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866B1 -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866B1
KR100978866B1 KR1020100005667A KR20100005667A KR100978866B1 KR 100978866 B1 KR100978866 B1 KR 100978866B1 KR 1020100005667 A KR1020100005667 A KR 1020100005667A KR 20100005667 A KR20100005667 A KR 20100005667A KR 100978866 B1 KR100978866 B1 KR 10097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connection terminal
ben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대
Original Assignee
남호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호전기(주) filed Critical 남호전기(주)
Priority to KR102010000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를 통하여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속 및 ZCT(영상변류기)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합선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설치공간을 줄여 공간활용을 높이고, 일측에는 CT(변류기)취부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 내면을 관통하게 다수개의 동부스바를 설치하여 양측 단부에 차단기 접속단자와 터미널 접속단자가 돌출구성되게 하되, 동부스바에 설치되는 터미널 접속단자는 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와 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를 교호로 구성하여 인접하는 터미널 접속단자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공간이 구성되게 하고, 상기 터미널 접속단자 사이에는 격판을 설치하여 이들이 격리되게 하고, 상기 케이스 내면에는 ZCT(영상변류기)를 매립형으로 고정설치하고, 케이스를 관통하는 동부스바는 체결볼트를 통하여 케이스와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CONNECTING DEVICE OF CIRCUIT BREAKER AND ELECTRIC WIRE TERMINAL}
본 발명은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을 연결하기 위한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합장치와 연결되는 전선터미널이 단차를 두고 지그재그로 연결되게 함과 동시에 격판을 통하여 격리되게 함으로서, 인접한 전선터미널끼리 접촉하여 발생하는 합선사고를 방지케 함은 물론, 결합장치 내에 ZCT(영상변류기)를 일체형으로 매립설치하여 취부의 안정성과 편의성 및 공간활용성을 증진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 내에는 전로를 수동 혹은 자동으로 개폐하여 기기를 보호하는 다수개의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기를 통하여 1차측에 구성된 동부스바의 접속단자에 외부전선이 연결되고, 다시 2차측에 구성된 동부스바의 접속단자에 내부전선의 터미널이 연결된다.
이때 차단기에 구성된 다수개의 동부스바는 동일선 상으로 나란히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동부스바의 접속단자에 구성되는 접속홀이 단일로 구성되어 있어, 전선의 강한 힘에 버티는 지지력이 취약하여 인접하는 전선터미널끼리 간섭하여 합선사고의 발생우려가 높을 뿐 아니라, 동부스바에 설치되는 ZCT의 경우에도 설치가 불편할 뿐 아니라,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며, 특히 사용설치중 ZCT고정용 볼트가 이완되어 동부스바와 접촉하게 되면 합선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높은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를 통하여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속 및 ZCT(영상변류기)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합선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설치공간을 줄여 공간활용을 높이고, 일측에는 CT(변류기)취부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 내면을 관통하게 다수개의 동부스바를 설치하여 양측 단부에 차단기 접속단자와 터미널 접속단자가 돌출구성되게 하되, 동부스바에 구성되는 터미널 접속단자는 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와 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를 교호로 구성하여 인접하는 터미널 접속단자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공간이 구성되게 하고, 상기 터미널 접속단자 사이에는 격판을 설치하여 이들이 격리되게 하고, 상기 케이스 내면에는 ZCT(영상변류기)를 매립형으로 고정설치하고, 케이스를 관통하는 동부스바는 체결볼트를 통하여 케이스와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을 연결하기 위한 결합장치를 구성하되, 특히 결합장치와 연결되는 전선터미널이 단차를 두고 지그재그로 연결되게 함과 동시에 격판을 통하여 격리되게 함으로서 인접한 전선터미널끼리 접촉하여 발생하는 합선사고를 방지케 함은 물론, 결합장치 내에 ZCT(영상변류기)를 일체형으로 매립설치하여 취부의 안정성과 편의성 및 공간활용성을 증진케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 결합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 장치의 일부분해상태 단면도
도 5 : 본 발명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결합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요부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결합장치(10)는 절연 및 난연재질로 케이스(20)를 성형하되, 케이스(20) 내면 양측에는 케이스 깊이의 1/2정도의 두께로 절연수지층(30)을 구성하여, 그 사이에 공간부(24)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절연수지층(30)에는 등간격으로 체결너트(31)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게 한다.
