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758Y1 - 접지용 전주 - Google Patents

접지용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758Y1
KR200288758Y1 KR2020020019621U KR20020019621U KR200288758Y1 KR 200288758 Y1 KR200288758 Y1 KR 200288758Y1 KR 2020020019621 U KR2020020019621 U KR 2020020019621U KR 20020019621 U KR20020019621 U KR 20020019621U KR 200288758 Y1 KR200288758 Y1 KR 200288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ground
grounding
ro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만식
Original Assignee
금영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영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영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9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758Y1/ko

Link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용 전주에 관한 것으로, 전주의 원구(가장 굵은 곳)에 철근 사이에 설치되는 접지동봉; 상기 접지동봉이 상기 철근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나연동선; 및 상기 나연동선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주의 상단부의 접지 구멍까지 연결하여 바깥으로 돌출시켜 선로와 연결하는 제1접지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주를 건주하고 다시 부근을 굴착하여 접지를 시공할 필요가 없이 전주만 건주하면 접지공사가 완료되므로 주변을 굴착하고 접지선과 접지동봉을 연결하여 매설하는 공사가 필요 없게 되어 이에 따르는 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접지용 전주{The electric pole for ground connection}
본 고안은 도로 등에 설치되어 가정 또는 빌딩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주의 접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접지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전주의 몸체 내측에 접지구조를 일체로 형성하여 접지저항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지용 전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를 어스라고도 부르기도 하며, 기기의 전위(電位)를 대지와 동일한 전위로 유지하고, 또 대지를 전기회로의 일부로서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접지에는 저항값을 작게 하면 유효하므로 저항이 작은 도선(導線)으로 대지에 잇는다. 이로 말미암아 대전도체(帶電導體)의 전위는 대지와 상등하게 0이 되므로 기기에 닿아도 감전되지 않는다. 전기기기의 겉틀이나 피뢰침 등을 접지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접지에는 직접접지 ·고저항접지 ·저저항 접지 ·리액턴스접지, 소호(消弧)리액턴스접지 등의 방식이 있다. 무선통신에 있어서 장 ·중파의 전파를 발사하기 위해서는 접지를 사용해야 하는데 접지저항은 발사전력손실의 최대원인이 되므로 이것을 감소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소규모의 안테나에서는 땅속에 깊게 매설한 얇은 동판(銅板), 혹은 땅밑 1~2 m 정도의 깊이로 매설한 동선망(銅線網)을 사용하고 대규모의 안테나에서는 안테나 수평부의 투영면적(投影面積)보다 약간 큰 지역에 지선망(地線網)을 만들고 이것을 가공지선(架空地線)으로 접속하여 지선전류의 균일화를 꾀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전력공사에서는 22.9KV-y 특고압 배전선은 5경간마다, 220V, 380V, 저압은 3경간마다 중성선은 대지와 연결하여 수용장소까지 전력을 공급하게된다. 이러한 것은 접지라 하는데 배전선로에 설치하는 각종 기기도 기기와 선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지시공을 하게 된다.
종래의 전주 접지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를 매설할 수 있는 일정깊이의 전주 구덩이를 굴착한 후 그 전주(1) 구덩이 일측으로 일정 깊이의 폭을 갖는 구덩이를 하나 더 굴착하고, 그 구덩이에 접지에 사용되는 접지봉(3)을 햄머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하여 매설한 다음 전주에 설치된 인출선(2)과 서로 연결하여 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선(2)은 전주(1)의 상부에 형성된 접지구멍(1a)을 통해 선로(미도시)와 연결된 인출선(2)이 전주(1)의 하단에 형성된 접지구멍(1a)을 통해 상기 접지봉(3)과 연결되는 것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를 매설할 수 있는 일정깊이의 구덩이를 굴착 후 그 구덩이 일측으로 일정깊이와 폭을 갖는 구덩이를 하나 더 굴착하고, 그 구덩이에 접지에 사용되는 둘 이상의 접지봉(3)을 전주(1)로부터 일정거리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햄머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하여 매설한 다음 전주(1)에 설치된 인출선(2)과 연결하는 병렬시공이 사용되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 하단에 끼운 설치할 수 있도록 전주(1)의 형상과 동일하고 내경이 전주(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원통형의 절연커버(4)를 사출 성형하되, 저면에 복수개의 너트(6)가 고정된 금속의 고정편(5)을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이때, 상기 절연커버(4) 저면의 고정편(5) 가장자리에 고정 설치된 너트(6)에는 전주(1)를 접지할 수 있는 접지봉(3)을 나사결합하고, 중앙에 고정 설치된 너트(6)에는 타측이 전주(1)에 설치된 인출선(2)과 일측단부를 보울트(7)로 고정 설치한다.
