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384B1 - 통신용 단자함 - Google Patents

통신용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384B1
KR100331384B1 KR1020000025243A KR20000025243A KR100331384B1 KR 100331384 B1 KR100331384 B1 KR 100331384B1 KR 1020000025243 A KR1020000025243 A KR 1020000025243A KR 20000025243 A KR20000025243 A KR 20000025243A KR 100331384 B1 KR100331384 B1 KR 100331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unk line
insertion tube
cap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186A (ko
Inventor
이처술
Original Assignee
권주영
(주)진우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주영, (주)진우텔레콤 filed Critical 권주영
Priority to KR102000002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384B1/ko
Priority to KR2020000013567U priority patent/KR200203537Y1/ko
Publication of KR2001006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01R9/244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측의 통신선과 전화국측의 통신선을 상호 접속시키는 단자들을 집적시켜 보관하는 통신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신용 단자함은, 내선 및 국선을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에 각각 삽입하고, 체결부재를 회전시키만 하면 내선 및 국선의 피복이 제거되어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에 각각 접속되므로, 내선 및 국선을 대단히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대향하는 단자집적유니트들은 ∧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어느 단자집적유니트에 내선 및 국선을 접속시킬 때, 이와 대향하는 다른 단자집적유니트는 아무런 방해도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내선 및 국선을 접속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하다. 또한,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의 지름과 내선단자삽입관 및 국선단자삽입관의 지름이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는다. 또한,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이 내선 및 국선을 눌러주므로, 내선 및 국선이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에 견고하게 접속된다.

Description

통신용 단자함 {COMMUNICATION TERMINAL BLOCK BOX}
본 발명은 가입자측의 통신선과 전화국측의 통신선이 각각 접속되는 단자들을 집적시켜 보관하는 통신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용 단자함을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랩핑 타입 통신용 단자함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10)은 다수의 단자(13)을 가지는 본체(11)와 단자(13)를 덮는 형태로 본체(11)에 결합되는 커버(19)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단자함(10)의 단자(13)에 통신선(20)을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본체(11)를 벽 등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통신선(20)의 피복(21)을 스트립퍼 등을 이용하여 벗겨내고, 통신선(20)을 단자(13)에 감는다. 그후, 커버(19)를 본체(11)에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자함(10)의 단자(13)에 통신선(20)을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피복(21)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므로, 그 작업공정이 불편하다. 또, 단자(13)가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신선(20)을 단자(13)에 감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선의 피복을 일일이 제거할 필요가 없는, 도 1b에 도시된, 퀵 클립 타입의 통신용 보관함이 개발되었다. 이는 본체(31)에 설치된 단자(33)의 절개홈(33a)에 통신선(20)을 위치시키고, 통신선(20)을 단자(33)의 절개홈(33a)측으로 눌러주기만 하면 통신선(20)의피복(21)이 벗겨지면서 단자(33)와 접속된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보관함은 조그마한 충격에 의하여도 통신선(20)이 절개홈(33a)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인해,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사전 작업 없이 통신선을 단자에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격에 의하여도 통신선이 단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신용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단자의 간섭을 받지 않고 통신선을 단자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선의 접속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통신용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종래의 랩핑 타입 통신용 단자함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퀵 클립 타입 단자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집적유니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내선단자캡을 180°회전시켜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집적유니트의 개략적 회로도.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집적유니트에 내선 및 국선을 접속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도 4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스 110 : 단자집적유니트
120 : 받침부재 130,140 : 내선 및 국선단자캡
150,160 :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체결부재
170 : 보호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단자함은, 상호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가지는 케이스와,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호 인접하는 면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각각 설치된 한쌍의 받침판과, 내선 및 국선이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와 상기 한쌍의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쌍의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내선연결단자 및 국선연결단자를 가지며, 상기 받침판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자집적유니트와, 상기 내선연결단자 및 국선연결단자에 결합ㆍ분리되면서 상기 내선단자와 국선단자를 상호 접속ㆍ단락시키는 보호기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자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써, 상호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00a)와 상부케이스(100b)를 가지는 케이스(100)가 마련된다. 하부케이스(100a)의 저면에는 한쌍의 받침판(101,103)이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받침판(101,103)은 자신의 폭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 받침판(101,103)의 폭 방향의 측면 중, 상호 인접하는 측면(101a,103a)은 인접하지 않는 측면(101b,103b) 보다 더 높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받침판(101,103)은 폭향이 ∧ 형상을 이루면서 상호 설치된다. 이는, 받침판(101,103)에 설치되는 단자집적유니트(110)에 가입자측의 통신선인 내선(109)과 전화국측의 통신선인 국선(107)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한다.
