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413B1 -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413B1
KR101881413B1 KR1020170055926A KR20170055926A KR101881413B1 KR 101881413 B1 KR101881413 B1 KR 101881413B1 KR 1020170055926 A KR1020170055926 A KR 1020170055926A KR 20170055926 A KR20170055926 A KR 20170055926A KR 101881413 B1 KR101881413 B1 KR 101881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nnecting rod
electric pole
ground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준
Original Assignee
우성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기업(주) filed Critical 우성기업(주)
Priority to KR102017005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접지수단의 제1인하선과 제2접지수단의 제2인하선이 가공 상태로 배치되지 않고 모두 전주의 내부를 통하여 지중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인하선과 제2인하선과 배전선 간의 단락이 방지되고, 이에 따른 정전 및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제1접지수단의 상단접촉링과 제1인하선, 제2접지수단의 제2인하선이 전주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고, 상단접촉링이 전주의 외주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인하선의 수평부에 연결된 제1 및 제2접지봉이 전주의 하단에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인하선을 전주의 내부로 삽입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제1 및 제2접지봉과 제1 및 제2연결봉을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하고, 상단연결봉과 제2인하선의 상단을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Ground system for electric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하선이 가공 상태로 배치되지 않고 모두 전주의 내부를 통하여 지중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인하선과 배전선 간의 단락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정전 및 화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뢰란 활발한 기류의 유동에 의해 예컨대, 정전기 등과 같이 대전됨으로써 발생한 강한 전기 에너지가 지표면으로 방전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편, 배전선로는 낙뢰에 의한 충격과 설비의 오동작과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배전선로의 경우 낙뢰에 의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주에 접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낙뢰를 신속하게 지중으로 방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종래 접지장치(1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EP)에 고정되는 완철(11)에 설치되는 피뢰기(12)와, 피뢰기(12)에 연결되어 상반부는 전주(EP)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반부는 전주(EP)의 내부를 통해 지중에 위치하는 제1인하선(13)과, 상기 제1인하선(13)에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접지선(14)과, 제1접지선(14)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접지판(15)과, 상기 전주(EP)의 상단에 가설되는 가공지선(16)과, 상기 가공지선(16)에 연결되어 상반부는 전주(EP)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반부는 전주(EP)의 내부를 통해 지중에 위치하는 제2인하선(17)과, 상기 제2인하선(17)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접지선(18) 및, 제2접지선(18)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2접지판(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접지장치(10)는 낙뢰를 완철(11), 피뢰기(12), 제1인하선(13), 제1접지선(14) 및 제1접지판(15)을 통하여 지중으로 방전시키는 제1방전경로와, 가공지선(16), 제2인하선(17), 제2접지선(18) 및 제2접지판(19)을 통해 지중으로 방전시키는 제2방전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제1인하선(13)와 제2인하선(177)이 하반부는 전주(EP)의 내부를 통하여 지중에 위치하고, 상반부는 전주(EP)의 외주에 가공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제1인하선(13)과 제2인하선(17)의 상반부가 완철(11)에 애자를 통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배전선(미도시)와 같은 공간에서 서로 근접한 상태로 배치되면서 서로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되어 낙뢰의 지중 방전 과정에서 낙뢰가 제1인하선(13) 및 제2인하선(17)과 배전선 간의 단락에 의하여 아크가 발생하면서 정전 및 화재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제1인하선(13)과 제2인하선(17)이 전주(EP)의 외부에서 전주(EP)의 내부로 끼워 넣어 전주(EP)의 하단부로 인출하는 작업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주(EP)의 길이가 15미터 이상임을 감안할 때 그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배전선로의 접지 관련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2564호)2011.01.26. 등록)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배전선로의 접지선과 접지봉을 통한 낙뢰의 지중 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접지선과 배전선 및 점프선들 간의 단락에 의한 아크 발생을 방지하여 정전 및 화재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역시 접지선의 상반부가 전주의 외부에 가공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여 정전 또는 화재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인하선을 설치하는 작업과정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하선이 가공 상태로 배치되지 않고 모두 전주의 내부를 통하여 지중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인하선과 배전선 간의 단락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정전 및 화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2564호)2011.01.26. 등록)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하선이 가공 상태로 배치되지 않고 모두 전주의 내부를 통하여 지중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인하선과 배전선 간의 단락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정전 및 화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완철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전주의 외주부에서 노출되는 상단접촉링과, 상기 상단접촉링에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전주의 내부에 매설되며 하단이 상기 전주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인출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수평부를 가지는 제1인하봉과, 상기 제1인하봉의 수평부에 연결되며 하향 연장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접지봉을 포함하는 제1접지수단과, 가공지선에 용접되어 하향 연장되는 상단연결봉과, 상기 상단캡의 내부에서 상기 상단연결봉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주의 내부에 매설되고 하단이 상기 전주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인출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수평부를 