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719B1 -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719B1
KR100928719B1 KR1020090031023A KR20090031023A KR100928719B1 KR 100928719 B1 KR100928719 B1 KR 100928719B1 KR 1020090031023 A KR1020090031023 A KR 1020090031023A KR 20090031023 A KR20090031023 A KR 20090031023A KR 100928719 B1 KR100928719 B1 KR 10092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round
connector
groun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주
Original Assignee
주은전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전기산업(주) filed Critical 주은전기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031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낙뢰나 서지 등을 대지로 방전시키는 접지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접지봉을 매설하는 접지공사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접지공사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시공된 접지봉의 접지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은, 천공 장비를 이용하여 소정 깊이로 천공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단위 접지봉을 상기 천공 장비에 연결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위 접지봉의 일부를 상기 천공부 내부로 하강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하강된 단위 접지봉을 고정용 스패너 장비로 고정 및 지지하는 제4단계와; 상기 천공 장비를 상기 단위 접지봉으로부터 분리하여 소정 높이 상승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천공 장비와 단위 접지봉 사이에 다른 단위 접지봉을 추가로 조립하는 제6단계와; 상기 고정용 스패너 장비를 제거하고, 상기 천공 장비를 구동시켜 상기 조립된 단위 접지봉들을 상기 천공부 내부로 하강시키는 제7단계; 및 상기 조립된 단위 접지봉에 인하도선을 연결하고, 상기 천공부를 마감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하도선, 고강도, 접지봉, 접지선, 커넥터, 방전침

Description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high strength grounding rod for boring ground}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낙뢰나 서지 등을 대지로 방전시키는 접지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에 접지봉을 매설하는 접지공사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접지공사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시공된 접지봉의 접지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이나 시설물에 설치된 피뢰침을 통해 유입된 낙뢰나 혹은 각종 전기설비로부터 발생된 서지(surge)를 대지로 방출하기 위해서 접지공사가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접지공사는 지하에 접지봉을 매설하고 인하도선을 통해 상기 피뢰침 및 전기설비와 접지봉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이상과 같이 지하에 접지봉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의 (a)와 같이, 지하에 케이싱(11)을 관입시킨 후에, 천공 장비(10)에 로드(12) 및 오거 해머(13)를 장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공정을 시행함으로써, 오거 해머(13)가 케이 싱(11)의 안내를 받으며 진행하여 지반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지반 천공 작업이 종료되면, 도 1의 (b)와 같이, 용접이나 클립 등을 통해 접지선(21)과 인하도선(30)을 서로 연결한 후에, 접지선(21)이 천공된 지반의 바닥면까지 도달하도록 접지선(21)을 밀어 넣고, 그 천공부에 접지 저감재(23)를 투입하여 소정 시간동안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접지선(21)과 접지 저감재(23)로 이루어진 접지봉(20)이 지하에 매설('보링법' 이라고도 함)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접지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접지선(21)을 천공부의 바닥면까지 밀어 넣어야 하는데, 이때 접지선(21)이 천공부의 측면에 걸리거나 혹은 지하에서 용승된 지하수에 의해 천공부의 바닥면까지 밀어 넣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접지선(21)에 다소 무게가 나가는 방전침(22)을 매달아 수행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또한, 접지선(21)이 바닥면까지 내려가는 과정에서 휨 현상이 발생하는 등 당해 접지선(21)이 적절한 상태 및 형상으로 배치되지 않아서 접지 특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지 저감재(23)가 천공부에 투입된 이후부터 경화될 때까지의 긴 시간이 필요함은 물론, 천공부에서 지하수가 용승된 경우에는 당해 접지 저감재(23)가 바닥면까지 가라앉을 때까지의 시간도 필요하여 접지공사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천공부에 지하수가 용승된 경우에는 접지 저감재(23)를 충진하는 것 자체가 어려움은 물론, 접지 저감재(23)에 혼합되어 있는 각종 도전성 재료(코크스, 탄소분말, 탄소섬유 또는 동 슬러지 등)의 분포 특성이 불균일하게 되어 도전성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접지 특성 역시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낙뢰나 서지 등을 대지로 방전시키는 접지봉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하에 접지봉을 매설하는 접지공사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접지공사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시공된 