상기 케이스(20) 일측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1)을 나란히 뚫어 구성하되, 상기 관통공(21)은 절연수지층(30) 상면과 나란하게 위치되게 하며, 타측에도 다수개의 관통공(22)을 뚫어 구성하되, 상기 관통공(22) 중 일부는 절연수지층(30) 상면과 나란하게 위치되게 하고, 나머지는 절연수지층(30)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되게 한다.
이때 높고 낮게 위치한 관통공(22)은 교호로 구성되게 한다.
상기 케이스(20) 내면에 구성되는 공간부(24)에는 ZCT(영상변류기)(40)를 설치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케이스(20)에 구성된 각 관통공(21)(22)에 직선형 동부스바(50)와, 절곡부(51)가 형성된 절곡형 동부스바(50')를 끼워 설치하되, 상기 동부스바(50)(50')는 ZCT(40)의 중공부(41)를 관통하여 설치되게 하고, 동부스바(50)(50')에 구성된 체결공(52)이 절연수지층(30)에 구성된 체결너트(31) 상에 위치되게 한 다음 체결볼트(32)로 체결하여 동부스바(50)(50')가 케이스(20) 상에 견고히 체결고정되게 한다.
이때 일측 관통공(21)으로 돌출되는 동부스바(50)(50')에는 결속공(53)이 뚫린 차단기 접속단자(54)가 되고, 타측에 높고 낮게 뚫린 관통공(22)으로 돌출되는 동부스바(50)(50')에는 결속공(56)이 이중구성된 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55)와 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55')가 되며, 상기 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55)와 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55')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공간(L)이 구성되게 한다.
또한 각 터미널 접속단자(55)(55') 사이에는 격판(60)을 설치하여 터미널 접속단자(55)(55') 사이가 격리되게 한다.
케이스(20) 상면에는 덮개(26)를 씌운 다음 볼트(27)로 체결하여 케이스(20)와 일체형으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덮개(26)는 공간부(24)에 끼워진 ZCT(40) 상면을 가볍게 지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덮개(26)와 ZCT(4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할 경우에는 ZCT(40) 상면과 덮개(26) 사이에 별도의 지지판을 끼워 설치할 수도 있다.
결합장치(10)를 이용한 차단기(70)와 전선터미널(80)의 연결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결합장치(10)에 구성된 차단기 접속단자(54)를 차단기(70)에 구성된 연결접속단자(71)와 연결되게 하고, 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55)와 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55')에는 전선(81)이 접속된 전선터미널(80)을 위치시킨 다음 체결볼트(82)로 연결구성하되, 전선터미널(80) 사이에는 격판(60)이 위치하면서 각 전선터미널(80)끼리 격리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90)은 변류기(CT), (91)은 덮개조립용 나사공, (92)는 체결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단기(70)와 전선터미널(80)의 결합장치(10)는 종래와 같이 전선터미널(80)을 차단기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결합장치(10)에 구성된 다수개의 차단기 접속단자(54)를 차단기(70)의 연결접속단자(71)에 연결되게 하므로서, 사용중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외력에 의하여 틀어지거나 유동하지 않기 때문에 인접하는 접속단자끼리 접촉하여 발생하는 합선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결합장치(10)에 구성된 터미널 접속단자는 나란하게 구성된 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55)와, 절곡부(51)를 통하여 절곡구성된 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55')가 교호로 구성되면서, 인접하는 터미널 접속단자(55)(55')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공간(L)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터미널 접속단자(55)(55')에 전선터미널(80)을 연결하게 되면, 인접하는 전선터미널(80)이 공간(L)에 의해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며, 이때 터미널 접속단자(55)(55')와 전선터미널(80)의 접속은 두개의 결속공(56)을 통하여 접속이 되므로 사용중 전선터미널(80)의 방향이 틀어지거나 유동하지 않고 견고히 유지되므로 인접하는 전선터미널(80)끼리 접촉하여 발생하는 합선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전선터미널(80) 사이에는 격판(60)이 설치되면서 서로 격리시키게 되므로 합선사고의 위험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뿐만 아니라 결합장치(10)를 구성하는 케이스(20) 내면에 절연수지층(30)을구성하고, 그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24)에 ZCT(40)가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끼워지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동부스바 외면에 ZCT가 고정볼트를 통하여 고정설치되는 구조와 비교하면, 설치가 신속용이할 뿐 아니라 안정적인 취부 및 취부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배전반 내부의 정열이 용이하게 된다.
