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192B1 -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192B1
KR100582192B1 KR1020050097203A KR20050097203A KR100582192B1 KR 100582192 B1 KR100582192 B1 KR 100582192B1 KR 1020050097203 A KR1020050097203 A KR 1020050097203A KR 20050097203 A KR20050097203 A KR 20050097203A KR 100582192 B1 KR100582192 B1 KR 10058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partitions
pole
ground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9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면적의 증대와 과전압을 순간적으로 흘려 보낼 수 있는 충분한 여유공간을 보장하여 정해진 접지저항치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양쪽으로 분할되는 한 쌍으로 분할체(11,12)의 내주면에 다수의 반구형 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체(11,12)에는 서로 대향되는 조립부(14a,14b)가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분할체(11,12)의 내측으로 전주(50)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10)와;, 상,하부가 개방되는 4개의 측면판(21:21a,21b,21c,21d) 모서리에 앵글(23)이 용접 고정되고, 상기 앵글(23)의 내측면에 배전선 접지를 위한 접지부(25)가 설치되고, 상기 접지부(25)에는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26)가 구비되어 접지부(25)에 끼워지는 배전선 접지(40)를 고정하도록 된 철재프레임(20)과;, 일측은 서로 마주하는 철재프레임(20)의 측면판(21a,21c)에 당접되고 타측단은 고정부재(10)의 분할체(11,12)에 끼워져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30)의 외주면으로 조립되는 스프링(35)의 탄성에 가지는 지지부재(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주, 접지, 배전선, 배전로, 낙뢰, 누전,

Description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It is power line grounding equipment the week befo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에 전주가 시공되는 것을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고정부재 11,12: 분할체
13: 반구형 돌기 14a,14b: 조립부
20: 철재프레임 21a,21b,21c,21d: 측면판
23: 앵글 25: 접지부
26: 고정구 30: 지지부재
40: 배전선 접지 50: 전주
본 발명은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면적의 증대와 과전압을 순간적으로 흘려 보낼 수 있는 여유공간을 보장하여 정해진 접지저항치를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전주용 접지장치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은 발전소로부터 변전소로 전송되어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친 후 콘크리트 전주와 같은 배전로를 따라 전주의 주상 변압기를 통해 가정으로 전달된다.
이때,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에는 뇌(雷) , 써지(surge) 등 이상전압에 의한 기기보호와 누전으로 인한 각종 전기재해 방지를 위하여 배전선에서의 물질확보 및 양호한 접지를 필요로 한다.
상기한 접지는 전력이나 낙뢰로부터 인간 및 전력설비 보호 기능을 갖는다.
실용신안등록 제0267212호는 전주의 길이에 해당하는 지름에 따라 임의로 가변이 가능하도록 된 절연판과 접지동판을 구비하여 상기 절연판과 접지동판이 서로 밀착되도록 클립으로 고정시키는 접지구조를 갖는 전주용 접지장치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 구성은 전주의 지름에 상관없이 접지장치을 설치할 수 있어 전주와 접지장치 설치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다양한 길이(10m, 12m, 14m, 16m)로 형성되는 전주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있어 작은 직경의 전주에 조립되는 접지장치을 이용하게 되므로 접지면적이 작고, 과전 압을 순간적으로 흘려 보내기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정해진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 인한 과전류는 가정에까지 유입되어 가전기구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은 직경이 작은 전주에 고정되는 접지장치을 이용한 접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비롯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배전선의 접지구조가 전주가 아닌 전주 주변으로 매설되는 별도의 접지장치에 의해 접지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 기존보다 확장된 접지면적과 과전압을 순간적으로 흘려 보낼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정해진 접지저항치를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장치이 지하에 매립되는 전주의 하부측을 균일하게 지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하여 자립되는 전주 시공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서, 전주 하부측으로 조립되는 고정부재(10)와, 배전선 접지를 위한 접지부(25)가 구비되어 내측으로 상기 고정부재(10)를 수용하도록 된 철재프레임(20), 상기 고정부재(10)를 철재프레임(20)에 고정하는 지지부재(30)로 구성되는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에 전주가 조립된 것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는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와, 배전선 접지(40)를 위한 접지부(25)가 구비된 철재프레임(20), 상기 고정부재(10)를 철재프레임(20)에 고정하는 지지부재(30)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양쪽으로 분할되는 한 쌍으로 분할체(11,12)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체(11,12)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반구형 돌기(13)가 형성되고, 분할체(11,12)의 한쪽 선단에는 서로 대향되는 조립부(14a,14b)가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분할체(11,12)의 내측에 전주(50)를 끼워 넣은 후 조립부(14a,14b)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철재프레임(20)은 다수개의 강재 철근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측면판(21:21a,21b,21c,21d)에 의해 상,하부가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철재프레임(20)의 각 모서리에는 절곡된 앵글(23)이 용접 고정되어 상기 앵글(23)의 내측면에 배전선 접지를 위한 접지부(25)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접지부(25)는 중공 원통체로 형성되어 일측단이 앵글(23)에 체결부재로 고정되고, 접지부(25)의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26)가 구비되어 상기 접 지부(25)의 선단으로 끼워지는 배전선 접지(40)를 고정구(26)가 고정 및 해지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재(30)는 일측단이 고정부재(10)에 끼워져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측단은 서로 마주하는 철재프레임(20)의 측면판(21a,21c)에 당접되게 조립하여 지지부재(30)의 외주면으로 조립되는 스프링(35)이 고정부재(10)의 분할체(11,12)를 미는 반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는 먼저 전주 매설 위치에 전주를 포함하여 접지장치가 매설되어질 수 있도록 굴삭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와 깊이로 굴삭하고, 굴삭된 위치에 철재프레임(20)을 장착한 다음 고정부재(10)의 분할체(11,12)를 양쪽으로 벌리면서 그 내측으로 전주(50)를 끼워지도록 조립한다. 이때 스프링의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30)는 일측단이 고정부재(10)에 끼워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있어 분할체(11,12)는 지지부재(30)의 외주면으로 조립된 스프링(35)을 압축시키면서 일시적으로 후동하게 되었다 전주가 삽입후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전진하여 전주의 외주면을 압압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전주가 조립된 고정부재는 분할체(11,12)의 양쪽 선단에 형성된 조립부(24a,24b)를 이용하여 전주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철재프레임(20)의 각 모서리에 고정된 앵글(23)의 접지부(25)의 내측면에 배전선 접지를 연결한 다음 접지부(25)의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26)를 이용하여 배전선 접지를 고정한 다음 전주와 함께 본 발명의 전주 접지장치에 흙을 메워 매립하게 되면 모든 작업을 끝마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낙뢰, 유도뢰 및 변전소나 배전선의 차단기의 동작으로 생기는 진행파라고 부르는 써지성의 유입전류에 대한 접지성능은 접지저항에 의해 지배되지 않고 전송되는 선로의 매질의 변화로 좌우되는 써지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의 써지임피던스에 의해 토양중에 방전이 일어나면 순간적으로 큰 에너지를 토양으로 방출시키므로 전력설비에 영향을 미치는 대지전위 상승을 억제하여 위험성을 해소시켜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선의 접지가 전주가 아닌 전주 주변으로 매설되는 별도의 배전선 접지장치에 의해 접지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 기존보다 확장된 접지면적과 과전압을 순간적으로 흘려 보낼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정해진 접지저항치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전선 접지장치는 매립되는 전주의 하부측을 균일하게 지지하게 되어 전주 시공상태를 안정화를 꾀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얻게되어 수용가에 전압이 안정적으로 공급은 물론 전체적인 접지장치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양쪽으로 분할되는 한 쌍으로 분할체(11,12)의 내주면에 다수의 반구형 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체(11,12)에는 서로 대향되는 조립부(14a,14b)가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분할체(11,12)의 내측으로 전주(50)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10)와;,
    상,하부가 개방되는 4개의 측면판(21:21a,21b,21c,21d) 모서리에 앵글(23)이 용접 고정되고, 상기 앵글(23)의 내측면에 배전선 접지를 위한 접지부(25)가 설치되고, 상기 접지부(25)에는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26)가 구비되어 접지부(25)에 끼워지는 배전선 접지(40)를 고정하도록 된 철재프레임(20)과;,
    일측은 서로 마주하는 철재프레임(20)의 측면판(21a,21c)에 당접되고 타측단은 고정부재(10)의 분할체(11,12)에 끼워져 이동이 가능한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30)의 외주면으로 조립되는 스프링(35)의 탄성에 가지는 지지부재(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접지장치.
KR1020050097203A 2005-10-14 2005-10-14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KR10058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203A KR100582192B1 (ko) 2005-10-14 2005-10-14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203A KR100582192B1 (ko) 2005-10-14 2005-10-14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192B1 true KR100582192B1 (ko) 2006-05-23

