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817Y1 -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1817Y1 KR200451817Y1 KR2020100004658U KR20100004658U KR200451817Y1 KR 200451817 Y1 KR200451817 Y1 KR 200451817Y1 KR 2020100004658 U KR2020100004658 U KR 2020100004658U KR 20100004658 U KR20100004658 U KR 20100004658U KR 200451817 Y1 KR200451817 Y1 KR 2004518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ing
- ground
- lead wire
- conductive
- p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2—Arrangements of earthing wires suspended between mast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전주(1)와 접속ㆍ연결되는 접지선(11)을 구비하며, 하단의 피복외측으로 인출되는 접지심선(12)이 도전성 성형부재(20)와 연결되도록 구성한 리드선(10); 리드선(10)의 하단 및 접지심선(12)을 수용하도록 도전성 콘크리트(concrete) 또는 도전성 모르타르(mortar)를 통해 그 상부가 원판 형태로 평탄하게 성형되고, 하부는 반구형상으로 성형되는 도전성 성형부재(20); 및 리드선(10)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타측에 구비되는 고리(30); 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접지극을 접지효과가 우수한 도전성 모르타르로 성형 제작하되, 반구형으로 성형하여 접지극과 대지간의 접촉밀도를 극대화함으로써 접지저항을 최소화하며, 전주와 접지되는 리드선을 반구형상의 도선성 콘크리트에 삽입함으로써 접지극 제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작업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접지극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접지극을 접지효과가 우수한 도전성 모르타르로 성형 제작하되, 반구형으로 성형하여 접지극과 대지간의 접촉밀도를 극대화함으로써 접지저항을 최소화하며, 전주와 접지되는 리드선을 반구형상의 도선성 콘크리트에 삽입함으로써 접지극 제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작업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접지극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신설시 전주 건주용 굴착부분을 활용하여 접지공사를 시공하는것으로, 접지극을 전주 하부에 설치하여 전주의 하중에 의해 접지극과 대지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배전선로 신설 시 전주를 세우기 위하여 굴착을 필수적으로 하여야 하는 굴착부분을, 최소한의 추가 굴착만으로 전주 밑 부분에 접지극을 시공하고, 전주중량과 토압을 이용하여 접지극과 대지간의 접촉밀도를 극대화함으로써 접지효과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접지극을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접지극과 대지간의 접촉밀도를 극대화함으로써, 접지저항을 최소화하며, 전주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리드선을 반구형상의 도선성 콘크리트에 삽입함으로써, 접지극 제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작업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접지극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친 전력을 가정 또는 건물의 수용가로 공급하기 위하여 지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 등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공 배전 선로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배전 선로에는 이상 전류(낙뢰, 지락, 서지 등)로부터 배전 설비를 보호함과 아울러 누전으로 인한 각종 전기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지봉을 연결 설치하게 된다.
이때, 배전선로의 접지는 고ㅇ저압의 혼촉 및 지락사고 시 보호계전기의 동작을 확실이하여 이상전압을 억제하고, 뇌, 써지(surge)등 이상전압에 의한 인체보호와 누전으로 인한 각종전기재해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배전선로 접지방식은 중성선 직접접지방식으로 접지가 잘못 되었을 때의 파급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으며 더욱이 정보통신의 급격한 발전은 양질의 전력공급의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하겠다.
이와 같이 중요한 배전선로의 접지공사가 수십 년 전에 도입된 공법과 자재로 운영되고 있어 막대한 예산낭비와 부실시공의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고, 최근에 도입된 자재와 공법도 막대한 예산낭비와 부실시공의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고,
이 소요되고 있으며 시공 여건도 도시에서는 장소의 협소, 포장된 도로의 굴착, 지하매설물과의 간섭 및 손상 등으로 시공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접지공사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지(E)에 전주(1)를 매설하기 위한 일정 깊이의 전주(1) 구덩이를 굴착하고 상기 전주(1) 구덩이로부터 일정 간격에 이르기까지 접지봉(2)과 접지선(3)을 매설하기 위한 구덩이를 굴착하며 상기 구덩이에 접지를 위한 접지봉(2)을 쇠망치 등의 도구로 타설한 후에 배전선로와 연결되어 전주(1)를 관통하는 접지선(3)과 접지봉(2)을 연결한 다음, 굴착한 흙을 구덩이에 넣어 메움으로써 접지공사를 완료하게 된다.
