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126B1 - 배전선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126B1
KR100952126B1 KR1020090114159A KR20090114159A KR100952126B1 KR 100952126 B1 KR100952126 B1 KR 100952126B1 KR 1020090114159 A KR1020090114159 A KR 1020090114159A KR 20090114159 A KR20090114159 A KR 20090114159A KR 100952126 B1 KR100952126 B1 KR 100952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und
ground wire
mounting groov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태
Original Assignee
(주)고려에스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에스앤디 filed Critical (주)고려에스앤디
Priority to KR102009011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0Side-supporting means therefor, e.g. using guy rop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끼움 결합되는 일측 외측면에 화살촉 형상의 결합돌기가 반대 측의 외측면에는 화살촉 형상의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에는 호 형상의 지지구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의 중앙 부분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고정구 장착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연결구와, 상기 지지연결구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고 내부에 전주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받침대와, 상기 고정구 장착홈에 삽입장착되고 상기 연통공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접지선 고정구와, 상기 지지구 장착홈에 각각 삽입장착되고, 외면 둘레에는 한 개 이상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연결구의 상면에 지탱되며, 상기 고정구 장착홈과 대응하는 수직방향에는 접지선을 통과시켜 상기 접지선의 끝단에 형성된 심재 부분이 상기 접지선 고정구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관통수직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구와, 상기 연통공에 나선결합되면서 일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접지선 고정구의 방향에 위치한 내부 끝단은 상기 고정구 장착홈에 위치한 접지선의 심재와 밀착되는 접지 결합구와, 하부를 향해 직각형성되면서 수직방향의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수평방향의 끝단에는 접지봉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접지봉 결합홈은 접지 결합구를 형성하는 내부 끝단의 반대 측에 위치한 부분과 나선 결합되는 접지봉과, 상기 접지봉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보호커버와, 상기 고정받침대의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전주와 지지구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 접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연결구조를 끼움 결합식이나 나사 결합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배전선 접지장치의 결합과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전선 접지장치에 다수개의 접지봉을 연결하여 신속하게 과전압을 지면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전선 접지장치, 고정받침대, 지지연결구, 접지선 고정구, 지지구, 접지선,접지 결합구, 접지봉, 보호커버, 간격유지구, 전주.

Description

배전선 접지장치{GROUND APPARATUS FOR ELECTRIC WIRE}
본 발명은 배전선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와 더불어 전주 주변에 매설되는 접지장치에 의해 접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접지장치의 결합 또는 분해가 용이하도록 한 배전선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은 발전소로부터 변전소로 전송되어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친 후 콘크리트 전주와 같은 배전로를 따라 전주의 주상 변압기를 통해 가정으로 전달된다.
이때,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에는 뇌(雷), 써지(surge) 등 이상전압에 의한 기기보호와 누전으로 인한 각종전기재해방지를 위하여 배전선에서의 물질확보 및 양호한 접지를 필요로 한다.
상기한 접지는 전력이나 낙뢰로부터 인간 및 전력설비 보호 기능을 갖는다.