이때 접지봉(3) 상부에는 나사부(3')를 돌출형성하고, 하부에는 지표면하에 매설시 매설이 용이하도록 뾰쪽하게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접지 시공을 위해서는 전주(1) 건주용 굴착 외에 접지봉(3)을 묻기 위해 주변을 다시 굴착해야 하는데 보통 5~6m의 길이로 1m깊이 정도로 굴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지의 특성에 따라 규정된 접지 저항치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서 추가로 10m이상 굴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포장된 도로나 주택가, 경작지 등 접지동봉을 묻기 위한 굴착이 어느 한곳 쉬운 곳이 없다. 특히 포장도로 주택가 등의 굴착을 위해서는 허가가 필요하고 작업 후 복구에도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그에 비해 전주 건주를 위한 굴착은 오가크레인이나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비교적 적은 면적을 굴착하면 되므로 오히려 전주 건주보다 접지 공사가 더욱 힘들고 시동이 부실해 지는 원인이 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절연용 전주는 접지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전주의 몸체 내측에 접지구조를 일체로 형성하여 접지저항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주만을 건주하면 접지시공이 종료될 수 있도록한 접지용 전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통상의 전주를 형성하기 위하여 형틀의 내측에 철근을 배열하고, 이를 철선으로 엮은 후 콘크리트 몰탈을 부어 형성된 전주에 있어서,
전주의 원구(가장 굵은 곳)에 철근 사이에 설치되는 접지동봉; 상기 접지동봉이 상기 철근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나연동선; 및 상기 나연동선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주의 상단부의 접지 구멍까지 연결하여 바깥으로 돌출시켜 선로와 연결하는 제1접지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전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나연동선의 일측에는 상기 전주의 상단부로 돌출되어 선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철근과 상기 접지동봉이 일정 순서를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철근과 상기 접지동봉이 일정 순서를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나연동선의 일측에는 전주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접지구멍으로 인출되어 시공 후 접지 저항치가 규정을 벗어날 경우에 외부에서 접지시공을 할 수 있도록 제2접지선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전주가 지표면까지 매설되는 부분에만 상기 접지동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전주의 하부에 저항치가 규정에 벗아 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누설전류를 보다 원활하게 지중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리재질로 형성된 접지관(6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철근과 상기 접지동봉은 제1접지선을 중심으로 접지동봉과 철근이 순서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주의 접지상태를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접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접지용 전주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접지용 전주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주 1a : 접지구멍
1b : 심재 1c : 철선
10 : 접지동봉 20 : 나연동선
30 : 제1접지선 40 : 고리
50 : 제2접지선 60 : 접지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접지용 전주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접지용 전주를 보인 설치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접지용 전주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전주는 그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을 이용하여 심재(1b)를 형성하고, 상기 심재(1b)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를 전주(1)의 형상을 갖출 수 있도록 형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트리트를 넣어 양성시켜 통상의 전주(1)를 형성한다.
