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532B1 -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532B1
KR101347532B1 KR1020120074425A KR20120074425A KR101347532B1 KR 101347532 B1 KR101347532 B1 KR 101347532B1 KR 1020120074425 A KR1020120074425 A KR 1020120074425A KR 20120074425 A KR20120074425 A KR 20120074425A KR 101347532 B1 KR101347532 B1 KR 10134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 connection
reinforced concrete
ground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전선로 및 통신선로 공사 중 접지시공시 그 접지 저항값을 용이하게 얻지 못할 경우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활용하여 접지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철근이 배열되고 외부에는 내부의 철근과 연결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가 형성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구비하되, 가공 전선로 및 통신선로 공사시 기본적인 접지시공 후 필요한 접지 저항값을 얻지 못할 경우,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지선과 전주의 내부 철근을 연결함으로 철근 콘크리트 전주가 보조 접지전극의 수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접지보강 공사에 따른 접지동봉 등의 추가 자재가 필요 없어 접지용 자재 확보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이에 따른 접지 보강시 발생 되는 공사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게 하고, 간단한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어 접지시공에 따른 인력의 감소와 작업의 효율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또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보조 접지전극으로 이용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전주와 주 접지전극이 등전위가 됨에 따라 설비가 안정되고 추후 경년변화에 따른 접지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접지수명의 연장과 유지보수에 따른 차량 및 통행인의 불편함 해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 및 그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Reinforced concrete utility pole utilizable as sub grounding electrode and earth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공 전선로 및 통신선로 공사 중 접지시공시 그 접지 저항값을 용이하게 얻지 못할 경우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활용하여 접지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내부에 철근이 배열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구비하되, 주 접지시공시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하부에서 지중에 설치되는 주 접지전극의 접지수단과는 별도로 전주의 하부에서 지하 매설부의 철근 콘크리트 전주 내부에 배열된 철근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주 접지전극의 접지선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철근을 연결 및 그 철근에 의해 철근 콘크리트 전주가 보조 접지전극의 역할이 가능하게 접지보강을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접지 저항값을 얻기 위하여 별도의 접지동봉 등의 추가 접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된 접지 저항값을 얻을 수 있게 하며, 특히, 간단한 작업으로 가공 전선로의 접지보강이 가능하여 접지보강 공사에 따른 공사비용의 절감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와 주 접지전극이 등전위 됨에 따른 설비 및 접지성능의 안정성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보조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공 전선로 및 통신선로 공사 시 가공지선과 완철 또는 피뢰기나 변압기 등과 같은 전주상에 설치되는 기기류 및 중성선의 대지 접지를 위한 접지공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통상 가공 전선로의 접지시공은 전주 최상단 가공지선과 특고압선 하부 변압기 하부에 위치하는 특고압 중성선을 전주의 접지선과 연결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주 접지전극(접지동봉, 심타용 접지봉, 도전성철근 콘크리트, 접지기능 아치형 전주근가 등)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그 접지시공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접지전극을 이용하여 접지시공시 그 주 접지전극 만으로 원하는 접지저항값을 얻지 못하는 경우 반드시 별도의 접지보강공사를 추가로 실시하여 가공 전선로에 필요한 접지저항 값을 유지시켜 주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접지보강공사는 상기 주 집지극과는 별도로 접지동봉 등을 구비하되, 접지동봉 등이 매설될 부분을 지표하 75Cm 이상까지 터파기를 한 후 그 터파기부에서 접지동봉 등을 해머로 타격하는 등의 방법으로 매설한 후 동선을 연결하여 접지보강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접지장소의 토질 또는 현장여건에 따라 접지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접지개소 주변의 환경오염 우려가 없는 고강도 접지저항 저감제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방법으로 접지보강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주 접지전극의 시공시에 필요한 접지저항 값이 얻어질 때까지 별도의 접지동봉 등을 추가로 보강하여 접지저항 값을 확보하여야 함으로, 추가되는 과다한 접지공사 자재비 투입과 시공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지공사 후 접지동봉을 매설하기 위해서 추가로 굴착작업 및 타설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것으로, 그 시공시 별도의 장비투입이나 인력에 의한 수공작업에 의존하여야 하는 것인바, 작업의 효율성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년변화에 따른 접지성능 저하로 정기적인 유지보수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인바, 이때 재차 접지동봉 등의 제거 작업과 추가 재설치 시공 작업에 따른 토사 굴착 및 되메우기 작업으로 인하여 차량이나 사람들의 통행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발생 및 유지보수 비용이 추가로 투입되는 등의 매우 합리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철근이 배열되고 외부에는 내부의 철근과 연결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가 