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892A - 전선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892A
KR20080022892A KR1020060086693A KR20060086693A KR20080022892A KR 20080022892 A KR20080022892 A KR 20080022892A KR 1020060086693 A KR1020060086693 A KR 1020060086693A KR 20060086693 A KR20060086693 A KR 20060086693A KR 20080022892 A KR20080022892 A KR 20080022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sulating body
fastening
connection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환
Original Assignee
전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운용 filed Critical 전운용
Priority to KR102006008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2892A/ko
Publication of KR2008002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된 절연몸체와, 상기 절연몸체에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로 된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선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절연몸체는, 상면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복수의 접속단자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상기한 복수의 접속단자 각각을 인입전선 및 분기전선 각각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볼트가 나사조립되는 체결홈부와, 상기한 각 접속단자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나사조립되는 지지부가 교대적으로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는, 절연몸체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이격설치되며, 상기의 중심부 양측 각각에 형성된 상기한 복수의 체결홈부 각각에 수용되는 삽입부와 상기한 복수의 지지부 상면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전선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결속되는 전선접속구가 교대적으로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Figure P1020060086693
전선접속장치, 접속단자, 전선접속구, 체결볼트, 결속구

Description

전선접속장치{Electric wire connec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상동 실시예의 전선접속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상동 실시예의 전선접속 작동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상동 실시예의 전선접속 작동상태 단면도.
도 11은 종래 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몸체 11 : 중심부
12 : 체결홈부 13 : 지지부
14 : 부착용 브라켓 15 : 안내공
16 : 수용홈 2 : 인입전선
3 : 분기전선 21,31 : 절연피복층
4 : 접속단자 41 : 삽입부
42 : 전선접속구 5 : 체결볼트
6 : 결속구 61 : 가압부
62 : 수직부 63 : 수평부
7 : 부착볼트 8 : 조립볼트
본 발명은 전선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配電盤) 등으로 인입되는 인입전선과 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여러가닥의 분기전선을 각기 개별적으로 접속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선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사용하는 산업체에서 여러대의 기계기구 및 전기·전자장치 등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에서는 각 세대로 전기를 공급함에 있어서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발전기나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해 배전반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한 배전반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여러곳으로 공급하기 위해 인입전선에 여러가닥의 분기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선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기존에 사용되는 전기접속단자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배전반에 사용되고 있는 전선접속단자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하는 인입전선(100)을 피복하고 있는 절연피복층의 일부를 벗겨낸 다음 절연피복층이 제거된 스트립부 외주에 절연피복층이 제거된 여러가닥의 분기전선(200)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인입전선(100)과 그 주위에 접속된 분기전선(200)들을 동시에 "U"자형으 로 된 접속단자(300)로 감싸준 다음 그 양단을 압착하므로서 상기한 접속단자(300)가 여러가닥의 분기전선(200)들이 인입전선(100) 주위에 고정된 상태로 접속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인입전선(100)의 주위에 여러가닥의 분기전선(200)들이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접속시킨 상태에서 "U"자형으로 된 접속단자(300)로 접속시키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까다로우며, 특히 상기한 접속단자(300)는 단순히 "C"자형으로 압착된 상태로 각 분기전선(200)을 인입전선(100)에 접속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주위의 온도가 높고 또 각 분기전선(200)으로 흐르는 전류량이 급증하게 될 때에는 인입전선(100) 및 각 분기전선(200)들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어 접속단자(300) 자체가 늘어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접속단자(300)가 각 전선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늘어나게 될 경우에는 인입전선(100)과 각 분기전선(200)의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접속불량시에는 열의 발생이 증가하게 되어 과부하로 인한 화재의 원인이 되는 더 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인입전선과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기전선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인입전선 및 각 분기전선들의 접속작업이 용이하고, 또 상기한 분기전선들이 설치된 장소에서 전기사용량이 급증하게 되더라도 이에 상관없이 각 접속단자들은 각 전선들을 견고하게 접속시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접속불량에 의한 단선사고 또는 화재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전선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된 절연몸체와, 상기 절연몸체에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로 된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선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절연몸체는, 상면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복수의 접속단자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상기한 복수의 접속단자 각각을 인입전선 및 분기전선 각각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볼트가 나사조립되는 체결홈부와, 상기한 각 접속단자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나사조립되는 지지부가 교대적으로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는, 절연몸체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이격설치되며, 상기의 