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900B1 -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900B1
KR101362900B1 KR1020120144224A KR20120144224A KR101362900B1 KR 101362900 B1 KR101362900 B1 KR 101362900B1 KR 1020120144224 A KR1020120144224 A KR 1020120144224A KR 20120144224 A KR20120144224 A KR 20120144224A KR 101362900 B1 KR101362900 B1 KR 101362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 rod
grounding
rod
reduc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수
Original Assignee
민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수 filed Critical 민병수
Priority to KR102012014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20Driving or forcing casings or pipes into boreholes, e.g. sinking; Simultaneously drilling and casing boreho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공구를 이용한 접지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공지된 접지봉을 매입할 수 있는 매입공을 핸드공구에 연결된 비트로 천공하는 비트천공단계와; 상기 매입공에 제로라이트(도전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접지용 저감제를 우선 투입하는 접지용 저감제 투입단계와; 상기 접지용 저감제가 투입된 매입공에 상기 접지봉을 삽입시킨 후,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된 접지봉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매입공에 투입된 접지용 저감제가 지하 공기층 및 미세 지하층에 스며들게 하는 접지봉 삽입 및 가압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의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접지봉은 하부직경이 상부직경보다 더 좁게 테이퍼진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경사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박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사용되어질 수 있고, 상기 접지봉은 제1직경을 갖는 상부영역과, 상기 상부영역 하부에 제1직경보다 더 작은 제2직경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경사톱니가 형성되는 하부영역으로 구성될 수 잇으며, 상기 접지용 저감제는 석탄,시멘트 및 토르말린 각각을 4:2:4의 비율로 배합한 것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접지봉의 경사톱니와 지중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전류를 지중에 빨리 방전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매입공에 접지봉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매입공에 투입된 접지용 저감제가 지하공기층 등의 지중으로 흡수되어 효율적인 방전이 되며, 특히 비트로 매입공을 천공하는 비트천공공정과 상기 접지봉에 압력을 가하는 접지봉가압공정은 별도의 대형크레인이나 컴프레셔 또는 압축펌프등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핸드공구를 사용함으로써 대형장비없이 간단하게 수작업으로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접지공사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of striking ground bar using hand tools}
본 발명은 주택,공항,회사 건물등의 인접지면을 천공하고 접지봉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봉이 매입되는 매입공을 핸드공구에 연결된 비트로 천공하고, 상기 매입공에 접지용 저감제를 투입한 후 접지봉을 삽입하되, 해머등의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접지봉의 상부면을 가압하면, 지하 공기층 및 미세 지하층에 상기 접지용 저감제가 골고루 스며들어 굳어지며, 특히 접지봉을 시공하는 모든 공정이 핸드공구를 이용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접지봉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낙뢰는 활발한 기류의 유동에 의해 정전기와 같이 대전되어 발생된 엄청난 전기에너지가 지표면으로 방전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낙뢰는 엄청난 파괴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종 시설물을 시공할 때에는 반드시 접지시설을 갖추어 낙뢰를 받았을 때 전류를 신속하게 지중으로 방전시킴으로써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접지봉 배경기술의 일례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006-0002315 호에서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접지봉'에 관한 발명이 공고되어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 또는 동으로 코팅된 원기둥형상으로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접지기둥(12)과, 상기 접지기둥(12)의 측면에 일정 높이와 일정 간격이 되도록 나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블레이드(20)로 형성되며, 상기 접지기둥(12)의 상부는 리드선(40)과 압착 슬리브(30)로 접속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각종 통신장비. 