형성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구비하되, 가공 전선로 및 통신선로 공사시 기본적인 접지시공 후 필요한 접지 저항값을 얻지 못할 경우,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지선과 전주의 내부 철근을 연결함으로 철근 콘크리트 전주가 보조 접지전극의 수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접지보강 공사에 따른 접지동봉 등의 추가 자재가 필요 없어 접지용 자재 확보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이에 따른 접지 보강시 발생 되는 공사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게 하고, 간단한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어 접지시공에 따른 인력의 감소와 작업의 효율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 및 그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보조 접지전극으로 이용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전주와 주 접지전극이 등전위가 됨에 따라 설비가 안정되고 추후 경년변화에 따른 접지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접지수명의 연장과 유지보수에 따른 차량 및 통행인의 불편함 해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에 다수의 수직철근과 수평 원형철근으로 된 철근이 배열된 중공형 철근 콘크리트 전주에 있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상부에는 내부와 관통되는 접지선 인입공을 형성하고,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에는 내부와 관통되는 접지선 인출공을 형성하며,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접지선 인출공이 형성된 하부와, 상부의 선로 공사시 중성선이 설치되는 근접부 외둘레에는 각각 내부의 철근과 통전 되게 연결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를 더 형성하여 구성하며,
가공 전선로 및 통신선로 공사시 가공지선과 특고압 중성선 및 완철, 각종 기기설치에 필요한 접지선을 이용하여 가공지선으로부터 중성선을 통해 지중 굴착부의 주 접지전극과 접지시공 후 필요한 저항치를 얻기 위해 추가로 시공하는 접지보강 방법에 있어서,
전주 건주 공사시 내부에 철근이 배열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접지선 인입공 및 접지선 인출이 내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며, 접지선 인출공이 형성된 하부와, 상부의 선로 공사시 중성선이 설치되는 근접부 외둘레에는 내부의 철근과 연결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가 형성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하여 건주공사를 수행하되,
상기 접지선을 이용하여 주 접지전극에 기본적인 주 접지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별도의 접지 연결선을 이용하여 그 접지 연결선의 일단을 접지선과 연결하고, 접지 연결선의 타단을 어느 하나의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에 연결하여 접지선과 철근이 통전 되어 철근 콘크리트 전주와 주 접지전극이 등전위가 되게 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 및 그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은, 철근 콘크리트 전주에 그 내부의 철근과 연결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를 전주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그 철근 콘크리트 전주가 보조 접지전극으로의 사용이 가능하여 접지보강 공사시 접지동봉과 같은 별도의 추가 접지 보강재료를 확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비용의 손실이 방지되고, 특히, 가공 전선로 및 통신선로 공사시 사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그대로 적용하여 접지보강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안정적 접지저항 값 확보 및 접지 보강 공사시 발생 되는 공사비용의 절감과 작업의 효율성이 현격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보조 접지전극으로 이용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전주와 주 접지전극이 등전위가 됨에 따라 설비가 안정되고 추후 경년변화에 따른 주 접지전극의 접지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접지전극으로 수명이 연장되어 접지의 유지보수에 따른 차량 및 통행의 불편함과 비용의 손실이 획기적으로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주 접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주 접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접지보강 상태를 나타낸 제1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접지보강 상태를 나타낸 제2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접지보강 상태를 나타낸 제3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접지보강 상태를 나타낸 제4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접지보강 상태를 나타낸 제5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를 적용한 일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를 적용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는, 내부에 다수의 수직철근과 수평 원형철근으로 된 철근(110)이 배열된 중공형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로부터, 상기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상부에는 내부와 관통되는 접지선 인입공(120)이 형성되고,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에는 내부와 관통되는 접지선 인출공(130)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에는, 하부와 상부에 각각 내부의 철근(11)과 통전 되게 연결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200')가 더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에 형성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는, 그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외부 접지선 인출공(130)의 근접부(전주 하부 지표면 하 매설부위의 표면)에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내부에 배열된 철근(110)과 통전 되게 연결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는, 그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선로 공사시 전력선 및 중성선이 설치되는 근접부 외둘레에서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내부에 배열된 철근(110)과 통전 되게 연결되게 구성된 것이다.