중심부 양측 각각에 형성된 상기한 복수의 체결홈부 각각에 수용되는 삽입부와 상기한 복수의 지지부 상면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전선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결속되는 전선접속구가 교대적으로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한 절연몸체에 나사조립되는 복수의 체결볼트 각각의 나사조임에 의하여 전선이 하나씩 수용된 상기한 각 전선접속구의 개구된 단부 상단을 절연몸체측을 향해 하향으로 가압하여 전선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결속시키게 되는 결속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한 절연몸체의 체결홈부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부와, 상기한 절연몸체의 부착돌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선을 하나씩 삽입시키는 것을 허용한 후 삽입된 전선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결속시키게 되는 "⊃"자형으로 된 복수의 전선접속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한 체결홈부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복수의 삽입부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 상기한 지지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선을 감싼 상태로 결속하는 복수의 전선접속구들은 상기한 삽입부들과는 별도로 각기 개별적으로 제작되며, 상기한 전선접속구들 각각은 삽입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삽입부들 각 상면에 전선접속구를 하나씩 얹어놓은 상태에서 상기한 지지부에 나사조립되는 부착볼트로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몸체에는 중심부를 기준하여 양측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구는 단면이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안내공 각각에 상,하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부와, 접속단자의 전선접속구 상단을 위에서 누를수 있도록 연장된 수평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의 전선접속구는 결속구의 수평부를 관통하여 절연몸체에 나사조립된 체결볼트의 나사조임시 상기한 수평부의 가압력에 의해 전선을 감싸면서 결속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몸체의 체결홈부 각각의 바닥에는 전선을 결속시키는 전선접속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구에는 전선접속구를 전선 외주에 밀착되도록 결속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전선접속구의 개구된 상단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 실시예의 전선접속 작동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 실시예의 전선접속 작동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 실시예의 전선접속 작동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각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배전반 등에 부착되는 절연몸체(1)와, 두가닥의 인입전선(2) 및 복수 가닥의 분기전선(3)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단자(4) 및 상기한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를 접속단(4)에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볼트(5)를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상기 절연몸체(1)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플라스틱 등)로 되어 있으며, 그 상면의 중심부(11)를 기준하여 그 양측 각각에는 요홈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체 결홈부(12)와 각 체결홈부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절연몸체(1)의 하부에는 배전반 등에 볼트나 나사못으로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용 브라켓(14)이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4)는 전기가 잘 통하는 재질(구리(銅) 등)으로 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두가닥의 인입전선(2)을 합선시키지 않도록 절연몸체(1)의 중심부(11)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접속단자(4)에는 절연몸체(1)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부(12)에 삽입 수용되는 복수의 삽입부(41)들과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의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결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선접속구(42)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5)는 절연몸체(1)에 나사조립되어 접속단자(4)를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이루어진 본 발명을 각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절연몸체(1)의 중심부(11)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형성되는 각 구성요소들 중 동일한 구조이거나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같은 명칭,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절연몸체(1)는 그 상면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중심부(11)를 기준하여 양측에 복수의 체결홈부(12) 및 지지부(13)들이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체결홈부(12)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부호 생략)의 저부에는 체결볼트(5)를 나사 조립하기 위한 너트(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4)는 폭이 좁은 띠상의 금속판재를 소재로 하여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펀칭 및 절곡 가공공정을 통하여 하향으로 절곡된 복수의 삽입부(41)와, 상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선접속구(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삽입부(41)들은 상기한 금속판재의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 좁은 폭으로 하향 절곡되는 한편, 상기한 전선접속구(42)들은 상기한 각 삽입부(41)의 일측이나 그 사이에서 삽입부(41)보다 큰 폭으로 상향 절곡되는 구조로서, 상기한 삽입부(41)와 전선접속구(4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 삽입부(41)들은 접속단자(4)를 절연몸체(1) 상면에 장착시킬 때 복수의 체결홈부(12)에 삽입 수용되어 상기 접속단자(4)를 절연몸체(1)에 정확히 장착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한 접속단자(4)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전선접속구(42)들은 일측이 개구된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는데, 상기한 전선접속구(42)들은 직경이 큰 인입전선(2)을 결속시키는 것은 크게 형성되고, 직경이 작은 분기전선(3)을 결속시키는 것은 작게 형성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상기한 전선접속구(42)들 각각은 개구된 상단이 절연몸체(1)에 나사조립된 체결볼트(5)에 끼워져 있는 결속구(6)에 의하여 하향으로 가압되는 작동으로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속된다.
상기한 결속구(6)에는 전선접속구(42)들 각각의 개구된 상단을 효과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6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4)는 도면을 기준하여 볼 때 그 일측 끝단은 절연몸체(1)의 끝단에 나사조립되는 부착볼트(7)에 의하여 절연몸체(1)로 부착된다.
