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149B1 - 전주용 접지판 - Google Patents

전주용 접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149B1
KR100818149B1 KR1020080009967A KR20080009967A KR100818149B1 KR 100818149 B1 KR100818149 B1 KR 100818149B1 KR 1020080009967 A KR1020080009967 A KR 1020080009967A KR 20080009967 A KR20080009967 A KR 20080009967A KR 100818149 B1 KR100818149 B1 KR 100818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ring
pole
connection
electr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대한전기감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기감리(주) filed Critical 대한전기감리(주)
Priority to KR102008000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등분된 상협하광의 블록으로 지면에 매립된 전주의 하단부 외면을 사방에서 감싸고, 상단 내주연에는 링안착홈이 형성되며, 외주연 상중하부에는 각각 링홈이 형성되는 절연재질의 절연블록과; 원형링체로 상기 절연블록의 외주연 상중하부의 링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절연블록을 전주 하단부 외주연에 고정시키는 연결고정링과; 기립된 직사각형상의 도체인 판체로 상기 4등분된 절연블록 사이에 기립설치되어 일측선단면이 지주 외주연과 밀착되되 하단에서 내측으로는 상기 연결고정링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링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선단면 상단부에는 상기 링안착홈 연장선상의 링홈이 형성되며, 몸체에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접지판과; 도체인 링체로 상기 절연블록의 링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지판과 상기 링홈에서 밀착되고, 일측 상단에 앵커볼트가 돌출되는 연결접지링과; 중심에 전주가 삽입되는 전주공을 갖는 원형판체로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공을 갖고, 연결접지링과 상기 절연블록 및 상기 접지판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지면과의 절연을 이루는 절연재질의 절연덮개와; 전선이 피복에 감싸여 스프링형상으로 전주 외주연을 감으며 상측으로 연장되되 전선과 피복 사이에는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탄성유지체가 개재되고, 하단에는 전선이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체결고정된 체결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접지링의 앵커볼트에 체결고정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되 체결너트 외면에는 절연밴드가 감겨지며, 상단에는 접지연결이 이루어지는 스프링형접지선을 구비하는 전주용 접지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전주의 하단부에 전주의 외형에 대응되는 접지판을 사방에 기립고정하여 접지판과 연결되는 연결접지링에 의해 전주 외주연을 감아 올라가는 스프링형접지선을 통해 어스되도록 함으로써 접지판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고, 사방에 기립된 접지판을 통해 보다 높은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절연블록, 연결고정링, 접지판, 연결접지링, 절연덮개, 스프링형접지선, 전주