즉, 대지(E)와 배전 선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지봉(2)은 이상 전류로부터 배전 설비를 보호함과 동시에 각종 전기재해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이상 전류를 대지(E)로 신속하게 방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매설된 접지봉(2)은 토양의 종류 및 성분, 지질구조, 수분의 함유상태 그리고 계절의 온도변화 등에 의하여 요구하는 접지 저항치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미 매설된 접지봉(2)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른 접지봉(2)을 추가로 매설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접지공사는 통상 지표면을 기준으로 75㎝ 정도 깊이로 접지봉(2)을 타설해야만 하기 때문에 수용가가 밀집된 도심지에서 전주(1)를 매설하기 위한 구덩이 외에 접지선(3)을 매설하기 위하여 지면을 넓게 파헤쳐야 하므로 포장된 도로나 보도블럭 및 미확인된 지하 시설물(수도관, 가스관, 통신케이블 등)을 훼손하는데 따른 굴착 및 복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공사기간도 장기화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정된 접지 저항을 얻을 수 있는 굴착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도심지에서 접지공사 시 포장된 도로나 보도블럭을 2~4m 길이로 굴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굴착 및 복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있으며, 지표면 아래 75㎝지점에서 접지극을 해머로 타격하여 설치하므로 지하매설물 (수도관, 가스관, 통신케이블, 전력케이블 등)의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도입된 자재와 공법도 접지봉(판)의 재질 및 구조는 다소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겠지만, 접지 저항치를 낮추기 위하여 접지극을 직렬로 연결하여 접지전극으로부터 2m이상을 이격하여 접지극을 한 개씩 병렬로 시공하고 있는 작업 방법은 과거와 다를 바 없어 작업의 안전성에 관한 문제들과 이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은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배전선로의 접지 시공 상의 문제점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피면, 접지동봉을 직렬로 연결하여 시공하는 것이 낮은 접지저항을 얻는데 유리하나, 타입 시 접지동봉이 휘어지거나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최근 도입된 콘크리트 접지봉은 타입하기에 부적합한 구조로 반드시 굴착하여 매입하여야 함으로 시공 상의 문제점이 야기한다.
또한, 접지동봉을 병렬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접지동봉을 접지극 으로부터 2m이상 격리해야 되므로 2.0mㅧ0.75mㅧ0.5m(길이ㅧ깊이ㅧ폭)를 추가 굴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심지에서는 포장도로 및 복잡한 교통관계로 접지시공에 따른 굴착 여건이 만족스럽지 못한 관계로 부실시공의 우려가 있으며, 타 지하 매설물(수도관, 가스관, 통신케이블, 전력케이블 등)의 손상 위험이 항상 내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배전선로의 접지자재의 문제점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피면, 접지동봉은 원가절감을 위하여 철봉표면에 2㎜정도의 동 표피를 입힌 것으로 타격 시 동 표피의 손상 및 불순물에 의하여 부식되는 내구성 문제가 있으며, 철봉의 강도가 약하므로 타격 시 휘어지는 등 강도상에 문제가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접지봉은 별도로 원형 굴착 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도심지에서는 지하매설물 과다 및 장소의 협소 등으로 시공이 어렵고, 반드시 세워서 설치하여야 하므로 깊게 매설하기가 어려우며, 대지와의 접촉밀도가 장시간 소요되므로 공사 후 측정치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주신설시 전주 건주용 굴착시공 시에 접지극 매설을 위한 별도의 굴착시공 없이 전주 건주용으로 2m 내지 2.5m 깊이로 굴착된 부분의 하단을 0.25m 깊이로 추가 굴착을 수행하여 접지극을 전주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전주 및 접지극 매설을 위해 각각 별도의 위치에 2m 내지 2.5m 깊이로 굴착하던 문제점을 방지하고, 전주의 하중에 의해 접지극과 대지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굴착된 전주구덩이의 공간을 활용 하는데 있다.