받침판(101,103)에는 다수의 단자집적유니트(110)가 설치된다. 단자집적유니트(110)의 일 양측면에는, 단자판(101,103)의 폭방향 양측면(101a,101b;103a,103b)이 삽입되는 삽입로(121)가 형성된다. 단자판(101,103)의 폭방향 양측면이 삽입로(121)에 삽입되므로 인하여, 단자집적유니트(110)가 단자판(101,103)에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면서 설치된다.
받침판(101,103)에 설치되는 다수의 단자집적유니트(110)중,받침판(101,10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위치되는 단자집적유니트(111,113)는 받침판(101,103)에 고정되어, 다른 단자집적유니트(115)가 받침판(101,103) 상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때, 단자집적유니트(110) 각각은 나사(110c)에 의하여 받침판(101,103)에 결합될 수 도 있다. 그리고, 단자집적유니트(110)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내선(109) 또는 국선(107)을 묶어서 정리하기 위한 제 1 홀더(110a) 및 하나의 내선(109) 또는 국선(107)을 고정하기 위한 제 2 홀더(110b)(도 4참조)가 마련된다. 미설명부호 170은 보호기로써,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집접유니트(110)에는 내선(109)이 접속되는 내선단자들과 국선(107)이 접속되는 국선단자들이 설치되는데, 이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집적유니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내선단자캡을 180°회전시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집적유니트(110)는 받침부재(120), 내선단자캡(130), 국선단자캡(140),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 국선단자캡체결부재(160) 및 보호기(170)를 가진다.
받침부재(1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길이방향의 저면 양측에는 받침판(101,103)의 폭방향측 양측면이 삽입되는 전술한 삽입로(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재(120)의 상면 일측에는 내선(109)과 접속되는 원통형상의 한쌍의 내선단자(123)가 설치된다. 내선단자(123)의 일측인 하단부측은 받침부재(120)의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타측인 상단부측은 받침부재(1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내선단자(123)의 상단면에는 내선(109)이 안착되는 V 형상의안착홈(123a)이 각각 형성되는데, 내선(109)의 피복(109a)은 후술할 내선단자캡(130)의 압력에 의하여 안착홈(123a) 상에서 자동적으로 제거된다. 또, 내선단자(123)에는 안착홈(123a)에서부터 하측으로 향하는 절개홈(123b)이 형성된다. 절개홈(123b)은 내선단자(123)가 탄성을 가지게 하여 안착홈(123a)에 안착된 내선(109)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120)에는 내선단자(123)를 감싸서 보호함과 동시에 내선단자(123)의 안착홈(123a)에 내선(109)이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내선단자캡(130)과, 내선단자캡(130)을 받침부재(120)에 체결시키는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가 결합된다.