Description

전주용 접지판{GROUND PLATE FOR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용 접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전주의 하단부에 전주의 외형에 대응되는 접지판을 사방에 기립고정하여 접지판과 연결되는 연결접지링에 의해 전주 외주연을 감아 올라가는 스프링형접지선을 통해 어스되도록 함으로써 접지판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고, 사방에 기립된 접지판을 통해 보다 높은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주용 접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 정보화 및 도시화되는 현대사회는 밀집된 지역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에너지 중 가장 사용이 편리하고 수송이 간단하며 공해가 없는 깨끗한 에너지로서 사용되는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은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요인이 되는 실정이다.
상기의 중요한 에너지인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낙뢰와 같은 자연적인 재해로부터 미연에 방류하여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함은 물론 전기의 고품질도 보장되어야 하는데, 발전소에서 발전된 고품질의 전력을 일반 수용가에까지 안정적으로 전달하려면 송전선은 전력 수용가와 직결된 배전선에서의 물질확보가 필 요한 동시에 고품질의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양호한 접지가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상기 접지는 전력이나 낙뢰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전력사업의 측면에서 기준 전위를 제공하며, 낙뢰로부터 전력설비를 보호하고 계통의 고장시 귀로 전류의 통로가 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정보화 사회로의 가속화가 진행되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팩스밀리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화상정보 및 인터넷등 의 설비가 이용되고 있어 사고의 피해와 피해액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기기는 써지성의 급준파에 약한 측면이 있어 더욱더 전력의 고품질화를 요구하고 있다.
상기 전력은 발전소로부터 변전소로 전송되어 흔히 콘크리트 전주를 지지물로 하는 배전선을 따라 전주위의 주상 변압기를 통해 가정에 전달되는데, 배전선은 지중선과 가공선으로 분류되며, 지중선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데 우수한 반면, 건설비가 가공선에 비해 10배 이상 소요되고 사고의 파급이 크다는 문제가 있고, 특히 도심의 미관 등을 고려할 때 지중선이 바람직하나 이미 형성된 기존 도시에 지중선을 시공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현재 가공선에 의한 전력의 전송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친 전력을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일반 수용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 등의 배전선로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배전선로에는 고전압의 흔촉 및 지락(地絡) 사고시 보호계전기의 동작을 확실히 하여 이상전압을 억제하고, 뇌(雷), 써지(surge) 등 이상전압에 의한 기기보호와 누전으로 인한 각종 전기재해 방지를 위하여 접지를 하게 되는 젓이다.
한편, 접지란 전력 설비의 사고나 절연불량, 전원회로나 전자장치에 뇌서지(Lightning Surge) 또는 개폐서지(Switching Surge) 와 같은 과도한 이상전압이 침입 한때 취급자를 감전사고로부터 보호하고 설비기기의 절연파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정보, 통신 설비에서 잡음을 제거하여 정보전송의 양질화를 이룩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대지에 전기적 단자를 접속하는 것이다. 즉, 금속 또는 도전성 물체를 대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그의 전위를 대지와 같은 전위 또는 전위차를 최소화시키는 수단을 말한다.
이를 위한 지금까지 배전선로의 접지공사는 전주를 매설할 수 있는 일정깊이의 구덩이를 굴착한 후, 상기 구덩이 일측으로 일정깊이와 폭을 갖는 구덩이를 하나 더 굴착하고, 상기 구덩이에 접지에 사용되는 다수의 접지봉을 햄머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시켜 매설한 다음, 상기 전주 내에서 인출되는 인출선과 상기 접지봉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구덩이에 흙과 같은 내용물을 체워 시공 및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시공 작업에 의해 설치 완료된 전주는 배전선로가 광범위한 지역에 산재되어 있어 지역의 상황에 따라 소정의 접지 저항치를 얻기 위한 접지공사가 곤란하였고, 도심지에서 접지공사시 포장된 도로나 보도블럭을 파헤쳐야 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굴착 및 복구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지표면의 75㎝정도로 굴착된 지점에서 상기 접지봉을 해머로 타격하여 설치하므로 인해 상기 접지봉이 잘 들어가지 않게 되며, 들어가더라도 수도관, 가스관 및 통신 케이 블 등의 기 매설된 지하매설물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동시에 매설깊이가 깊을수록 접지저항치가 낮게 나타나게 됨으로써 소정의 접지저항치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접지에 따른 접지저항치를 낮추기 위하여 접지봉을 직렬로 연결하여 시공하거나, 둘 이상의 접지봉을 일정거리 이상 이격하여 병렬로 시공하여 왔으나, 이 모두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시공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접지효과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 못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하에 매설되는 전주의 하단부에 전주의 외형에 대응되는 접지판을 사방에 기립고정하여 접지판과 연결되는 연결접지링에 의해 전주 외주연을 감아 올라가는 스프링형접지선을 통해 어스되도록 함으로써 접지판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고, 사방에 기립된 접지판을 통해 보다 높은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주용 접지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등분된 상협하광의 블록으로 지면에 매립된 전주의 하단부 외면을 사방에서 감싸고, 상단 내주연에는 링안착홈이 형성되며, 외주연 상중하부에는 각각 링홈이 형성되는 절연재질의 절연블록과;
원형링체로 상기 절연블록의 외주연 상중하부의 링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절연블록을 전주 하단부 외주연에 고정시키는 연결고정링과;