Family

ID=3718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203A KR100582192B1 (ko) 2005-10-14 2005-10-14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95B1 (ko) 2006-11-01 2007-04-18 육혜연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KR100869084B1 (ko) 2008-08-19 2008-11-24 (주)첨단엔지니어링 배전선 접지장치
KR102026184B1 (ko) 2019-03-12 2019-09-27 (주)삼현기술단 배전선로 전주용 접지면적 증대형 접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95B1 (ko) 2006-11-01 2007-04-18 육혜연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KR100869084B1 (ko) 2008-08-19 2008-11-24 (주)첨단엔지니어링 배전선 접지장치
KR102026184B1 (ko) 2019-03-12 2019-09-27 (주)삼현기술단 배전선로 전주용 접지면적 증대형 접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93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815166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71369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582192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KR100673388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0846132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590408B1 (ko) 지중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100854336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100851250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952126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882568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200267212Y1 (ko) 전주용 접지판 구조
JP5258454B2 (ja) 接地システム
KR20030047909A (ko) 전주용 접지판 구조
KR100708295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KR100818149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905126B1 (ko) 지중 매설 고압선 지지대
KR101171059B1 (ko) 배전선 접지장치
JP4748673B2 (ja) 接地システム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0617900B1 (ko) 침 장착형 접지장치
KR200343950Y1 (ko) 배전 선로의 접지 장치
JP4054700B2 (ja) 建物における雷障害の低減装置
KR200443914Y1 (ko) 전도방지기능을 갖는 전주용 접지장치
KR102026184B1 (ko) 배전선로 전주용 접지면적 증대형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