차단기 접속단자(54)와 터미널 접속단자(55)(55')를 구성하는 동부스바(50)(50')는 케이스(20) 내면을 관통하면서, 동부스바(50)(50')에 구성된 체결공(52)이 절연수지층(30)에 구성된 체결너트(31)에 위치되게 한 다음 체결볼트(32)로 체결되게 함으로서 동부스바(50)(50')의 체결이 견고히 유지되므로 차단기(70)와 전선터미널(80)의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CT(변류기)(90)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차단기 접속단자(54)에 CT(90)를 끼운 다음 케이스(20) 일측에 구성된 체결편(92)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체결고정할 수 있다.
(10)--결합장치 (20)--케이스
(21)--관통공 (22)--관통공
(24)--공간부 (26)--덮개
(27)--볼트 (30)--절연수지층
(31)--체결너트 (32)--체결볼트
(40)--ZCT(영상변류기) (41)--중공부
(50)(50')--동부스바 (51)--절곡부
(52)--체결공 (53)--결속공
(54)--차단기 접속단자 (55)--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
(55')--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 (56)--결속공
(60)--격판 (70)--차단기
(71)--연결접속단자 (80)--전선터미널
(81)--전선 (82)--체결볼트

Claims (3)

  1. 차단기(70)와 전선터미널(80)을 연결하기 위한 결합장치를 구성하되, 결합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20) 내에 체결너트(31)가 매립구성된 절연수지층(30)을 구성하고, 상기 절연수지층(30) 상에 동부스바를 안치하여, 동부스바에 뚫린 체결공(52)이 절연수지층(30)에 매립구성된 체결너트(31) 상에 안치되게 한 다음 볼트(32)로 체결고정되게 함으로서, 케이스(20) 일측에는 차단기 접속단자(54)가 동일선 상에 나란히 돌출구성되게 하고, 타측에는 터미널 접속단자(55)(55')가 높이가 서로 다르게 돌출구성되게 한 통상의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20) 내면에 구성되는 절연수지층(30)이 케이스(20) 내면 양측에 구성되게 함으로서, 절연수지층(30) 사이에 공간부(24)가 형성되면서, 양측에 구성된 절연수지층(30)이 서로 분리구성되게 하고, 상기 공간부(24)에는 내면에 중공부(41)가 형성된 ZCT(영상변류기)(40)를 설치하고, 케이스(20) 내면에 분리구성된 절연수지층(30) 상에 직선형 동부스바(50)와, 절곡부(51)가 형성된 절곡형 동부스바(50')를 교호로 설치되게 하되, 상기 각 동부스바(50)(50')가 ZCT(40) 내면에 구성된 중공부(41)를 관통하여 설치되게 함과 동시에, 직선형 동부스바(50)와 절곡형 동부스바(50')에 의해 케이스(30) 일측에 구성되는 차단기 접속단자(54)는 동일선 상에 위치되게 하고, 케이스(20) 타측에는 직선형 동부스바(50)에 의해 형성되는 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55)와, 절곡형 동부스바(50')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55')가 교호로 위치되게 하되, 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55)와 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55') 사이에는 격판(60)이 구성되게 하고, 상기 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55)와 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55')는 수직방향으로 공간(L)이 형성되게 하고, 케이스(20) 상면에는 덮개(36)를 씌운 다음 볼트(27)로 케이스(20)와 결합되게 하여 공간부(24)에 끼워진 ZCT(40)가 케이스(20) 내면에 결합고정되게 한 다음, 통상의 방법과 같이 케이스(20) 일측에 돌출구성된 차단기 접속단자(54)에는 차단기(70)의 연결접속단자(71)가 연결되게 하고, 타측에 지그재그로 돌출구성된 직선형 터미널 접속단자(55)와 절곡형 터미널 접속단자(55')에는 전선터미널(80)이 연결되게 하되, 격판(60)에 의해 인접한 전선터미널(80)끼리 서로 격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00005667A 2010-01-21 2010-01-21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KR10097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67A KR100978866B1 (ko) 2010-01-21 2010-01-21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67A KR100978866B1 (ko) 2010-01-21 2010-01-21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866B1 true KR100978866B1 (ko) 2010-08-30

Family

ID=4276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667A KR100978866B1 (ko) 2010-01-21 2010-01-21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86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472B1 (ko) 2010-08-19 2011-03-02 우성전기주식회사 차단기용 안전 단자대
KR101591373B1 (ko) * 2014-07-04 2016-02-04 주식회사 두리계전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KR101985401B1 (ko) 2018-12-28 2019-09-03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고정장치
CN111386632A (zh) * 2017-09-29 2020-07-07 深圳传音制造有限公司 公连接器及usb连接器
KR102272393B1 (ko) * 2021-01-14 2021-07-02 (주)설악전기 자동소화 기능과 볼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덮개