한편, 상기한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 각각은 절연피복층(21)(31)으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속단자(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각 전선접속구(42)에 결속되는 부분을 피복하고 있는 절연피복층(21)(31)을 벗겨낸 상태에서 전선접속구(42)에 결속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접속단자(4)의 각 전선접속부(42)에 절연피복층(21)(31)이 제거된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을 끼워넣은 다음, 체결볼트(5)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결속구(6)가 절연몸체(1)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한 결속구(6)의 가압부(61)가 전선접속구(42)의 개구된 상단을 가압하게 되므로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전선접속구(42)는 절연피복층(21)(31)이 제거된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의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결속하게 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도 1 내지 도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만 접속단자(4)를 구성하는 복수의 삽입부(41)측 단자와 전선접속구(42)를 분리하여 제작한 다음 상기한 삽입부(41)측 단자와 전선접속구(42) 각각을 조립볼트(8)로서 절연몸체(1)에 나사조립으로 부착시킴과 동시에 결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점이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를 나타내고 있을 뿐 그외 인입전선(2) 및 분기점선(3)을 결속시키는데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는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한다.
이 실시예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절연몸체(1)의 중심부(11)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양측 접속단자(4)들은 각기 띠상으로 된 금속판재를 프레스 등을 이용한 펀칭 및 절곡 가공공정으로 복수의 삽입부(41)와 복수의 전선접속구(4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몸체(1)의 각 체결홈부(12) 바닥에 형성되는 안내공(15)이 추가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접속단자(4)에 형성된 복수의 전선접속구(42)의 개구된 상단을 가압하기 위한 결속구(6)를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의 결속구(6)는 수직부(62)와 수평부(63)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안내공(15)에는 결속구(6)의 수직부(62)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는, 상기 절연몸체(1)의 상면에 접속단자(4)를 고정 부착시킴에 있어 절연몸체(1)의 각 체결홈부(12)에는 접속단자(1)의 각 삽입부(41)가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되도록 하는 한편, 접속단자(4)의 일단이 절연몸체(1)의 중심부(11)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부착볼트(7)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접속단자(1)의 각 전선접속부(42)는 절연몸체(1)의 지지부(13)의 상면 일측에서 각 결속구(6)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접속단자(4)의 각 전선접속구(42)에 절연피복층(21)(31)이 제거된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을 도 6의 도시와 같이 삽입시킨 상태에서 각 체결볼트(5)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각 결속구(6)의 수직부(62)는 안내공(15)을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이에 따라 수평부(63)와 그 선단에 형성된 가압부(61)도 하향으로 이동되면서 전선접속구(42)의 개구된 상단을 하향으로 눌러주게 되므로서 각 전선접속구(42)들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각 전선(2)(3)을 감싸면서 체결홈부(12)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상태로 결속하게 된다.
다음,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절연몸체(1)에는 중심부(11)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복수개씩의 체결홈부(12)와 지지부(1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 접속단자(4) 역시 띠상으로 된 금속판재를 프레스등을 이용하여 펀칭 및 절곡 가공공정으로 통해 복수개씩의 삽입부(11)와 전선접속구(42)를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절연몸체(1)의 중심부(11)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는 양측 접속단자(4)들이 상기한 중심부(11)에 근접해 있는 지지부(13)에 나사조립되는 조립볼트(7)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또한 두가닥의 인입전선(2)이 삽입되는 전선접속구(42)를 가압하여 결속시키는 결속구(6)는 상기 절연몸체(1)의 중심부(11) 양측에 형성된 안내공(15)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전기 실시예(도 5 내지 도 7 참조)와 차이를 나나태고 있을 뿐 인입전선(2)과 분기전선(3)들을 결속기시키 위한 구성은 전기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다만, 이 실시예는 절연몸체(1)의 각 체결홈부(12)의 바닥에 수용홈(16)이 추가적으로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각 전선접속구(42)에 결속되는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들의 직경이 전술한 실시예에 사용된 전선(2)(3)들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 전선접속구(42)가 각 전선(2)(3)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즉, 상기한 수용홈(16)은 도 10의 도시와 같이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을 감싼 상태로 견고하게 결속시키기 위해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을 결속하게 되는 전선접속구(42)가 체결홈부(12)의 바닥보다 낮은 높이까지 절곡될 때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므로서 각 전선접속구(42)로 인입전선 및 분기전선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각 실시예들은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을 결속하는 각 전선접속구(42)들은 복수의 삽입부(41)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입전선(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는 각 삽입부(41)와 분기전선이 결속된 각 전선접속구(42)로 통전되어 분기전선(3)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며, 또한 절연몸체(1)의 중심부(11)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설치되는 양측 접속단자(4)들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인입전선(2)과 복수의 분기전선(3)들을 각기 개별적으로 연결 접속시키고 있기 때문에 전기사용량이 급증하게 되더라도 열발생이 어느 한 곳의 전선에 집중되지 않게 되므로서 과부하로 인한 합선이나 화재 발생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또 각 전선접속구(42)에 과도한 열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접속불량의 현상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배전반을 점검하는 작업자는 수시 또는 정기적인 점검작업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체결볼트(5)을 나사조임하는 간편한 점검작업으로 상기한 전선접속구(42)를 인입전선(2) 및 분기전선(3)에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반 등에서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인입전선과 인입전선으로 공급된 전기를 여러 곳으로 공급하는 여러가닥의 분기전선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각 