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055B1 -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055B1
KR100811055B1 KR1020060117510A KR20060117510A KR100811055B1 KR 100811055 B1 KR100811055 B1 KR 100811055B1 KR 1020060117510 A KR1020060117510 A KR 1020060117510A KR 20060117510 A KR20060117510 A KR 20060117510A KR 100811055 B1 KR100811055 B1 KR 10081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ooth
waterproof
bolt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윤현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Abstract

본 발명은 물기 등의 수분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부스 덕트의 외관에 적용되는 외함의 구조와 형태에 있어서 방수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전체적인 구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스 덕트(100)는 내부에 부스바(11)를 둘러싸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는 덕트부(1)와, 상기 덕트부(1)의 양단에 형성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스 덕트(100)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1)는 양단의 측면부(53)가 아래로 절곡된 단면 '┏┓' 자 형태의 상면 덕트(5)와, 상기 상면 덕트(5)의 상면부(51) 바로 아래쪽에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부스바(11), 및 상기 상면 덕트(5)의 상면부(51)와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부스바(11)를 수용하도록 상기 부스바(11)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측면부(53) 사이에 끼워지는 단면 '┏┓' 자 형태로 형성된 하면 덕트(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스 덕트에 의하면, 덕트부의 위와 측면을 이음매 없이 상면 덕트 하나로 덮을 수 있으며, 상면 덕트와 하면 덕트의 이음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측면부를 연장함으로써 홑겹의 덕트 판재로도 우수한 방수 및 방오 성능을 확보하고, 동시에 덕트 전체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부스 덕트, 상면 덕트, 하면 덕트, 방수, 방오

Description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Waterproof Type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도 1은 종래의 이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스 덕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방수형 부스 덕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스 덕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부스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 덕트의 덕트부와 접속부를 함께 도시한 부스 덕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 덕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부스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 덕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관붙이 볼트를 상세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부스 덕트 1 : 덕트부
5 : 상면 덕트 6 : 하면 덕트
7 : 보호캡 10, 20 : 암수형 접속부
11 : 부스바 51 : 상면부
53 : 측면부 61 : 하면부
85 : 볼트 87 : 너트
89 : 지지관
본 발명은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기 등의 수분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부스 덕트의 외관에 적용되는 외함의 구조와 형태를 합리화함으로써 방수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전체적인 구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배선 방식으로 전선케이블에 의한 배선 방식을 널리 채용하고 있으나, 고층 건물이나 대단위 공장 등의 배선 방식으로는 부스바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에 의한 배선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부스 덕트와 케이블은 도체와 절연체를 가지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케이블과 비교하여 볼 때, 부스 덕트는 대 량의 전류를 도체를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금속 덕트로서 도체와 절연체를 보호할 수 있고, 증설과 이설이 가능하며, 사고 발생 시 사고 처리가 용이하고, 계통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부스 덕트의 한 예로서, 도 1에 이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6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부스 덕트(600)는 덕트부(601)와, 상기 덕트부(601)의 양단에 형성된 암형접속부(610) 및 수형접속부(620)로 이루어지며, 덕트부(601)는 접속나사(5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보강나사부(609)에 의하여 보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미설명 부호 602는 상면 덕트를, 603은 하면 덕트를, 605는 측면 덕트를, 608은 상기 덕트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볼트를 각각 나타내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부스 덕트(600)는 덕트부(601) 내에 전력을 전달하는 부스바를 구비한다.