기립된 직사각형상의 도체인 판체로 상기 4등분된 절연블록 사이에 기립설치되어 일측선단면이 지주 외주연과 밀착되되 하단에서 내측으로는 상기 연결고정링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링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선단면 상단부에는 상기 링안착홈 연장선상의 링홈이 형성되며, 몸체에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접지판과;
도체인 링체로 상기 절연블록의 링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지판과 상기 링 홈에서 밀착되고, 일측 상단에 앵커볼트가 돌출되는 연결접지링과;
중심에 전주가 삽입되는 전주공을 갖는 원형판체로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공을 갖고, 연결접지링과 상기 절연블록 및 상기 접지판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지면과의 절연을 이루는 절연재질의 절연덮개와;
전선이 피복에 감싸여 스프링형상으로 전주 외주연을 감으며 상측으로 연장되되 전선과 피복 사이에는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탄성유지체가 개재되고, 하단에는 전선이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체결고정된 체결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접지링의 앵커볼트에 체결고정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되 체결너트 외면에는 절연밴드가 감겨지며, 상단에는 접지연결이 이루어지는 스프링형접지선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전주의 하단부에 전주의 외형에 대응되는 접지판을 사방에 기립고정하여 접지판과 연결되는 연결접지링에 의해 전주 외주연을 감아 올라가는 스프링형접지선을 통해 어스되도록 함으로써 접지판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고, 사방에 기립된 접지판을 통해 보다 높은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주용 접지판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주용 접지판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주용 접지판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주용 접지판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전주용 접지판은, 전주(70) 하단부를 지면(80)에서 감싸는 4등분된 절연블록(10,10a,10b,10c)과, 절연블록(10,10a,10b,10c)을 전주(70)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연결고정링(20,20a,20b)과, 연결고정링(20,20a,20b)에 걸림고정된 상태로 절연블록(10,10a,10b,10c) 사이로 전주(70) 하단부와 밀착되는 도체인 접지판(30,30a,30b,30c)과, 전주(70)에 끼워져 접지판(30,30a,30b,30c)과 밀착되는 도체인 연결접지링(40)과, 도체인 연결접지링(40)과 접지판(30,30a,30b,30c) 상면을 절연시키는 절연덮개(50)와, 연결접지링(40)과 연결되어 전주(70) 상측으로 감아 올라가서 연결되어 접지가 이루어지는 스프링형접지선(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블록(10,10a,10b,10c)은 4등분된 상협하광의 절연재질인 블록으로, 지면(80)에 매립된 전주(70)의 하단부 외면을 사방에서 감싸고, 상단 내주연에는 링안착홈(11)이 형성되며, 외주연 상중하부에는 각각 링홈(12,12a,12b)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고정링(20,20a,20b)은 절연블록(10,10a,10b,10c)을 전주(70)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원형링체로, 상기 절연블록(10,10a,10b,10c)의 외주연 상중하부의 각 링홈(12,12a,12b)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절연블록(10,10a,10b,10c)을 전주(70) 하단부 외주연에 완강히 고정시킨다.
상기 접지판(30,30a,30b,30c)은 연결고정링(20,20a,20b)에 걸림고정된 상태로 절연블록(10,10a,10b,10c) 사이로 전주(70) 하단부와 밀착되는 기립된 직사각형상의 도체인 판체로, 상기 4등분된 절연블록(10,10a,10b,10c) 사이에 기립설치되어 일측선단면이 지주(70) 외주연과 밀착되되 하단에서 내측으로는 상기 연결고정링링(20,20a,20b)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링장공(31,31a,31b)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선단면 상단부에는 상기 링안착홈(11) 연장선상의 링홈(32)이 형성되며, 몸체에 다수 개의 통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접지링(40)은 전주(70)에 끼워져 접지판(30,30a,30b,30c)과 밀착되는 도체인 링체로, 상기 절연블록(10,10a,10b,10c)의 링안착홈(11)에 삽입되어 상기 접지판(30,30a,30b,30c)과 상기 링홈(32)에서 밀착되고, 일측 상단에 앵커볼트(41)가 돌출된다.
상기 절연덮개(50)는 중심에 전주(70)가 삽입되는 전주공(51)을 갖고, 도체인 연결접지링(40)과 접지판(30,30a,30b,30c) 상면을 절연시키는 절연재질의 원형판체로, 상기 앵커볼트(41)가 관통되는 볼트공(52)을 갖고, 연결접지링(40)과 상기 절연블록(10,10a,10b,10c) 및 상기 접지판(30,30a,30b,30c)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지면(80)과의 절연을 이룬다.
상기 스프링형접지선(60)은 연결접지링(40)과 연결되어 전주(70) 상측으로 감아 올라가서 연결되어 지면(80)으로의 접지가 이루어지는 전선으로, 전선(61)이 피복(62)에 감싸여 스프링형상으로 전주(70) 외주연을 감으며 상측으로 연장되되 전선(61)과 피복(62) 사이에는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탄성유지체(63)가 개재되고, 하단에는 전선(61)이 피복(62)이 벗겨진 상태로 체결고정된 체결너트(64)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접지링(40)의 앵커볼트(41)에 체결고정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되 체결너트(64) 외면에는 절연밴드(65)가 감겨져 절연이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접지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주(70)를 감아 상측으로 연결되는 스프링형접지선(50)과 연결되어 도체인 연결접지링(40)을 통해 4방향의 접지판(30,30a,30b,30c)을 거쳐 지면(80)으로의 접지가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주용 접지판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주용 접지판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주용 접지판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주용 접지판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b,10c : 절연블록 11 : 링안착홈
12,12a,12b : 링홈
20,20a,20b : 연결고정링
30,30a,30b,30c : 접지판 31,31a,31b : 링장공
32 : 링홈
40 : 연결접지링 41 : 앵커볼트
50 : 절연덮개 51 : 전주공
52 : 볼트공
60 : 스프링형접지선 61 : 전선
62 : 피복 63 : 탄성유지체
64 : 체결너트 65 : 절연밴드
70 : 전주
80 : 지면