내선단자캡(130)은 내선단자(123)가 삽입되는 한쌍의 내선단자삽입관(131)과, 내선단자삽입관(131)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선단자삽입관(131)과 연통되는 내선삽입관(133)을 가진다. 이때, 내선단자캡(130)은 내선단자(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선단자삽입관(131)의 상면은 밀폐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내선단자삽입관(131)의 지름은 개방부측에서 폐쇄부측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되고, 내선단자캡(131)의 폐쇄부측의 지름은 내선단자(123)의 지름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한다.(도 8a 및 도 8b참조) 이는, 내선단자삽입관(131)에 내선단자(123)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선단자삽입관(131)에 내선단자(123)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내선단자(123)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내선단자삽입관(131)과 평행하게 걸림돌기(135)가내선삽입관(133)에서부터 연장된다. 걸림돌기(135)는 받침부재(120)에 형성된 걸림공(120a)에 걸려서 내선단자캡(130)이 받침부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내선단자캡(130)에는 일측이 절개된 삽입관(137)이 형성되고,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는 삽입관(137)에 삽입되어 내선단자캡(130)을 직선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는 삽입관(137)의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지름을 가지면서 삽입관(137)에 삽입되는 삽입부(151)와, 삽입부(151)의 상단에 형성되며 삽입관(137)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면서 삽입관(137)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부(153)를 가진다. 그리고, 삽입부(151)의 하단에 형성되며 삽입관(137)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면서 삽입관(137)의 저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부(155)와, 제 2 접촉부(155)에서 연장되어 받침부재(120)에 형성된 결합공(120b)에 결합되는 결합부(157)를 가진다. 그러므로, 삽입관(137)에 삽입된 삽입부(151)는 제 1 및 제 2 접촉부(153,155)에 의하여 지지되어, 삽입관(137)의 상측 및 하측으로 빠지지 않는다. 이로인해, 내선단자캡(130)과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는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결합부(157)가 받침부재(120)의 결합공(120b)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가 정ㆍ역회전을 하면,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는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그러면, 내선단자캡(130)도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내선삽입관(133)에 삽입된 내선(109)을 내선단자(123)에 접속시킨다. 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내선단자(123)의 내부 및 내선단자캡(130)의 내부에는 자기복구형 젤리(180)가 주입된다. 이는, 내선단자캡(130)이 내선단자(123)측으로 완전히 이동하였을 때, 내선단자캡(130)의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수분 및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내선단자캡(13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내선(109)이 안착된 내선단자(123)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더욱 방지된다. 내선삽입관(133)의 일단부로는 내선(109)이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젤리(180)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개(139)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120)의 타측에는 국선(107)이 접속되는 한쌍의 국선단자(125)(도 6참조)가 내선단자(123)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내선단자캡(130) 및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와 동일한 형태의 국선단자캡(140) 및 국선단자캡체결부재(160)가 국선단자(125)를 감싸면서 설치된다.
내선단자(123)와 국선단자(125) 사이의 받침부재(120)에는 내선단자(123)와 국선단자(125)에 각각 접속되는 내선연결단자(127)와 국선연결단자(129)가 마련되고, 내선연결단자(127)와 국선연결단자(129)는 보호기(170)에 의하여 상호 접속된다. 미설명부호 171은 보호기(170)의 접지단자이고, 120d는 접지단자(171)가 삽입되는 접지공이다.
보호기(17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집적유니트의 개략적 회로도이다.
내선연결단자(127)는 내선단자(123)와 접속되고 국선연결단자(129)는 국선단자(125)와 접속된다. 그리고, 사용중이 아닐 경우에는, 내선단자(123)와국선단자(125)는 상호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위집적유니트(110)를 시험하거나 단위집적유니트(110)를 단자함에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호기(170)를 내선연결단자(127) 및 국선연결단자(129)에 씌우면 내선단자(123)와 국선단자(125)가 접속된다.
이와같은 형태를 절분형이라 한다. 절분형이란 국선측과 내선측을 단락시킬 수 있는 형태의 단자함이다. 만약, 국선측과 내선측을 단락시킬 수 없다면, 상호 접속된 국선과 내선의 어느 부분을 인위적으로 끊어서 국선측과 내선측 중 어느 부위에 고장이 생겼는가를 조사하여야 한다. 그후, 고장 부위를 수리한 후, 끊어진 전선을 또 다시 접속하여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절분형태의 통신용 단자함은, 보호기(170)를 내선연결단자(127) 및 국선연결단자(129)로부터 빼내면 국선(107)측과 내선(109)측을 단락시킬수 있으므로, 고장 부위를 조사하여 수리하면 된다. 그후, 보호기(170)를 내선연결단자(127) 및 국선연결단자(129)에 다시 삽입하면 국선(107)측과 내선(109)측이 접속되므로, 통신선로의 손상없이 재사용 할 수 있다.