CN113484570A (zh) * 2021-07-20 2021-10-08 浙江习羽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单相电量计量装置
CN113949012A (zh) * 2021-10-14 2022-01-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导线自动隔离固定装置
EP3651295B1 (en) * 2018-11-06 2022-05-11 Tyco Electronics UK Ltd Structural improvements of low voltage underground link box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4Y1 (ko) * 2002-10-17 2003-01-10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와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
KR100869222B1 (ko) 2008-07-30 2008-11-18 고치영 배전반용 절연 부스바 다용도 단자
KR20090006691U (ko) * 2007-12-28 2009-07-02 이영수 부스바 연결용 컨넥터
KR20090006635U (ko) * 2007-12-28 2009-07-02 채석 케이블 접속 단자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4Y1 (ko) * 2002-10-17 2003-01-10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와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
KR20090006691U (ko) * 2007-12-28 2009-07-02 이영수 부스바 연결용 컨넥터
KR20090006635U (ko) * 2007-12-28 2009-07-02 채석 케이블 접속 단자대
KR100869222B1 (ko) 2008-07-30 2008-11-18 고치영 배전반용 절연 부스바 다용도 단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472B1 (ko) 2010-08-19 2011-03-02 우성전기주식회사 차단기용 안전 단자대
KR101591373B1 (ko) * 2014-07-04 2016-02-04 주식회사 두리계전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CN111386632A (zh) * 2017-09-29 2020-07-07 深圳传音制造有限公司 公连接器及usb连接器
CN111386632B (zh) * 2017-09-29 2021-02-02 深圳传音制造有限公司 公连接器及usb连接器
EP3651295B1 (en) * 2018-11-06 2022-05-11 Tyco Electronics UK Ltd Structural improvements of low voltage underground link boxes
KR101985401B1 (ko) 2018-12-28 2019-09-03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고정장치
KR102272393B1 (ko) * 2021-01-14 2021-07-02 (주)설악전기 자동소화 기능과 볼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덮개
CN113484570A (zh) * 2021-07-20 2021-10-08 浙江习羽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单相电量计量装置
CN113484570B (zh) * 2021-07-20 2024-04-09 浙江习羽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单相电量计量装置
CN113949012A (zh) * 2021-10-14 2022-01-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导线自动隔离固定装置
CN113949012B (zh) * 2021-10-14 2023-08-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导线自动隔离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866B1 (ko)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US9136083B2 (en) Enclosed bus bar fuse holder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KR101343520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0767400B1 (ko) 조립식 분전반
KR100924431B1 (ko) 기중차단기의 크레들
US8730653B2 (en) Interior assembly for a three phase load center
RU113080U1 (ru) Монтажные рейки и электр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содержащий упомянутые рейки
JP4078955B2 (ja) 分電盤用多相変流器
KR101038564B1 (ko) 수배전반 및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장치
KR100811055B1 (ko)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CN202206288U (zh) 用于总线兼容的安装设备的换流器模块及总线兼容的安装设备
KR200356550Y1 (ko) 단자형 영상 변류기
KR100883223B1 (ko) 보강된 구조를 갖는 단자대
KR101011678B1 (ko) 전기 접속장치
KR20220168016A (ko) 집합 단자대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KR101626609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US3388209A (en) Feeder bus duct having provision for power tap-off device
CN210326386U (zh) 一种汇流排
KR10205624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전자식 트립장치
KR20110041239A (ko) 영상변류기 단자 조립체
KR101582610B1 (ko)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용 메일 커넥터
CN217882635U (zh) 一种斜向电缆漏电互感器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