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879U - 전선접속구 - Google Patents

전선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879U
KR19990012879U KR2019970026042U KR19970026042U KR19990012879U KR 19990012879 U KR19990012879 U KR 19990012879U KR 2019970026042 U KR2019970026042 U KR 2019970026042U KR 19970026042 U KR19970026042 U KR 19970026042U KR 19990012879 U KR19990012879 U KR 199900128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hole
main bod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택
Original Assignee
임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택 filed Critical 임상택
Priority to KR2019970026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879U/ko
Publication of KR199900128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879U/ko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선을 빠르고 견고하게 접속하는 전선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전선접속구는 전선(C)을 접속하고자 하는 위치에 규격된 개수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 설치되는데, 그 구조는 상부에 횡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전선고정구멍(22)과 각 전선고정구멍(22)의 양측에 상부로 개구된 수직구멍(16)이 연통되게 형성된 본체(10)와; 하부에 몸체를 탄력돌출시키는 스프링을 갖고 몸체에 전선을 가압하는 요철부(24)를 갖는 전선고정구멍(22)을 구비하여 각 수직구멍(16)에 출몰 가능하게 끼워지는 전선고정구(20)와; 양측에 접속되는 전선(C)에 탄력을 가하는 탄성편(32)과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고정편(34)을 갖고 전선삽입구멍(12)과 고정구멍에 끼워진 후 전선삽입구멍(1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접속단자(30) 및 상부에 씌워지는 캡(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선접속구는 전선(C)을 접속할 때 단순히 전선고정구(20)를 누른 후 전선삽입구멍(12)에 전선 단부를 삽입한 후 누르고 있던 전선고정구(20)를 놓게 되면 전선고정구(20)가 스프링(28)의 탄성력에 탄력돌출되어 접속단자(30)에 전선(C)을 견고하게 접속시킨다. 이와 같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선접속작업은 빠르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선접속구
본 고안은 전선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선을 빠르고 견고하게 접속하는 전선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배선하다보면 반드시 전선을 접속하게 된다. 특히, 배전반이나 단자함과 같은 곳에는 여러 개의 전선이 접속되게 되는데, 일단 접속이 되면 그 접속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선을 접속할 때 나사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접속시켰다. 즉, 접속단자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나사를 구비하여 나사의 머리 또는 나사에 끼워진 와셔와 접속단자의 사이에 전선을 끼운 후 나사를 조여 전선을 견고하게 접속시킨다. 이때, 접속되는 전선의 단부는 접속전 피복을 벗긴 상태이며, 견고한 접속을 위해 전선 단부를 절곡시켜 나사의 축부 둘레를 감은 후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전선을 접속하는 구조는 접속단자에 체결된 나사를 여유있는 간격으로 풀고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을 나사의 머리 및 와셔와 접속단자의 사이에 끼우는 작업, 또 나사의 축부 둘레에 감기도록 전선의 단부를 절곡시키는 작업 및 나사의 머리 또는 와셔와 접속단자의 사이에 개재시킨 후 나사를 조이는 작업 등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고, 이와 같은 번거로운 작업 때문에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을 나사의 외주면에 감을 때에도 반드시 나사체결방향으로 감아야 하므로 초보자의 경우에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됨으로 더더욱 접속시간이 지체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선을 간단하고 빠르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접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접속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다른 전선접속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접속구에 전선이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의 결합구조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12 : 전선삽입구멍
14 : 단자홈15 : 지지홈
16 : 수직구멍18 : 나사구멍
20 : 전선고정구22 : 전선고정구멍
24 : 요철부26 : 고정축
28 : 스프링30 : 접속단자
32 : 탄성편34 : 고정편
35 : 캡36 : 스냅피트
37 : 홈
(도 4)
40 : 삽입홈42 : 고정홈
44 : 걸림홈46 : 결합구
48 : 걸림돌기C : 전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선접속구는, 전선을 접속하고자 하는 위치에 일정한 배열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전선을 접속시키는 전선접속구에 있어서, 상부에 횡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전선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전선고정구멍의 양측에 상부로 개구된 일정깊이의 수직구멍이 연통 형성된 본체와; 하부에 몸체를 탄력돌출시키는 스프링을 갖고 몸체에 상기 전선삽입구멍과 연통되는 고정구멍 및 이 구멍의 하면에 전선이 빠지지 않도록 가압하는 요철부를 구비하여 상기 각 수직구멍에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는 전선고정구와; 상기 전선고정구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축에 끼워져 상기 전선고정구를 상부로 탄력 돌출시키는 스프링과; 양측에 접속되는 전선에 탄력을 가하는 탄성편과 양단부에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고정편을 갖고 상기 전선삽입구멍과 고정구멍에 끼워진 후 전선삽입구멍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고정구에 의해 가압되는 전선과 견고하게 접속되는 접속단자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접속구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접속구는 육면체로 된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면에 상부로 탄성 돌출된 네 개의 전선고정구(20)와, 접속되는 전선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접속단자(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다른 전선접속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양측면에 연통되는 복수개의 전선삽입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전선고정구(20)가 삽입되는 수직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삽입구멍(12)의 상부 양측에는 접속단자(30)가 끼워지는 단자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전선삽입구멍(12)의 양단 상부의 본체(10) 측면에는 접속단자(30)를 지지하는 지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구멍(16)은 각 전선고정구멍(22)의 양측에 직각으로 연통되며, 그 깊이는 전선고정구(20)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후술될 전선고정구멍(22)과 전선삽입구멍(12)이 연통될 정도의 깊이 또는 그 이상의 깊이를 갖는다. 또한 네 개의 전선고정구멍(22)이 형성된 본체(10)의 상면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구멍(18)이 천공되어 있어 전선접속구가 설치되는 위치에 전선접속구를 나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하부에는 소정높이의 다리(19)가 형성되어 있다.