가지는 제2인하봉과, 상기 제2인하봉의 수평부에 연결되며 하향 연장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2접지봉을 포함하는 제2접지수단이 결합된 전주와, 상기 전주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되는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와, 상기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완철부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부를 관통하는 장보트와, 상기 장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의 내주면을 전주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완철과, 상기 제1접지수단의 상기 제1접지봉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연결봉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봉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접지판과, 상기 제1접지봉과 제1연결봉을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제2접지수단의 상기 제2접지봉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2연결봉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봉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2접지판과, 상기 상단연결봉과 제2인하선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제2접지봉과 제2연결봉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준비하는 단계; 지반에 전주의 하단과 제1접지수단의 수평부, 제1접지봉, 제1연결봉, 제1접지판 및 연결구, 제2접지수단의 수평부, 제2접지봉, 제2연결봉, 제2접지판 및 연결구가 매설되는 굴착공을 굴착하는 단계; 굴착공 내에 전주의 하단부와 제1연결봉과 제1접지판, 제2연결봉과 제2접지판을 위치시고, 제1접지봉과 제1연결봉을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하며, 제2접지봉과 제2연결봉을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하여 전주에 매설되어 수평부가 전주의 하단에서 인출된 제1인하봉과 제2인하봉에 제1접지봉과 제2접지봉 및 연결구를 통하여 제1연결봉과 제1접지판, 제2연결봉과 제2접지판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굴착공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 타설하여 전주의 하단부와 제1접지수단의 수평부, 제1접지봉, 제1연결봉, 제1접지판 및 연결구, 제2접지수단의 수평부, 제2접지봉, 제2연결봉, 제2접지판 및 연결구가 콘크리트에 매설되도록 하는 단계; 상단연결봉과 제2인하봉을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하고, 상단캡의 하단을 씌워 전주 상단의 캡결합부에 결합하는 단계; 완철의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를 전주의 좌우측에서 상단접촉링의 외주면에 접하게 하고, 좌우 한 쌍의 완철부에 장볼트를 관통시키고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의 내주면이 전주의 외주면과 상단접촉링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를 통해 완철이 상단접촉링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에 의하면 제1접지수단의 제1인하선과 제2접지수단의 제2인하선이 가공 상태로 배치되지 않고 모두 전주의 내부를 통하여 지중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인하선과 제2인하선과 배전선 간의 단락이 방지되고, 이에 따른 정전 및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에 의하면 제1접지수단의 상단접촉링과 제1인하선, 제2접지수단의 제2인하선이 전주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고, 상단접촉링이 전주의 외주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인하선의 수평부에 연결된 제1 및 제2접지봉이 전주의 하단에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인하선을 전주의 내부로 삽입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제1 및 제2접지봉과 제1 및 제2연결봉을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하고, 상단연결봉과 제2인하선의 상단을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여 시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8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공과정을 보인 종단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에 의하여 접지수단이 구비된 배전선로를 시공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100)와; 상기 전주(100)에 고정결합되는 완철(200)과; 상기 전주(100)의 내부에 매설되고 상단이 상기 완철(200)에 접촉되며 하단이 전주(100)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인출되는 제1접지수단(300)과, 상기 전주(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공지선(400)과; 상기 가공지선(400)을 상기 전주(100)의 상단에 지지하는 가공지선지지부(500); 및 상기 전주(100)의 내부에 매설되고 상단이 상기 가공지선(400)에 연결되며 하단이 상기 전주(100)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인출되는 제2접지수단(600);이 구비된다.
상기 전주(100)는 철근 또는 철사에 의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보강메시(미도시)를 금형에 고정하고 금형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원심주조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완철(200)은 상기 전주(100)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되는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half ring members)(21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완철부(22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부(220)를 관통하는 장볼트(230)와, 상기 장볼트(230)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의 내주면을 전주(100)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시키는 너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접지수단(300)은 상기 완철(200)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전주(100)의 외주부에서 노출되는 상단접촉링(310)과, 상기 상단접촉링(310)에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전주(100)의 내부에 매설되며 하단이 상기 전주(100)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인출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수평부(321)를 가지는 제1인하봉(320)과, 상기 제1인하봉(320)의 수평부(321)에 연결되며 하향 연장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접지봉(330)과, 상기 제1접지봉(33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연결봉(340)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봉(3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접지판(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접촉링(310)과 제1인하봉(320)은 전주(100)를 원심주조하는 과정에서 보강메시와 함께 금형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전주(100)의 내부에 매설됨과 아울러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110은 상기 상단접촉링(310)에 대응하여 전주(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매설홈을 보인 것이고, 120은 제1인하봉(320)에 대응하여 전주(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매설홈을 보인 것이다.
