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408B1 -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408B1
KR100649408B1 KR1020040093449A KR20040093449A KR100649408B1 KR 100649408 B1 KR100649408 B1 KR 100649408B1 KR 1020040093449 A KR1020040093449 A KR 1020040093449A KR 20040093449 A KR20040093449 A KR 20040093449A KR 100649408 B1 KR100649408 B1 KR 100649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weight
ground
expansion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762A (ko
Inventor
백남웅
Original Assignee
동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4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7Arrangements for setting poles i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주의 근접위치에 시공하여 뛰어난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시공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전주의 직경보다 1.5배의 직경을 갖는 굴착공을 형성하는 제1공정과; 중공부를 통하여 리드선이 하부로 연장되고 하단부에 절연물로 성형된 절연커버를 씌운 전주를 상기 굴착공에 설치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전주의 하단부에 노출되는 리드선에 접지판을 연결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절연커버의 외측공간부에 팽창저감제를 충전하는 제4공정과; 상기 팽창저감제의 상부에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는 제5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접지판

Description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Ground rod installation method of electric pole}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도
도 2(a)∼(e)는 본 발명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접지시공을 완료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접지시공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굴착공 6…전주 7…절연커버 8…리드선 13…접지판
17…팽창저감제 23…흙
본 발명은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주의 근접위치에 밀착 시공하여 확실한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접지전극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상으로 노출되는 전주의 접지전극시공은 지하로 유입된 이상전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주에서 대략 1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여 시공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접지시공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6)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피뢰침에 연결되어 전주(6)에 형성된 중공부(6a)를 통하여 지하로 연장되어 이에 동으로 성형된 다수개의 접지봉(30)에 연결되어 이상전압을 방전시킴으로써 인명과 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접지전극시공에 있어서, 접지봉(30)은 이상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듯이 전주(30)에서 1m정도의 간극(D1)을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접지시공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넓은 시공면적을 필요로 할 뿐만이 아니라 시공이 매우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주의 근접위치에 시공하여 이상전류가 역류하는 것은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접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전주의 직경보다 1.5배의 직경을 갖는 굴착공을 형성하는 제1공정과; 중공부를 통하여 리드선이 하부로 연장되고 하단부에 절연물로 성형된 절연커버를 씌운 전주를 상기 굴착공에 설치하 는 제2공정과; 상기 전주의 하단부에 노출되는 리드선에 접지판을 연결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절연커버의 외측공간부에 팽창저감제를 충전하는 제4공정과; 상기 팽창저감제의 상부에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는 제5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전주의 하단부에 씌우는 절연커버는 지표면에서 상부로 200∼400㎜ 노출되도록 시공하는 것이다.
또 상기 팽창저감제는 지표면에서 지하로 500∼800㎜까지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시공방법은 전주(6)를 설치하는 굴착공(1)을 형성하는 제1공정(5)과, 상기 굴착공(1)에 전주(6)를 세워 설치하는 제2공정(10)과, 상기 전주(6)의 상단부에서 연장되는 리드선(8)에 접지판(13)을 연결하는 제3공정(15)과, 상기 굴착공(1)에 삽입된 전주(6)와 굴착공(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팽창저감제(17)를 주입하는 제4공정(20)과, 상기 팽창저감제(17)의 상부에 흙(23)을 채우는 제5공정(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제1공정(5)은 굴착기를 이용하여 수직선상으로 일정깊이를 굴착하게되는 것으로서, 이의 깊이와 직경은 전주(6)의 길이와 직경에 따라 그 수치를 달리 하게 되나 대략적으로 전주직경보다 1.5배의 큰 직경을 갖는 것이다.
상기 굴착공(1)은 전주(6)의 외측에 적정량의 팽창저감제(17)를 주입하여야하므로 이를 충전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부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렇게 마련된 굴착공(1)에 전주(6)를 설치하는데, 이때 전주(6)의 하단부에는 절연물로 성형한 절연커버(7)를 씌운 후 세워서 고정함으로써 제2공정(10)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절연커버(7)는 전주(6)를 굴착공(1)에 설치하는 경우, 지표면에서 200∼400㎜정도 외부로 노출되도록 시공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연커버(7)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튜브와 절연물질을 일정두께로 도포하여도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제3공정(15)은 전주(6)의 상부에 위치하는 피로침에 연결되어 지하로 연장되는 리드선(8)에 접지판(13)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접지판(13)을 설치하는 이유는 전주(6)의 하단에 형성된 중공부(6a)로 인출되는 리드선(8)이 직접 팽창저감제(17)에 노출하는 것보다 전도성이 뛰어난 접지판(13)에 연결하는 것이 이상전류를 빠른 시간에 주변으로 방전할 수 있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이용되는 접지판(13)은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등록한 실용신안등록제302447호에 기술되어있는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접지판(13)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굴착공(1)에 콤푸레셔를 이용하여 팽창저감제(17)를 주입하는 제4공정(20)을 행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팽창저감제(17)는 지표면에서 지하로 700∼800㎜까지만 충전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지표면에 근접까지 충전하게 되면 감전의 위험성이 있어 이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팽창저감제(17)는 씨에스에이계 도전성 팽창제로서 이의 구성물질은 포틀렌드 시멘트 40중량%, 폴리 아크릴로 니트롤계 탄소섬유 10중량%, 칼슘 설표 알루미네이트(CAS) 10중량%, 에트린 가이트 15중량%, CaSO4 20중량%, 촉진제 3중량%, 플라이 에쉬 2중량%를 혼합한 것으로서, 이를 지하에 주입하게 되면 팽창되어 주변의 토양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면 접촉을 넓게 하여 방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이 팽창저감제(17)는 일반적인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시공장소에 따라 다르므로 이를 사용하여 접지시공을 할 경우 팽창효과로 인하여 토양과의 면 접촉이 확대되어 대지저항률을 작게 하여 보다 뛰어난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팽창저감제(17)의 상면의 공간부(D2)에는 흙(23)을 채워서 지하로 방전되는 이상전류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5공정(25)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본 발명은 낙뢰가 발생되어 전주(6)의 상단부에 장착된 피뢰침을 통하여 지하로 유도되는 이상전압은 리드선(8)과 연결된 접지판(13)과, 상기 접지판(13)의 주위에 충전된 팽창저감제(17)가 이를 흡수하여 방전하 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상전압이 지하로 흘러 방전되어도 전주(6)의 씌워진 절연커버(7)와 팽창저감제(17)의 상부에 채워진 토양에 의해서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선을 따라 지하로 흐르는 이상전류를 접지판과 팽창저감제에 의해 효과적인 방전이 이루어지고, 또 절연커버의 의해 전주로 흐르게되는 이상전류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주의 근접위치에 접지시공을 행하여 우수한 접지효과를 얻게 됨으로써 접지시공면적을 최소면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이의 시공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전주의 직경보다 1.5배의 직경을 갖는 굴착공을 형성하는 제1공정과; 중공부를 통하여 리드선이 하부로 연장되고 하단부에 절연물로 성형된 절연커버를 씌운 전주를 상기 굴착공에 설치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전주의 하단부에 노출되는 리드선에 접지판을 연결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절연커버의 외측공간부에 팽창저감제를 충전하는 제4공정과; 상기 팽창저감제의 상부에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는 제5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의 하단부에 씌우는 절연커버는 지표면에서 200∼400㎜노출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는 절연튜브 또는 절연물질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주의 표면에 씌워서 절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저감제는 지표면에서 지하로 600∼800㎜까지 충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저감제는 포틀렌드 시멘트 40중량%, 폴리 아크릴로 니트롤계 탄소섬유 10중량%, 칼슘 설표 알루미네이트(CAS) 10중량%, 에트린 가이트 15중량%, CaSO4 20중량%, 촉진제 3중량%, 플라이 에쉬 2중량%를 혼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KR1020040093449A 2004-11-16 2004-11-16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KR100649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449A KR100649408B1 (ko) 2004-11-16 2004-11-16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449A KR100649408B1 (ko) 2004-11-16 2004-11-16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762A KR20060054762A (ko) 2006-05-23
KR100649408B1 true KR100649408B1 (ko) 2006-11-28