전선고정구(20)는 몸체에 전선삽입구멍(12)과 동일한 방향 및 크기를 갖는 전선고정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전선고정구멍(22)의 하부에는 삽입되는 전선(C)[도 4 참조)이 빠지지 않도록 높은 마찰력으로 접속단자(30)로 가압하는 요철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몸체의 하단 중심부에는 고정축(26)이 형성되고 이 고정축(26)에는 전선고정구(20)를 상부로 탄력돌출시키는 스프링(28)이 결합되어 있다.
접속단자(30)는 단자홈(14)을 통하여 각 전선삽입구멍(12)과 전선고정구(20)의 전선고정구멍(22)에 끼워지는 동으로 된 판체이다. 이 접속단자(30)의 양측에는 전선고정구(20)에 의해 밀착되는 전선(C)[도 4 참조]에 탄력을 가하는 탄성편(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에는 고정편(34)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본체(10)에 결합시킬 때 고정편(34)을 상향 절곡시켜 본체(10)의 지지홈(15)에 밀착 고정시킨다.
또한, 전선접속구의 상부에는 방습의 목적으로 캡(35)이 씌워진다. 캡(35)은 양측면 내측 하단에 원형돌기(37)가 형성된 스냅피트(36)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10)의 측면에는 스냅피트(36)의 원형돌기(37)가 끼워지는 원형홈(38)이 형성되어 결합시킬 때 스냅피트(36)의 원형돌기(37)를 원형홈(38)에 끼워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선접속구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전선고정구(2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축(26)에 스프링(28)의 일단을 끼운 다음 본체(10)의 각 수직구멍(16)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전선고정구(20)를 눌러 본체(10)의 전선삽입구멍(12)과 전선고정구(20)의 전선고정구멍(22)과 일치시킨 후 이에 탄성편(32)이 전선고정구(20)의 요철부(24) 쪽을 향하도록 하여 전선삽입구멍(12)의 단자홈(14)으로 끼운다. 그런 다음 접속단자(3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편(34)을 상부로 절곡시켜 본체(10)의 지지홈(15)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전선접속구가 조립되면 배전반이나 단자함과 같이 전선접속을 요하는 부위에 나사구멍(18)을 통해 나사 결합시킨다. 전선접속구가 나사결합되면 바닥과 본체의 저면사이가 다리(19)에 의해 이격된 틈을 갖는다. 이 이격된 틈에 의해 통풍이 잘되기 때문에 습기가 차지 않아 습기에 의한 누전사고 및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감전되는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선접속구가 설치완료되면 그 상부에 캡(35)을 씌워 마무리한다. 이때, 캡(35)은 원형돌기(37)가 형성된 스냅피트(36)가 본체(10)의 측면 타고 벌어진 상태로 슬라이딩되다가 원형홈(38)에 도달하게 되면 자체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탄동되어 스냅피트(36)의 원형돌기(37)는 본체(10)의 원형홈(38)에 대응결합된다. 그리고 캡(35)을 분리할 때는 적당한 힘으로 캡(35)을 상부로 당기기만 하면 스냅피트의 원형돌기(37)가 원형홈(38)면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결국 스냅피트(36)가 벌어지게 됨으로 쉽게 분리가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접속구를 8개, 10개, 12개 등 여러 개를 일 열로 배열 고정하여 그 개수에 따라 규격화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이에 씌워지는 캡(35)도 규격에 따라 다수 개로 이루어진 전선접속구의 길이에 맞는 다양한 길이로 제조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전선접속구에 전선(C)을 접속시킬 때에는 먼저, 접속시킬 전선(C) 단부의 피복을 벗긴 후 전선고정구(20)를 눌러 전선고정구멍(22)과 본체(10)의 전선삽입구멍(12)이 일치되도록 하여 이에 피복이 벗겨진 전선(C)의 단부를 삽입시킨다. 그리고는 누르고 있던 전선고정구(20)를 놓게 되면 전선고정구(20)의 하단에 설치된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전선고정구(20)는 본체(10)의 상부로 탄력 이동하면서 전선고정구(20)의 요철부(24)가 전선(C)단부를 접속단자(30)에 밀착시키고 가압한다. 이때, 접속단자(30)의 양측에 형성된 탄성편(32)은 요철부(24)가 전선(C)을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전선(C)은 도 4에서와 같이 접속단자(3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특히, 요철부(24)의 가압력 및 마찰력에 의해 접속된 전선(C)에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전선(C)이 전선삽입구멍(12)을 이탈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전선(C)의 접속이 완료되면 전선접속구의 상부에 캡(35)을 씌운다. 전선(C)이 접속된 전선접속구의 상부에 캡(35)이 씌워지면 전선접속구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 습기로 인한 누전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의 결합구조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접속구의 저면에 결합구(46)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선접속구가 결합되는 위치에는 고정홈(4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구(46)는 양측에 걸림돌기(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고정홈(42)에는 걸림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전선접속구를 고정시킬 때에는 저면에 형성된 결합구(46)를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8)가 고정홈(42)의 걸림홈(44)에 대응시키면서 밀게 되면 결합구(46)는 고정홈(42)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간단하고 빠르게 결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C)을 접속할 때 단순히 전선고정구(20)를 누르 후 전선삽입구멍(12)에 피복이 벗겨진 전선단부를 삽입한 후 누르고 있던 전선고정구(20)를 놓게 되면 전선고정구(20)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전선(C)이 접속단자(30)에 견고하게 접속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선(C)을 쉽고 빠르게 접속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고, 또 배전반이나 단자함과 같은 전선의 접속이 많은 곳에는 접속되는 전선(C)을 깨끗하게 정렬시킬 수 있어 유지 보수면에서 편리함과 동시에 작업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선접속구에 캡(35)을 씌워 습기가 전선접속구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 습기로 인한 누전과 같은 사고가 방지된다.

