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204B1 -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204B1
KR101593204B1 KR1020150123125A KR20150123125A KR101593204B1 KR 101593204 B1 KR101593204 B1 KR 101593204B1 KR 1020150123125 A KR1020150123125 A KR 1020150123125A KR 20150123125 A KR20150123125 A KR 20150123125A KR 101593204 B1 KR101593204 B1 KR 10159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ead
main body
bent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환
Original Assignee
(주)선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선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2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3Constructional details using slid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어 전기통신 선로를 인입하기 위한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는 제1 인입케이블이 측면으로 삽입되도록 제1 케이블공이 형성된 포켓부가 형성되고, 하부로는 제2 인입케이블 삽입되는 제2 케이블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입케이블과 제2 인입케이블이 연결되는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가 내부에 설치되고, 전방이 개구된 본체하우징, 상기 제1 케이블공으로 삽입된 제1 인입케이블을 적어도 일회이상 굴곡시켜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고정가이드부, 상기 포켓부에서 힌지핀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굴곡진 부분에서 떨어지도록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하향 굴곡시키는 케이블굴곡부, 상기 케이블굴곡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굴곡고정부, 및 상기 본체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블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a cable injecting device of outdoor type electric and communication eqipment}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는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에 운용에 필요한 케이블들을 인입하기 위한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는 전기, 통신 관련 케이블이나 혹은 파워케이블 등을 인입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옥외에 설치되는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는 이물질의 유입이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인입장치에 의해 설치되는데, 종래의 케이블 인입장치는 내부에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를 수용하고 둘레에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구멍을 통해 케이블을 인입하여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에 연결하는 형태로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를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블 인입장치는 상부에서 케이블이 인입될 경우, 케이블이 삽입되는 구멍과 케이블의 사이를 고무로 제작된 씰부재에 의해 기밀하기 때문에 씰부재가 구멍과 케이블에 밀착되지 않은 경우, 케이블을 타고 빗물이 새어 들어가 빗물에 의해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9584호(2006.9.20.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입케이블을 타고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입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빗물이 튀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는 제1 인입케이블이 측면으로 삽입되도록 제1 케이블공이 형성된 포켓부가 형성되고, 하부로는 제2 인입케이블 삽입되는 제2 케이블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입케이블과 제2 인입케이블이 연결되는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가 내부에 설치되고, 전방이 개구된 본체하우징, 상기 제1 케이블공으로 삽입된 제1 인입케이블을 적어도 일회이상 굴곡시켜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고정가이드부, 상기 포켓부에서 힌지핀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굴곡진 부분에서 떨어지도록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하향 굴곡시키는 케이블굴곡부, 상기 케이블굴곡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굴곡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케이블굴곡부의 힌지핀과 동심원상으로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된 톱니고정판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톱니에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케이블굴곡부의 회전을 고정 또는 고정을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굴곡고정부, 및 상기 본체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굴곡부는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이 굴곡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이 유연하게 굴곡되도록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을 곡면에 의해 지지하는 케이블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하우징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부에서 연결되는 제2 인입케이블의 연결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케이블보호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인입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방향에서 결합되고, 케이블굴곡부가 인입케이블을 하향되도록 굴곡시켜 굴곡진 부분에서 제1 인입케이블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떨어지는 형태로 본체하우징의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입케이블이 본체하우징의 내부에서 굴곡고정부에 의해 굴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케이블굴곡부에 의해 인입케이블을 가압 시 인입케이블이 단자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입케이블의 연결된 주변 둘레를 케이블보호스커트가 감싸 빗물이 제2 인입케이블이 연결된 부분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제1 인입케이블과 제2 인입케이블을 설치하기 전의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제1 인입케이블과 제2 인입케이블을 설치한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를 구성하는 케이블굴곡부 및 굴곡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전기통시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를 구성하는 케이블굴곡부 및 굴곡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100)는 본체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본체하우징(110)은 전면이 개구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120)을 수용할 수 있으며,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120)를 운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인입케이블들(210,220)이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120)으로 인입되는 복수 개의 인입케이블(210,220) 중 본체하우징(110)의 측방향에 위치된 제1 케이블공(112)으로 삽입되는 인입케이블을 제1 인입케이블(210)이라 칭하고, 본체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된 제2 케이블공(113)으로 삽입되는 인입케이블을 제2 인입케이블(220)이라 칭한다.
그리고, 제1 인입케이블(210)과 제2 인입케이블(220)은 각각 복수 개가 될 수가 있으며, 제1 인입케이블(210)과 제2 인입케이블(220)은 전원선, 안테나, 신호선, 접지선 등이 될 수가 있다.
