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896B1 -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896B1
KR101007896B1 KR1020090011386A KR20090011386A KR101007896B1 KR 101007896 B1 KR101007896 B1 KR 101007896B1 KR 1020090011386 A KR1020090011386 A KR 1020090011386A KR 20090011386 A KR20090011386 A KR 20090011386A KR 101007896 B1 KR101007896 B1 KR 101007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connector
box body
fix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156A (ko
Inventor
임승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희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희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희람테크
Priority to KR102009001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8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외에 설치된 단자함에서 각 가정으로 인출되는 통신선의 연결 및 선로변경작업을 단자함의 외장 하부에서 커넥터 연결방식을 취하게 하므로, 그 시공성의 간편함을 가져옴은 물론 시공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인 커넥터를 승,하강 가능한 보호커버로 보호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나 먼지 등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단자체가 내입되는 함체상으로 구성되며, 상부면에 소켓이 결합되는 케이블인출공이 형성되고, 외부 양측면 상부에 상.하 복수개의 나사봉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의 하부로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내주면 바닥면에 다수의 커넥터결합공이 형성된 단자함몸체;
일측에 상기 나사봉이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나사봉삽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일측이 개방된 결합봉삽입공이 형성된 연결구와, 일측에 상기 결합봉삽입공에 삽입되어 너트 고정되는 볼트형 연결봉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결봉과 직각 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로 탄력 분리되어 고정바를 감싸며 볼트 고정되는 탄력편을 갖는 고정클립으로 된 고정부재;
상기 단자함몸체의 하부로부터 커넥터결합공에 삽입되어 단자함몸체에 내입되는 단자체의 하부에 삽입 연결 및 단자함몸체 하부에서 볼트 고정되는 다수의 커넥터;
상기 통신선이 연결되어 커넥터에 결합되는 다수의 커넥터연결구;
상기 단자함몸체의 전면에 마감되어 볼트 고정되는 단자함덮개; 및
상기 단자함몸체를 감싸며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볼트로 고정되며, 단자함몸체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 되는 커넥터보호덮개로 구성된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신케이블, 단자함, 커넥터

Description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cables}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옥외의 단자함에서 각 가정으로 분기되는 통신 케이블의 연결방식을 커넥터 연결방식으로 취하여 연결 교체를 간편하게 하며, 상기 커넥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한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자함은 건물 외부에 공용으로 배선된 구선측과 건물 내부에 가입자용으로 배선된 내선측을 연결하여 통신망에 가입자의 통신 수단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배선 용량에 따라 형상과 크기가 약간씩 변화될 뿐 대부분 통신선의 연결에 있어 국선의 말단과 내선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여 통신선을 따라 전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국선과 내선간의 직접적인 연결 또한 가능하지만 가입자의 통신 설비의 변경이나 통신회선용량의 감소 및 증가 또는 가입자 자체의 변경 등의 이유로 국선과 내선간의 연결을 서로 바꾸어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국선과 내선간의 연결 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단자들을 모아놓은 단자함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빌딩의 경우 벽체에 매설형태로 설치되며, 다가구 및 단독 주택 밀집지역에서는 전주나 건물 옥상등에 별도의 공용 단자함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존의 단자함은 케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다수의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단자체가 형성되어 메인통신케이블이 단자체에 연결되며 단자체에서 다수의 통신선이 분기되어 각 가정이나 사무실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자함 구조는, 통신선을 연결 및 변경시 단자함을 개방하고, 납땜이나 통신선의 피복을 벗겨낸 후 접지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작업 시간의 지연과, 이로 인해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자체에 연결되는 통신선을 커넥터 방식을 취하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를 외부요인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단자체가 내입되는 함체상으로 구성되며, 상부면에 소켓이 결합되는 케이블인출공이 형성되고, 외부 양측면 상부에 상.하 복수개의 나사봉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의 하부로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내주면 바닥면에 다수의 커넥터결합공이 형성된 단자함몸체;