또한, 접지공사로 인한 도로 굴착범위의 축소를 통해 주민불편은 물론 민원을 예방하고, 전주 굴착부분을 활용함에 따라 타 지하매설물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에 있다.
또한, 종래의 수직으로 매립하는 접지극과 달리, 전주 하단부에 수평으로 매립 또는 지면에 단일 접지극을 수평으로 매립하여 시공함으로써, 접지극을 최저점에 위치시켜 함수율을 향상시키고, 수평 매립에 따라 접지극에 전가되는 토압과, 접지극 상측에 매립되는 전주의 하중으로 인해 접지극과 대지간의 접촉밀도를 극대화하여 접치효과를 향상시킴에 있다.
그리고, 접지극을 접지효과가 우수한 도전성 모르타르로 성형 제작하되, 반구형으로 성형하여 접지극과 대지간의 접촉밀도를 극대화함으로써 접지저항을 최소화하며, 전주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리드선을 반구형상의 도선성 콘크리트에 삽입함으로써 접지극 제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작업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접지극 제작비용을 절감토록 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는, 상단에 전주(1)와 접속ㆍ연결되는 접지선(11)을 구비하며, 하단의 피복외측으로 인출되는 접지심선(12)이 도전성 성형부재(20)와 연결되도록 구성한 리드선(10); 리드선(10)의 하단 및 접지심선(12)을 수용하도록 도전성 콘크리트(concrete) 또는 도전성 모르타르(mortar)를 통해 그 상부가 원판 형태로 평탄하게 성형되고, 하부는 반구형상으로 성형되는 도전성 성형부재(20); 및 리드선(10)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타측에 구비되는 고리(30); 를 포함한다.
또한, 리드선(10)은, 접지심선(12)을 수용하되, 그 일측이 리드선(10)의 하단면과 연결되는 스테인리스 관(13); 및 스테인리스 관(13) 내측에 구비된 접지심선(12)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관(13)의 타측에 밀봉되는 실리콘(14); 를 더 포함한다.
또한, 리드선(10)은, 리드선(10)의 하단 및 스테인리스 관(13)의 일측 양자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열을 인가받아 리드선(10)과 스테인리스 관(13)의 일측에 수축ㆍ고정되는 열수축 튜브(15); 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도전성 성형부재(20)는, 대지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그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되, 홈은 원형방사 형상, 세로줄무늬 형상, 가로줄무늬 형상, 나선 형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전주신설시 전주 건주용 굴착시공 시에 접지극 매설을 위한 별도의 굴착시공 없이 전주 건주용으로 2m 내지 2.5m 깊이로 굴착된 부분의 하단을 0.25m 깊이로 추가 굴착을 수행하여 접지극을 전주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전주 및 접지극 매설을 위해 각각 별도의 위치에 2m 내지 2.5m 깊이로 굴착하던 문제점을 방지하고, 전주의 하중에 의해 접지극과 대지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굴착된 전주구덩이의 공간을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접지공사로 인한 도로 굴착범위의 축소를 통해 주민불편은 물론 민원을 예방하고, 전주 굴착부분을 활용함에 따라 타 지하매설물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수직으로 매립하는 접지극과 달리, 전주 하단부에 수평으로 매립 또는 지면에 단일 접지극을 수평으로 매립하여 시공함으로써, 접지극을 최저점에 위치시켜 함수율을 향상시키고, 수평 매립에 따라 접지극에 전가되는 토압과, 접지극 상측에 매립되는 전주의 하중으로 인해 접지극과 대지간의 접촉밀도를 극대화하여 접치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접지극을 접지효과가 우수한 도전성 모르타르로 성형 제작하되, 반구형으로 성형하여 접지극과 대지간의 접촉밀도를 극대화함으로써 접지저항을 최소화하며, 전주와 접지되는 리드선을 반구형상의 도선성 콘크리트에 삽입함으로써 접지극 제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작업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접지극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접지동봉을 이용한 접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a 는 종래의 접지동봉을 병렬로 시공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b 는 종래의 접지동봉을 도전성 콘크리트 접지극으로 시공한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를 도시한 또 다른 결합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도전성 성형부재에 형성된 홈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도전성 성형부재 하단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시공방법의 제S10 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 는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시공방법의 제S30 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a 는 종래의 접지동봉을 병렬로 시공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b 는 종래의 접지동봉을 도전성 콘크리트 접지극으로 시공한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를 