한편,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120)에는 제1 인입케이블(210)이 연결되는 제1 케이블단자(121)와 제2 인입케이블(220)이 연결되는 제2 케이블단자(1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케이블단자(121)는 본체하우징(110)의 측방향에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제2 케이블단자(123)는 본체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연결되도록 인입장치(12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120)는 공지된 옥외에서 운용되는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체하우징(110)의 측면에는 하기에 설명될 케이블굴곡부(1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포켓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포켓부(111)에는 제1 인입케이블(2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포켓부(111)를 관통한 제1 케이블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하우징(110)의 하부 저면에는 제2 인입케이블(220)이 삽입되는 제2 케이블공(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케이블공(113)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케이블공(113)으로는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120)의 제2 케이블단자(123)가 노출되어 본체하우징(110)의 외부에서도 제2 인입케이블(220)을 제2 케이블단자(123)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하우징(110)은 케이블고정가이드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이블고정가이드부(117)는 외력 또는 하기에 설명될 케이블굴곡부(130)에 의해 제1 인입케이블(210)을 가압 시 제1 인입케이블(210)이 당겨져 제1 케이블단자(121)에서 제1 인입케이블(2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고정가이드부(117)는 본체하우징(110)의 부분에 제1 케이블공(112)으로 삽입된 제1 인입케이블(210)이 적어도 일회이상 굴곡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격벽(118)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100)는 개폐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개폐커버(115)은 본체하우징(110)의 개방된 부분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하우징(110)의 개방된 부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한편, 개폐커버(115)는 측단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하우징(110)의 전후방으로 회전하여 본체하우징(110)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개폐커버(115)와 본체하우징(110)이 서로 맞닿는 개폐커버(115)의 둘레 또는 본체하우징(110)의 둘레에는 개폐커버(115)가 본체하우징(110)을 밀폐하였을 때, 기밀하는 씰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폐커버(115)에는 본체하우징(110)을 밀폐하였을 때, 개폐커버(115)의 임의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자물쇠와 같은 잠금수단(116)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100)는 케이블굴곡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이블굴곡부(130)는 본체하우징(110)으로 삽입된 제1 인입케이블(210)을 강제적으로 굴곡시켜, 우천 시 빗물이 제1 인입케이블(210)을 타고 본체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굴곡부(130)는 포켓부(111)에 수용되거나, 밀폐할 수 있도록 판 또는 블럭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굴곡부(130)는 상단부분이 포켓부(111)의 상단부분에 힌지핀(131)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굴곡부(130)는 상부로 회전하여 포켓부(1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케이블굴곡부(130)의 하부를 통해 제1 케이블공(112)으로 제1 인입케이블(2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케이블굴곡부(130)를 하향시켜 케이블굴곡부(130)에 의해 제1 인입케이블(210)의 일부가 하향되도록 강제적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굴곡부(130)는 케이블지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이블지지부(133)는 케이블굴곡부(130)의 끝단, 즉, 케이블굴곡부(130)의 힌지핀(131)이 결합되는 반대방향의 끝단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굴곡부(130)의 두께보다는 더 큰 직경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지지부(133)는 케이블굴곡부(130)가 제1 인입케이블(210)을 눌러 강제적으로 굴곡시킬 때, 케이블굴곡부(130)의 끝단에 제1 인입케이블(210)이 눌려 절곡됨으로써, 제1 인입케이블(210)의 단선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인입케이블(210)이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제1 인입케이블(210)을 굴곡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100)는 굴곡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굴곡고정부(150)는 케이블굴곡부(130)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굴곡고정부(150)는 톱니고정판(1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톱니고정판(151)은 케이블굴곡부(13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굴곡부(130)가 회전하는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굴곡부(130)에 톱니고정판(151)이 결합된 경우, 포켓부(111)에도 톱니고정판(151)이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몰할 수 있는 고정판출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톱니고정판(151)의 둘레에는 복수 개의 톱니(151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톱니(151a)는 케이블굴곡부(130)의 양측에 위치되는 톱니고정판(15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톱니고정판(151)은 케이블굴곡부(130)의 양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케이블굴곡부(130)의 양측으로 제1 인입케이블(2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톱니(151a)는 케이블굴곡부(130)가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하는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굴곡고정부(150)는 스토퍼(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토퍼(153)는 톱니고정판(151)에 형성된 톱니(151a)에 걸쳐지는 형태로 케이블굴곡부(13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톱니(151a)에서 이탈되어 케이블굴곡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스토퍼(153)는 케이블굴곡부(130)가 상부로 회전할 때에는 고정하고, 하부로의 회전만을 허용하도록 케이블굴곡부(130)가 회전하는 어느 한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톱니(151a)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톱니고정판(151)의 톱니(151a)는 케이블굴곡부(130)가 하부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스토퍼(153)는 케이블굴곡부(130)가 하부로 이동할 때에는 회전이 가능하며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블굴곡부(130)가 상부로 회전할 때에는 스토퍼(153)에 제한되어 회전하지 못하고, 하부로 회전할 때에만 회전하는 형태로 위치를 케이블굴곡부(1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도 5 참고).