그런데 부스 덕트(600)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덕트(605)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방수성능이 좋지 않아 옥외에 설치되는 경우 빗물 등의 물기나 습기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침투로 인해 내부의 부스바(611) 등이 손상되거나 단락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에 함체(713)를 씌운 부스 덕트(700)가 제안된 바 있다. 이 부스 덕트(700)는 도시된 것처럼 덕트부(701)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도록 상면 덕트(702)와, 하면 덕트(703)와, 측면 덕트(704)를 함체(713)로 형성하여 덕트부(701) 외곽이 네 방향 모두 함체(713)에 의해 둘러싸여 옥외에 설치되더라도 함체(713)에 의해 방수 또는 방오 성능을 확보 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침수 등으로 인한 손상을 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부스 덕트(700)는 함체(713)로 인해 설비 전체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무게가 중량화됨으로써,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운반이나 설치작업이 까다로워지며, 따라서 전체적인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부스 덕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상면 덕트를 단면 '┏┓' 자 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좌우측면덕트를 생략함으로써 덕트부에 대한 방수 및 방오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덕트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부스바를 둘러싸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스 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 양측으로 측면부가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단면이 '┏┓' 자 형태로 형성되는 상면 덕트와;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 바로 아래쪽에 상기 상면부와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부스바와;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와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부스바를 수용하도록 상기 부스바의 저면으로 상기 측면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으로 측면이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단면이 '┏┓' 자 형태로 형성되는 하면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방수형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면 덕트 양단의 측면부는 하면 덕트 양단의 측면보다 길게 연장되는 방수형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면 덕트의 측면부에는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받침대가 형성되는 방수형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면 덕트의 측면부에는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받침대가 형성되는 방수형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와 하면 덕트의 상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트 체결되며, 상기 상면 덕트의 측면부는 하면 덕트의 측면과 결합하는 방수형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와 하면 덕트의 상면을 체결하는 볼트는 원통형 지지관에 삽입되는 방수형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와 하면 덕트의 상면을 체결하는 볼트는 관붙이 볼트인 방수형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면 덕트와 상기 하면 덕트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에 체결되는 볼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보호캡을 구비하고 있는 방수형 부스 덕트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내부에 부스바를 둘러싸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암형 또는 수형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수의 부스 덕트와 상기 부스 덕트 접속부에 연결되는 접속부 커버로 이루어 지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수 덕트의 덕트부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 양측으로 측면부가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단면이 '┏┓' 자 형태로 형성되는 상면 덕트와;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 바로 아래쪽에 상기 상면부와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부스바와;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와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부스바를 수용하도록 상기 부스바의 저면으로 상기 측면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으로 측면이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단면이 '┏┓' 자 형태로 형성되는 하면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 커버는 단면이 '┏┓'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부스 덕트의 접속부에 결합되는 부스 덕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스 덕트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면부호 1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부스 덕트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도체 역할을 하는 복수의 부스바(11)가 길게 연장되어 있는 덕트부(1)와, 인접한 덕트부와의 연결을 위해 덕트부(1)의 양단에 구비된 암수형 접속부(10, 20)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6에는 덕트부(1)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암형(20) 또는 수형(10) 접속부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덕트부(1)의 양단에는 동일한 형태의 동형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접속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 능하다.
여기에서, 덕트부(1)는 다시 상면 덕트(5), 하면 덕트(6), 그리고 부스바(11)로 구성되는바, 먼저 상면 덕트(5)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매가 없이 덕트부(1)의 좌우 측면까지도 둘러싸도록 좌우측 양단이 아래로 절곡되어 측면부(53)를 이루고 있는바, 전체적으로 보면 중앙의 상면부(51)와 이 상면부(51)의 좌우에서 아래로 연장된 좌우 측면부(53)로 이루어진 아래로 열린 단면 '┏┓' 자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면 덕트(5)는 도시된 것처럼 취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좌우 측면부(53)의 하단을 안쪽으로 약간 접어 받침대(54)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 상면부(51)와 측면부(53) 상단에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공(55, 56)이 관통되어 있다.