도시한 또 다른 결합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도전성 성형부재에 형성된 홈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도전성 성형부재 하단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시공방법의 제S10 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 는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의 시공방법의 제S30 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A)는, 도 3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10), 도전성 성형부재(20) 및 고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리드선(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에 전주(1)와 접속ㆍ연결되는 접지선(11)을 구비하며, 하단의 피복외측으로 인출되는 접지심선(12)이 도전성 성형부재(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접지심선(12)은 7개의 접지심선(12)이 나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드선(10)의 길이는 0.4m 내지 3.1m 바람직하게는 3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나,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리드선(10)의 접지심선(12)은 나선형이 아닌 단일심선 형태로 구성된 접지심선(12)의 외주연을 에두르는 스테인리스 관(13)을 구성하여 스테인리스 관(13)의 내측에 구비된 접지심선(12)을 압축시킴과 아울러 접지심선(12)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때, 스테인리스 관(13)은 중공형으로 구성되어 그 일측은 리드선(10)의 하단면과 연결되고, 그 타측은 실리콘(14)을 통해 밀봉하여 스테인리스 관(13) 내측에 구비된 접지심선(12)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열수축 튜브(15)를 리드선(10)의 하단 및 스테인리스 관(13)의 일측 양자를 에두르도록 구비하고, 열을 가하여 수축ㆍ고정시킴으로써, 리드선(10)과 스테인리스 관(13) 사이에 이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전성 성형부재(20)는 상기 리드선(10)의 하단 및 리드선(10)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심선(12)이 나선형으로 배열된 상태로 리드선(10) 및 접지심선(12)을 수용하도록 도전성 콘크리트(concrete) 또는 도전성 모르타르(mortar)로 성형된다.
이때, 도전성 성형부재(20)의 상부는 원판 형태로 평탄하게 성형되고, 하부는 반구형상으로 성형되어 대지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접지저항을 최소화한다.
또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지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도전성 성형부재(20)의 그 외주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은 원형방사 형상, 세로줄무늬 형상, 가로줄무늬 형상, 나선 형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상의 도전성 성형부재(20) 하단면을 평탄하게 구성하여 도전성 성형부재(20)가 지면에 맞닿을 때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모르타르는, 시멘트계 무기질 결합제, 광물계 수분흡착제, 도전성 탄소 섬유, 칼슘 셀퍼 알르미네이트, 흡수성 폴리머 분산제 또는 규사 및 반응 조절제 등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도전성 성형부재(20)의 직경은, 410mm 내지 430mm 바람직하게는 420mm이고, 도전성 성형부재(20)의 두께는, 45mm 내지 55mm 바람직하게는 40mm인 것으로 상정하겠으나,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 성형부재(20)의 직경은 전주(1) 하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30)는 상기 리드선(10)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타측에 위치한 상태로 도전성 성형부재(20)에 수용되도록 고정된다. 즉, 고리(30)는 도전성 성형부재(20)에 의해 성형되는 리드선(10)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타측에 구비된다.
아울러, 고리(30)의 재질은 철선 또는 동선으로 구성되며, 그 직경은 10mm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12mm의 크기로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시공방법에 대해 도 10 을 참조하여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단에 전주(1)와 접속ㆍ연결되는 접지선(11)을 구비하며, 하단의 피복외측으로 인출되는 접지심선(12)이 도전성 성형부재(20)와 연결되는 리드선(10)을 형성한다(S10).
뒤이어, 리드선(10)의 접지심선(12)을 나선형태로 배열함과 아울러 리드선(10)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타측에 고리(30)를 위치시킨다(S20).
이어서, 리드선(10)의 하단 및 리드선(10)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심선(12)이 나선형으로 배열된 상태로 리드선(10)의 하단 및 접지심선(12)을 수용하도록 도전성 콘크리트(concrete) 또는 도전성 모르타르(mortar)로 성형하여 도전성 성형부재(20)를 생성한다(S30).