접지봉의 접지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은, 천공 장비를 이용하여 소정 깊이로 천공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단위 접지봉을 상기 천공 장비에 연결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위 접지봉의 일부를 상기 천공부 내부로 하강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하강된 단위 접지봉을 고정용 스패너 장비로 고정 및 지지하는 제4단계와; 상기 천공 장비를 상기 단위 접지봉으로부터 분리하여 소정 높이 상승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천공 장비와 단위 접지봉 사이에 다른 단위 접지봉을 추가로 조립하는 제6단계와; 상기 고정용 스패너 장비를 제거하고, 상기 천공 장비를 구동시켜 상기 조립된 단위 접지봉들을 상기 천공부 내부로 하강시키는 제7단계; 및 상기 조립된 단위 접지봉에 인하도선을 연결하고, 상기 천공부를 마감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위 접지봉을 천공 장비에 연결하는 제2단계는, 어댑터를 통해 상기 단위 접지봉과 천공 장비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 접지봉을 추가로 조립하는 제6단계는, 중간 커넥터를 통해 상기 단위 접지봉들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 접지봉을 고정 및 지지하는 제4단계는, 상기 중간 커넥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중간 커넥터 걸림홈에 상기 고정용 스패너 장비를 죔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부를 마감하는 제8단계는, 상기 천공부와 상기 조립된 단위 접지봉 사이의 공간에 팽창형 도전성 몰탈을 삽입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은, 지하에 접지봉을 매설하는 접지공사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접지공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지하에 매설된 접지봉의 접지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 이하에서는 소수의 단위 접지봉을 조립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천공부의 깊이에 따라서 수십개의 단위 접지봉을 조립하여 100m 이상 깊이의 접지공사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접지봉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커넥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의 방전침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의 상부 커넥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100)은, 축심을 따라서 접지선(도 3의 112 참조)이 매입되어 있어서 복수개가 서로 조립되면 하나의 접지봉 역할을 하는 단위 접지봉(110)과, 상기 단위 접지봉(110)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 및 결합할 수 있도록, 인접한 2개의 단위 접지봉(110)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중간 커넥터(120)와, 시공시 최하부에 위치하는 단위 접지봉(1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낙뢰나 서지 등을 방전하는 방전침(130) 및 시공시 최상부에 위치하는 단위 접지봉(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인하도선 연결구(144)가 설치된 상부 커넥터(140)를 포함한다.
즉, 복수개의 단위 접지봉(110)들이 중간 커넥터(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접지를 위해 필요한 길이 만큼의 접지봉을 형성하며, 이때 최하부에 위치하는 단위 접지봉(110)의 하단에는 방전침(130)이 결합되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단위 접지봉(110)의 상단에는 상부 커넥터(140)가 결합되어, 상기 상부 커넥터(140)의 인하도선 연결구(144)에 인하도선(도 1의 30 참조)이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단위 접지봉(110)들이 하나의 접지봉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인하도선을 통해 유입된 낙뢰나 서지(surge)가 인하도선 연결구(144), 상부 커넥터(140), 단위 접지봉(110), 중간 커넥터(120) 및 방전침(130) 등을 통해 대지로 방전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이 현장에서 직접 접지선(도 1의 21 참조)을 삽입하고 접지 저감재(도 1의 23)를 투입 및 경화시키는 등의 공정 없이, 축심에 접지선(112)이 매입된 복수개의 단위 접지봉(110) 및 그 외 중간 커넥터(120) 등을 가져와 현장에서는 조립 및 매입만 하면 되므로, 접지공사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접지공사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접지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단위 접지봉(110)은 도 3과 같이 접지용 저감재를 봉 형상으로 성형한 접지용 저감봉(111)과, 상기 접지용 저감봉(111)의 축심을 따라 매입된 도전성 재질의 접지선(112) 및 상기 접지선(112)의 상하 양단부에는 봉 연결구(113, 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봉 연결구(113, 114)는 접지용 저감봉(111)의 외측으로 돌출되 어 있으며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접지용 저감재('접지저항 저감재'라고도 함)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접촉면적을 넓혀 줌으로써 접지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제로라이트(Zero-Lite) 등과 같은 고강도 시멘트계 접지저항 저감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위 접지봉(110)은 그 양단에 봉 연결구(113, 114)가 형성된 접지선(112)을 형틀(미도시)에 넣은 상태에서 접지용 저감재를 형틀에 투입 및 경화시켜서, 접지선(112)과 접지용 저감봉(111)이 일체로 성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위 접지봉(110)은 그 내부의 접지선(112)을 통해 낙뢰나 서지가 대지로 방전되는 방전 경로를 제공한다.