Claims (4)

  1. 전선(C)을 접속하고자 하는 위치에 규격된 개수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 설치되는 전선접속구에 있어서,
    상부에 횡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전선고정구멍(22)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전선고정구멍(22)의 양측에 상부로 개구된 수직구멍(16)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전선(C)을 접속하고자 하는 위치에 나사결합되는 본체(10)와;
    하부에 몸체를 탄력돌출시키는 스프링(28)을 갖고 몸체에 상기 전선삽입구멍(12)과 연통되는 고정구멍 및 이 고정구멍의 하면에 전선(C)이 빠지지 않도록 가압하는 요철부(24)를 구비하여 상기 각 수직구멍(16)에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는 전선고정구(20)와;
    양측에 접속되는 전선(C)에 탄력을 가하는 탄성편(32)과 양단부에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고정편(34)을 갖고 상기 전선삽입구멍(12)과 고정구멍에 끼워진 후 전선삽입구멍(1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전선고정구(20)에 의해 가압되는 전선(C)과 견고하게 접속되는 접속단자(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캡(35)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면을 바닥과 이격되게 다리(19)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가 설치되는 면에 양측으로 걸림홈(44)을 갖는 고정홈(42)을 구비하고, 접속구의 본체(10) 하면에 양측으로 상기 걸림홈(44)에 삽입되는 걸림돌기(48)를 갖는 결합구(46)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홈(42)에 결합구(46)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
KR2019970026042U 1997-09-18 1997-09-18 전선접속구 KR199900128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042U KR19990012879U (ko) 1997-09-18 1997-09-18 전선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042U KR19990012879U (ko) 1997-09-18 1997-09-18 전선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879U true KR19990012879U (ko) 1999-04-15

Family

ID=6968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042U KR19990012879U (ko) 1997-09-18 1997-09-18 전선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87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384B1 (ko) * 2000-05-12 2002-04-13 권주영 통신용 단자함
KR100432153B1 (ko) * 2001-09-29 2004-05-24 성신웅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384B1 (ko) * 2000-05-12 2002-04-13 권주영 통신용 단자함
KR100432153B1 (ko) * 2001-09-29 2004-05-24 성신웅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2852A (en) Module for the connection of actuator and/or sensors
US7407406B2 (en) Connector tap-off arrangement for continuous conductors
GB2129630A (en) Terminal block
WO2015184288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RU2388120C2 (ru) Компонент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коробки и безвинтовой соединитель
US5480323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at least one electrical device
US20010027051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wires to an electrical apparatus
KR19990012879U (ko) 전선접속구
US2932000A (en) Housing unit and mounting means
EP0054377A2 (en) Power distribution block
KR100287535B1 (ko) 전선 접속구
US7871287B2 (en) Branching device for an electric line
JPS6391971A (ja) ねじ込端子
CN209804971U (zh) 一种多功能组合连接器座板
JPH07112323B2 (ja) 防水接続箱
JPH11176523A (ja) コンセント取付装置
JPH0425678B2 (ko)
KR100373074B1 (ko)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KR19990028175A (ko) 동축 케이블 접속기
JPS6333483Y2 (ko)
KR200366374Y1 (ko)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CA1162266A (en) Switching cable assembly
JPS5821099Y2 (ja) 防水形配線器具
JP2619553B2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KR100282652B1 (ko) 통신용 플러그 리셉터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