상기 콘크리트를 형틀 내에 넣기 전에 상기 심재(1b)를 형성하는 철근의 사이사이 즉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순서를 갖도록 접지동봉(10)을 설치한다. 상기 접지동봉(10)을 상기 심재(1b)의 사이사이에 배열시킨 상태에서 이를 나연동선(20)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접지동봉(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선로를 통해 인가되는 누설전류를 지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제1접지선(30)이 연결되고, 상기 제1접지선(30)의 일측에는 선로와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주(1)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지구멍(1a)을 통해 상기 접지동봉(1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접지선(50)이 설치된다. 상기 제2접지선(50)은 접지저항치가 규정을 벗어날 경우 외부에서 별도의 접지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여유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1)의 하부에 구리재질로 형성된 접지관(60)을 설치하여 저항치가 규정에 벗아 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누설전류를 보다 원활하게 지중으로 방출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형틀에 콘크리트 몰탈을 넣어 양성시켜 전주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접지용 전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주를 만드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전주(1)의 심재(1b)가 되는 철근을 전주(1)의 형상과 비슷하게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심재(1b)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접지동봉(10)을 철근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심재(1b)의 사이에 위치된 접지동봉(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연동선(20)을 이용하여 상기 심재(1b)에 접지동봉(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고, 그리고 상기 나연동선(20)이 일측에 제1접지선(30)을 연결하여 전주(1)의 상부 쪽으로 제1접지선(30)이 위치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 형틀(전주를 형성하기 위한 틀)에 콘크리트 몰탈을 넣은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콘크리트 몰탈이 궂어지게 되어 전주(1)의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주(1)의 상부에 형성된 접지구멍(1a)으로 돌출된 제1접지선(30)의 일측에 고리(40)를 형성하여 선로(미도시)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전주의 하단에 형성되는 접지구멍(1a)을 통해 제2접지선(50)이 인출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접지저항치가 규정을 벗어날 경우에 별도의 접지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제작에 의해 생산되어 지는 전주(1)는 먼저 소정의 깊이로 구덩이를 파고, 구덩이를 형성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전주(1)를 가설하기 위한 방식으로 전주(1)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전주(1)를 설치한 상태에서 그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접지동봉(10)이 지중과 맞닿게 되는데, 이는 전주가 콘크리트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주를 가설하는 것만으로 지중과 맞닿아 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전주(1)가 지중에 설치된 후에는 지주(1)의 상부에 형성된 접지구멍(1a)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리(40)를 선로에 연결하면 전주는 단지 지중에 매설하는 것만으로 접지공사를 한 것과 같게 된다.
상기 전주(1)를 건주하고 다시 부근을 굴착하여 접지를 시공할 필요가 없이 전주만을 건주하면 접지공사가 완료되므로 주변을 굴착할 필요가 없이 단지 전주(1)만을 건주 할 구덩이만을 형성하므로 주변을 환경을 해치지 않고 편리하게 전주의 접지공사를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주(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접지동봉(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그 배열을 달리하거나 또는 전주의 외측 및 중앙에 몰아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 그리고 전주의 횡방향으로 형성하는 것 등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접지용 전주의 효과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접지용 전주는 전주를 건주하고 다시 부근을 굴착하여 접지를 시공할 필요가 없이 전주만 건주하면 접지공사가 완료되므로 주변을 굴착하고 접지선과 접지동봉을 연결하여 매설하는 공사가 필요 없게 되어 이에 따르는 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8)

  1. 통상의 전주를 형성하기 위하여 형틀의 내측에 철근을 배열하고, 이를 철선으로 엮은 후 콘크리트 몰탈을 부어 형성된 전주에 있어서,
    전주의 원구(가장 굵은 곳)에 철근 사이에 설치되는 접지동봉;
    상기 접지동봉이 상기 철근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나연동선; 및
    상기 나연동선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주의 상단부의 접지 구멍까지 연결하여 바깥으로 돌출시켜 선로와 연결하는 제1접지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전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연동선의 일측에는 상기 전주의 상단부로 돌출되어 선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전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과 상기 접지동봉이 일정 순서를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전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선과 상기 나연동선은 일정 순서를 갖도록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전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연동선의 일측에는 전주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접지구멍으로 인출되어 시공 후 접지 저항치가 규정을 벗어날 경우에 외부에서 접지시공을 할 수 있도록 제2접지선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전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가 지표면까지 매설되는 부분에만 상기 접지동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전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의 하부에 저항치가 규정에 벗아 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누설전류를 보다 원활하게 지중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리재질로 형성된 접지관(6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전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과 상기 접지동봉은 제1접지선을 중심으로 접지동봉과 철근이 순서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 전주.