피뢰장비 등에 설치 사용하는 접지를 보다 적은 면적에서 설치 시공 가능하며 접지봉과 대지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접지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접지봉 자체의 형상을 나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블레이드로 하는 것만으로는 접지 저항값을 충분히 낮추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다른 배경기술의 일례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2151호에서는 '전기설비의 접지봉 및 접지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이 공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기시설물의 접지를 위한 접지봉 시공과 접지 저감제 투입시, 소정의 압력으로 접지 저감제를 강제 투입하여 접지 저감제가 마치 나무뿌리처럼 여러 갈래로 뻗어나가면서 접지봉 주위에 입체적인 접지망을 형성할 수 있는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천공 작업 및 지중에 접지저감제가 흡수되도록 하는 공정이 접지 저감제 주입시 압력을 가하기 위한 콤프레서 또는 펌프와 일정량의 접지 저감제를 저장하고 있는 탱크, 접지 저감제 진행을 위한 배관등을 별도로 요구하므로 접지 시공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지저항값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접지봉의 외형을 뾰족한 경사톱니로 형성하고, 접지저감제를 접지봉 매입 전 미리 투입하고 접지봉을 삽입하여 지지시킨 후 상기 접지봉의 상부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지저감제를 지중에 골고루 흡수시키며, 특히 모든 공정이 핸드공구등을 이용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대형장비 및 불필요한 공정으로 접지공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접지봉을 매입할 수 있는 매입공을 핸드공구에 연결된 비트로 천공하는 비트천공단계와; 상기 매입공에 접지용 저감제를 우선 투입하는 접지용 저감제 투입단계와; 상기 접지용 저감제가 투입된 매입공에 상기 접지봉을 삽입시킨 후,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접지봉의 상부면을 가압시켜 매입공에 투입된 접지용 저감제가 지하 공기층 및 미세 지하층에 스며들게 하는 접지봉 삽입 및 가압단계;가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의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접지봉은 하부직경이 상부직경보다 더 좁게 테이퍼진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경사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박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의 시공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아울러 상기 접지봉은 제1직경을 갖는 상부영역(170)과, 상기 상부영역 하부에 제1직경보다 더 작은 제2직경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경사톱니가 형성되는 하부영역과, 상기 하부영역하부에 박힘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용 저감제는, 석탄,시멘트 및 토르말린 각각을 4:2:4의 비율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접지봉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경사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지중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접지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접지봉이 지중에 빨리 방전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입공에 삽입되어 지지된 접지봉 상부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매입공에 투입된 접지용 저감제가 지하공기층 등의 지중으로 흡수되어 효율적인 방전이 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접지봉을 시공하기 위한 모든 공정이 별도의 대형크레인이나 컴프레셔 또는 압축펌프등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핸드공구를 사용함으로써 대형장비없이 간단하게 수작업으로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접지공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경기술에 따른 블레이드가 형성된 접지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의 정면도(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의 정면도(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봉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단면도.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접지봉의 시공방법에서 이용되는 접지봉은, 공지된 접지봉이 쓰일 수 있으나, 핸드공구에 의한 가압이 용이하도록 접지봉의 상부면은 평탄한 원형 모양이되 매입공(200)의 직경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갖고, 접지봉의 하부면은 해머(500) 등으로 상기 접지봉을 가압시 지중으로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지봉의 일실시예로서 도 2(정면도와 측면도가 동일함)를 참조하면, 상기 접지봉은 접지선(110), 경사톱니(120), 박힘부(130)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이때 접지봉은 구체적으로 하부직경이 상부직경보다 더 좁게 테이퍼진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경사톱니(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박힘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지봉의 일측에는 낙뢰 전류를 유도하기 위한 접지선(110)이 압축으로 접속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접지봉은 하부직경이 상부직경보다 더 좁게 테이퍼진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게 되어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는 경우, 지중으로 매설되는 것이 용이하며, 특히 상기 경사톱니(120)는 지중 또는 접지용저감제와의 접촉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전기 입자가 날카롭고 뾰족한 쪽으로 모이는 특성을 이용하여 접지 저항이 