이 상면 덕트(5)와 함께 부스바(11)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면 덕트(6)는 평판 형태의 하면부(61)와, 상기 하면부(61)의 양측으로 하향 절곡 연장된 측면부(63)로 이루어져 단면 '┏┓' 자 형태로 형성되며, 이 하면부(61)는 적층된 복수의 부스바(11)를 지지하도록 좌우 측면부(53) 사이에 개재되어 부스바(11)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하면 덕트(6)는 상면부(51)와 측면부(53)에 관통된 체결공(55, 56)과 대응하도록 하면부(61)와 측면부(63)에도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공(65, 66)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 덕트(5)의 상면부(51)와 하면 덕트(6)의 하면부(61) 사이에서 상면부(51)의 저면과 하면부(6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개재되어 있는 부스바(11)는 일반적인 부스바(11)와 마찬가지로 덕트부(1)를 따라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도체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부스바(11)는 설치밀도를 높이기 위해 좌우 둘로 나뉘어 3단으로 적층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아래로 열린 단면 '┏┓' 자 형태의 상면 덕트(5)와, 상면 덕트(5)의 좌우 측면부(53) 사이에 끼워지는 하면 덕트(6)는 각각의 체결공(55, 65)과 체결공(56, 66)에 정렬된 상태로 끼워지는 볼트(85, 86)와 이 볼트(85, 86)에 결합되는 너트(87, 88)에 의해 고정되는데, 특히 볼트(85)의 경우 상면부(51)와 하면부(61) 사이에서 부스바(11)가 압착되지 않도록 하면서 너트(87)를 강하게 죌 수 있도록 볼트(85) 둘레에 원통형 지지관(89)을 삽입한다. 이때, 지지관(89)은 부스 덕트(100)가 옥외에 설치된 때 체결공(55)을 통해 유입되는 물기 등이 덕트부(1) 내부로 유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체결공(55, 56)을 통해 외부의 물기가 덕트부(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85, 86)가 체결된 위쪽에 방수 및 방오용 보호캡(7)을 씌워 볼트(85, 8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부스 덕트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부스 덕트(100)의 암수형 접속부(10, 20)에는 단면 '┏┓' 자 형태의 커버(30)를 덮어 접속부(10, 20)에 대한 방수 및 방오 성능을 확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 덕트가 도 7 및 도 8에 도면부호 200으 로 도시되어 있다. 이 부스 덕트(200)도 앞서 설명한 부스 덕트(100)와 마찬가지로 덕트부(101)와 암수형 접속부로 구성되는바, 여기에서 덕트부(101)는 다시 상면 덕트(105), 하면 덕트(106), 및 부스바(11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덕트부(101)는 덕트부(1)와 그 구성이 거의 동일하나,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아래로 열린 단면 '┏┓' 자 형태를 이루도록 중앙의 상면부(151) 좌우에서 아래로 연장된 상면 덕트(105)의 측면부(153)는 아래로 곧게 뻗어 있는 반면, 상면 덕트(105)의 아래쪽에 결합되도록 단면 '┏┓' 자 형태로 이루어진 하면 덕트(106)의 좌우 측면부(163)는 하단 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받침대(164)를 형성하고 있는 차이점을 가진다.
끝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덕트부(201)가 위아래로 길게 세워져 배열된 부스 덕트(300)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부스 덕트(300)도 마찬가지로 부스 덕트(200)와 같이 내부에 부스바(211)를 포설하도록 되어 있는 덕트부(201)가 상면 덕트(205)와 하면 덕트(206)로 구성되는바, 여기에서, 덕트부(201)는 부스바(211)를 세로로 설치하기 위해 상하면 덕트(205, 206)의 상면부(251)와 하면부(261)는 좁은 반면, 상하면부(251, 261)의 양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면부(253)는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차이를 제외하면, 덕트부(10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부스 덕트는 모두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덕트(105)의 상면부(151)와 하면 덕트(106)의 하면부(161)를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185)와 지지관(189)을 별도로 준비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관붙이 볼트(195)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들은 모두 덕트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외벽 일측에 온도 감지용 광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는바, 이를 위해 덕트부(101)와 같이 가로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하면 덕트(106)의 하면부(161) 저면에, 덕트부(201)와 같이 세로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상면 덕트(205)의 측면부(253) 외면에 각각 축선 방향으로 온도감지 광케이블 레일(109, 209)을 부착할 수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스 덕트(100)는 물기나 이물질의 침투 가능성이 높은 옥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배열되어,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세로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부스 덕트(100)의 경우 위쪽에 위치하게 되는 상면 덕트(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부(51)와 좌우 측면부(53)가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판과 판 사이에 이음매나 덧댄 곳이 없기 때문에 옥외에 설치되더라도 빗물 등 물기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판(51, 53) 사이의 틈새를 통해 덕트부(1) 안으로 유입될 염려가 없다.