즉,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200')에 별도 구비되는 접지 연결선(210)을 연결하게 되면 지중에 매설되는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에 의해 그 대지접지가 가능하여 보조 접지전극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200')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 내부의 철근(110)과 연결되고 그 전주(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콘넥터(201)로 구성하되, 상기 보조접지 연결용 콘넥터(20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전선이 끼움 결합 가능한 콘넥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별도 구비되는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그 접망 연결선(210)의 일단부가 보조접지 연결용 콘넥터(201)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200')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 내부의 철근(110)과 연결되며 그 전주(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선(202)으로 구성하되,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선(202)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지용 전선을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별도 구비되는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그 접지 연결선(210)의 일단부가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선(202)과 꼬아져 연결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주 접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의 주 접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은, 가공 전선로 및 통신선로 공사에 가공지선(10)과 전력선(60)이 설치되는 완철(50) 및 특고압 중성선(20) 그리고 각종 기기설치시 접지에 필요한 접지선(30)을 이용하여 지중 굴착부의 주 접지전극(40)과 연결하여 주 접지를 시공한 후 안정적인 접지저항 값 확보 및 필요한 접지저항 값을 얻기 위해 추가로 시공하는 접지보강방법에 있어서,
먼저, 전주 건주공사를 수행시 내부에 철근(110)이 배열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접지선 인입공(120) 및 접지선 인출공(130)이 내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며, 접지선 인출공(130)이 형성된 하부와, 상부의 선로 공사시 중성선(20) 및 전력선(60)을 가설하기 위한 완철(50)이 설치되는 근접부 외둘레에는 내부의 철근(110)과 연결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200')가 각각 형성된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를 이용하여 건주공사를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후, 건주공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가공지선과 완철 또는 피뢰기나 변압기, 통신 접속함 등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상에 설치되는 기기류 및 중성선의 대지 접지를 위한 주 접지시공이 수행되는 것으로,
접지시공은,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 최상단 가공지선(10)과 특고압선 하부의 변압기 하부에 위치하는 특고압 중성선(20)과 변압기, 통신접속함 등을 접지선(30)으로 연결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주 접지전극(40)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그 접지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공지선(10)과 특고압 중성선(20) 등과 연결된 접지선(30)은, 본 발명의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 상부에 형성된 접지선 인입공(120)을 통해 전주(100)의 내부로 인입되고, 그 인입된 접지선(30)은 전주(100)의 중공부를 통해 하부로 이동 및 접지선 인출공(130)을 통해 전주(100) 외부로 인출되어 전주(100)에 설치되는 주 접지전극(40)과 연결함으로 그 주 접지시공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 접지전극(40)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통상의 접지동봉, 심타용 접지봉, 도전성철근 콘크리트 및 아치형 전주근가 등을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주 접지전극(4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주(100)의 하부에 굴착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며, 본 발명 실시예 에서 사용되는 주 접지전극(40)으로는,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10-820070호와 같은 아치형 전주근가를 적용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기본적인 주 접지시공이 마무리되면 통상적으로 전주(100)를 건주 하고 접지 저항치를 테스트하는 것인바, 이때, 상기 주 접지전극(40) 만으로 안정적인 접지저항 값을 얻지 못할 경우 본 발명 접지보강 공사를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접지보강 공사는,
도 6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접지 연결선(210)을 구비하되, 그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상기 접지선 인출공(130)으로 인출되는 접지선(30)과 전주(100)의 내부에 배열된 철근(110)을 연결함으로 접지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지중에 매설되는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는, 그 대지 접지가 이루어져 보조 접지전극의 수행이 가능하며 접지 저항값을 낮추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접지선(30)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내부 철근(110)과 연결시에는, 접지선 인출공(130)의 근접부에 형성된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그 접지 연결선(210)의 일단을 접지선(30)과 연결하고, 접지 연결선(210)의 타단을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에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간편한 작업으로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 및 접지 연결선(210)을 매개로 하여 접지선(30)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철근(110)이 연결되어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는 보조 접지전극의 수행 및 접지보강 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며, 이러한 하부 접지보강 방법은 건주 공사 후 굴착된 토사를 되메움 하기 전에 수행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도 7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접지 연결선(210)을 구비하되, 그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선로 공사시 중성선(20)에 연결되는 접지선(30)과 전주(100)의 내부에 배열된 철근(110)을 연결함으로 접지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지중에 매설되는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는, 