실용신안등록 제0267212호는 전주의 길이에 해당하는 지름에 따라 임의로 가변이 가능하도록 된 절연판과 접지동판을 구비하여 상기 절연판과 접지동판이 서로 밀착되도록 클립으로 고정시키는 접지구조를 갖는 전주용 접지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 구성은 전주의 지름에 상관없이 접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전주와 접지장치 설치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다양한 길이(10m, 12m, 14m, 16m)로 형성되는 전주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있어 작은 직경의 전주에 조립되는 접지장치를 이용하게 되므로 접지면적이 작고, 과전압을 순간적으로 흘려 보내기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정해진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 인한 과전류는 가정에까지 유입되어 가전기구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전선 접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연결구조를 끼움 결합식이나 나사 결합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배전선 접지장치의 결합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전선 접지장치의 손상이나 파손시 해당되는 부품만 교체하여 경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전선 접지장치에 다수개의 접지봉을 연결하여 신속하게 과전압을 지면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전선 접지장치에 있어서 끼움 결합되는 일측 외측면에 화살촉 형상의 결합돌기가 반대 측의 외측면에는 화살촉 형상의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에는 호 형상의 지지구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의 중앙 부분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고정구 장착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연결구와, 상기 지지연결구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고 내부에 전주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받침대와, 상기 고정구 장착홈에 삽입장착되고 상기 연통공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접지선 고정구와, 상기 지지구 장착홈에 각각 삽입장착되고, 외면 둘레에는 한 개 이상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연결구의 상면에 지탱되며, 상기 고정구 장착홈과 대응하는 수직방향에는 접지선을 통과시켜 상기 접지선의 끝단에 형성된 심재 부분이 상기 접지선 고정구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관통수직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구와, 상기 연통공에 나선결합되면서 일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접지선 고정구의 방향에 위치한 내부 끝단은 상기 고정구 장착홈에 위치한 접지선의 심재와 밀착되는 접지 결합구와, 하부를 향해 직각형성되면서 수직방향의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수평방향의 끝단에는 접지봉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접지봉 결합홈은 접지 결합구를 형성하는 내부 끝단의 반대 측에 위치한 부분과 나선 결합되는 접지봉과, 상기 접지봉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보호커버와, 상기 고정받침대의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전주와 지지구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 접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연결구조를 끼움 결합식이나 나사 결합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배전선 접지장치의 결합과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선 접지장치의 손상이나 파손시 해당되는 부품만 교체하여 경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선 접지장치에 다수개의 접지봉을 연결하여 신속하게 과전압을 지면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지장 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지장치를 구성하는 지지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배전선 접지장치(10)는 다수개의 지지연결구(30)로 형성되는 고정받침대(20)와, 상기 지지연결구(30)를 구성하는 고정구 장착홈에 삽입장착되는 접지선 고정구(40)와, 상기 지지연결구(30)를 구성하는 지지구 장착홈에 삽입장착되는 지지구(50)와, 상기 연통공(34)에 결합되는 접지 결합구(70)와, 상기 접지 결합구(70)와 나선 결합되는 접지봉(80)과, 상기 접지봉(80)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보호커버(90)와, 상기 고정받침대(20)의 장착공간(21)에 장착되는 전주(110)와 지지구(50)의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10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연결구(30)는 일측 외측면에 화살촉 형상의 결합돌기(31)가 형성되고, 반대 측의 외측면에는 화살촉 형상의 결합홈(32)이 각각 형성되며, 상면에는 호 형상의 지지구 장착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 장착홈(33)의 중앙 부분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공(35)이 구비된 고정구 장착홈(3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연결구(3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판을 분할하여 형성되고, 연결부분의 일측에는 결합홈(32)이 반대 측에는 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 장착홈(33)은 호 형상뿐만 아니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장착홈(34)은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공(35)과 개방된 상부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연결구(30)의 상면에는 화살촉 형상의 지지돌기(36)가 분할형성되고 상기 지지돌(36)의 외면에는 지지고정구(120)가 끼움 결합되는 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지지연결구(30)가 접촉하는 부분의 상면에 지지돌기(36)를 일체로 형성한 후 상기 지지돌기(36)에 지지고정구(120)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받침대(20)는 다수개의 지지연결구(30)를 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주(110)의 장착과 지지를 위한 전주 장착공간(2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 장착홈(34)에 삽입장착되는 접지선 고정구(40)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접지선 고정구(40)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접지선(60)의 심재(61)가 장착되고 상기 연통공(35)과 대응하는 관통공(41)으로 상기 접지 결합구(70)가 결합되어 상기 심재(61)와 접지 결합구(70)과 연결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구 장착홈(33)에 각각 삽입장착되는 다수개의 지지구(50)는 외면 둘레에 두 개 이상의 지지대(51)가 형성되고 중앙 수직방향에는 관통수직공(5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구(50)는 외면 둘레에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대(51)가 상기 지지연결구(30)의 상면에 지탱되고, 상기 고정구 장착홈(34)과 대응하는 수직방향에는 접지선(60)을 통과시켜 상기 접지선(60)의 끝단에 형성된 심재(61) 부분이 상기 접지선 고정구(4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관통수직공(5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통공(35)에 결합되는 접지 결합구(70)는 소정의 길이와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접지 결합구(70)는 상기 연통공(35)에 나선결합되면서 일부가 돌출형성되고 내부 끝단(71)은 상기 접지선(60)의 심재(61)와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접지 결합구(70)와 나선 결합되는 접지봉(80)은 하부를 향해 직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의 끝단(81)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수평방향의 끝단에는 접지봉 결합홈(82)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봉(80)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보호커버(9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그 형상은 상기 접지봉(80)의 외면과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밀착결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고정받침대(20)의 장착공간(21)에 장착되는 전주(110)와 지지구(50)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받침대(20)와 전주(11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주(110)의 외면에는 상기 접지선(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접지선 고정구(13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접지선 고정구(130)는 상기 접지선(60)이 접촉하는 부분에 삽입홀(131)이 형성되고 연결부분(132)에는 벨크로 테이프나 똑딱이 등의 형성된다.