또한, 상면부(51)에 이어진 좌우 측면부(53)가 하면 덕트(6)의 측면부(63) 보다 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하면 덕트(6)의 측면부(6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상면 덕트(5)의 상면부(51)로부터 측면부(53)를 따라 빗물 등이 흘러내리는 경우에도, 상면 덕트(5)의 측면부(53)과 하면 덕트(6)의 측면부(63) 연 결부를 통하여 빗물 등이 내부로 침투할 수 없는 구조로 된다.
또한, 상면 덕트(5)와 하면 덕트(6)를 체결하는 볼트(85)에 지지관(89)을 삽입하거나, 관붙이 볼트(195)를 사용함으로써 볼트(85)와 너트(87) 사이의 체결력을 지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볼트(85)와 너트(87) 체결에 의하여 상기 지지관(89)의 상부는 상면 덕트(5)의 상면부(51)와 밀착하고 지지관(89)의 하부는 하면 덕트(6)의 하면부(61)와 밀착하게 되므로 볼트(85)를 끼우기 위해 형성된 체결공(55)과 볼트(85) 사이로 침투할 수 있는 물기나 이물질이 상기 볼트(85)와 지지관(89) 사이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관(89)에 의하여 물기나 이물질이 덕트부(1) 안으로 유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 덕트(5) 외부로 노출된 볼트(85, 86) 위에 고무 등 연질의 보호캡(7)을 부착함으로써 애초에 체결공(55)을 통해 물기나 이물질이 침입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부스 덕트(200, 300)도 마찬가지로 방수 및 방오 성능에 있어서 부스 덕트(100)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부스 덕트(200)의 경우 하면 덕트(106)의 측면부(163)를 절곡하여 받침대(164)를 형성하므로 하면 덕트(106)와 상면 덕트(105)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점에서, 부스 덕트(300)의 경우에는 덕트부(201)를 설치하는 방향이 세로인 점에서 부스 덕트(100)와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수형 부스 덕트에 의하면, 덕트의 위쪽에 배치되는 상면 덕트가 단판 구조로 좌우 측면까지 덮고 있으며, 더 나아가 좌우 측면을 덮은 측면부가 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면 덕트와 하면 덕트 등 덕트부를 둘러싸는 판들이 비록 홑겹으로 되어 있더라도, 판재들 간에 이음매가 없고, 상면 덕트와 하면 덕트의 이음매는 길게 연장된 측면부에 의해 충분히 보호되고 있어 빗물이나 먼지 등의 침투가 용이한 옥외에 설치되어도 덕트부 안으로 물기나 이물질이 침투할 염려가 없다.
더욱이, 상면 덕트와 하면 덕트를 연결하는 볼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 위쪽에 보호캡을 씌우고, 볼트 둘레에 지지관을 삽입함으로써 볼트가 끼워지는 체결공을 통해서 물기나 이물질이 덕트부 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철저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방수 및 방오 성능이 증진되면서도 덕트부를 이루는 판재 들은 홑겹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부스 덕트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부스 덕트의 운반, 설치 등과 관련한 작업 효율성은 물론, 제작 단가와 관련한 경제성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내부에 부스바를 둘러싸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스 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 양측으로 측면부가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단면이 '┏┓' 자 형태로 형성되는 상면 덕트와;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 바로 아래쪽에 상기 상면부와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부스바와;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와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부스바를 수용하도록 상기 부스바의 저면으로 상기 측면부 사이에 끼워지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으로 측면이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단면이 '┏┓' 자 형태로 형성되는 하면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부스 덕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덕트 양단의 측면부는 하면 덕트 양단의 측면보다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부스 덕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덕트의 측면부에는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받침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부스 덕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덕트의 측면부에는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부스 덕트.
  5. 제3 항 또는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덕트의 하면부 저면에 온도 감지용 광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레일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부스 덕트.