그 대지 접지가 이루어져 보조 접지전극의 수행이 가능하며 접지 저항값을 낮추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접지선(30)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내부 철근(110)과 연결시에는, 중성선(20)의 근접부에 형성된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그 접지 연결선(210)의 일단을 접지선(30)과 연결하고, 접지 연결선(210)의 타단을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에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간편한 작업으로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 및 접지 연결선(210)을 매개로 하여 접지선(30)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철근(110)이 연결되어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는 보조 접지전극의 수행 및 접지보강 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부 접지보강 방법은 건주 공사 후 굴착된 토사가 되메움 된 후나 선로를 사용중 접지보강을 요할 경우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도 8의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접지 연결선(210)을 구비하되, 그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선로 공사시 접지선(30)이 경유하는 완철(50)의 접지클램프(51)와 전주(100)의 내부에 배열된 철근(110)을 연결함으로 접지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지중에 매설되는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는, 그 대지 접지가 이루어져 보조 접지전극의 수행이 가능하며 접지 저항값을 낮추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완철(50)의 접지클램프(51)와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내부 철근(110)과 연결시에는, 중성선(20) 및 완철(50)의 근접부에 형성된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그 접지 연결선(210)의 일단을 접지선(30)이 경유하는 접지클램프(51)와 연결하고, 접지 연결선(210)의 타단을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에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간편한 작업으로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 및 접지 연결선(210)을 매개로 하여 접지선(30)이 연결된 접지클램프(51)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철근(110)이 연결되어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는 보조 접지전극의 수행 및 접지보강 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부 접지보강 방법은 건주 공사 후 굴착된 토사가 되메움 된 후나 선로를 사용중 접지보강을 요할 경우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도 9의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접지 연결선(210)을 구비하되,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하부에서 주 접지전극(40)에 연결되는 접지선(30)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하부 접지선 인출공(130) 근접부에 형성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와 연결 및
또 다른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상부에서 접지보강을 수행하되,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상부에서 중성선(20)에 연결되는 접지선(30)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와 연결하거나, 도 10의 제5 실시예에서와 같이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상부에서 완철(50)의 접지클램프(51)와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와 연결함으로,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하부 및 상부에서 동시에 접지보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하부 및 상부에서 동시에 접지보강을 수행시에는 그 하부 및 상부의 접지보강 만으로는 원하는 접지저항값을 얻지 못할 경우 동시에 접지보강을 수행함으로 그 접지보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접지보강을 위해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에 형성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200')는,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한 끼움 연결 가능한 블럭체로 된 보조접지 연결용 콘넥터(201)를 사용하거나, 전선으로 된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선(202) 중 어느 하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보조접지 연결용 콘넥터(201)를 사용시에는 별도의 접지 연결선(210)을 구비하되, 접지 연결선(210)의 일단을 보조접지 연결용 콘넥터(201)에 끼움 방식에 의해 연결하고, 그 접지 연결선(210)의 타단을 접지선(30)에 연결 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선(202)을 사용시에는 별도의 접지 연결선(210)이 필요없이 선 연결방식으로 그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선(202)와 접지선(30)을 직접 연결 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작업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 및 그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은, 철근 콘크리트 전주 자체가 지중에 매설되는 특성상 보조 접지전극의 수행으로 대지 접지가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인바, 그 철근 콘크리트 전주의 철근에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 및 접지 연결선을 이용하여 접지선과 연결하여 보조 접지전극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이에, 주 접지전극만으로 원하는 접지 저항값을 얻지 못할 경우, 별도의 접지동봉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보조 접지전극으로 하는 접지보강 공사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접지보강 공사가 가능하며, 경년변화에 따라 주 접지전극의 성능저하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접지전극으로 접지성능 저하가 방지되어 접지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접지보강 시공시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이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그 접지보강이 가능하여 접지보강공사에 따른 공사비의 절감과 작업의 효율성을 한층 향상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10 : 가공지선 20 : 특고압 중성선
30 : 접지선 40 : 주 접지전극
50 : 완철 51 : 집지클램프
100 : 전주 110 : 철근
120 : 접지선 인입공 130 : 접지선 인출공
200 :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 201 : 보조접지 연결용 콘넥터
202 :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선