즉, 상기 접지선 고정구(130)는 삽입홀(131)을 이용해서 상기 접지선(6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벨크로 테이프나 똑딱이를 이용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전선 접지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일측 외측면에 화살촉 형상의 결합돌기(31)가 반대 측의 외측면에는 화살촉 형상의 결합홈(32)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에는 호 형상의 지지구 장착홈(33)이 형성되면서 중앙 부분에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공(35)이 구비된 고정구 장착홈(34)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연결구(30)를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연결구(30)를 끼움 결합하여 내부에 전주 장착공간(21)이 형성되는 고정받침대(20)를 형성한다.
즉, 상기 고정받침대(20)는 상기 지지연결구(30)를 구성하는 결합돌기(31) 및 결합홈(32)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돌기(36) 및 지지고정구(120)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고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상기 고정받침대(20)의 결합 또는 분해를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구 장착홈(34)에 관통공(41)이 형성되는 접지선 고정구(40)를 삽입장착한 후 상기 지지구 장착홈(33)에 두 개의 지지대(51)가 외면 둘레에 형성되고 중앙 수직방향에 관통수직공(52)이 형성되는 지지구(50)를 각각 삽입 결합한다.
또한, 상기 연통공(35)에 접지 결합구(70)를 나선결합하되, 상기 접지 결합구(70)는 일부가 돌출형성되고 내부 끝단(71)이 상기 관통수직공(52)을 통과하는 상기 접지선(60)의 심재(61)와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 결합구(70)에 접지봉 결합홈(82)를 나선 결합하여 접지봉(80)을 고정한 후 상기 접지봉(80)의 상부 외면에 보호커버(90)를 삽입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구(50)의 내부에 간격유지구(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전주(110)와 접지선(60)을 연결장착하면 배전선 접지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전선 접지장치(10)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주(110)와 연결된 접지선(60)은 고정되고 끝단에 위치한 심재(61)가 접지선 고정구(42)와 접지 결합구(70)를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 결합구(70)와 접지봉(80)과 통전 연결됨으로써 지면에서 원활한 접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배전선 접지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지장치를 구성하는 지지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접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전선 접지장치, 20 : 고정받침대,
21 : 전주 장착공간, 30 : 지지연결구,
31 : 결합돌기, 32 : 결합홈,
33 : 지지구 장착홈, 34 : 고정구 장착홈,
35 : 연통공, 40 : 접지선 고정구,
50 : 지지구, 60 : 접지선,
70 : 접지 결합구, 80 : 접지봉,
90 : 보호커버, 100 : 간격유지구,
110 : 전주.

Claims (3)

  1. 배전선 접지장치(10)에 있어서,
    끼움 결합되는 일측 외측면에 화살촉 형상의 결합돌기(31)가 반대 측의 외측면에는 화살촉 형상의 결합홈(32)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에는 호 형상의 지지구 장착홈(33)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33)의 중앙 부분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공(35)이 형성된 고정구 장착홈(34)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연결구(30)와,
    상기 지지연결구(3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고 내부에 전주 장착공간(21)이 형성되는 고정받침대(20)와,
    상기 고정구 장착홈(34)에 삽입장착되고 상기 연통공(35)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관통공(41)이 형성되는 접지선 고정구(40)와,
    상기 지지구 장착홈(33)에 각각 삽입장착되고, 외면 둘레에는 한 개 이상의 지지대(51)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연결구(30)의 상면에 지탱되며, 상기 고정구 장착홈(34)과 대응하는 수직방향에는 접지선(60)을 통과시켜 상기 접지선(60)의 끝단에 형성된 심재(61) 부분이 상기 접지선 고정구(4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관통수직공(52)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구(50)와,
    상기 연통공(35)에 나선결합되면서 일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접지선 고정구(40)의 방향에 위치한 내부 끝단(71)은 상기 고정구 장착홈(34)에 위치한 접지선(60)의 심재(61)와 밀착되는 접지 결합구(70)와,
    하부를 향해 직각형성되면서 수직방향의 끝단(81)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수평방향의 끝단에는 접지봉 결합홈(82)이 형성되되, 상기 접지봉 결합홈(82)은 접지 결합구(40)를 형성하는 내부 끝단(71)의 반대 측에 위치한 부분과 나선 결합되는 접지봉(80)과,
    상기 접지봉(80)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보호커버(90)와,
    상기 고정받침대(20)의 장착공간(21)에 장착되는 전주(110)와 지지구(50)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접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대(20)를 구성하는 지지연결구(30)의 연결부분 상면에 화살촉 형상의 지지돌기(36)가 분할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36)의 외면에는 지지고정구(120)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접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주(110)의 외면으로 상기 접지선(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접지선 고정구(130)가 장착되되, 상기 접지선 고정구(130)는 접지선(60)이 접촉하는 부분에 삽입홀(131)이 형성되고 연결부분(132)에는 벨크로 테이프나 똑딱이를 이용해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접지장치.