  6. 제3 항 또는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덕트의 측면부 외면에 온도 감지용 광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레일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부스 덕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와 하면 덕트의 상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트 체결되며, 상기 상면 덕트의 측면부는 하면 덕트의 측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부스 덕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와 하면 덕트의 상면을 체결하는 볼트는 원통형 지지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부스 덕트.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와 하면 덕트의 상면을 체결하는 볼트는 관붙이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부스 덕트.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덕트와 상기 하면 덕트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인 볼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보호캡을 구비하고 있는 방수형 부스 덕트.
  11. 내부에 부스바를 둘러싸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암형 또는 수형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수 개의 부스 덕트와, 상기 부스 덕트의 접속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부 커버로 이루어지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스 덕트의 덕트부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 양측으로 측면부가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단면이 '┏┓' 자 형태로 형성되는 상면 덕트와;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 바로 아래쪽에 상기 상면부와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부스바와; 상기 상면 덕트의 상면부와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부스바를 수용하도록 상기 부스바의 저면으로 상기 측면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으로 측면이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단면이 '┏┓' 자 형태로 형성되는 하면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 되며,
    상기 접속부 커버는 단면이 '┏┓'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부스 덕트의 접속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
KR1020060117510A 2006-11-27 2006-11-27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KR100811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510A KR100811055B1 (ko) 2006-11-27 2006-11-27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510A KR100811055B1 (ko) 2006-11-27 2006-11-27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055B1 true KR100811055B1 (ko) 2008-03-06

Family

ID=3939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510A KR100811055B1 (ko) 2006-11-27 2006-11-27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0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4505A (zh) * 2010-10-28 2011-05-18 韩树清 户外圆型母线槽
KR101800625B1 (ko) * 2011-09-08 2017-11-24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대전류 부스 덕트를 위한 부스 바 배치 기법
KR101965606B1 (ko) * 2018-04-02 2019-04-04 주식회사 코스모산전 부스덕트 어셈블리
KR102189074B1 (ko) * 2020-03-02 2020-12-09 임민우 부스덕트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59Y1 (ko) 2001-01-12 2001-07-19 이세현 전력 배선용 플러그-인 부스바 덕트
KR20060084880A (ko) * 2005-01-21 2006-07-26 김상용 배전버스 덕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59Y1 (ko) 2001-01-12 2001-07-19 이세현 전력 배선용 플러그-인 부스바 덕트
KR20060084880A (ko) * 2005-01-21 2006-07-26 김상용 배전버스 덕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4505A (zh) * 2010-10-28 2011-05-18 韩树清 户外圆型母线槽
KR101800625B1 (ko) * 2011-09-08 2017-11-24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대전류 부스 덕트를 위한 부스 바 배치 기법
KR101965606B1 (ko) * 2018-04-02 2019-04-04 주식회사 코스모산전 부스덕트 어셈블리
KR102189074B1 (ko) * 2020-03-02 2020-12-09 임민우 부스덕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380B2 (ja) バスバーを有する風力エネルギー設備
US7626118B1 (en) Weather-proof junction box for exterior use
JP4279145B2 (ja) 電流バスを有する風力エネルギープラント
KR100835679B1 (ko) 케이블 코밍장치
KR100986678B1 (ko) 플러그 인 부스 덕트
KR100811055B1 (ko)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CA2743679A1 (en) Device comprising rigid connecting bars for the conducting connection of first to second busbars
KR101816316B1 (ko) 버스웨이 구성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20006386A1 (en) Junction Cover for Photovoltaic Panel Modules
KR100897338B1 (ko) 덧판을 구비한 부스 덕트
CN107528272A (zh) 一种具有保护盖结构的母线槽
KR100978866B1 (ko)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결합장치
KR101007896B1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0322053B1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0659289B1 (ko) 전기배선 분배용 버스덕트
KR101364164B1 (ko) 배전반 용 대용량 적층 모선 분기 커넥터
KR101046400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JP201103525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0536754B1 (ko) 조립식 분전반
KR200454350Y1 (ko) 옥외형 버스관로
KR20110054540A (ko) 반금속 가스켓을 이용한 부스 덕트 접속부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20140086096A (ko)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하우징을 갖는 부스덕트
CN213043425U (zh) 一种光缆通信线路的防雷装置
KR101158642B1 (ko) 플러그 인 버스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