아울러, 스토퍼(153)는 스프링(152)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경사면의 항상 톱니(151a)에 밀착되어 걸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153)는 해제레버(155)를 포함하여, 스토퍼(153)의 회전하는 축방향에 연결되어 스토퍼(153)를 당기거나 미는 형태로 스토퍼(153)를 톱니(151a)에 물려 케이블굴곡부(130)의 위치를 제한하거나, 톱니(151a)에서 이탈시켜 케이블굴곡부(130)의 위치의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해제레버(155)는 스프링(154)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해제레버(155)를 톱니(151a)에서 이탈되도록 당긴 상태에서 당김력을 해제하였을 때,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스토퍼(153)가 톱니(151a)에 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100)는 케이블보호스커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이블보호스커트(170)는 본체하우징(110)의 하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본체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보호스커트(170)에는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슬라이딩공(17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보호스커트(170)는 본체하우징(110)에 슬라이딩공(171)을 관통하는 가이드핀(173)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보호스커트(170)는 후방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보호스커트(170)는 상향된 상태에서 본체하우징(110)의 하부로 노출된 제2 케이블단자(123)에 제2 인입케이블(220)을 결합한 후, 하부로 슬라이딩시켜 본체하우징(110)에서 노출된 제2 인입케이블(220)이 연결된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100)는 개폐커버(115)를 개방하고, 포켓부(111)에 수용된 케이블굴곡부(130)를 상부로 회전시킨다. 이때, 케이블굴곡부(130)는 스토퍼(153)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토퍼(153)의 해제레버(155)를 당겨 케이블굴곡부(130)의 제한된 회전을 해제한 상태에서 케이블굴곡부(130)를 상부로 회전시킨다.
한편, 케이블굴곡부(130)가 상부로 회전하면, 케이블굴곡부(130)가 덮고 있던 제1 케이블공(112)을 통해 제1 인입케이블(210)을 본체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하고, 케이블고정가이드부(117)에 의해 제1 인입케이블(210)이 일회이상 굴곡지도록 끼운 후,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120)의 제1 케이블단자(121)에 제1 인입케이블(210)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인입케이블(210)이 제1 케이블공(112)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어 굴곡되도록 케이블굴곡부(130)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제1 인입케이블(210)의 일부분을 하부로 굴곡시킨다.
이때, 케이블굴곡부(130)는 톱니고정판(151)이 스토퍼(153)에 의해 지지되어 하부로의 회전은 자유롭지만, 상부로의 회전은 스토퍼(153)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한편, 제1 인입케이블(210)이 설치되면, 개폐커버(115)로 본체하우징(11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고, 본체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된 케이블보호스커트(170)를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케이블보호스커트(170)가 상부로 이동하면, 본체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된 제2 케이블단자(123)가 노출되고, 노출된 제2 인입케이블단자(123)에 제2 인입케이블(220)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인입케이블(220)이 연결되면, 케이블보호스커트(170)가 제2 인입케이블(220)이 연결된 부분을 덮어 보호하도록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된 케이블보호스커트(170)를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100)는 우천 시 제1 인입케이블(210)을 타고 빗물이 흘러내리면, 흘러내리는 빗물이 케이블굴곡부(130)에 의해 하부로 굴곡된 부분에서 더 이상 제1 인입케이블(210)을 타고 유입되지 못하고 떨어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100)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입케이블(220)이 연결된 본체하우징(110)의 하부도 케이블보호스커트(170)가 감싸 빗물이 제2 인입케이블(220)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튀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100)는 제1 인입케이블(210)을 케이블굴곡부(130)가 하부로 가압하여 강제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제1 인입케이블(210)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굴곡된 부분에서 떨어져 본체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보호스커트(170)부가 제2 인입케이블(220)이 연결된 부분을 가려 빗물이 튀어 제2 인입케이블(220)이 연결된 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케이블 인입장치 110: 본체하우징
111: 포켓부 112: 제1 케이블공
113: 제2 케이블공 115: 개폐커버
117: 케이블고정가이드부 118: 격벽
120: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 121: 제1 케이블단자
123: 제2 케이블단자 130: 케이블굴곡부
131: 힌지핀 133: 케이블지지부
150: 굴곡고정부 151: 톱니고정판
151a: 톱니 152, 154: 스프링
153: 스토퍼 155: 해제레버
170: 케이블보호스커트 171: 슬라이딩공
173: 가이드핀 210: 제1 인입케이블
220: 제2 인입케이블

Claims (3)

  1. 제1 인입케이블이 측면으로 삽입되도록 제1 케이블공이 형성된 포켓부가 형성되고, 하부로는 제2 인입케이블 삽입되는 제2 케이블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입케이블과 제2 인입케이블이 연결되는 통신장비 또는 전기장비가 내부에 설치되고, 전방이 개구된 본체하우징,
    상기 제1 케이블공으로 삽입된 제1 인입케이블을 적어도 일회이상 굴곡시켜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고정가이드부,