KR1020090114159A 2009-11-24 2009-11-24 배전선 접지장치 KR100952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159A KR100952126B1 (ko) 2009-11-24 2009-11-24 배전선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159A KR100952126B1 (ko) 2009-11-24 2009-11-24 배전선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126B1 true KR100952126B1 (ko) 2010-04-08

Family

ID=4221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159A KR100952126B1 (ko) 2009-11-24 2009-11-24 배전선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1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6138A (zh) * 2013-05-23 2013-09-25 国家电网公司 电力线路接地棒装拆装置
CN105305357A (zh) * 2015-12-10 2016-02-03 国网四川省电力公司巴中供电公司 高压输电线改进型防雷结构
KR102026184B1 (ko) * 2019-03-12 2019-09-27 (주)삼현기술단 배전선로 전주용 접지면적 증대형 접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938B1 (ko) 2008-02-13 2008-04-04 (주)우일전기설계감리 전주용 접지판
KR100820061B1 (ko) 2007-12-14 2008-04-08 김정숙 전주용 배전선 접지구조
KR100851250B1 (ko) 2008-06-03 2008-08-08 상지이앤씨(주) 배전선 접지장치
KR100857151B1 (ko) 2008-05-26 2008-09-10 (주)경전기술감리단 배전 전주용 접지 시설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61B1 (ko) 2007-12-14 2008-04-08 김정숙 전주용 배전선 접지구조
KR100818938B1 (ko) 2008-02-13 2008-04-04 (주)우일전기설계감리 전주용 접지판
KR100857151B1 (ko) 2008-05-26 2008-09-10 (주)경전기술감리단 배전 전주용 접지 시설물
KR100851250B1 (ko) 2008-06-03 2008-08-08 상지이앤씨(주) 배전선 접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6138A (zh) * 2013-05-23 2013-09-25 国家电网公司 电力线路接地棒装拆装置
CN105305357A (zh) * 2015-12-10 2016-02-03 国网四川省电力公司巴中供电公司 高压输电线改进型防雷结构
KR102026184B1 (ko) * 2019-03-12 2019-09-27 (주)삼현기술단 배전선로 전주용 접지면적 증대형 접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520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1007896B1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116630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100952126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815166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1123909B1 (ko)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배전반
KR101447198B1 (ko)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KR100673388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1131172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1445847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851250B1 (ko) 배전선 접지장치
US9685772B2 (en) Insulated power line framings
KR100582192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KR100882568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CN112331426A (zh) 一种电瓷针式绝缘子
KR200443914Y1 (ko) 전도방지기능을 갖는 전주용 접지장치
KR101033640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102026184B1 (ko) 배전선로 전주용 접지면적 증대형 접지장치
KR20120005702U (ko) 케이블 지지 장치
KR102485151B1 (ko) 엘보 접속재 연결구
CN201498292U (zh) 组合式避雷器
KR100952211B1 (ko) 절연형 지중매설 배전선 인입가이드
CN212624972U (zh) 一种超高压合成绝缘子结构
CN210273039U (zh) 一种开关柜内部用电缆罩
KR102109524B1 (ko) 배전선로 접지용 전신주 접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