Claims (1)

  1. 4등분된 상협하광의 블록으로 지면에 매립된 전주의 하단부 외면을 사방에서 감싸고, 상단 내주연에는 링안착홈이 형성되며, 외주연 상중하부에는 각각 링홈이 형성되는 절연재질의 절연블록과;
    원형링체로 상기 절연블록의 외주연 상중하부의 링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절연블록을 전주 하단부 외주연에 고정시키는 연결고정링과;
    기립된 직사각형상의 도체인 판체로 상기 4등분된 절연블록 사이에 기립설치되어 일측선단면이 지주 외주연과 밀착되되 하단에서 내측으로는 상기 연결고정링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링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선단면 상단부에는 상기 링안착홈 연장선상의 링홈이 형성되며, 몸체에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접지판과;
    도체인 링체로 상기 절연블록의 링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지판과 상기 링홈에서 밀착되고, 일측 상단에 앵커볼트가 돌출되는 연결접지링과;
    중심에 전주가 삽입되는 전주공을 갖는 원형판체로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공을 갖고, 연결접지링과 상기 절연블록 및 상기 접지판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지면과의 절연을 이루는 절연재질의 절연덮개와;
    전선이 피복에 감싸여 스프링형상으로 전주 외주연을 감으며 상측으로 연장되되 전선과 피복 사이에는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탄성유지체가 개재되고, 하단에는 전선이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체결고정된 체결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접지링의 앵커볼트에 체결고정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되 체결너트 외면에는 절연밴드가 감겨지며, 상단에는 접지연결이 이루어지는 스프링형접지선을 구비하는 전주용 접지판.
KR1020080009967A 2008-01-31 2008-01-31 전주용 접지판 KR100818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967A KR100818149B1 (ko) 2008-01-31 2008-01-31 전주용 접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967A KR100818149B1 (ko) 2008-01-31 2008-01-31 전주용 접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149B1 true KR100818149B1 (ko) 2008-03-31

Family

ID=3941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967A KR100818149B1 (ko) 2008-01-31 2008-01-31 전주용 접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01484A (zh) * 2014-09-19 2014-12-10 国家电网公司 不上螺钉不焊接的网状接地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909A (ko) * 2003-01-27 2003-06-18 창명중전기 주식회사 전주용 접지판 구조
KR100399875B1 (ko) 2001-07-19 2003-10-10 창명중전기 주식회사 전주용 접지판의 설치방법 및 이에 설치되는 접지판
KR100649408B1 (ko) 2004-11-16 2006-11-28 동양산전 주식회사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875B1 (ko) 2001-07-19 2003-10-10 창명중전기 주식회사 전주용 접지판의 설치방법 및 이에 설치되는 접지판
KR20030047909A (ko) * 2003-01-27 2003-06-18 창명중전기 주식회사 전주용 접지판 구조
KR100649408B1 (ko) 2004-11-16 2006-11-28 동양산전 주식회사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01484A (zh) * 2014-09-19 2014-12-10 国家电网公司 不上螺钉不焊接的网状接地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93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820061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구조
KR100815166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71369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857151B1 (ko) 배전 전주용 접지 시설물
EP0696390B1 (en) Shielded high-voltage overhead line
KR101470567B1 (ko) 송전 철탑의 낙뢰 방지 구조
KR100846132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20090019946A (ko) 송전선 구조물의 낙뢰 처리장치
KR100854336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100818149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775849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1022515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708295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US202203997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onal grounding
KR100882568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101171059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879304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582192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장치
KR20030047909A (ko) 전주용 접지판 구조
KR200267212Y1 (ko) 전주용 접지판 구조
KR101124965B1 (ko) 접지일체형 맨홀
JP3399523B2 (ja) 電気施設の防雷方法
JP4748673B2 (ja) 接地システム
KR200444665Y1 (ko) 전주용 접지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