    상기 포켓부에서 힌지핀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굴곡진 부분에서 떨어지도록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하향 굴곡시키는 케이블굴곡부,
    상기 케이블굴곡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굴곡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케이블굴곡부의 힌지핀과 동심원상으로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된 톱니고정판과, 상기 케이블굴곡부를 하부로 가압하여 회전할 때에만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톱니고정판에 형성된 톱니에 맞물려 상기 케이블굴곡부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굴곡고정부, 및
    상기 본체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굴곡부는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이 굴곡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이 유연하게 굴곡되도록 상기 제1 인입케이블을 곡면에 의해 지지하는 케이블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를 상기 톱니고정판의 톱니에서 이탈시켜 상기 스토퍼에 의한 상기 굴곡고정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부에서 연결되는 제2 인입케이블의 연결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케이블보호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20150123125A 2015-08-31 2015-08-31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159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25A KR101593204B1 (ko) 2015-08-31 2015-08-31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25A KR101593204B1 (ko) 2015-08-31 2015-08-31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204B1 true KR101593204B1 (ko) 2016-02-11

Family

ID=5535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25A KR101593204B1 (ko) 2015-08-31 2015-08-31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2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733B1 (ko) * 2019-04-30 2019-11-26 더로드아이앤씨 주식회사 Gps 안테나 고정부재가 구비된 교통신호제어기 구조물
KR20200084207A (ko) * 2019-01-02 2020-07-10 (주)우진엔지니어링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시설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212419B1 (ko) 2020-06-25 2021-02-04 (주)건창기술단 건축물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2311202B1 (ko) *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584A (ko) 2005-03-14 2006-09-20 엘지노텔 주식회사 옥외형 전기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20100092156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희람테크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584A (ko) 2005-03-14 2006-09-20 엘지노텔 주식회사 옥외형 전기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20100092156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희람테크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207A (ko) * 2019-01-02 2020-07-10 (주)우진엔지니어링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시설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246454B1 (ko) 2019-01-02 2021-04-30 (주)우진엔지니어링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시설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039733B1 (ko) * 2019-04-30 2019-11-26 더로드아이앤씨 주식회사 Gps 안테나 고정부재가 구비된 교통신호제어기 구조물
KR102212419B1 (ko) 2020-06-25 2021-02-04 (주)건창기술단 건축물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2311202B1 (ko) *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204B1 (ko) 옥외형 통신장비 및 전기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US792712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able securing device
JP6250243B1 (ja) 電子機器用端子保護構造及び電子機器
KR101655541B1 (ko) 커넥터 장치
KR101007896B1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PL193944B1 (pl) Osłona przewodów, zwłaszcza kabli
KR20150006712A (ko) 광전복합 케이블의 분기 장치
CN206004055U (zh) 用于提供密封贯穿的装置和逆变器
RU2473103C2 (ru) Снятие напряжений для оптоволоконных кабелей и коммутационных шнуров
KR101641667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박스
KR200479319Y1 (ko) 케이블의 방수 보호 커버
KR200161752Y1 (ko)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KR20140134134A (ko) 도어 인터록 장치를 가지는 개폐기
US10651635B2 (en) Panel for accommodating a draw-out device
CN215450250U (zh) 一种防雨防尘的室外门禁装置
KR102403918B1 (ko) 모듈내장형 광케이블 단자함
US10957470B2 (en) Assembly for a cable feedthrough
KR20038099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KR101580562B1 (ko) 커넥터
KR102181962B1 (ko) 건축물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JP4557249B2 (ja) 分電盤
KR20230083687A (ko) 광섬유 커넥터의 록킹 및 언록킹의 용이한 기능을 갖는 방수형 푸쉬풀 클로져
CN210579388U (zh) 天线支架结构及路灯控制箱
TW202005205A (zh) 插座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