한편, 도 11 을 참조하여 상기 제S10 단계 이후 과정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스테인리스 관(13) 내측에 접지심선(12)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되, 스테인리스 관(13)의 일측은 리드선(10)의 하단면과 연결시키고, 그 타측은 실리콘(14)을 통해 밀봉한다(S40).
그리고, 열수축 튜브(15)를 리드선(10)의 하단 및 스테인리스 관(13)의 일측 양자를 에두르도록 구비하고, 열을 가하여 수축ㆍ고정시킨다(S50).
한편, 도 12 를 참조하여 상기 제S30 단계 이후 과정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S30 단계 이후, 전주(1)를 매설하고자 하는 위치에 지면(E)으로부터 2m 내지 2.5m의 깊이로 굴착시공을 수행하고, 도전성 성형부재(20)를 매설하기 위해 굴착시공된 지면으로부터 0.25m의 깊이로 추가 굴착시공을 수행한다(S60).
즉,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시공방법은, 전주를 매설하기 위한 2m 내지 2.5m의 굴착시공과 별도로 접지극을 매설하기 위해 2m 내지 2.5m의 굴착시공을 수행해야만 하는 종래의 시공방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는 바, 전주 매설위치에 2m 내지 2.5m + 0.25m의 굴착시공을 수행하여 접지극과 전주를 매설토록 함에 따라, 단일 굴착시공으로 전주와 접지극을 동시에 매설하는 방법이다.
이어서, 도전성 성형부재(20)에 고정된 고리(30)에 로프를 임시로 가설하고, 가설된 로프와 도전성 성형부재(20)에 고정된 리드선(10)을 통해 도전성 성형부재(20)를 굴착시공된 지면 최하단에 안치한다(S70).
뒤이어, 도전성 성형부재(20)에 임시로 가설된 로프를 당겨서 철거함과 아울러, 지면(E)과 굴착시공된 지면간의 깊이가 2m 내지 2.5m의 깊이를 갖도록 도전성 성형부재(20)를 토사로 매립한다(S80).
이어서, 접지선(11)이 삽입된 전주(1)를 매립된 도전성 성형부재(20) 상측에 건주(建柱)시킨다(S90).
그리고, 리드선(10) 상부에 구비된 접지선(11)과 전주(1)로부터 인출된 접지선 양자를 연결하고, 굴착시공된 지면을 건주된 전주(1)를 에두르도록 매립한다(S100).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직으로 매립하는 접지극과 달리, 전주(1) 하단부에 도전성 성형부재(20)를 수평으로 매립 또는 지면에 단일 도전성 성형부재(20)를 수평으로 매립하여 시공함으로써, 도전성 성형부재(20)가 최저점에 위치되어 함수율이 향상되고, 수평 매립에 따라 도전성 성형부재(20)에 전가되는 토압과, 도전성 성형부재(20) 상측에 매립되는 전주(1)의 하중으로 인해 도전성 성형부재(20)와 대지간의 접촉밀도를 극대화하여 접치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E: 지면 1: 전주
2: 종래의 접지봉 10: 리드선
11: 접지선 12: 접지심선
13: 스테인리스 관 14: 실리콘
15: 열수축 튜브 20: 도전성 성형부재
30: 고리
E: 지면 1: 전주
2: 종래의 접지봉 10: 리드선
11: 접지선 12: 접지심선
13: 스테인리스 관 14: 실리콘
15: 열수축 튜브 20: 도전성 성형부재
30: 고리
Claims (4)
-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전주(1)와 접속ㆍ연결되는 접지선(11)을 구비하며, 하단의 피복외측으로 인출되는 접지심선(12)이 도전성 성형부재(20)와 연결되도록 구성한 리드선(10);
상기 리드선(10)의 하단 및 접지심선(12)을 수용하도록 도전성 콘크리트(concrete) 또는 도전성 모르타르(mortar)를 통해 그 상부가 원판 형태로 평탄하게 성형되고, 하부는 반구형상으로 성형되는 도전성 성형부재(20); 및
상기 리드선(10)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타측에 구비되는 고리(30); 를 포함하되,
상기 리드선(10)은 상기 접지심선(12)을 수용하며 그 일측이 상기 리드선(10)의 하단면과 연결되는 스테인리스 관(13); 및 상기 스테인리스 관(13) 내측에 구비된 접지심선(12)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스테인리스 관(13)의 타측에 밀봉되는 실리콘(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10)은,
상기 리드선(10)의 하단 및 스테인리스 관(13)의 일측 양자를 에두르도록 구비되며, 열을 인가받아 상기 리드선(10)과 스테인리스 관(13)의 일측에 수축ㆍ고정되는 열수축 튜브(1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성형부재(20)는,
