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172B1 -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172B1
KR100940172B1 KR1020090072177A KR20090072177A KR100940172B1 KR 100940172 B1 KR100940172 B1 KR 100940172B1 KR 1020090072177 A KR1020090072177 A KR 1020090072177A KR 20090072177 A KR20090072177 A KR 20090072177A KR 100940172 B1 KR100940172 B1 KR 10094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 rod
pole
rod
lea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9007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20Driving or forcing casings or pipes into boreholes, e.g. sinking; Simultaneously drilling and casing boreholes
    • E21B7/208Driving or forcing casings or pipes into boreholes, e.g. sinking; Simultaneously drilling and casing boreholes using down-hole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Percussion drilling
    • E21B1/02Surface drives for drop hammers or percussion drilling, e.g. with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부재를 이용하여 전주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의 지면 위에 접지봉 시공을 위한 천공위치를 설정한 다음 지면을 드릴로써 천공하여 접지봉을 매설하도록 된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발명은 측정부재를 이용하여 전주를 중심으로 일정반경 이내의 지면 위에 접지봉의 천공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위치가 설정된 지면을 천공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된 지면 내부에 접지봉을 가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접지봉에 리드단자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단자를 타격장치를 사용하여 타격하여 상기 접지봉을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로파쇄 굴착공법에 비하여 소음과 진동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시공비용이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The ground rod installation method without digging}
본 발명은 접지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부재를 이용하여 전주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의 지면 위에 접지봉 시공을 위한 천공위치를 설정한 다음 지면을 드릴로써 천공하여 접지봉을 매설하도록 된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공 배전공사시 가공지선과 완철 또는 피뢰기나 변압기등과 같은 주상에 설치되는 기기류 및 중성선의 대지 접지를 위한 접지공사를 시행할 경우, 접지동봉이나 심타용 접지봉 및 접지저항 저감제를 사용하는 접지시공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접지 시공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00)의 주변에 접지동봉(110,112)을 해머 또는 전동해머로 타격하여 매설한 후, 전주(100)의 상하부에 형성된 인입구(101)와 인출구(102)의 내부를 통하여 접지선(104)을 인출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선(104)과 상기 접지동봉(110,112)의 상부에 연결된 접지리드선(106)을 접지슬리브(108)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전주(100)의 인출구(102)는 지표(G)으로부터 1m 이하의 지점에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접지리드선(108)은 지면(G)으로부터 0.75m 이상이 되게 매설하여 시공된다.
상기 접지선(104)과 접지리드선(106)은 접지슬리브(108)에 의한 압축접속 방법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접지장소의 토질 또는 현장여건으로 인하여 규정된 접지저항값을 얻기 어려운 곳에서는 암석을 깨트리는 강도를 구비한 심타용 접지봉 등을 사용하여 접지선(104)과 접지리드선(106)을 접속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접지 시공방법은 건주공사 완료 후 접지동봉 또는 심타용 접지봉, 도전성콘크리트 접지봉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굴착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주완료 후 접지공사를 위하여 재차 백호우 등의 장비나 인력이 굴착작업을 위해서 투입되는데, 이는 전주 주변 원토를 일정면적 굴착하는 것으로서 작업장 주변 환경을 훼손시키고 토양의 응집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결국에는 건주 시공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더불어, 접지동봉 또는 심타용 접지봉을 타입하거나, 도전성콘크리트 접지봉을 매설하기 위한 토양의 굴착작업이 필요하지만 도로를 포장한 후, 3년 이내에는 도로굴착이 승인되지 않아 접지시공이 불가능하여 이로 인한 부실공사 및 전력설비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건주와 접지를 함에 있어 한 개소에서의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공정으로 장비나 인력이 재차 투입되는 비효율적인 시공성은 물론, 이로 인한 공사비가 추가로 증가하고 작업시간이 낭비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지시공 중에서 추가 굴착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접지봉을 매설할 수 있도록 한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측정부재를 이용하여 전주를 중심으로 일정반경 이내의 지면 위에 접지봉의 천공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위치가 설정된 지면을 천공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된 지면 내부에 접지봉을 가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접지봉에 리드단자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단자를 타격장치를 사용하여 타격하여 상기 접지봉을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설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 리드단자의 리드선에 전주접지선을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리드단자와 