1a, 1b)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원판(30)이 회전하여 결합부재(40)의 결합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푸시버튼(70)이 결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밑판(10)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멀티콘센트(1a, 1b)가 서로 결합한 경우에는 멀티콘센트(1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자체적으로 회전부재(50)의 회전에 의해 결합홀(53)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콘센트(1b)는 멀티콘센트(1a)의 결합부재(40) 및 원판(30)의 회전에 의해 멀티콘센트(1b)의 방향이 바뀔 수 있다. 그리고, 멀티콘센트(1a)는 멀티콘센트(1a)를 멀티콘센트(1b)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멀티콘센트(1b)의 결합부재(40) 및 회전부재(50)가 회전하게 되어 멀티콘센트(1a)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회전형 멀티콘센트의 전원 온/ 오프 )
멀티콘센트(1a, 1b)는 제어기(10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온/오프 될 수 있으며, 또한 회전스위치(60) 및 접점핀(61)의 회전에 의해 멀티콘센트(1a, 1b)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다.
< 변형예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제어기(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콘센트(1a, 1b)의 외부에 구비할 수도 있으며, 또는 멀티콘센트(1a, 1b)의 내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a,1b : 멀티콘센트 P : 플러그
H : 힌지결합
PH : 플러그홀 PD : 플러그단자
10 : 밑판 11 : 안착홈
20 : 축 21 : 삽입홀
23 : 덮개 25 : 플러그전극
27 : 단턱 30 : 원판
31 : 관통공 40 : 결합부재
41 : 제1접촉단자 43 : 결합홈
50 : 회전부재 51 : 회전홈
53 : 결합홀 55 : 제2접촉단자
60 : 회전스위치 61 : 접점핀
70 : 푸시버튼 71 : 홈
80 : 탄성부재 90 : 고정핀
91 : 제1지지대 93 : 제2지지대
95 : 전력선보호부 100 : 제어기
110 : 통신부 120 : 전류측정부
130 : 타이머부 140 : 제어부
150 : 메모리부 160 : 릴레이부
200 : 퓨즈 300 : 전력선

Claims (15)

  1. 플러그(P)의 플러그단자(PD)를 꽂기 위한 플러그홀(PH)을 가지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멀티콘센트(1a, 1b)에 있어서,
    상기 멀티콘센트(1a, 1b)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멀티콘센트(1a, 1b)를 지지하는 밑판(10);
    상기 밑판(10)의 일측과 결합하며 상기 플러그홀(PH)을 갖는 축(20);
    상기 축(20)의 외주면 양측에 구비되어 전극을 형성하는 플러그전극(25);
    상기 축(20)이 관통하는 관통공(31)을 중심부에 형성하는 원판(30);
    상기 원판(30)의 일측에 결합하는 결합부재(40);
    상기 결합부재(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는 제1접촉단자(41);
    상기 밑판(10)과 상접하며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홈(51)을 갖으며, 상기 축(20)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중공인 원통 형상의 회전부재(50);
    상기 회전부재(50)의 일측에 상기 결합부재(40)가 결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결합홀(53);
    상기 결합홀(53)과 인접하는 상기 회전부재(50)의 일측에 상기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어 결합부재(40)와 결합하는 제2접촉단자(55);
    상기 회전부재(50)와 상접하여 상기 축(20)을 지지하며 회전이 가능한 회전스위치(60); 및
    상기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콘센트(1a, 1b)를 제어하는 제어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위치(60)의 양측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스위치(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러그단자(PD) 및 플러그전극(25)과 연결되어 상기 멀티콘센트(1a, 1b)의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하는 접점핀(6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핀(61)은 상기 회전스위치(60)의 둘레방향으로 90도의 각도로 이격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10)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홈(11)에 안착 되어 상기 결합부재(40)의 결합을 분리하는 푸시버튼(70); 및
    상기 푸시버튼(70) 및 밑판(10)에 결합하여 상기 결합부재(40)와 결합하는 고정핀(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7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핀(90)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91); 및
    상기 밑판(1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핀(90)을 지지하는 제2지지대(9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90)과 제1지지대(91) 및 상기 고정핀(90)과 제2지지대(93)의 결합은 힌지결합(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70)의 내측에 형성된 홈(71)에 안착 되어 상기 푸시버튼(70)의 누름 발생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핀(9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밑판(10) 및 푸시버튼(70)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멀티콘센트(1a, 1b)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멀티콘센트(1a, 1b)를 보호하기 위해 전류를 차단하는 퓨즈(200);
    상기 퓨즈(20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21); 및
    상기 퓨즈(200)의 삽입홀(21)을 막기 위한 덮개(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20)은 상부면에 플러그홀(PH)을 구비하고, 상기 원판(30)과 결합하는 위치에 단턱(2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30)은 상기 멀티콘센트(1a, 1b)가 서로 결합한 경우 상기 원판(30)이 회전하여 상기 멀티콘센트(1b)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며, 상기 축(20)을 중심부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00)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상기 멀티콘센트(1a, 1b)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120);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부(130);
    상기 타이머부(130)의 시간설정 또는 전류측정부(120)의 측정값 또는 상기 무선신호의 데이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콘센트(1a, 1b)를 온/오프 하는 제어부(140);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50); 및
    상기 멀티콘센트(1a, 1b)에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온/오프 하는 릴레이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10)는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지그비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KR1020100067716A 2010-07-14 2010-07-14 멀티 콘센트 KR10111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716A KR101118504B1 (ko) 2010-07-14 2010-07-14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716A KR101118504B1 (ko) 2010-07-14 2010-07-14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35A KR20120007135A (ko) 2012-01-20
KR101118504B1 true KR101118504B1 (ko) 2012-03-12

Family

ID=4561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716A KR101118504B1 (ko) 2010-07-14 2010-07-14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88B1 (ko) * 2013-02-06 2013-08-09 주수헌 사용성이 개선된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18Y1 (ko) * 2006-03-28 2006-06-19 주식회사 팍스디자인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18Y1 (ko) * 2006-03-28 2006-06-19 주식회사 팍스디자인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35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730B1 (ko) 대기전력제어를 위한 지능형 콘센트
US7249976B1 (en) Electrical plug, receptacle and switch
US6530793B2 (en) Multipole connector assembly for low-voltage appliances
RU2008125162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электрические розетки и вилки с локальным включением и выключением питания
KR101645466B1 (ko) 회전식 멀티탭
KR101118504B1 (ko) 멀티 콘센트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KR101407104B1 (ko)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CN101615751B (zh) 一种360度旋转的电源插头
KR100664415B1 (ko) 회전식 조립 모듈 콘센트
AU2005309325B2 (en) A power supply connection apparatus
TWI458202B (zh) 轉盤式複合插座結構
DK3086418T3 (en) CENTRAL ELEMENT FOR FLAT MOUNTING FITTING UNIT IN A WALL
CN206834384U (zh) 旋转插座模块
JP3197970U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充電できるテーブルタップ
KR101282944B1 (ko) 로터리 콘센트
CN203674450U (zh) 一种带旋转式安全盖的插座
CN109659744B (zh) 一种物理加密接口
KR20080004307U (ko) 파워 스트립
CN203070961U (zh) 一种自动转换开关电器
JP3197061U (ja) 多機能の回転式ソケット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KR101658781B1 (ko) 조립식 멀티 탭
CN206697729U (zh) 旋转插座的定位结构
CN206712077U (zh) 旋转插座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