Family

ID=3715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449A KR100649408B1 (ko) 2004-11-16 2004-11-16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4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149B1 (ko) 2008-01-31 2008-03-31 대한전기감리(주) 전주용 접지판
KR20220040159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성진 세선 접지극 및 접지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54B1 (ko) * 2007-01-08 2008-06-10 백남웅 도전성 팽창 접지저감제 및 이를 이용한 접지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149B1 (ko) 2008-01-31 2008-03-31 대한전기감리(주) 전주용 접지판
KR20220040159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성진 세선 접지극 및 접지공법
KR102503306B1 (ko) * 2020-09-23 2023-02-23 주식회사 성진 세선 접지극 및 접지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762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98612U (zh) 利用杆塔基础降低输电线路接地电阻的接地装置
CN103219597B (zh) 接地线装置
KR100681450B1 (ko)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1477460B1 (ko) 접지장치
KR100649408B1 (ko)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KR20090102151A (ko) 전기설비의 접지봉 및 접지 시공방법
RU2288529C1 (ru) Зазем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JP2008152927A (ja) 接地装置
KR102155672B1 (ko) 탄소 방사침 접지봉
KR101084483B1 (ko) 메쉬접지구조
JP2011023220A (ja) 接地棒
CN201352604Y (zh) 接地网用高效环保离子接地极
KR200340357Y1 (ko) 접지동관봉의 코어링 굴착구조
KR200151086Y1 (ko) 접지극 설치구조
KR20170050116A (ko) 접지봉 및 그 시공방법
KR200253293Y1 (ko) 수개의 구멍이 뚫린 접지용 동파이프
CN105977661A (zh) 一种接地铜缆的安装施工工艺
CN2796160Y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JPH11144778A (ja) 接地極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51563B1 (ko) 공기를 이용한 접지부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53344Y1 (ko) 접지판
JP3406457B2 (ja) 基礎構築物を利用した接地方法
CN1855634A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JPH087943A (ja) コンクリート柱の根入れ部における接地装置
KR200451817Y1 (ko)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