한편, 보호기(170)는 과전류 및 과전압이 흐르면 단락되어 고가의 통신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한편, 받침부재(120)의 저면에는 내선단자(123) 및 국선단자가 받침부재(120)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22)가 마련된다. 이탈방지부재(122)는 고주파융착으로 받침부재(120)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받침부재(1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이탈방지부재(122) 대신에 받침부재(120)에 에폭시 몰딩을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집적유니트(110)에 내선(109) 및 국선(107)을 접속하는 방법을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집적유니트에 내선 및 국선을 접속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는 편의상 내선단자캡(130)과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만을 도시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선단자(123) 및 국선단자(125)가 삽입된 내선단자캡(130) 및 국선단자캡이 최대로 상승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선 및 국선(109,107)을 내선 및 국선삽입관(133,143)으로 각각 삽입한 후,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체결부재(150,16)를 각각 회전시킨다. 그러면,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130,140)이 하강하게 되므로, 내선 및 국선(109,107)이 내선 및 국선단자(123,125)의 안착홈(123a,125a)에 각각 안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체결부재(150,160)를 더욱 회전시키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선단자캡체결부재(150) 및 국선단자캡체결부재가 하강하면서 내선단자캡(130) 및 국선단자캡을 각각 더욱 하강시킨다. 그러면, 내선 및 국선(109,107)의 피복은 내선단자(123)의 안착홈(123a)과 내선단자캡(130) 사이 및 국선단자(125)의 안착홈(125a)과 국선단자캡(140) 사이에서, 내선단자캡(130) 및 국선단자캡의 압력에 의하여 제거된다. 그러므로, 내선 및 국선(109,107)은 내선단자(123) 및 국선단자(125)에 각각 접속되고, 내선 및국선(109,107)은 내선단자캡(130) 및 국선단자캡(140)에 의하여 각각 눌려 있으므로, 내선단자(123) 및 국선단자(125)에 각각 견고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내선 및 국선단자삽입관(133,143)의 상측의 지름은 내선 및 국선단자(123,125)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내선 및 국선단자(123,125)는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단자함은, 내선 및 국선을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에 각각 삽입하고, 체결부재를 회전시키만 하면 내선 및 국선의 피복이 제거되어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에 각각 접속되므로, 내선 및 국선을 대단히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대향하는 단자집적유니트들은 ∧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어느 단자집적유니트에 내선 및 국선을 접속시킬 때, 이와 대향하는 다른 단자집적유니트는 아무런 방해도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내선 및 국선을 접속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하다.
또한,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의 지름과 내선단자삽입관 및 국선단자삽입관의 상측의 지름이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는다.
또한,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이 내선 및 국선을 눌러주므로, 내선 및 국선이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에 견고하게 접속된다.
또한, 통신선로에 과전류 및 과전압이 흐르면 보호기가 단락되므로, 통신선로 전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통신선로의 고장시 보호기를 빼내어 통신선로를 단락시킬 수 있으므로, 통신선로를 손상시키지 않고 통신선로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6)

  1. 상호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가지는 케이스와,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호 인접하는 면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각각 설치된 한쌍의 받침판과,
    내선 및 국선이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와 상기 한쌍의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쌍의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내선연결단자 및 국선연결단자를 가지며, 상기 받침판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자집적유니트와,
    상기 내선연결단자 및 국선연결단자에 결합ㆍ분리되면서 상기 내선단자와 국선단자를 상호 접속ㆍ단락시키는 보호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집적유니트는,
    상기 내선단자, 국선단자, 내선연결단자 및 국선연결단자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가 각각 삽입되는 내선단자삽입관 및 국선단자삽입관과 상기 내선 및 국선이 각각 삽입되는 내선삽입관 및 국선삽입관을 각각 가지며, 상기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상기 받침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과,
    상기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며, 정ㆍ역회전을 함에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을 직선왕복운동시키는 내선단자캡체결부재 및 국선단자캡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의 상단면에는 상기 내선단자삽입관 및 국선단자삽입관으로 각각 삽입된 내선 및 국선이 안착되는 V 형상의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안착홈에 안착된 내선 및 국선은 상기 내선단자캡체결부재 및 국선단자캡체결부재에 의하여 직선운동되는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의 압력에 의하여 피복이 각각 제거되어 상기 내선단자 및 국선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선삽입관 및 국선삽입관에는 걸림돌기가 각각 연장ㆍ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함.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선단자캡 및 국선단자캡에는 상기 내선단자캡체결부재 및 국선단자캡체결부재가 각각 삽입되는 일측이 절개된 삽입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선단자캡체결부재 및 국선단자캡체결부재는,
    상기 삽입관의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지름을 가지면서 상기 삽입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면서 상기 삽입관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면서 상기 삽입관의 저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함.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받침판의 양측면이 삽입되는 삽입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함.