KR2020020019621U 2002-06-28 2002-06-28 접지용 전주 KR200288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621U KR200288758Y1 (ko) 2002-06-28 2002-06-28 접지용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621U KR200288758Y1 (ko) 2002-06-28 2002-06-28 접지용 전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758Y1 true KR200288758Y1 (ko) 2002-09-10

Family

ID=7308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621U KR200288758Y1 (ko) 2002-06-28 2002-06-28 접지용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75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289B1 (ko) * 2002-07-16 2006-03-03 (주)두영티앤에스 접지 전극 일체형 전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08295B1 (ko) 2006-11-01 2007-04-18 육혜연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KR100751830B1 (ko) * 2007-07-25 2007-08-23 주식회사 21세기엔지니어링 전위 상승 억제 기능을 갖는 접지선
KR101191936B1 (ko) * 2011-06-02 2012-10-17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파일 및 파일의 접지 방법
KR102109524B1 (ko) * 2019-08-23 2020-05-13 (주)한맥이엔지 배전선로 접지용 전신주 접지관
KR102503564B1 (ko) * 2022-04-25 2023-02-24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배전용 전주 접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289B1 (ko) * 2002-07-16 2006-03-03 (주)두영티앤에스 접지 전극 일체형 전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08295B1 (ko) 2006-11-01 2007-04-18 육혜연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KR100751830B1 (ko) * 2007-07-25 2007-08-23 주식회사 21세기엔지니어링 전위 상승 억제 기능을 갖는 접지선
KR101191936B1 (ko) * 2011-06-02 2012-10-17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파일 및 파일의 접지 방법
KR102109524B1 (ko) * 2019-08-23 2020-05-13 (주)한맥이엔지 배전선로 접지용 전신주 접지관
KR102503564B1 (ko) * 2022-04-25 2023-02-24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배전용 전주 접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938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1097717B1 (ko)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N103219597B (zh) 接地线装置
KR200288758Y1 (ko) 접지용 전주
KR101034191B1 (ko) 맨홀 접지구조
CN111555051A (zh) 一种低压配电用石墨基接地极、接地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257071Y1 (ko) 성형된 접지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KR20060118312A (ko) 접지수단을 구비한 콘크리트 전주
KR200185354Y1 (ko) 전주용 접지장치
KR100901765B1 (ko) 접지판 일체식 접지근가
KR20110098189A (ko) 전주 하부 고정 원통형 접지판
KR101347532B1 (ko)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KR100663246B1 (ko) 나선형 외관을 갖는 접지봉
KR200451817Y1 (ko)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KR100446344B1 (ko) 전주의 접지시공방법과 그 장치
US6177630B1 (en) Equipment installation concrete pad having integrated equipotential grounding plane and method for installing equipment using same
KR100754488B1 (ko) 접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지방법
KR100866933B1 (ko) 나선 스크류가 형성된 기초부를 갖는 접지봉
KR102124644B1 (ko) 파이프형 콘크리트 접지블록
KR200238821Y1 (ko) 접지봉 매설 지그
JPH087943A (ja) コンクリート柱の根入れ部における接地装置
KR200343950Y1 (ko) 배전 선로의 접지 장치
CN2796160Y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KR101095308B1 (ko) 전주용 접지 저항저감장치
KR200151086Y1 (ko) 접지극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