대지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그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은 원형방사 형상, 세로줄무늬 형상, 가로줄무늬 형상, 나선 형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658U KR200451817Y1 (ko) | 2010-05-03 | 2010-05-03 |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658U KR200451817Y1 (ko) | 2010-05-03 | 2010-05-03 |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1817Y1 true KR200451817Y1 (ko) | 2011-01-13 |
Family
ID=4424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4658U KR200451817Y1 (ko) | 2010-05-03 | 2010-05-03 |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181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4836B1 (ko) * | 2010-06-30 | 2012-01-16 | 한국전력공사 | 전주용 접지 장치 |
US12080939B2 (en) | 2021-01-24 | 2024-09-03 | M Towers LLC | Manufactured utility apparatu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77274U (ko) * | 1987-11-13 | 1989-05-24 | ||
KR19980060590U (ko) * | 1997-03-13 | 1998-11-05 | 이재복 | 접지극 설치구조 |
KR100493901B1 (ko) * | 2003-05-13 | 2005-06-10 | 윤기주 | 콘크리트 접지전극 및 그 시공방법 |
-
2010
- 2010-05-03 KR KR2020100004658U patent/KR20045181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77274U (ko) * | 1987-11-13 | 1989-05-24 | ||
KR19980060590U (ko) * | 1997-03-13 | 1998-11-05 | 이재복 | 접지극 설치구조 |
KR100493901B1 (ko) * | 2003-05-13 | 2005-06-10 | 윤기주 | 콘크리트 접지전극 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4836B1 (ko) * | 2010-06-30 | 2012-01-16 | 한국전력공사 | 전주용 접지 장치 |
US12080939B2 (en) | 2021-01-24 | 2024-09-03 | M Towers LLC | Manufactured utility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7717B1 (ko) |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
KR100818938B1 (ko) | 전주용 접지판 | |
KR101104836B1 (ko) | 전주용 접지 장치 | |
KR101477460B1 (ko) | 접지장치 | |
KR200451817Y1 (ko) |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 |
KR102584880B1 (ko) | 배전선로 전력구 접지봉의 유지보수공법 | |
KR200449445Y1 (ko) |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 |
KR100725268B1 (ko) | 접지수단을 구비한 콘크리트 전주 | |
KR200448141Y1 (ko) | 성형된 접지 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 |
KR200288758Y1 (ko) | 접지용 전주 | |
KR200264074Y1 (ko) | 성형된 접지 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 |
KR101203093B1 (ko) | 전주용 원형접지체 | |
KR200340357Y1 (ko) | 접지동관봉의 코어링 굴착구조 | |
KR200257071Y1 (ko) | 성형된 접지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 |
CN105977661B (zh) | 一种接地铜缆的安装施工工艺 | |
KR100901765B1 (ko) | 접지판 일체식 접지근가 | |
KR200422395Y1 (ko) | 탄소 접지봉 | |
KR100446344B1 (ko) | 전주의 접지시공방법과 그 장치 | |
KR200185354Y1 (ko) | 전주용 접지장치 | |
KR100940172B1 (ko) |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 |
KR20090106778A (ko) | 전주 내 접지선과 심타용 접지봉에 의한 접지 시공방법 및접지 시공을 위한 압입보호관 | |
KR100493901B1 (ko) | 콘크리트 접지전극 및 그 시공방법 | |
KR100598466B1 (ko) |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 |
CN2796160Y (zh) |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 |
KR100433753B1 (ko) | 매설 기초부에 절연피복체를 설치한 강관지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