한편, 접지용 저감봉(111)의 내부에는 접지선(112)에 결합된 다수의 보조 방전침(115)이 함께 매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조 방전침(115)은 접지선(112)을 통해 유입된 낙뢰나 서지 등의 이상 전압이 더욱 잘 방전될 수 있게 한다.
중간 커넥터(120)는 복수개의 단위 접지봉(110)들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배치 및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4를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상측과 하측에는 단위 접지봉(110)의 봉 연결구(113, 114)와 결합되는 중간 커넥터 연결부(121, 12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측의 외주면에는 중간 커넥터 걸림홈(123)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중간 커넥터 연결부(121, 122)에는 상기 단위 접지봉(110)의 봉 연결구(113, 114)의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측 중간 커넥터 연결부(121)는 상부에 배치된 단위 접지봉(110)의 하측 봉 연결구(114)와 결합되고, 하측 중간 커넥터 연결부(122)는 하부에 배치된 단위 접지봉(110)의 상측 봉 연결구(113)와 결합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단위 접지봉(110)들을 서로 연결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단, 상측 중간 커넥터 연결부(121)의 나사산 방향(예: 왼 나사)과 하측의 중간 커넥터 연결부(122)의 나사산 방향(예: 오른 나사)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여 어느 하나의 단위 접지봉(110)이 나사 조임되면 다른 단위 접지봉(110) 역시 조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단위 접지봉(110)의 상하측 봉 연결구(113, 114) 역시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중간 커넥터 걸림홈(123)은 천공 장비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혹은 지표면에 단독으로 견고히 설치된 고정용 스패너(spanner) 설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당해 중간 커넥터(120) 및 그 하부에 결합된 단위 접지봉(110) 등을 지지하고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스패너 설비를 중간 커넥터 걸림홈(123)에 밀착 후 조인 상태에서 중간 커넥터(120)의 상부에 새로운 단위 접지봉(110)을 추가로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방전침(130)은 낙뢰나 서지 등의 이상 전압이 대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5를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상측에는 단위 접지 봉(110)의 봉 연결구(114)와 연결되는 방전침 연결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하측 방향을 향해 점점 그 폭이 좁아지는 첨두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방전침(130)은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복수개의 단위 접지봉(110)들 중 최하부에 위치한 단위 접지봉(110)의 하측 봉 연결구(114)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단위 접지봉(110)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입된 낙뢰나 서지가 첨두부(131)를 통해 대지로 방전될 수 있게 한다.
상부 커넥터(140)는 각종 천공 장비(도 7의 10 참조)나 접지봉 설치장비(이하, '천공 장비'라 함)와 단위 접지봉(110)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천공 장비(10)를 이용하여 단위 접지봉(110)을 지반에 형성된 천공부 내부로 매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종 구조물 또는 건물 등으로부터 인하된 인하도선을 단위 접지봉(1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부 커넥터(140)는, 도 6을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에는 천공 장비(10)와 연결되는 장비 연결부(141)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단위 접지봉(110)의 봉 연결구(113)와 연결되는 상부 커넥터 연결부(142)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측의 외주면에는 상부 커넥터 걸림홈(1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의 일측에는 인하도선 연결구(14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커넥터(140) 하측에 형성된 상부 커넥터 연결부(14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복수개의 단위 접지봉(110)들이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상부 커넥터(140) 상측에 형성된 장비 연결부(141)를 통해서는 천공 장비(10)와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다만, 상부 커넥터(140)가 종래의 일반적인 천공 장비(10)에 직접 연결될 수는 없을 것이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댑터(150)를 통해서 상부 커넥터(140)가 천공 장비(10)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나, 그에 대한 설명 및 시공 방법 등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인하도선 연결구(144)는 상부 커넥터(140)와 어댑터(150)의 연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당해 상부 커넥터(14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GV 접지 케이블 등과 같은 인하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인하도선을 통해 유입된 낙뢰나 서지가 도전성 재질의 상부 커넥터(140) 및 그 이하에 조립된 단위 접지봉(110) 및 방전침(130) 등을 통해 대지로 방전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7에서는 3개의 단위 접지봉을 조립하여 접지봉을 시공하는 것을 일 예로 들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최상부에 배치될 단위 접지봉은 '상부 단위 접지봉'이라하고, 최하부에 배치될 단위 접지봉은 '하부 단위 접지봉'이라 하며, 최상부와 최하부 사이에 배치될 단위 접지봉은 '중간 단위 접지봉'이라 한다.
