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564B1 -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564B1
KR101012564B1 KR1020080106219A KR20080106219A KR101012564B1 KR 101012564 B1 KR101012564 B1 KR 101012564B1 KR 1020080106219 A KR1020080106219 A KR 1020080106219A KR 20080106219 A KR20080106219 A KR 20080106219A KR 101012564 B1 KR101012564 B1 KR 10101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asing
reducing agent
state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364A (ko
Inventor
이범진
Original Assignee
이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진 filed Critical 이범진
Priority to KR1020080106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5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4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시추부재에 의해 지중에 형성된 천공부에 외주연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충진공간부가 천공된 상태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을 삽입하는 케이싱 삽입단계와; 상기 케이싱 삽입단계에 의해 상기 천공부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접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지저감제를 충진하는 접지저감제 충진단계와;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를 통해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를 가압하여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단계와; 상기 가압단계를 통해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지중으로 침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을 지중 외부로 인출시키는 케이싱 인출단계와; 상기 케이싱 인출단계를 통해 상기 케이싱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저감제에 접지봉을 삽입하는 접지봉 삽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추부재에 의해 지중에 형성된 천공부에 상기 케이싱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상기 접지저감제를 충진한 후 가압하여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보다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접지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후 바로 접지테스트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케이싱 삽입단계, 접지저감제 충진단계, 가압단계, 케이싱 인출단계, 접지봉 삽입단계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ELECTRIC SUPPLY LINE ROAD GROUND CONNECTION CONSTRUCTION WORK METHOD}
본 발명은 시추부재에 의해 지중에 형성된 천공부에 케이싱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접지저감제를 충진한 후 가압하여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보다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접지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후 바로 접지테스트를 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시추부재에 의해 지중에 형성된 천공부에 외주연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충진공간부가 천공된 상태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을 삽입하는 케이싱 삽입단계와; 상기 케이싱 삽입단계에 의해 상기 천공부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접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지저감제를 충진하는 접지저감제 충진단계와;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를 통해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를 가압하여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단계와; 상기 가압단계를 통해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지중으로 침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을 지중 외부로 인출시키는 케이싱 인출단계와; 상기 케이싱 인출단계를 통해 상기 케이싱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저감제에 접지봉을 삽입하는 접지봉 삽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뢰란 활발한 기류의 유동에 의해 예를 들어, 정전기 등과 같이 대전됨으로써, 발생된 강한 전기에너지가 지표면으로 방전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편, 배전 및 송전 선로, 통신시설 및 각종 건축 구조물 등은 상기 낙뢰에 의한 충격과 그에 따르는 기계 장치 및 전기 장치의 오동작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낙뢰에 의한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전주 또는 고층 건물 등의 옥상에 접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낙뢰를 신속하게 지중으로 방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접지장치(10)는 대게,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공지선(112), 완금(114), 피뢰기(116), 중성선(118) 및 주상기기(120) 등이 설치된 전주(110)와, 상기 전주(11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지중(E)에 매설되는 복수의 접지봉(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접지장치(10)는 상기 복수의 접지봉(130)을 지중(E)에 매설함으로써, 상기 낙뢰를 방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접지봉(130)을 지중(E)에 매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지봉(130)과 지중(E) 내의 토사가 긴밀하게 밀 착되지 않고, 공극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규정된 접지저항치에 부합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피뢰기(112)가 상기 낙뢰 등의 충격에 의한 피해를 용이하게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지봉과 토사가 긴밀하게 접촉됨으로써, 규정된 접지저항치에 부합하는 배전선로의 접지장치(등록실용 제20-0343950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배전선로의 접지장치(등록실용 제20-0343950호)의 접지공에 충진되는 접지저감제 및 벤트나이트 혼합물은 고체상태로 건조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낙뢰를 지중으로 신속하게 방전시킬 수 없음으로써, 접지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저감제 및 벤트나이트 혼합물이 고체상태로 건조한 상태이기 때문에 접지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지저감제 및 벤트나이트 혼합물이 지중의 수분을 충분히 머금을 수 있도록 오랜 기간 동안 기다려야 하고, 이로 인해 접지테스트를 하기 위한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간단한 공정으로 접지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후 바로 접지테스트를 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추부재에 의해 