KR1020000025243A 2000-05-12 2000-05-12 통신용 단자함 KR100331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43A KR100331384B1 (ko) 2000-05-12 2000-05-12 통신용 단자함
KR2020000013567U KR200203537Y1 (ko) 2000-05-12 2000-05-13 통신용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43A KR100331384B1 (ko) 2000-05-12 2000-05-12 통신용 단자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567U Division KR200203537Y1 (ko) 2000-05-12 2000-05-13 통신용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186A KR20010068186A (ko) 2001-07-23
KR100331384B1 true KR100331384B1 (ko) 2002-04-13

Family

ID=1966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243A KR100331384B1 (ko) 2000-05-12 2000-05-12 통신용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896B1 (ko) 2009-02-12 2011-01-14 주식회사 희람테크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2156226B1 (ko) 2020-04-28 2020-09-16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 단자함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70B1 (ko) * 2005-04-29 2007-01-10 전영범 혼합형 적층구조 배선반 텔레콤 블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267A (ja) * 1992-09-03 1994-03-2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US5836791A (en) * 1994-10-21 1998-11-17 Psi Telecommunications, Inc. Modular telecommunications terminal block
KR0128507Y1 (ko) * 1995-03-06 1998-12-15 이처술 전화선 접속단자판
KR19990012879U (ko) * 1997-09-18 1999-04-15 임상택 전선접속구
KR200172411Y1 (ko) * 1999-09-28 2000-03-15 이처술 전화선연결용 단자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267A (ja) * 1992-09-03 1994-03-2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US5836791A (en) * 1994-10-21 1998-11-17 Psi Telecommunications, Inc. Modular telecommunications terminal block
KR0128507Y1 (ko) * 1995-03-06 1998-12-15 이처술 전화선 접속단자판
KR19990012879U (ko) * 1997-09-18 1999-04-15 임상택 전선접속구
KR200172411Y1 (ko) * 1999-09-28 2000-03-15 이처술 전화선연결용 단자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896B1 (ko) 2009-02-12 2011-01-14 주식회사 희람테크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2156226B1 (ko) 2020-04-28 2020-09-16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 단자함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186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0920A (en) Network interface device module providing sealed customer-accessible test port
KR100499929B1 (ko) 터미널,분리또는접속용스트립
US6188560B1 (en) Multi-wire terminal block employing removable surge protector
US6033259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US5836791A (en) Modular telecommunications terminal block
HU216455B (hu) Keresztkapcsolási rendszer, és az ebben alkalmazott villamos csatlakozódugasz távközlési rendszerekhez
RU98119062A (ru) Модуль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однопарных линий
KR100331384B1 (ko) 통신용 단자함
CA2256924A1 (en) Xdsl splitter line module for network interface device
KR200203537Y1 (ko) 통신용 단자함
US5514005A (en) Quick connect/disconnect module
RU5048U1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перекрест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WO1999004454A1 (en) Distribution and interconnection assembly for communications wires
CA2011068C (en) Hot cut procedure for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452490B1 (ko) Adsl용 스플리터 장치 및 배선방법
KR200212962Y1 (ko) 통신용 단자핀의 집적유니트
GB2293696A (en) ID contact and connector for telecommunications
KR200395633Y1 (ko) 대용량 콘덴서
US7301432B1 (en) Fusing terminal device
KR20070094821A (ko) 통신케이블을 위한 밀봉연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191642B1 (ko) 캠형 단자블럭
KR200231274Y1 (ko) 알제이45 모듈러 타입의 전화단자대
KR200343275Y1 (ko) 멀티 자유배선 단자함
CA2202658C (en) Multi-wire terminal block employing removable surge protector
KR100340146B1 (ko) 통신용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