먼저, 도 7의 (a)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하에 케이싱(11)을 관입시킨 후에, 천공 장비(10)에 로드(12) 및 오거 해머(13)를 장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공정을 시행하면, 오거 해머(13)가 케이싱(11)의 안내를 받으며 진행하여 지반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천공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천공 과정은 종래와 같다.
한편, 이상과 같이 지반에 천공부가 형성되면, 도 7의 (b)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천공 장비(10)로부터 로드(12) 및 오거 해머(13)를 제거하고 그 대신 상술한 어댑터(도 2의 150)를 설치한다.
어댑터(150)가 설치되면, 어댑터(150)의 하부에는 제1 중간 커넥터(120a)를 연결하고, 제1 중간 커넥터(120a)의 하부에는 하부 단위 접지봉(110a)을 연결하고, 하부 단위 접지봉(110a)의 하부에는 방전침(130)을 연결하며, 각 부분의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 체결을 통해 이루어진다.
단,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중간 커넥터(120a)와, 하부 단위 접지봉(110a) 및 방전침(130)을 일체로 조립한 다음 그 일체로 조립된 하부 단위 접지봉(110a) 등을 어댑터(150)에 연결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조립이 이루어지면, 그 조립된 하부 단위 접지봉(110a)을 천공부 내부로 매입하기 위해, 천공 장비(10)를 이용하여 조립된 하부 단위 접지봉(110a)을 천천히 하강시키며, 이때 하강에 의해 제1 중간 커넥터(120a)의 중간 커넥터 걸림홈(123)이 지표면 밑으로 내려가는 것은 방지하도록 한다.
그 다음, 하부 단위 접지봉(110a)위에 중간 단위 접지봉(110b)을 추가로 조립하기 위해, 도 7의 (c)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천공 장비(10)에 설치되거나, 혹은 지표면 등에 단독으로 견고히 설치된 고정용 스패너 설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지표면 위로 노출된 제1 중간 커넥터(120a)의 중간 커넥터 걸림홈(123)을 죔으로써, 당해 제1 중간 커넥터(120a)는 물론 그 하부에 조립된 하부 단위 접지봉(110a) 등을 지지한다.
그러면, 어댑터(150)를 중간 커넥터(120)로부터 분리하고, 천공 장비(10)를 이용해 그 분리된 어댑터(150)를 소정 높이 상승시킨다.
또한, 그에 따라 형성된 공간을 통해 어댑터(150)의 하부에 제2 중간 커넥터(120b)를 연결하고, 중간 단위 접지봉(110b)의 양단은 각각 제1 중간 커넥터(120a)의 상부(즉, 상측 봉 연결부(113a)) 및 제2 중간 커넥터(120b)의 하부(즉, 하측 봉 연결부(113b))에 연결함으로써, 하부 단위 접지봉(110a)과 중간 단위 접지봉(110b)이 서로 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용 스패너 설비를 제거한 다음,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천공 장비(10)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된 중간 단위 접지봉(110b) 및 하부 단위 접지봉(110a)을 소정 깊이 하강시킨다.
단, 이상과 같은 제2 중간 커넥터(120b)와 중간 단위 접지봉(110b)의 결합은 천공 장비(10)를 이용하여 제2 중간 커넥터(120b)를 회전시킴으로써 봉 연결구(113, 114)와 제2 중간 커넥터 연결부(121, 122)가 서로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작업자에 의한 수동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계속하여, 중간 단위 접지봉(110b)위에 상부 단위 접지봉(110c)을 추가로 조립하기 위해, 도 7의 (d)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용 스패너 설비를 이용하여 지표면 위로 노출된 제2 중간 커넥터(120b)의 중간 커넥터 걸림홈(123)을 죔으로써, 당해 제2 중간 커넥터(120b)는 물론, 그 하부에 조립된 중간 단위 접지봉(110b) 등을 지지한다.