감소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접지봉의 일실시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방향성을 가지는 경사톱니(120)를 포함하여 상기 방향성에 의하여 경사톱니(120)가 매입공(2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접지봉(100)이 걸림없이 삽입되고, 삽입 반대 방향으로는 상기 경사톱니(120)가 매입공의 내주면에 걸려 상기 접지봉(100)을 매입공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경사톱니(120)는 접지봉(10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뾰족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 1,2 슬로프(140,15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접지봉(100) 길이 방향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 1슬로프(140)의 경사각(예각) a가 제 2슬로프(150)의 경사각(예각) b보다 크게 이루어져 각 슬로프의 종단이 서로 만나게 되며 이 부위가 경사톱니(120)의 첨단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사톱니(120)의 제1,2슬로프(140,150)의 구조는 접지봉(100)이 매입공(200)에 삽입될때 삽입방향으로 원활하게 진입되나, 반대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는 제 1슬로프(140)의 경사각 a에 의해 제 1슬로프(140)가 매입공의 내주면에 걸리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한번 지중에 매설되면 견고하게 고정되고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체결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매입공(200)이 비트로 천공되어 빈공간을 가지지만, 접지봉의 상부 일정부분부터의 직경은 매입공(200)의 직경보다 넓어지기 때문에, 해머 등의 수공구로 접지봉을 가압시 상기 방향성을 가지는 경사톱니가 매입공의 내주면 상부 주위에 박히면서 매설되므로 견고하게 삽입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톱니(120) 대신 접지봉의 외주연에 나사산(160)이 형성되어 접지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박힘부(130)는, 하부 말단 부분에 뾰족한 첨예부가 형성되어지며 접지봉의 하부 말단부의 기능과 접지봉이 지중에 가압될때 용이하게 매설되기 위한 기능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다만 상기 박힘부(130)는 일반적인 접지봉 하측의 말단부가 될 수 있고, 접지봉 하측에 독립된 형태와 재질을 가진 별도의 구성으로 추가될 수 있으나, 그 형태는 지중으로 용이하게 박히기 위해 접지봉의 상부보다 직경이 더 좁고 뾰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정면도와 측면도가 동일함)를 참조하면, 상기 접지봉은 제1직경을 갖는 상부영역(170)과, 상기 상부영역 하부에 제1직경보다 더 작은 제2직경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경사톱니(120)가 형성되는 하부영역(180)과, 상기 하부영역(180) 하부 말단에 박힘부(13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영역(170)과 하부영역(180)의 길이방향은 접지봉이 시공되는 장소등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영역(170)의 제1직경이 하부영역(180)의 제2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미도시) 접지봉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직경이 제2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지봉이 매입공(200)에 삽입된 후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톱니(120)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경사톱니(120)의 첨단은 상부영역(170)의 제1직경을 벗어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에 도시된 접지봉의 경사톱니(120)와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경사톱니(120) 또한 접지봉(10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뾰족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 1,2 슬로프(140,15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접지봉(100) 길이 방향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 1슬로프(140)의 경사각(예각) a가 제 2슬로프(150)의 경사각(예각) b보다 크게 이루어져 각 슬로프의 종단이 서로 만나게 되며 이 부위가 경사톱니(120)의 첨단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봉의 형태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인 접지봉의 시공방법을 도 5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지봉을 매입할 수 있는 매입공(200)을 핸드공구에 연결된 비트로 천공하는 비트천공단계와; 상기 매입공(200)에 접지용 저감제(400)를 우선 투입하는 접지용 저감제(400) 투입단계와; 상기 접지용 저감제(400)가 투입된 매입공(200)에 접지봉을 삽입시킨 후,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삽입된 접지봉의 상부면을 가압시켜 매입공(200)에 투입된 접지용 저감제(400)가 지하 공기층 및 미세 지하층에 스며들게 하는 접지봉 삽입 및 가압단계; 가 수작업을 통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접지봉의 시공방법이다.
먼저 상기 비트천공단계는,
접지봉을 지중에 매설하기 위해 매입공(200)을 천공하는 단계로서, 지면에 매입공(200)을 천공하기 위한 비트는 외주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핸드공구에 장착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지면에 수직으로 매입공(200)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비트와 핸드공구는 접지봉을 매입할 수 있는 폭과 깊이의 매입공을 천공할 수 있는 것이면 공지의 어떤 종류라도 무방하다.
