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374Y1 -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 Google Patents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6374Y1 KR200366374Y1 KR20-2004-0022014U KR20040022014U KR200366374Y1 KR 200366374 Y1 KR200366374 Y1 KR 200366374Y1 KR 20040022014 U KR20040022014 U KR 20040022014U KR 200366374 Y1 KR200366374 Y1 KR 2003663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output
- video
- terminal
- connec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f conductive member or for holding it in pos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bend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는 중공형태로 제작된 일단의 중공부에 영상 및 음향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전선이 위치하며, 타단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입력 또는 출력전선을 상기 중공부에 압박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단자가 각각에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한 쌍씩 묶음으로 형성되고, 이들 한 쌍의 묶음을 하나의 단위 유닛으로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병렬 배치되는 다수개의 단자삽입몸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쌍의 단위 유닛 형태의 연결단자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기기에 연결되는 입력 및 출력 전선을 설치할 경우 사용자에게 식별력을 제공하여 전선의 설치가 용이하고, 연결단자가 근접 설치되어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며, 연결단자에 밀착홈이 형성되어 전선을 고정할 경우 외부로 밀려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기밀한 고정이 가능한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를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단자에 접속되는 전선을 결합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입력 및 출력전선이 각각 삽입되도록 연결단자를 한 쌍씩 묶음으로 유닛화 한 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병렬배치하고, 연결단자에 전선이 기밀하게 고정되는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입출력단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태의 하우징(12)에 다수개의 관통홀을 형성한 후 이 관통홀에 연결단자(14)를 삽입한다.
연결단자(14)는 일단이 중공형태로 형성되는데, 이 중공부분에 전선(16)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된다.
연결단자(14)의 일단에는 중공부분에 위치한 전선(16)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20)가 구비되며, 이 볼트(20)는 연결단자(14)의 일측을 관통하여 중공 내부로 위치하며, 이곳에 위치한 전선(16)을 압박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입출력단자(10)는 서로 근접한 상태의 연결단자(14)에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여러 가닥의 전선(16)이 설치되기 때문에 만일, 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의 어느 한 전선(16)이 이탈하여 이를 다시 설치해야 할 경우 어떤 위치에 다시 설치해야 하는지를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입출력단자(10)에는 전선(16)이 견고하게 설치되지 않고, 도 2와 같이 피복이 벗겨진 일부분의 전선(16)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는, 전선(16)을 연결단자(14)의 중공부분에 삽입한 후 볼트(20)를 체결할 경우 전선(16)을 압박하는 볼트(20)의 압박(P)에 의한 힘으로 피복이 벗겨진 전선(16)의 일부분(L)이 외부로 밀려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동일한 기기에 연결되는 입출력 전선이 설치되도록 유닛화 된 한 쌍의 연결단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입력 및 출력 전선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고, 볼트로 고정할 경우 전선이 외부로 밀려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기밀한 고정이 가능한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의 일실시예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 및 9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연결단자 106.....전선 108.....체결부재 110.....단자삽입몸체 114.....밀착홈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는 중공형태로 제작된 일단의 중공부에 영상 및 음향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전선이 위치하며, 타단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입력 또는 출력전선을 상기 중공부에 압박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단자가 각각에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한 쌍씩 묶음으로 형성되고, 이들 한 쌍의 묶음을 하나의 단위 유닛으로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병렬 배치되는 다수개의 단자삽입몸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삽입몸체 각각의 상부에는 단차지게 적층되는 다른 단자삽입몸체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중공부의 일단 내부에는 삽입된 상태의 상기 입력 또는 출력전선이 상기 체결부재의 압박으로 밀착되도록 밀착홈이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단이 중공형태로 제작되어 일단의 중공부에 영상 및 음향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전선이 위치하며, 타단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입력 또는 출력전선을 상기 중공부에 압박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단자가 각각에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병렬상태로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하우징으로 구성된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는 삽입된 상태의 상기 입력 또는 출력전선이 상기 체결부재의 압박으로 밀착되도록 밀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쌍의 연결단자가 적층형태로 구비되어 하나의 기기에 연결되는 입력 및 출력 전선을 설치할 경우 사용자에게 식별력을 제공하여 명확하게 전선을 설치할 수 있고, 연결단자가 근접 설치되어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며, 연결단자에 밀착홈이 형성되어 전선을 고정할 경우 외부로 밀려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기밀한 고정이 가능한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를 얻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100)는 일단이 내부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이 중공부에 영상 및 음향기기의입력 또는 출력전선(106)이 삽입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단자(102)가 있다.