지지가 이루어지면, 어댑터(150)를 제2 중간 커넥터(120b)로부터 분리한 다음 천공 장비(10)를 이용해 그 분리된 어댑터(150)를 소정 높이 상승시킨다. 또한, 그에 따라 형성된 공간을 통해 어댑터(150)의 하부에 상부 커넥터(140)를 연결하고, 상부 단위 접지봉(110c)의 양단은 각각 제2 중간 커넥터(120b)의 상부 및 상부 커넥터(140)의 하부에 연결함으로써 상부 단위 접지봉(110c)과 중간 단위 접지봉(110b)이 서로 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용 스패너 설비를 제거한 다음,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천공 장비(10)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된 상부 단위 접지봉(110c)과 중간 단위 접지봉(110b) 및 하부 단위 접지봉(110c)을 소정 깊이 하강시킨다.
단, 이상과 같이 하강시에는 인하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부 커넥터(140)의 인하도선 연결구(144)가 지표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구조물 또는 건물 등으로부터 인하된 인하도선을 지표면의 상부로 돌출된 인하도선 연결구(144)에 연결함으로써 인하도선과 본 발명의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10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이상과 같이 인하도선과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100)이 연결되면, 어댑터(150)를 상부 커넥터(140)로부터 분리한 다음 천공 장비(10)를 철수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유동성이 좋고, 환경오염이 없으며, 접지 저감 특성이 좋은 팽창형 도전성 몰탈을 물에 혼합한 다음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100)과 천공부 사이의 빈 공간에 채우고 경화시킨다.
나아가,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100)이 매입된 부분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 필요한 마감처리를 함으로써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100)의 시공을 마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은 지하에 접지봉을 매설하는 접지공사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접지공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지하에 매설된 접지봉의 접지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장시간의 접지공사에 따른 통행 피해 등을 방지함은 물론 접지불량에 의한 인적/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봉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의 단위 접지봉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의 중간 커넥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의 방전침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의 상부 커넥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단위 접지봉 111: 접지용 저감봉
112: 접지선 113, 114: 봉 연결구
115: 보조 방전침 120: 중간 커넥터
121, 122: 중간 커넥터 연결부 123: 중간 커넥터 걸림홈
130: 방전침 131: 첨두부
132: 방전침 연결부 140: 상부 커넥터
141, 142: 상부 커넥터 연결부 143: 상부 커넥터 걸림홈
144: 인하도선 연결구 150: 어댑터

Claims (5)

  1. 천공 장비를 이용하여 소정 깊이로 천공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천공 장비에 어댑터를 결합시킨 후, 상기 어댑터의 하부에 중간 커넥터와, 내부에 보조 방전침이 결합된 접지선이 관통 설치된 단위 접지봉 및 방전침을 순서대로 연결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위 접지봉의 일부를 상기 천공부 내부로 하강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하강된 단위 접지봉을 고정용 스패너 장비로 고정 및 지지하는 제4단계와;
    상기 어댑터가 결합된 천공 장비를 상기 중간 커넥터로부터 분리하여 소정 높이 상승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천공 장비와 중간 커넥터의 사이에 다른 단위 접지봉과 중간 커넥터를 추가로 조립하는 제6단계와;
    상기 고정용 스패너 장비를 제거하고, 상기 천공 장비를 구동시켜 상기 조립된 단위 접지봉들을 상기 천공부 내부로 하강시키는 제7단계와;
    상측에는 천공장비와 연결되는 장비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최상단 단위 접지봉과 연결되는 상부 커넥터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과 하측 사이 중심측의 외주면에는 상부 커넥터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의 일측에는 인하도선 연결구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제8단계; 및
    상기 상부 커넥터로부터 천공장비를 분리시키고, 상부 커넥터에 구비된 인하도선 연결구에 인하도선을 연결한 후, 상기 천공부와 상기 조립된 단위 접지봉 사이의 공간에 팽창형 도전성 몰탈을 삽입 및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천공부를 마감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접지봉을 고정 및 지지하는 제4단계는,
    상기 중간 커넥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중간 커넥터 걸림홈에 상기 고정용 스패너 장비를 죔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5. 삭제