상기 접지용저감제 투입단계는,
천공단계를 거쳐 생성된 매입공(200)에 토르말린,석탄 및 시멘트를 배합한 접지용 저감제(400)를 투입하되, 상기 토르말린,석탄 및 시멘트가 배합되어 굳어지기 전인 반죽형태로 투입된다.
이때 접지용 저감제(400)는 토르말린과 시멘트만을 배합할 수 있고, 석탄, 시멘트 및 토르말린을 배합하여 만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석탄,시멘트 및 토르말린 각각을 4:2:4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이때 상기 석탄은 강알칼리성 전해질 수분을 미세세공에 흡착시켜 보유하여 접지저항 저감제 전체에 강알칼리성 전해질 수분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석탄 자체는 전기적 저항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접지저감제의 전기저항을 낮추는 역활을 하게 된다.
즉 접지저감제에 강전해질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석탄이 강전해질 수분을 흡착하여 접지저항 저감제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게 하여 접지저항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토르말린은 수정과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전기석이라 불리며 접지저감제의 원료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데, 상기 접지용 저감제의 배합재료와 비율에서 토르말린의 비율이 너무 적어지면 전도성이 떨어질 수 있고, 토르말린의 비율이 너무 높아지거나 시멘트를 제외한 기타 접지저감제에 사용되는 재료가 과도하게 추가되거나 비율이 많아지면 시멘트의 양이 적어져 도전성 콘크리트 본래의 목적인 굳어짐의 기능이 미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반복된 결과를 통하여 효율적인 접지저감제가 되도록 석탄,시멘트 및 토르말린 각각을 4:2:4의 비율로 배합한 것이다.
상기 접지용 저감제(400)는 앞서 말했듯이 도전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어, 접지용 저감제를 상기 매입공(200)에 투입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지하 공기층 및 미세 지하수 층에 일부 스며든 상태로 굳어지게 되므로, 접지용 저감제(400)가 지하수와 빗물에 씻겨 나가거나, 경년변화 즉 시간에 따라 접지저항값이 다시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지봉 삽입 및 가압단계는,
상기 매입공(200)에 접지용 저감제(400)가 투입된 이후에 접지봉을 삽입하는단계로, 상기 접지용 저감제(400)가 시간이 지나면 굳어지는 형태인 도전성 콘크리트이므로, 상기 투입단계에서 투입된 접지용 저감제(400)가 굳어지기 전에 접지봉이 삽입되어야 한다.
이때, 접지봉이 삽입되는 방법은 접지봉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기계를 이용하여 삽입하여 지지시킬 수 있으나, 접지봉의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경우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게 작업자가 매입공(200)에 접지봉을 직접 수작업으로 삽입하여 지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하의 접지봉 가압단계에서 접지봉의 상부면을 해머 등의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가압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가압이 용이하도록 접지봉이 기울어지지 않게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삭제
상기 삽입된 접지봉을 해머(500) 등의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것은, 상기 접지용 저감제 투입단계에서 투입된 접지용 저감제가 지중으로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기능과, 접지봉이 지중에 단단히 박힐 수 있도록 하는 고정기능을 일거에 수행할 수 있으며, 해머 등의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수작업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매입공(200)에 투입된 접지용 저감제에 별도의 압력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접지용 저감제가 투입된 매입공(200)에 접지봉을 삽입후 상기 접지봉의 상부면을 해머(500) 등의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것으로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지하공기층(300) 및 미세 지하수 층에 스며들게 구성함으로써 주위 토양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접지 저항값이 효율적으로 줄어들게 하는 역활을 한다.
본 발명이 시공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길이 1.5m 지름 40mm로 개조한 콘크리트용 비트를 핸드공구에 장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지면에 수직으로 매입공을 천공한다.