210,210' : 접지 연결선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가공 전선로 및 통신선로 공사시 가공지선(10)과 전력선(60)이 설치되는 완철(50)과 특고압 중성선(20) 및 각종 기기설치시 접지에 필요한 접지선(30)을 이용하여 가공지선(10)으로부터 완철(50)의 접지클램프(51)과 중성선(20)을 통해 지중 굴착부의 주 접지전극(40)과 접지시공 후 필요한 저항치를 얻기 위해 추가로 시공하는 접지보강 방법에 있어서,
    전주 건주 공사시 내부에 철근(110)이 배열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접지선 인입공(120) 및 접지선 인출공(130)이 내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며, 접지선 인출공(130)이 형성된 하부와, 상부의 선로 공사시 중성선(20) 및 전력선(60)이 설치되는 근접부 외둘레에는 내부의 철근(110)과 연결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200')가 형성된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를 이용하여 건주공사를 수행하되,
    상기 접지선(30)을 이용하여 주 접지전극(40)에 기본적인 주 접지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별도의 접지 연결선(210)을 이용하여 그 접지 연결선(210)의 일단을 접지선(30)과 연결하고, 접지 연결선(210)의 타단을 어느 하나의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200')에 연결하여 접지선(30)과 철근(110)이 통전 되어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와 주 접지전극(40)이 등전위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각각 다른 접지 연결선(210)(210')을 이용하여 접지선(30)과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200')를 연결시,
    어느 하나의 접지 연결선(210)을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하부에서 주 접지전극(40)에 연결되는 접지선(30)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하부 접지선 인출공(130) 근접부에 형성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접지 연결선(210')을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상부에서 중성선(20)에 연결되는 접지선(30)이나, 접지선(30)이 연결 경유되는 완철(50)의 접지클램프(51) 중 어느 한 곳과 철근 콘크리트 전주(100)의 상부 중성선(20) 근접부에 형성되는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부재(200)(200')를,
    블럭체로 된 보조접지 연결용 콘넥터(201)와 전선으로 된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선(202)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되,
    상기 보조접지 연결용 콘넥터(201)와 접지선(30)을 연결시에는, 접지 연결선(210)을 매개로 하여 접지선(30)에 연결하며,
    상기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선(202)과 접지선(30)을 연결시에는, 그 보조접지 연결용 접지선(202)과 접지선(30) 선 연결방식으로 직접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KR1020120074425A 2012-07-09 2012-07-09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KR10134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425A KR101347532B1 (ko) 2012-07-09 2012-07-09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425A KR101347532B1 (ko) 2012-07-09 2012-07-09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532B1 true KR101347532B1 (ko) 2014-01-07

Family

ID=5014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425A KR101347532B1 (ko) 2012-07-09 2012-07-09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24B1 (ko) 2019-08-23 2020-05-13 (주)한맥이엔지 배전선로 접지용 전신주 접지관
KR20210009236A (ko) 2019-07-16 2021-01-26 티앤에이치 주식회사 접지선 가이드관이 매립된 전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5347U (ko) * 1976-02-09 1977-08-10
JPH11122766A (ja) * 1997-10-15 1999-04-30 Kansai Tech Corp 電 柱
KR101104836B1 (ko) * 2010-06-30 2012-01-16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접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5347U (ko) * 1976-02-09 1977-08-10
JPH11122766A (ja) * 1997-10-15 1999-04-30 Kansai Tech Corp 電 柱
KR101104836B1 (ko) * 2010-06-30 2012-01-16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접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236A (ko) 2019-07-16 2021-01-26 티앤에이치 주식회사 접지선 가이드관이 매립된 전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9524B1 (ko) 2019-08-23 2020-05-13 (주)한맥이엔지 배전선로 접지용 전신주 접지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688B1 (ko) 오거크레인용 확장형 굴착유니트를 이용한 가공선로용아치형 전주근가 시공법
KR101097717B1 (ko)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WO2014133234A1 (ko)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CN110444919B (zh) 一种城区配电网永久性预埋接地体及其施工方法
KR100681450B1 (ko)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1347532B1 (ko)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KR100928719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KR101089543B1 (ko) 바닥면에 도전성 콘크리트층의 접지기능을 갖는 아치형 전주근가
KR200481281Y1 (ko) 접지시공을 위한 굴착장비
KR20110098189A (ko) 전주 하부 고정 원통형 접지판
KR200288758Y1 (ko) 접지용 전주
KR100901765B1 (ko) 접지판 일체식 접지근가
KR101407855B1 (ko) 가로등 피시 원형 기초대
KR20150012363A (ko) 접지부 일체형 전주
KR200340357Y1 (ko) 접지동관봉의 코어링 굴착구조
KR20200086975A (ko) 기설전주 활용 강관기초대 및 이를 활용한 강관주
KR20100112510A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및 그 시공방법
KR102479371B1 (ko) 배전 선로용 리드레스 접지장치의 시공방법
KR200474080Y1 (ko) 전주의 하단 설치용 접지부재
KR101095308B1 (ko) 전주용 접지 저항저감장치
CN215978723U (zh) 一种电线杆安装座
KR20200111474A (ko) 접지극 삽입공법
KR200451817Y1 (ko) 반구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장치
KR100501418B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를 이용한 접지봉의 매설 장치
KR102244155B1 (ko) 지중배전용 접지극부 전력기기 경량 기초대 및 그 기초대를 이용한 지중 전력 케이블 포설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