연결단자(102)의 일측에는 홀(104a)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08)가 삽입되는데, 체결부재(108)의 체결로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의 전선(106)은 압박 고정된다.
이렇게 전선(106)이 고정되는 연결단자(102)는 각각 한 쌍씩 단자삽입몸체(110)에 설치되는데, 단자삽입몸체(110)에는 연결단자(102)가 한 쌍씩 설치되어 동일한 기기의 전선(106)을 설치함에 있어 명확한 식별력을 제공하고, 이로 인해 전선(106)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전선(106)을 한 쌍씩 고정할 수 있도록 유닛화 된 단자삽입몸체(110)는 일정한 간격(S)을 두고 병렬 형태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렇게 연결단자(102)의 한 쌍이 고정되도록 단자삽입몸체(110)를 하나의 단위 유닛 형태로 형성하는 것은, 어느 하나의 기기에 연결되는 입출력전선을 고정함에 있어 사용자가 이들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식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많은 기기들이 연결단자(102)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만약, 어느 하나의 전선(106)이 이탈하였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그 이탈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탈한 전선을 손쉽게 다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단자(102)가 설치되는 단자삽입몸체(110)는 기기의 종류즉, 설치되는 기기의 수에 따라 그 설치개수를 가감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 유닛 형태의 단자삽입몸체(110)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S)을 형성하는 것은, 서로 다른 기기의 전선(106)이 종래와 같이 인접하여 설치될 경우 상호 간섭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연결단자(102)의 일단 중공부 내부에는 밀착홈(114)이 형성되는데, 이 밀착홈(114)은 중공부에 위치한 전선(106)을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108)에 의해 전선(106)이 압박될 경우 외부로 밀려나지 않은 상태에서 이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즉, 도 5와 같이 체결부재(108)의 압박에 의한 힘(P)으로 전선(106)이 눌려질 경우 분산된 힘(P2)에 의해 밀착홈(114)으로 전선(106)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전선(106)이 외부로 밀려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연결단자(102)에 전선(106)이 기밀하게 결합되면, 연결단자(102)와 전선(106)이 밀착되기 때문에 외부로 밀려난 벗겨진 부분의 전선(106)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합선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100)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단자삽입몸체(110)를 단차가 진 적층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단자삽입몸체(110)를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은, 앞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사용자에게 식별력을 제공하여 전선(106)의 명확한 설치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연결단자(102)에 설치되는 전선(106) 상호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많은 수의 영상 및 음향기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의 입출력단자(20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 형태의 몸체에 다수개의 연결단자(102)를 가로방향으로 밀착하여 설치함에 있어, 밀착홈(114)이 형성된 연결단자(102)를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형태의 입출력단자(200)에도 연결단자(102)에 밀착홈(114)이 형성된 상태에서 전선(106)을 삽입하여 고정할 경우 외부로 밀려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기밀한 고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100)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연결단자(102)가 한 쌍씩 묶음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단자삽입몸체(110)에 한 쌍의 연결단자(102)를 위치시킨다.
각각의 연결단자(102)들이 단자삽입몸체(110)에 위치되면, 전선(106)이 위치하지 않는 연결단자(102)의 타단 부분은 인쇄회로기판측에 솔더링 또는 볼트 등에 의한 방법으로 결합한다.