지중에 형성된 천공부에 외주연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충진공간부가 천공된 상태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을 삽입하는 케이싱 삽입단계와; 상기 케이싱 삽입단계에 의해 상기 천공부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접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지저감제를 충진하는 접지저감제 충진단계와;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를 통해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를 가압하여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단계와; 상기 가압단계를 통해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지중으로 침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을 지중 외부로 인출시키는 케이싱 인출단계와; 상기 케이싱 인출단계를 통해 상기 케이싱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저감제에 접지봉을 삽입하는 접지봉 삽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에서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는 하단에 형성된 주입구가 상기 충진공간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주입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주입파이프를 통해 상기 충진공간부로 접지저감제를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입파이프의 상단은 파이프고정부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파이프고정부는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싱의 상단 내주연에 수용되고, 중앙에 하부에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관통공과 상기 안착판의 관통공에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좌우이동판을 좌우이동시키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좌우이동판의 경사면과 접촉되는 경사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주입파이프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안착판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가압단계에서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된 접지저감제 는 상기 접지저감제를 가압하는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시추부재에 의해 지중에 형성된 천공부에 외주연상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케이싱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접지저감제를 충진한 후 가압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보다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접지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후 바로 접지테스트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접지저감제 충진단계에서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는 하단에 형성된 주입구가 상기 충진공간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주입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주입파이프를 통해 상기 충진공간부로 접지저감제를 충진하기 때문에 액상의 상기 접지저감제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주입파이프의 상단이 파이프고정부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보다 더욱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파이프고정부가 안착판, 좌우이동판, 고정부재 및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주입파이프의 상단이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보다 용 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가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접지저감제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추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중에 형성된 천공부에 외주연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충진공간부가 천공된 상태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을 삽입하는 케이싱 삽입단계(S1)와; 상기 케이싱 삽입단계(S1)에 의해 상기 천공부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접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지저감제를 충진하는 접지저감제 충진단계(S2)와;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S2)를 통해 상기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를 가압하여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단계(S3)와; 상기 가압단계(S3)를 통해 상기 접지저감제가 상기 지중으로 침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을 지중 외부로 인출시키는 케이싱 인출단계(S4)와; 상기 케이싱 인출단계(S4)를 통해 상기 케이싱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저감제에 접지봉을 삽입하는 접지봉 삽입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지중(E)에 형성된 천공부(E1)에 케이싱(30)이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케이싱 삽입단계(S1)는 예를 들어,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추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중(E)에 형성된 천공부(E1)에 상기 케이싱(30)을 삽입하는 것으로써,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0)은 원통 형상으로 외주연에 복수의 관통공(310)이 형성되고, 내부에 충진공간부(330)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천공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시추부재(미도시)로는 예를 들어, 면절삭, 외면 절삭 등의 밀링 작업을 행하는 공지된 착정기(鑿井機, boring machine)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중(E)에 천공부(E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상기 케이싱(30)을 지중(E)에 상기 천공부(E1)를 형성한 후 상기 천공부(E1)에 삽입하였으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싱(30)을 상기 시추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지중(E)에 상기 천공부(E1)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 동시에 상기 천공부(E1)에 삽입하는 것이 좋다.
도 4는 접지저감제 공급부(52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지중(E)에 형성된 천공부(E1)에 삽입된 상태의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접지저감제(50)가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S2)는 접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지저감제(50)를 충진하는 것으로써,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 삽입단계(S1)에 의해 상기 천공부(E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상기 접지저감제(50)를 충진한다.