일측에 상기 나사봉이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나사봉삽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일측이 개방된 결합봉삽입공이 형성된 연결구와, 일측에 상기 결합봉삽입공에 삽입되어 너트 고정되는 볼트형 연결봉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결봉과 직각 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로 탄력 분리되어 고정바를 감싸며 볼트 고정되는 탄력편을 갖는 고정클립으로 된 고정부재;
상기 단자함몸체의 하부로부터 커넥터결합공에 삽입되어 단자함몸체에 내입되는 단자체의 하부에 삽입 연결 및 단자함몸체 하부에서 볼트 고정되는 다수의 커 넥터;
상기 통신선이 연결되어 커넥터에 결합되는 다수의 커넥터연결구;
상기 단자함몸체의 전면에 마감되어 볼트 고정되는 단자함덮개; 및
상기 단자함몸체를 감싸며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볼트로 고정되며, 단자함몸체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 되는 커넥터보호덮개로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는, 옥외에 설치된 단자함에서 각 가정으로 인출되는 통신선의 연결 및 선로변경작업을 단자함의 외장 하부에서 커넥터 연결방식을 취하게 하므로, 그 시공성의 간편함을 가져옴은 물론 시공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인 커넥터를 승,하강 가능한 보호커버로 보호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나 먼지 등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는,
내부에 단자체(10)가 내입되어 고정바(20)에 고정되는 단자함몸체(100)와; 상기 단자함몸체(100)를 고정바(20)에 고정키위한 고정부재(200)와; 상기 단자함몸체(100)에 결합되는 커넥터(300)와; 상기 커넥터(300)에 연결되는 커넥터연결구(400)와; 상기 단자함몸체(100)를 마감하는 단자함덮개(500)와; 상기 단자함몸체(100)에 삽입되어 커넥터(300)를 보호하는 커넥터보호덮개(60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단자함몸체(100)는, 전면이 개방된 금속재의 사각함체로 구성되며, 상부면에는, 메인통신케이블(1)이 삽입되는 마감소켓(110)이 결합되는 케이블인출공(120)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외부 양측면 상부에는, 상.하 복수개의 나사봉(130)이 돌출 형성되며, 양측면의 나사봉(130) 하부로는 그 나사봉(130)과 일정간격 이격 되게 상.하 다수개의 고정공(140)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것이다.
또한, 단자함몸체(100) 내주면 바닥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커넥터결합공(150)이 관통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단자함몸체(100)를 고정바(20)에 연결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구(210)와, 고정클립(220)으로 구성된 것으로,
연결구(210)는, 일측에 상기 나사봉(130)이 삽입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나사봉삽입공(211) 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결합봉삽입공(212)이 형성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고정클립(220)은, 일측에 상기 결합봉삽입공(212)에 삽입되는 볼트형 연결봉(221)이 형성되어 결합봉삽입공(212)에 삽입 및 너트(N)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연결봉(221)의 외주면으로 부터 직각 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로 탄력 벌어지게 형성된 탄력편(222)을 갖는 고정클립(220)이 형성되어, 고정바(20)를 감싸며 볼트(B) 고정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커넥터(300)는, 통신선(2)을 단자체(1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함몸체(100)의 하부로부터 커넥터결합공(150)에 삽입되어 단자함몸체(100)에 내입되는 단자체(10)의 하부에 삽입 연결되며, 단자함몸체(100)의 하부에서 볼트(B) 고정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커넥터(3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연결구(400)는, 통신선(2)의 단부에 결합되어 통신선을 커넥터(300)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커넥터연결구(40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선 연결용 커넥터연결구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단자함덮개(500)는, 상기 단자함몸체(100)와 동일한 금속재의 판체로써, 단자함몸체(100)의 전면 개방부를 덮으며, 상.하.좌.우에서 볼트(B) 고정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커넥터보호덮개(6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함몸체(100) 하부로부터 단자함몸체(100)를 감싸며 삽입되어 고정볼트(630)로 고정 및 고정볼트(630)를 제거시 상기 단자함몸체(100)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 되게 구성된 것으로,
전면에 손잡이(610)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개방된 절개형 장공(620)이 형성된 것으로, 고정볼트(630) 고정시 단자함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140)에 선택적으로 편리한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는 통신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는 먼저 단자함몸체(100)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정바(20)에 고정되는 것으로, 연결구(210)의 나사봉삽입공(211)에 의해 나사봉(130)에 삽입 및 너트(N)고정되는 것이고, 그 연결구(210)의 타측에는 고정클립(220)의 일측 연결봉(221)이 삽입 및 너트(N) 체결되는 것이며, 고정클립(220)의 타측 탄력편(222)은 고정바(20)를 감싸며 볼트(B)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자함몸체(100)가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바(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단자함몸체(100)의 내부에 