전주접지선을 몰딩부재로 마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재는 기준틀의 내측 모서리부 각각에 천공표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전주를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천공위치가 설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여기서, 상기 천공위치는 전주의 외경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5 ∼ 7 cm 정도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면을 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접지봉 보다 8 ∼ 12 ㎜ 정도 크게 형성된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면을 천공하는 단계는 선단에 드릴날이 형성된 접지봉을 드릴에 장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리드단자를 연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접지봉과 리드단자가 나사결합되어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타설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접지봉이 지면으로부터 70 ∼ 80cm 지점까지 매설되게 타설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속하는 단계에서 리드단자의 리드선과 전주접지선을 접지슬리브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슬리브에 절연부재를 사용하여 절연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에 의하면, 측정부재를 이용하여 전주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의 지면 위에 접지봉 시공을 위한 천공위치를 설정한 후, 전동드릴을 이용해 접지봉이 매설되도록 천공함으로써, 기존의 도로파쇄 굴착공법에 비하여 공사소음과 진동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과 같이 공사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과 달리 전주 주변의 지반 상태를 훼손하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로 굴착에 따른 도로포장 복구비가 소요되지 않은 것은 물론, 도로굴착 승인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접지공사를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시공비용이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를 중심으로 일정반경 이내의 지면 위에 접지봉의 천공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1)와, 상기 천공위치가 설정된 지면을 천공하는 단계(S2)와, 상기 천공된 지면 내부에 접지봉을 가설치하는 단계(S3)와, 상기 접지봉에 리드단자를 연결하는 제4단계(S4)와, 상기 리드단자를 타격장치를 사용하여 타격하여 상기 접지봉을 타설하는 제5단계(S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설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 리드단자의 리드선에 전주접지선을 접속하는 제6단계(S6)와, 상기 리드단자와 전주접지선을 몰딩부재로 마감하는 제7단계(S7)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전주(10)의 지중 매설구조를 이용한 것으로서, 전주(10)의 밑둥을 굴착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접지봉(30)의 시공위치를 설정하여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3은 전주(10)에 측정부재(20)를 이용하여 접지봉(30)의 천공위치(P)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봉(30)은 전주(10)를 보강구조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전주(10)를 기준으로 정확한 천공위치(P)를 찾아야 한다. 따라서, 전주(10)에 측정부재(20)를 배치하여 접지봉(30)이 천공되는 천공위치(P)를 설정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 매설된 전주(10)의 주변에는 근가(12)와 지하매설물(14)이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근가(12)와 지하매설물(14)에 간섭되지 않도록 측정부재(20)를 배치하여 상기 접지봉(30)의 천공위치(P)를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근가(12)는 지진이나 태풍, 지반붕괴, 기타 천재지변 또는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한 불가피한 상황에서 전주(10)가 전도되더라도 도로(16)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전주(10)마다 1개씩 도로(16)와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을 시공법규로서 의무화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부재(20)도 상기 근가(12)와 도로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측정부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0)의 외경을 감싸는 기준틀(22)과, 상기 기준틀(22)에 연장되어 전주(10)의 외경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 이격거리(T)를 표시하는 천공표시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틀(22)의 형상은 원형이나 사각형이 가능한데, 사각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각형 타입의 기준틀(22)은 어느 일면이 도로(16)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근가(12)와 평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물론, 전주(10)에는 근가(12)의 설치방향을 별도의 표식으로 표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기준틀(22)의 설치방향이 표식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준틀(22)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천공표시부(24)는 접지봉(30)의 천공위치(P)를 지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주(10)와 천공표시부(24)의 이격거리(P)는 5∼7cm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cm로 설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접지봉(30)의 두께를 감안하여 전주(10), 근가(12) 및 지하매설물(14) 사이에 접촉에 의한 간섭이 없는 최적의 위치이다.
이와 같이 접지봉(30)의 천공위치(P)를 설정하는 단계(S1)에서는, 측정부재(20)를 이용해 전주(10)를 중심으로 일정반경 이내의 지면위에서 설정되게 된다.