한편, 상기 접지저감제(50)가 고체일 경우 건조한 상태이기 때문에 낙뢰를 지중(E)으로 신속하게 방전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접지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지중(E)의 수분을 충분히 머금을 수 있도록 오랜 기간 동안 기다려야하나,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액상일 경우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수분을 충분히 머금은 상태이기 때문에 낙뢰를 지중(E)으로 신속하게 방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후 바로 접지테스트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S2)에서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는 하단에 형성된 주입구가 상기 충진공간부(3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주입파이프(350)가 삽입되고, 상기 주입파이프(350)를 통해 상기 충진공간부(330)로 상기 접지저감제(50)를 충진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파이프(350)의 주입구를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삽입한 후, 예를 들어, 접지저감제 공급부(520)를 사용하여 액상인 상기 접지저감제(50)를 상기 주입파이프(350)를 통해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주입하여 충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저감제 공급부(5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내부에 접지저감제(50)가 수용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접지저감제(50)를 공급하는 공급관(522a)이 기밀하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접지저감제(50)를 배출하는 배출관(522b)이 기밀하게 연결되는 수용부재(522)와; 상기 수용부재(522)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배출관(522b)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재(522)의 타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좌우이동하여 상기 접지저감제(50)를 가압하는 가압판(524)과; 상기 수용부재(522)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가압판(524)을 좌우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5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522)의 배출관(522b)은 상기 주입파이프(350)의 상단과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수용부재(522)의 배출관(522b)으로 배출된 상기 접지저감제(50)는 상기 배출관(522b)을 지나 상기 주입파이프(350)로 유입되어 상기 충진공간부(330)에 충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S2)에서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는 하단에 형성된 주입구가 상기 충진공간부(3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입파이프(350)가 삽입되고, 상기 주입파이프(350)를 통해 상기 충진공간부(330)로 상기 접지저감제(50)를 충진하기 때문에 액상의 상기 접지저감제(50)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충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파이프(350)의 상단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고정부(370)에 의해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주입파이프(350)의 상단이 상기 파이프고정부(370)에 의해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보다 더욱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상기 파이프고정부(3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파이프고정부(370)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이며, 도 8은 파이프고정 부(370)의 고정부재를 회전시켜 좌우이동판을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파이프고정부(37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0)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중앙에 관통공(371a)이 형성되는 안착판(371)과; 상기 안착판(37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싱(30)의 상단 내주연에 수용되고, 중앙에 하부에 하향경사지는 경사면(372b)이 형성된 관통공(372a)이 형성되는 좌우이동판(372)과; 상기 좌우이동판(372)의 관통공(372a)과 상기 안착판(371)의 관통공(371a)에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좌우이동판(372)을 좌우이동시키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좌우이동판(372)의 경사면(372b)과 접촉되는 경사면(373a)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주입파이프(350)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373)와; 상기 고정부재(373)의 상단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안착판(37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재(37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너트부재(3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좌우이동판(372)의 관통공(372a)과 상기 안착판(371)의 관통공(371a)에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의 상기 고정부재(373)의 상단과 상기 너트부재(374)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재(374)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도 8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373)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73)의 경사면(373a)과 상기 좌우이동판(372)의 경사면(372b)이 접촉됨과 동시에 도 8과 같이 상기 좌우이동판(372)이 외측방향으로 이 동하여 상기 케이싱(30)의 상단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고정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좌우이동판(372)의 관통공(372a)과 상기 안착판(371)의 관통공(371a)에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의 상기 고정부재(373)의 상단과 상기 너트부재(374)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재(374)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373)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30)의 상단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고정된 상기 좌우이동판(372)이 각각 원위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좌우이동판(372)이 상기 케이싱(30)의 상단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고정된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이프고정부(370)가 안착판(371), 좌우이동판(372), 고정부재(373) 및 너트부재(3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주입파이프(350)의 상단이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충진된 상태의 접지저감제(50)에 가압부재(375)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단계(S3)는 도 9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S2)를 통해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충진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50)를 도 9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하여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케이싱(30)의 관통공(310)을 통해 지중(E)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단계(S3)에서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충진된 상기 접지저감제(50)는 상기 접지저감제(50)를 가압하는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 등의 가압부재(375)에 의해 상기 케이싱(30)의 관통공(310)을 통해 지중(E)으로 침투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375)는 도 9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의 상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이동하여 상기 접지저감제(50)를 가압하는 가압판(376)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375)가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충진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5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케이싱(30)의 관통공(310)을 통해 지중(E)으로 침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충진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가압부재(375)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접지저감제(50)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케이싱(30)의 관통공(310)을 통해 지중(E)으로 침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접지저감제(50)가 지중(E)으로 침투된 상태에서 케이싱(30)을 상기 지중(E) 외부로 인출시키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 인출단계(S4)는 상기 가압단계(S3)를 통해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지중(E)으로 침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30)을 지중(E)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충진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가압부재(미도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케이싱(30)의 관통공(310)을 통해 지중(E)으로 침투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50)의 접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싱(30)을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중(E) 외부로 인출시키게 된다.