이렇게 연결단자(10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단자(102)의 중공부에 전선(106)을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108)를 드라이버 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체결하게 되는데, 단자삽입몸체(110)가 한 쌍을 하나의 단위 유닛으로 되어 이들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S)이 형성되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동일 기기의 입출력 전선을 각 유닛에 명확하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삽입몸체(110)의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간격(S)에 의해 다른 유닛의 단자삽입몸체(110)에 설치 고정되는 입출력전선이 근접하게 설치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체결부재(108)에 의해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전선(106)은 그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부분이 밀착홈(114)에 위치하면서 아래방향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이들이 외부로 밀려나지 않으며 연결단자(102)의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쌍의 연결단자가 하나의 단위 유닛으로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기기에 연결되는 입력 및 출력 전선을 설치할 경우 사용자에게 식별력을 제공하여 전선을 명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위 유닛의 단자삽입몸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다른 기기의 입출력 전선의 근접 설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 발생이 최소화 되고, 연결단자에 밀착홈이 형성되어 전선을 고정할 경우 외부로 밀려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기밀한 고정이 가능한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를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중공형태로 제작된 일단의 중공부에 영상 및 음향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전선이 위치하며, 타단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단자와;상기 연결단자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입력 또는 출력전선을 상기 중공부에 압박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상기 연결단자가 각각에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한 쌍씩 묶음으로 형성되고, 이들 한 쌍의 묶음을 하나의 단위 유닛으로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병렬 배치되는 다수개의 단자삽입몸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삽입몸체 각각의 상부에는 단차지게 적층되는 다른 단자삽입몸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일단 내부에는 삽입된 상태의 상기 입력 또는 출력전선이 상기 체결부재의 압박으로 밀착되도록 밀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 일단이 중공형태로 제작되어 일단의 중공부에 영상 및 음향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전선이 위치하며, 타단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연결단자와; 상기연결단자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입력 또는 출력전선을 상기 중공부에 압박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단자가 각각에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병렬상태로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하우징으로 구성된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에 있어서,상기 중공부의 내측에는 삽입된 상태의 상기 입력 또는 출력전선이 상기 체결부재의 압박으로 밀착되도록 밀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2014U KR200366374Y1 (ko) | 2004-08-02 | 2004-08-02 |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2014U KR200366374Y1 (ko) | 2004-08-02 | 2004-08-02 |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6374Y1 true KR200366374Y1 (ko) | 2004-11-10 |
Family
ID=4944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2014U KR200366374Y1 (ko) | 2004-08-02 | 2004-08-02 |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6374Y1 (ko) |
-
2004
- 2004-08-02 KR KR20-2004-0022014U patent/KR20036637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39152B2 (en) | LED holder | |
US7134883B2 (en) | Connecting box for connecting to a solar panel | |
EP1034983B1 (en) | Branch connection box | |
EP1973210A2 (en) | Terminal box | |
WO2005011060A3 (en) |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with interlocking contact system | |
RU2702338C2 (ru) | Пластина с опрессованными контактами и соединитель | |
US9293848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 |
KR101070693B1 (ko) | 전도성 필름 연결용 커넥터 | |
KR20010098678A (ko) | 전기 커넥터를 위한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 | |
KR20040091754A (ko) |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 |
US6144134A (en) | Structure hidden mount for electric motor carbon brushes | |
US6471533B2 (en) | Retention module for securing heat sink | |
US7484970B1 (en) | Electrical connection socket structure | |
KR200366374Y1 (ko) | 영상 및 음향기기 입출력단자 | |
JP6082608B2 (ja) | 端子用取付けベース、スピーカ端子、およびオーディオ機器 | |
CN113036552A (zh) | 一种改进型多芯数电连接器 | |
US20180145440A1 (en) |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contacting module structure | |
CN216312249U (zh) | 一种改进型多芯数电连接器 | |
KR200302442Y1 (ko) | 피씨비용 배선 컨넥터 단자대 | |
US10249964B1 (en) | Terminal block | |
KR20080022892A (ko) | 전선접속장치 | |
KR20090009562U (ko) | 전선연결구 | |
US20130057974A1 (en) | Lens module socket | |
CN212783906U (zh) | 板对线连接器 | |
US4469914A (en) | Arrangement for fitting a connection block in a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