KR1020090031023A 2009-04-09 2009-04-09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KR10092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23A KR100928719B1 (ko) 2009-04-09 2009-04-09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23A KR100928719B1 (ko) 2009-04-09 2009-04-09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719B1 true KR100928719B1 (ko) 2009-11-27

Family

ID=4160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023A KR100928719B1 (ko) 2009-04-09 2009-04-09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7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569B1 (ko) 2013-03-11 2014-02-11 이수규 중공접지강봉, 그를 이용한 접지저항 저감제 주입장치 및 중공접지강봉과 접지저항 저감제 동시 매설시공방법
KR101363447B1 (ko) 2013-02-20 2014-02-14 윤건주 연결식 접지봉
KR101372213B1 (ko) * 2012-12-03 2014-03-07 강세호 건물 매설용 접지봉
CN110604375A (zh) * 2019-08-13 2019-12-24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生耳的制作方法和生耳
WO2021191399A1 (de) * 2020-03-27 2021-09-30 Dehn Se + Co Kg Tiefenerder-anordnung
DE102023118310A1 (de) 2022-07-14 2024-01-25 Dehn Se Erdungsteilstück-Baugruppe, Erdungsvorrichtung, Kathodisches Korrosionsschutzsystem und K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8471A (ja) * 1991-02-18 1994-11-15 Asahi Denki Kk 接地電極及びその施工方法
JPH10284151A (ja) * 1997-04-09 1998-10-23 Nagawa:Kk 接地工事用装置
JP2005317300A (ja) * 2004-04-28 2005-11-10 Sankosha Corp 接地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8471A (ja) * 1991-02-18 1994-11-15 Asahi Denki Kk 接地電極及びその施工方法
JPH10284151A (ja) * 1997-04-09 1998-10-23 Nagawa:Kk 接地工事用装置
JP2005317300A (ja) * 2004-04-28 2005-11-10 Sankosha Corp 接地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213B1 (ko) * 2012-12-03 2014-03-07 강세호 건물 매설용 접지봉
KR101363447B1 (ko) 2013-02-20 2014-02-14 윤건주 연결식 접지봉
KR101358569B1 (ko) 2013-03-11 2014-02-11 이수규 중공접지강봉, 그를 이용한 접지저항 저감제 주입장치 및 중공접지강봉과 접지저항 저감제 동시 매설시공방법
CN110604375A (zh) * 2019-08-13 2019-12-24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生耳的制作方法和生耳
CN110604375B (zh) * 2019-08-13 2021-08-24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生耳的制作方法和生耳
WO2021191399A1 (de) * 2020-03-27 2021-09-30 Dehn Se + Co Kg Tiefenerder-anordnung
DE102023118310A1 (de) 2022-07-14 2024-01-25 Dehn Se Erdungsteilstück-Baugruppe, Erdungsvorrichtung, Kathodisches Korrosionsschutzsystem und K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719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US7600947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arch-type underbracing on a utility pole for an overhead line by using extendable excavating unit for auger crane
KR101097717B1 (ko)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061472B1 (ko) 접지장치 및 접지블록
KR101477460B1 (ko) 접지장치
KR20100112510A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및 그 시공방법
KR100956991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KR20090102151A (ko) 전기설비의 접지봉 및 접지 시공방법
KR200481281Y1 (ko) 접지시공을 위한 굴착장비
KR101012564B1 (ko)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KR102234635B1 (ko) 접지극 삽입공법
KR101084483B1 (ko) 메쉬접지구조
JP2010146938A (ja) 接地極および接地極の施工方法
KR200340357Y1 (ko) 접지동관봉의 코어링 굴착구조
KR101347532B1 (ko)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RU98004U1 (ru) Глубинный анодный заземлитель
KR100558334B1 (ko) 원통형 심타 접지봉
TWI402415B (zh) 使用可延伸之液壓開挖螺桿建構高強度接地線下支撐的方法
JP4256761B2 (ja) アース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WO2008143421A1 (en) A ground rod structure with drills blade shape
KR101363447B1 (ko) 연결식 접지봉
KR200474080Y1 (ko) 전주의 하단 설치용 접지부재
KR102584880B1 (ko) 배전선로 전력구 접지봉의 유지보수공법
CN216041134U (zh) 一种用于边坡支护施工的预应力锚索组件
KR102124644B1 (ko) 파이프형 콘크리트 접지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