도 11은 케이싱(30)이 지중(E)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접지저감제(50)에 접지봉(70)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접지봉 삽입단계(S5)는 상기 케이싱 인출단계(S4)를 통해 상기 케이싱(30)이 인출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50)에 접지봉(70)을 삽입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지봉(70)으로는 예를 들어, 구리 등의 금속재질로 제작된 파이프 또는 구리 등의 금속재질이 포함된 합금으로 제작된 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피뢰기(미도시) 및 주상기기(미도시) 등은 접지선(미도시)을 통해 상기 접지봉(70)에 연결됨으로써, 낙뢰에 의한 전기적 충격을 지중(E)으로 접지시키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접지봉(70)을 상기 가압단계(S3)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상기 접지저감제(50)에 삽입한 후, 상기 접지저감제(50)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다시 충진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시추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중(E)에 형성된 천공부(E1)에 외주연상에 복수의 관통공(310)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상기 케이싱(3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접지저감제(50)를 충진한 후 가압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케이싱(30)의 관통공(310)을 통해 지중(E)으로 보다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접지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후 바로 접지테스트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지중에 형성된 천공부에 케이싱이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접지저감제 공급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지중에 형성된 천공부에 삽입된 상태의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접지저감제가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파이프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파이프고정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이며,
도 8은 파이프고정부의 고정부재를 회전시켜 좌우이동판을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케이싱의 충진공간부에 충진된 상태의 접지저감제에 가압부재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접지저감제가 지중으로 침투된 상태에서 케이싱을 상기 지중 외부로 인출시키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케이싱이 지중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접지저감제에 접지봉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접지장치, 110; 전주,
112; 가공지선, 114; 완금,
116; 피뢰기, 118; 중성선,
120; 주상기기, 130,70; 접지봉,
30; 케이싱, 310,371a,372a; 관통공,
330; 충진공간부, 350; 주입파이프,
370; 파이프고정부, 371; 안착판,
372; 좌우이동판, 372b,373a; 경사면,
373; 고정부재, 374; 너트부재,
375; 가압부재, 376,524; 가압판,
50; 접지저감제, 520; 접지저감제 공급부,
522; 수용부재, 522a; 공급관,
522b; 배출관, 526; 유압실린더,
S1; 케이싱 삽입단계, S2; 접지저감제 충진단계,
S3; 가압단계, S4; 케이싱 인출단계,
S5; 접지봉 삽입단계, E; 지중,
E1; 천공부

Claims (5)

  1. 시추부재에 의해 지중(E)에 형성된 천공부(E1)에 외주연에 복수의 관통공(310)이 형성되고, 내부에 충진공간부(330)가 천공된 상태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30)을 삽입하는 케이싱 삽입단계(S1)와;
    상기 케이싱 삽입단계(S1)에 의해 상기 천공부(E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접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상의 접지저감제(50)를 충진하는 접지저감제 충진단계(S2)와;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S2)를 통해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충진된 상태의 액상의 상기 접지저감제(50)를 가압하여 액상의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케이싱(30)의 관통공(310)을 통해 지중(E)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단계(S3)와;
    상기 가압단계(S3)를 통해 액상의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지중(E)으로 침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30)을 지중(E) 외부로 인출시키는 케이싱 인출단계(S4)와;
    상기 케이싱 인출단계(S4)를 통해 상기 케이싱(30)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액상의 상기 접지저감제(50)에 접지봉(70)을 삽입하는 접지봉 삽입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저감제 충진단계(S2)에서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는 하단에 형성된 주입구가 상기 충진공간부(3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주입파이프(350)가 삽입되고,
    접지저감제 공급부(520)를 사용하여 상기 주입파이프(350)를 통해 상기 충진공간부(330)로 액상의 접지저감제(50)를 충진하고,
    상기 접지저감제 공급부(520)는 내부에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수용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접지저감제(50)를 공급하는 공급관(522a)이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접지저감제(50)를 배출하는 배출관(522b)이 연결되는 수용부재(522)와;
    상기 수용부재(522)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접지저감제(50)가 상기 배출관(522b)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재(522)의 타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좌우이동하여 상기 접지저감제(50)를 가압하는 가압판(524)과;
    상기 수용부재(522)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가압판(524)을 좌우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526);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재(522)의 배출관(522b)은 상기 주입파이프(350)의 상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파이프(350)의 상단은 파이프고정부(370)에 의해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고정부(370)는 상기 케이싱(30)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중앙에 관통공(371a)이 형성되는 안착판(371)과;