단자체(10)가 내입되며, 상기 단자함몸체(100)의 하부로부터 다수의 커넥터(300)가 삽입되어 단자체(10)와 연결 및 단자함몸체(100)에 볼트(B)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자함몸체(100)에 내입된 단자체(10)에는 전화국으로 부터 인출되는 메인통신케이블(1)이 상부 케이블인출공(120)에 결합된 마감소켓(110)을 통해 내입 및 단자체(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통신케이블(1)의 연결이 끝나면 단자함몸체(100)의 전면에는 단자함덮개(500)가 볼트(B) 결합에 의해 마감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자함덮개(500)가 마감되면 상기 단자함몸체(100)의 하부로 부터 커넥터보호덮개(600)가 단자함몸체(100)를 감싸며 슬라이등 삽입되는 것이며, 삽입된 커넥터보호덮개(600)는 양측면에 형성된 장공(620)과 단자함몸체(1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140)을 통해 고정볼트(630)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보호덮개(600)의 설치가 끝나면 단자체(10)와 연결된 커넥터(300)에는 실내로 유입되는 통신선(2)이 연결된 커넥터연결구(400)가 삽입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통신케이블(1) 과 단자체(10) 와 통신선(2)을 통해 실내로 통신선로의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커넥터보호덮개(6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로써, 도 4의 도시와 같이 고정볼트(630)를 단자함몸체(100)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140) 중 상부 고정공(140)에 고정시 커넥터보호덮개(600)는 단자함몸체(100)의 상부에 고정 및 개방되는 것으로, 단자함몸체(100) 하부 커넥터(300)의 노출이 가능한것이며, 이때에는 커넥터(300)와 커넥터연결구(400)의 연결시공시 시공작업의 편리를 위한 것이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고정볼트(630)를 단자함몸체(100)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140) 중 하부 고정공(140)에 고정시 커넥터보호덮개(600)는 단자함몸체(100)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하부로 연장 및 폐쇄되는 것으로, 커넥터(300)와 커넥터연결구(400)의 연결시공 후 단자함몸체(100) 하부 커넥터(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천시 빗물로 부터 연결부의 보호 및 외부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는, 단자체(10)와 실내로 유입되는 통신선(2)의 연결을 원 터치식 커넥터 연결방식을 취하게 하므로, 단자함을 개방하고 납땜 등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간편한 연결 작업 이 가능한 것이며, 커넥터(300)와 커넥터연결구(400)의 연결부를 외부요인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의 결합상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의 커넥터보호덮개의 개방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의 커넥터보호덮개의 폐쇄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메인통신케이블 2 : 통신선
10 : 단자체 20 : 고정바
100 : 단자함몸체 200 : 고정부재
300 : 커넥터 400 : 커넥터연결구
500 : 단자함덮개 600 : 커넥터보호커버

Claims (2)

  1. 전화국으로부터 인출되는 메인통신케이블(1) 과 상기 메인통신케이블(1)과 실내로 유입되는 통신선(2)이 연결되는 단자체(10)가 내입되어 전주 및 옥외의 고정바(20)에 설치되는 단자함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단자체(10)가 내입되는 함체상으로 구성되며, 상부면에 마감소켓(110)이 결합되는 케이블인출공(120)이 형성되고, 외부 양측면 상부에 상.하 복수개의 나사봉(130)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130)의 하부로는 그 나사봉(130)과 이격 되게 상.하 다수개의 고정공(140)이 수평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 바닥면에 다수의 커넥터결합공(150)이 형성된 단자함몸체(100);
    일측에 상기 나사봉(130)이 삽입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나사봉삽입공(2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일측이 개방된 결합봉삽입공(212)이 형성된 연결구(210)와, 일측에 상기 결합봉삽입공(212)에 삽입되어 너트(N) 고정되는 볼트형 연결봉(221)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결봉(221)과 직각 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로 탄력 분리되어 고정바(20)를 감싸며 볼트(B) 고정되는 탄력편(222)을 갖는 고정클립(220)으로 된 고정부재(200);
    상기 단자함몸체(100)의 하부로부터 커넥터결합공(150)에 삽입되어 단자함몸체(100)에 내입되는 단자체(10)의 하부에 삽입 연결 및 단자함몸체(100) 하부에서 볼트(B) 고정되는 다수의 커넥터(300);
    상기 통신선(2)이 연결되어 커넥터(300)에 결합되는 다수의 커넥터연결구(400);
    상기 단자함몸체(100)의 전면에 마감되어 볼트(B) 고정되는 단자함덮개(500); 및
    상기 단자함몸체(100)를 감싸며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볼트(630)로 고정되며, 단자함몸체(100)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 되는 커넥터보호덮개(6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보호덮개(60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 개방되어 단자함몸체(100)를 감싸며, 전면에 손잡이(610)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개방된 절개형 장공(620)이 형성되어 고정볼트(630)에 단자함몸체(100)의 고정공(140)에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20090011386A 2009-02-12 2009-02-12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1007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86A KR101007896B1 (ko) 2009-02-12 2009-02-12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86A KR101007896B1 (ko) 2009-02-12 2009-02-12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156A KR20100092156A (ko) 2010-08-20