상기 지면을 천공하는 단계(S2)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에서 드릴(D)을 이용하여 천공하게 된다. 여기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지면(G)에 직접 접지봉(30)의 직경보다 8 ∼ 12 mm 정도 크게 형성되도록 드릴(D)을 사용하여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전주(10)와 드릴(D)의 사이거리(L)는 도 3에 도시된 이격거리(T)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드릴(D)의 선단에 드릴날이 형성된 접지봉을 전동드릴에 장착하여 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릴(40)을 이용하여 지면을 천공하는 단계(S2)는, 기존의 도로파쇄 굴착공법에 비해 소음이 대폭 감소되고 진동도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고,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시공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상기 접지봉(30)을 가설치하는 단계(S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봉(30)을 지면(G)에 천공된 천공위치(P)에 삽입하여 가설치하게 된다. 이때, 시공되는 접지봉(30)의 개수는 규정 접지저항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만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접지봉(30)에 리드단자(40)를 연결하는 단계(S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봉(30)의 상부에 리드단자(40)의 하부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지봉(30)은 상부에 나사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단자(40)는 하부에 나사결합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리드선(44)이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에 단턱부(46)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접지봉(30)의 나사돌기(32)가 상기 리드단자(40)의 나사결합홈(42)에 나사결합하여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지봉(30)을 타설하는 제5단계(S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봉(30)에 연결된 리드단자(40)에 타격용 소켓(S)을 삽입하여 타격장치(H)를 사용하여 타격한다. 여기서, 리드단자(40)는 단턱부(46)에 타격용 소켓(S)이 얹혀지게 되어 타격에 따른 파손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접지봉(30)은 지면(G)으로부터 70 ∼ 80cm 지점까지 매설되도록 타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주접지선(50)을 접속하는 제6단계(S6)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단자(40)의 리드선(44)과 전주접지선(50)을 접지슬리브(52)를 이용하여 압축 접속한다.
여기서, 상기 접지슬리브(52)는 유압 압축장치(미도시)를 이용해 압착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지슬리브(52)가 형성된 부분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54)를 사용하여 권취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절연부재(54)는 절연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마감하는 제7단계(S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단자(40)의 리드선(44)과 전주접지선(50)이 접속된 부분에 몰딩부재(60)를 사용하여 마감처리 한다. 여기서, 상기 몰딩부재(60)는 상기 리드단자(40)의 리드선(44)과 전주접지선(50)을 감싸게 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사람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몰딩부재(60)는 지면(G)의 천공부와 삽입되면서 상기 리드단자(40)의 리드선(44)과 전주접지선(50)을 보호하도록 원통형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몰딩부재(60)는 녹슬지 않고 쉽게 파손되지 않은 PVC, PE 재질의 파이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에 의하면, 측정부재(20)를 이용하여 전주(10)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의 지면 위에 접지봉(30)의 시 공을 위한 천공위치(P)를 설정한 후, 드릴(D)을 이용해 접지봉(30)이 매설되도록 천공함으로써, 기존의 도로파쇄 굴착공법에 비하여 공사소음과 진동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기재된 범주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접지동봉에 의한 전주 접지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의 제1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의 제2단계를 도시한 시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의 제3단계를 도시한 시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의 제4단계를 도시한 시공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의 제5단계를 도시한 시공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의 제6단계를 도시한 시공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의 제7단계를 도시한 시공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주 12 : 근가
14 : 지하매설물 16 : 도로
20 : 측정부재 22 : 기준틀
24 : 천공표시부 30 : 접지봉
32 : 나사돌기 40 : 리드단자
42 : 나사결합홈 44 : 리드선
46 : 단턱부 50 : 전주접지선
52 : 접지슬리브 54 : 절연부재
60 : 몰딩부재 D : 드릴
H : 타격장치 G : 지면
S : 타격용 소켓

Claims (10)