    상기 안착판(37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싱(30)의 상단 내주연에 수용되고, 중앙에 하부에 하향경사지는 경사면(372b)이 형성된 관통공(372a)이 형성되는 좌우이동판(372)과;
    상기 좌우이동판(372)의 관통공(372a)과 상기 안착판(371)의 관통공(371a)에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좌우이동판(372)을 좌우이동시키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좌우이동판(372)의 경사면(372b)과 접촉되는 경사면(373a)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주입파이프(350)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373)와;
    상기 고정부재(373)의 상단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안착판(37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재(37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너트부재(3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계(S3)에서 상기 케이싱(30)의 충진공간부(330)에 충진된 액상의 접지저감제(50)는 액상의 상기 접지저감제(5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75)에 의해 상기 케이싱(30)의 관통공(310)을 통해 지중(E)으로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5. 삭제
KR1020080106219A 2008-10-29 2008-10-29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KR10101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219A KR101012564B1 (ko) 2008-10-29 2008-10-29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219A KR101012564B1 (ko) 2008-10-29 2008-10-29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364A KR20100047364A (ko) 2010-05-10
KR101012564B1 true KR101012564B1 (ko) 2011-02-07

Family

ID=4227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219A KR101012564B1 (ko) 2008-10-29 2008-10-29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5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005B1 (ko) 2015-08-06 2015-12-29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KR101881413B1 (ko) 2017-05-01 2018-07-26 우성기업(주)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KR102285199B1 (ko) * 2020-11-25 2021-08-03 합자회사 삼광전기 전주용 접지봉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00B1 (ko) * 2012-12-12 2014-02-12 민병수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071Y1 (ko) * 2001-09-20 2001-12-31 주식회사 디엠테크 성형된 접지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KR20020057071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가정용 발전 시스템
KR20020060319A (ko) * 2001-01-10 2002-07-18 최종남 보링 접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071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가정용 발전 시스템
KR20020060319A (ko) * 2001-01-10 2002-07-18 최종남 보링 접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257071Y1 (ko) * 2001-09-20 2001-12-31 주식회사 디엠테크 성형된 접지저항 저감재를 사용한 전주용 접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005B1 (ko) 2015-08-06 2015-12-29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KR101881413B1 (ko) 2017-05-01 2018-07-26 우성기업(주)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KR102285199B1 (ko) * 2020-11-25 2021-08-03 합자회사 삼광전기 전주용 접지봉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364A (ko)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564B1 (ko)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KR100681450B1 (ko)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0928719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EP0750710B1 (en) A foundation tube for use as a foundation for masts, posts, pillars, etc., together with a method for formation of the foundation
CN110847168A (zh) 一种钻锚注组合施工装置及锚索施工方法
KR20090102151A (ko) 전기설비의 접지봉 및 접지 시공방법
KR101358569B1 (ko) 중공접지강봉, 그를 이용한 접지저항 저감제 주입장치 및 중공접지강봉과 접지저항 저감제 동시 매설시공방법
KR100956991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KR200481281Y1 (ko) 접지시공을 위한 굴착장비
CN111254910A (zh) 一种尾矿坝排渗管施工工艺
CN215990105U (zh) 一种综合管廊电缆支架
JP3500387B1 (ja) 地中既設構造物の引抜工法
JP3917730B2 (ja) 発破方法
RU2008129395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зла сопряжения сваи с существующим фундаментом при его усилении (варианты)
KR101031603B1 (ko) 연약지반 개량용 천공로드의 배출방법 및 장치
CN109778872A (zh) 一种钻孔灌注桩深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285199B1 (ko) 전주용 접지봉 시공 방법
CN211773614U (zh) 一种锚索施工一体化装置
KR102234635B1 (ko) 접지극 삽입공법
KR20120126704A (ko) 스크류파일 시공방법
JP5528200B2 (ja) ウェルポイント利用の地下水位低下工法
JP3032856B2 (ja) 接地部材埋設用さく孔装置
KR101348790B1 (ko) 수직배수 개선을 위한 토양파쇄장치 및 토양파쇄공법
CN208733729U (zh) 一种设置有简易防雷接地的地埋式供水结构
KR100562740B1 (ko) 지표면의 물을 지하수화 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