석탄,시멘트 및 토르말린 각각을 4:2:4의 비율로 배합한 접지용 저감제를 물에 섞어 반죽한 후 매입공에 투입한후 접지봉을 삽입하고, 상기 접지봉을 타격하면 접지 저감재에 압력이 발생되고 접지용저감제가 지하 공기층 및 미세 지하수 층에 스며들게 됨과 동시에 접지공사가 완료된다.
다만, 접지공사가 시공되는 장소의 지질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압력 가압장치가 접지봉 삽입 전 또는 접지봉 삽입 후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지중 3~5m로 천공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흙이 나오지 않고 자갈 혹은 암석등만 나오거나, 커다란 바위 등이 있는 경우에는 허용된 접지저항을 얻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접지용 저감제를 다량으로 주입해야 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가압장치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접지용 저감제가 담아지며 상부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용기체(600)와, 상기 제1용기체(600)의 나사산과 대응체결되는 대응나사산이 하부 내주연에 형성되며 상부에 압력부(630)가 형성되는 제2용기체(610)와, 상기 제1용기체의 하부에 연장형성 또는 체결되는 배출부(620)로 이루어지는 가압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제1용기체(600)는 직경 105mm 파이프 가공으로 형성되고, 제2용기체(610)는 직경 105mm 커프링 가공으로 형성되며, 배출부(620)는 최상단부외경이 직경 50mm, 최하단부외경은 직경 30mm로 이루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용기체(600)와 배출부(620)사이의 연결부위, 또는 제1용기체(600)와 제2용기체(610)사이의 연결부위는 백킹고무 또는 용접 접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력부(630)는 제1용기체(600)와 제2용기체(610)가 접지용 저감제가 채워진후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공기등의 가압수단으로 가압하여 상기 배출부(620)를 통해 접지용 저감제를 지중에 분산시키게 한다.
이때, 상기 압력 가압장치는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접지봉을 시공한다는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별도의 대형 기계장비 없이 손쉽게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상기 압력부(630)에 연결되는 가압수단 또한 대형장비를 이용한 것이 아닌, 예컨대 자전거 바퀴에 바람 넣는 정도 규모의 간편한 공기주입 방식 등이 사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접지봉의 시공방법을 통해 지면을 핸드공구로 드릴링 함으로써 터파기 공정을 간소화하여 인건비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접지저감제를 가압하여 지중에 골고루 퍼지게 하여 토질의 접지저감능력을 증대시키고, 특히 상기 가압수단을 타격형 접지봉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간편하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지봉으로 상기 톱니형 접지봉을 채택하여 전기입자가 날카로운 곳에 모이는 특성으로 낙뢰 전류의 순간 첨두값을 완화하여 방전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토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접지봉 110. 접지선
120. 경사톱니 130. 박힘부
140. 제1슬로프 150. 제2슬로프
160. 나사산 170. 상부영역
180. 하부영역 200. 매입공
300. 지하공기층 400. 접지용 저감제
500. 해머

Claims (5)

  1. 접지봉을 매입할 수 있는 매입공(200)을 핸드공구에 연결된 비트로 천공하는 비트천공단계와;
    상기 매입공(200)에 접지용 저감제(400)를 우선 투입하는 접지용 저감제(400) 투입단계와;
    상기 접지용 저감제(400)가 투입된 매입공(200)에 접지봉을 삽입시킨 후, 삽입된 접지봉의 상부면을 핸드공구를 이용하여 가압시켜 매입공(200)에 투입된 접지용 저감제(400)가 지하 공기층 및 미세 지하층에 스며들게 하는 접지봉 삽입 및 가압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접지용 저감제(400)는,
    석탄,시멘트 및 토르말린 각각을 4:2:4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은,
    하부직경이 상부직경보다 더 좁게 테이퍼진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외주면 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경사톱니(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박힘부(13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은,
    제1직경을 갖는 상부영역(170)과,
    상기 상부영역 하부에 제1직경보다 더 작은 제2직경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경사톱니(120)가 형성되는 하부영역(180)과,
    상기 하부영역(180)하부에 박힘부(1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4. 삭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의 경사톱니(120)는,