전선의 결속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기사용량이 급증하게 되더라도 과부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합선 및 화재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된 절연몸체와, 상기 절연몸체에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로 된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선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절연몸체는, 상면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복수의 접속단자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상기한 복수의 접속단자 각각을 인입전선 및 분기전선 각각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볼트가 나사조립되는 체결홈부와, 상기한 각 접속단자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나사조립되는 지지부가 교대적으로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는, 절연몸체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그 양측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이격설치되며, 상기의 중심부 양측 각각에 형성된 상기한 복수의 체결홈부 각각에 수용되는 삽입부와 상기한 복수의 지지부 상면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전선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결속되는 전선접속구가 교대적으로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한 절연몸체에 나사조립되는 복수의 체결볼트 각각의 나사조임에 의하여 전선이 하나씩 수용된 상기한 각 전선접속구의 개구된 단부 상단을 절연몸체측을 향해 하향으로 가압하여 전선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결속시키게 되는 결속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한 절연몸체의 체결홈부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부와, 상기한 절연몸체의 부착돌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선을 하나씩 삽입시키는 것을 허용한 후 삽입된 전선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결속시키게 되는 "⊃"자형으로 된 복수의 전선접속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한 체결홈부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복수의 삽입부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 상기한 지지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선을 감싼 상태로 결속하는 복수의 전선접속구들은 상기한 삽입부들과는 별도로 각기 개별적으로 제작되며, 상기한 전선접속구들 각각은 삽입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삽입부들 각 상면에 전선접속구를 하나씩 얹어놓은 상태에서 상기한 지지부에 나사조립되는 부착볼트로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절연몸체에는 중심부를 기준하여 양측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구는 단면이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안내공 각각에 상,하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부와, 접속단자의 전선접속구 상단을 위에서 누를수 있도록 연장된 수평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의 전선접속구는 결속구의 수평부를 관통하여 절연몸체에 나사조립된 체결볼트의 나사조임시 상기한 수평부의 가압력에 의해 전선을 감싸면서 결속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몸체의 체결홈부 각각의 바닥에는 전선을 결속시키는 전선접속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에는 전선접속구를 전선 외주에 밀착되도록 결속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전선접속구의 개구된 상단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장치.
KR1020060086693A 2006-09-08 2006-09-08 전선접속장치 KR20080022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93A KR20080022892A (ko) 2006-09-08 2006-09-08 전선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93A KR20080022892A (ko) 2006-09-08 2006-09-08 전선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892A true KR20080022892A (ko) 2008-03-12

Family

ID=3939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693A KR20080022892A (ko) 2006-09-08 2006-09-08 전선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28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24Y1 (ko) * 2009-12-30 2012-04-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클리트
KR200459995Y1 (ko) * 2010-11-16 2012-04-26 조성기 전선 접속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접속박스
CN104009422A (zh) * 2014-05-28 2014-08-27 苏州锟恩电子科技有限公司 电话线布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24Y1 (ko) * 2009-12-30 2012-04-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클리트
KR200459995Y1 (ko) * 2010-11-16 2012-04-26 조성기 전선 접속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접속박스
CN104009422A (zh) * 2014-05-28 2014-08-27 苏州锟恩电子科技有限公司 电话线布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1293B2 (en) Automobile power supply device
US7572976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box
US7384317B1 (en) Multi-terminal block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superimposed conductor connecting levels
KR100543965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 고정장치
US7175485B1 (en) Drop in clamp for wiring terminations
US11056861B2 (en) Conductor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7497711B2 (en) Modular method and system for insulated bus bar cable harness termination concept
JP2010094014A (ja) 電気モータインタフェース、そのための電気プラグ部品、電気モータ端子、及び電気モータ
JP2012524957A (ja) ケーブル接続装置
KR20080022892A (ko) 전선접속장치
US20240097384A1 (en) Conductor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10867670B (zh) 一种配电箱柜接线端子组件
JP2597397B2 (ja) 電線配線コネクタ
KR100594909B1 (ko)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KR101796114B1 (ko) 대용량 전력 단자대
US11145434B2 (en) Low voltage power conductor and system
CN111384614A (zh) 端子组件和电源连接器
EP3817163B1 (en) Conductor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CN210136947U (zh) 电池装置
KR101623761B1 (ko) 클립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US9240637B2 (en) High density terminal block
CN211958259U (zh) 一种环形配电盘
US20110155422A1 (en) Wire insulating terminal and circuit board module employing same
KR200233194Y1 (ko) 판형 전력 케이블
KR20060078638A (ko) 점프 밴드 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