  1. 측정부재를 이용하여 전주를 중심으로 일정반경 이내의 지면 위에 접지봉의 천공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위치가 설정된 지면을 천공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된 지면 내부에 접지봉을 가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접지봉에 리드단자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리드단자를 타격장치를 사용하여 타격하여 상기 접지봉을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재는 기준틀의 내측 모서리부 각각에 천공표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전주를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천공위치가 설정되게 하는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 리드단자의 리드선에 전주접지선을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리드단자와 전주접지선을 몰딩부재로 마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위치는 전주의 외경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5 ∼ 7 cm 정도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을 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지봉 보다 8 ∼ 12 ㎜ 정도 크게 형성된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을 천공하는 단계는 선단에 드릴날이 형성된 접지봉을 전동드릴에 장착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단자를 연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접지봉과 리드단자가 나사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접지봉이 지면으로부터 70 ∼ 80cm 지점까지 매설되게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에서 리드단자의 리드선과 전주접지선을 접지슬리브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슬리브에 절연부재를 사용하여 절연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KR1020090072177A 2009-08-05 2009-08-05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KR10094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77A KR100940172B1 (ko) 2009-08-05 2009-08-05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77A KR100940172B1 (ko) 2009-08-05 2009-08-05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172B1 true KR100940172B1 (ko) 2010-02-03

Family

ID=4208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177A KR100940172B1 (ko) 2009-08-05 2009-08-05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601A (ko) * 2019-10-15 2021-04-23 한국전력공사 전력케이블 접지봉 매설 유도공 굴착장치 및 안전접지 시공방법
KR20210046169A (ko) * 2019-10-18 2021-04-28 한국전력공사 휴대용 토사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설설비 확인 보수방법과 안전접지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7085A (ja) * 1997-09-18 1999-04-09 Haneda Hume Pipe Co Ltd アース設置工法及びアース設置用工具
JP2000164312A (ja) * 1998-11-25 2000-06-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接地棒の埋設工具及び埋設方法
KR200406263Y1 (ko) * 2005-10-27 2006-01-20 한국전력공사 심타용 접지봉의 리드단자 구조
KR200432449Y1 (ko) 2006-09-14 2006-12-01 임용재 접지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7085A (ja) * 1997-09-18 1999-04-09 Haneda Hume Pipe Co Ltd アース設置工法及びアース設置用工具
JP2000164312A (ja) * 1998-11-25 2000-06-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接地棒の埋設工具及び埋設方法
KR200406263Y1 (ko) * 2005-10-27 2006-01-20 한국전력공사 심타용 접지봉의 리드단자 구조
KR200432449Y1 (ko) 2006-09-14 2006-12-01 임용재 접지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601A (ko) * 2019-10-15 2021-04-23 한국전력공사 전력케이블 접지봉 매설 유도공 굴착장치 및 안전접지 시공방법
KR102252932B1 (ko) * 2019-10-15 2021-05-18 한국전력공사 전력케이블 접지봉 매설 유도공 굴착장치 및 안전접지 시공방법
KR20210046169A (ko) * 2019-10-18 2021-04-28 한국전력공사 휴대용 토사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설설비 확인 보수방법과 안전접지 시공 방법
KR102252931B1 (ko) * 2019-10-18 2021-05-18 한국전력공사 휴대용 토사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설설비 확인 보수방법과 안전접지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717B1 (ko)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081893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0940172B1 (ko)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KR101592008B1 (ko) 배전전선로의 접지 공법이 적용된 시스템
CN103779824B (zh) 光伏太阳能建筑雷电防护设施施工方法
KR100413112B1 (ko) 배전선로 접지공법
JP5210851B2 (ja) 接地極および接地極の施工方法
KR100901765B1 (ko) 접지판 일체식 접지근가
KR200257071Y1 (ko) 성형된 접지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CN211124745U (zh) 一种光缆标石结构
KR20230090670A (ko) 전주용 접지봉과 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0451817Y1 (ko)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KR20190133118A (ko) 사선접지 장치 및 공법
WO2008143421A1 (en) A ground rod structure with drills blade shape
KR100866933B1 (ko) 나선 스크류가 형성된 기초부를 갖는 접지봉
KR20090110467A (ko) 접지봉 매립 및 접지저감제 투입을 위한 천공용 스크류장치
JP2000164312A (ja) 接地棒の埋設工具及び埋設方法
KR20230163984A (ko) 가공통신케이블 국선 보호강관의 비굴착 수평방향 매설 방법
KR102124644B1 (ko) 파이프형 콘크리트 접지블록
KR20090106778A (ko) 전주 내 접지선과 심타용 접지봉에 의한 접지 시공방법 및접지 시공을 위한 압입보호관
KR200425457Y1 (ko) 유압동력장치에 사용되는 접지봉 매설용 어댑터
KR20030052460A (ko) 전주의 접지시공방법과 그 장치
CN109403336B (zh) 一种临近基坑边危房保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524867B (zh) 一种石墨烯复合快速接地系统安装方法
KR200272239Y1 (ko) 전주의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