    접지봉(10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뾰족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 1,2 슬로프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접지봉(100) 길이 방향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 1슬로프(140)의 경사각(예각) a가 제 2슬로프(150)의 경사각(예각) b보다 크게 이루어져 각 슬로프의 종단이 서로 만나게 되며 이 부위가 경사톱니(120)의 첨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KR1020120144224A 2012-12-12 2012-12-12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KR101362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24A KR101362900B1 (ko) 2012-12-12 2012-12-12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24A KR101362900B1 (ko) 2012-12-12 2012-12-12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900B1 true KR101362900B1 (ko) 2014-02-12

Family

ID=5027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224A KR101362900B1 (ko) 2012-12-12 2012-12-12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38A (ko) * 2017-06-27 2019-01-07 (주)태진에스티아이 강관주 설치용 하부 베이스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3633A (ja) * 1994-09-09 1996-03-26 Touden Sekkei Kk 枝付棒状接地電極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5251712A (ja) 2004-03-01 2005-09-15 Kunio Sugawara 突起付き接地電極
KR20100047364A (ko) * 2008-10-29 2010-05-10 이범진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KR20100132124A (ko) * 2009-06-09 2010-12-17 케이에스지티(주) 천공 접지봉 및 천공 접지봉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3633A (ja) * 1994-09-09 1996-03-26 Touden Sekkei Kk 枝付棒状接地電極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5251712A (ja) 2004-03-01 2005-09-15 Kunio Sugawara 突起付き接地電極
KR20100047364A (ko) * 2008-10-29 2010-05-10 이범진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KR20100132124A (ko) * 2009-06-09 2010-12-17 케이에스지티(주) 천공 접지봉 및 천공 접지봉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38A (ko) * 2017-06-27 2019-01-07 (주)태진에스티아이 강관주 설치용 하부 베이스 조립체
KR102055189B1 (ko) * 2017-06-27 2019-12-13 (주)태진에스티아이 강관주 설치용 하부 베이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01635U (zh) 具有刺状支杆的边坡支护网
CN104533467A (zh) 一种高承压水、断层破碎巷道的支护方法
CN102677685B (zh) 危岩外表裂隙拉结加固方法
KR101362900B1 (ko) 핸드공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타격형 접지봉의 시공방법
KR101477460B1 (ko) 접지장치
JP6247611B2 (ja) せん断補強工法
JP6110903B2 (ja) 地中埋設杭撤去方法
KR100997672B1 (ko) 강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앵커 구조
CN206987855U (zh) 一种新型组合式注浆锚杆
CN202865757U (zh) 一种柔性防护网
KR101358569B1 (ko) 중공접지강봉, 그를 이용한 접지저항 저감제 주입장치 및 중공접지강봉과 접지저항 저감제 동시 매설시공방법
KR101364586B1 (ko) 그리드 네일링 사면보강공법용 네일 조립체, 보강시설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 네일링 사면보강공법
CN104264695A (zh) 一种破碎岩体的抗滑装置及其施工方法
CN107084649A (zh) 一种高边坡开挖爆破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628904B (zh) 固定桩和防护网装置
JP2010146938A (ja) 接地極および接地極の施工方法
CN213717080U (zh) 一种带螺纹可快速安装的接地极
JP2011252319A (ja) 地山補強土工法用の補強材、地山補強土工法
CN203229975U (zh) 一种钢筋束锚固夹具装置
CN201490356U (zh) 预应力高强管桩接地装置
WO2008143421A1 (en) A ground rod structure with drills blade shape
CN109268023B (zh) 用于软硬地层的倒杯型高水压伸缩式复合钻切装置
CN201843151U (zh) 旋喷桩预埋应变仪装置
CN105113521B (zh) 用于预防坠落式危岩的网绳‑插头联动式景观锚固装置
CN205400773U (zh) 一种防冲击力预应力锚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