KR101007896B1 true KR101007896B1 (ko) 2011-01-14

Family

ID=4275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386A KR101007896B1 (ko) 2009-02-12 2009-02-12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8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831B1 (ko) * 2012-12-13 2013-04-08 이광휘 광역통신망 전용 통신라인의 커넥팅 박스
KR102051383B1 (ko) 2019-04-25 2019-12-04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단자함장치
KR102157724B1 (ko) 2020-04-22 2020-09-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236005B1 (ko) 2020-10-16 2021-04-05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83Y1 (ko) * 2013-09-05 2015-02-04 주식회사 세홍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KR101593204B1 (ko) * 2015-08-31 2016-02-11 (주)선진이엔지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2182824B1 (ko) * 2020-03-06 2020-11-25 (주)건일엠이씨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
KR102156232B1 (ko) * 2020-04-28 2020-09-16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CN112821096A (zh) * 2021-01-27 2021-05-18 湖南橡博电气有限公司 一种电缆集成分支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169Y1 (ko) 2000-04-28 2001-07-19 신종철 단자함용 통신 케이블 배선 장치
KR100331384B1 (ko) 2000-05-12 2002-04-13 권주영 통신용 단자함
KR20020031169A (ko) * 1999-09-03 2002-04-26 제이.엠. 알스톤 액상 토너 조성물
KR20040033074A (ko) * 1995-09-18 2004-04-17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피복 기재의 건조 방법
KR200433074Y1 (ko) 2006-09-27 2006-12-07 주식회사 성삼 전기통신 단자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074A (ko) * 1995-09-18 2004-04-17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피복 기재의 건조 방법
KR20020031169A (ko) * 1999-09-03 2002-04-26 제이.엠. 알스톤 액상 토너 조성물
KR200231169Y1 (ko) 2000-04-28 2001-07-19 신종철 단자함용 통신 케이블 배선 장치
KR100331384B1 (ko) 2000-05-12 2002-04-13 권주영 통신용 단자함
KR200433074Y1 (ko) 2006-09-27 2006-12-07 주식회사 성삼 전기통신 단자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831B1 (ko) * 2012-12-13 2013-04-08 이광휘 광역통신망 전용 통신라인의 커넥팅 박스
KR102051383B1 (ko) 2019-04-25 2019-12-04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 단자함장치
KR102157724B1 (ko) 2020-04-22 2020-09-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236005B1 (ko) 2020-10-16 2021-04-05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156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896B1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US3164668A (en) Terminal pedestal for buried wiring systems
US20110237140A1 (en) Combination grounding rod bridge assembly
KR100780081B1 (ko)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US8053670B2 (en) Apparatus for an electrical equipment enclosure with tubular weatherproofing of electrical connections
KR20150006712A (ko) 광전복합 케이블의 분기 장치
RU248456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между соединительными частями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245365B1 (ko)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US3005037A (en) Electrical through-wall outlet
CN102290710A (zh) 一种固定在电线杆上的智能配变终端箱
KR100811055B1 (ko)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US20110259625A1 (en) Apparatus for an electrical equipment enclosure with electrical connection weatherproofing by a multi-hole gland and/or a tube
CN205753299U (zh) 一种导线的绝缘装置
KR100952126B1 (ko) 배전선 접지장치
EP2001090A2 (en) Multiplex extension cord for communications and power cables
KR102143846B1 (ko) 가공배전선로 카바류의 자연 배수와 내부 건조 장치
CN106532452A (zh) 一种用于电力系统的绝缘罩
CN100454703C (zh) 光电复合网络单元
CN111162466A (zh) 一种组合式便捷检修配电箱
KR20210041825A (ko) 전주용 완금구조물
KR200262590Y1 (ko) 전선배선용 보호덕트(4방수직형)
US6318686B1 (en) Bracket for electric pole
KR102397689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