상기 상단접촉링(310)과 제1인하봉(320)의 상단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제1인하봉(320)의 수평부(321)와 복수개의 제1접지봉(330)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연결봉(340)과 제1접지판(350)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접지봉(330)과 제1연결봉(340)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1접지봉(3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오른나선의 수나사부(331)와, 상기 제1연결봉(34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왼나선의 수나사부(341)와, 내주면 상반부에 상기 오른나선의 수나사부(331)에 대응하는 오른나선의 암나사부(361)가 형성되고 내주면 하반부에 왼나선의 수나사부(341)에 대응하는 왼나선의 암나사부(362)가 형성된 연결구(360)가 구비된다.
상기 가공지선지지부(500)는 상기 전주(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공지선(400)이 관통하여 지지되는 상단캡(510)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캡(510)에는 가공지선(400)의 가공전선(410)이 관통지지되는 지지공(520)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캡(510)은 전후 또는 좌우로 2분할된 상태로 형성하여 융착 또는 나사결합 방법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전주(100)의 상단부에는 상단캡(510)이 결합되는 캡결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캡결합부(110)는 단턱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캡(510)이 겉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결합부(130)에 대한 상단캡(510)의 결합은 상단캡(510)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루(미도시)를 캡결합부(13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캡결합부(110)에 고정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접지수단(600)은 상기 가공지선(400)에 용접되어 상기 상단캡(510)의 내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상단연결봉(610)과, 상기 상단캡(510)의 내부에서 상기 상단연결봉(6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주(100)의 내부에 매설되고 하단이 상기 전주(100)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인출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수평부(621)를 가지는 제2인하봉(620)과, 상기 제2인하봉(620)의 수평부(621)에 연결되며 하향 연장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2접지봉(630)과, 상기 제2접지봉(63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2연결봉(640)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봉(6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2접지판(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인하봉(620)은 전주(100)를 원심주조하는 과정에서 보강메시와 함께 금형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전주(100)의 내부에 매설됨과 아울러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140은 제2인하봉(620)에 대응하여 전주(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매설홈을 보인 것이다.
상기 상단연결봉(610)과 제2인하봉(620)의 상단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제2인하봉(620)의 수평부(621)와 복수개의 제2접지봉(630)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연결봉(640)과 제2접지판(650)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단연결봉(610)과 제2인하봉(620)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단연결봉(6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오른나선의 수나사부(611)와, 상기 제2인하봉(6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왼나선의 수나사부(622)와, 내주면 상반부에 상기 오른나선의 수나사부(611)에 대응하는 오른나선의 암나사부(661)가 형성되고 내주면 하반부에 상기 왼나선의 수나사부(622)에 대응하는 왼나선의 암나사부(662)가 형성되는 연결구(660)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제2접지봉(630)과 제2연결봉(640)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접지봉(6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오른나선의 수나사부(631)와, 상기 제2연결봉(64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왼나선의 수나사부(641)와, 내주면 상반부에 상기 오른나선의 수나사부(631)에 대응하는 오른나선의 암나사부(671)가 형성되고 내주면 하반부에 왼나선의 수나사부(641)에 대응하는 왼나선의 암나사부(672)가 형성된 연결구(670)가 구비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준비단계]
제1접지수단(300)을 구성하는 수평부(321)에 복수개의 제1접지봉(330)이 연결된 제2인하봉(320)과 상단접촉링(310), 제2접지수단(600)을 구성하는 수평부(621)가 연결된 제2인하봉(620)이 매설된 전주(100)와,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 완철부(220), 장볼트(230) 및 너트(240)를 포함하는 완철(200)과, 제1접지수단(300)을 구성하는 제1연결봉(340), 제1접지판(350) 및 연결구(360), 제2접지수단(600)을 구성하는 가공전선(410), 가공전선(410)에 연결된 상단연결봉(610), 제2연결봉(640), 제2접지판(650) 및 연결구(660, 670)를 준비한다(도 3 참조).
[지반굴착단계]
지반(G)에 전주(100)의 하단과 제1접지수단(300)의 수평부(321), 제1접지봉(330), 제1연결봉(340), 제1접지판(350) 및 연결구(360), 제2접지수단(600)의 수평부(621), 제2접지봉(630), 제2연결봉(640), 제2접지판(650) 및 연결구(370)가 매설되는 굴착공(H)을 굴착한다(도 4 참조).
[하단연결단계]
굴착공(H) 내에 전주(100)의 하단부와 제1연결봉(340)과 제1접지판(350), 제2연결봉(640)과 제2접지판(650)을 위치시고, 제1접지봉(330)과 제1연결봉(340)을 연결구(360)에 의하여 연결하며, 제2접지봉(630)과 제2연결봉(640)을 연결구(670)에 의하여 연결하여 전주(100)에 매설되어 수평부(321, 621)가 전주(100)의 하단에서 인출된 제1인하봉(320)과 제2인하봉(620)에 제1접지봉(330)과 제2접지봉(630) 및 연결구(360, 670)을 통하여 제1연결봉(340)과 제1접지판(350), 제2연결봉(640)과 제2접지판(650)이 연결되도록 한다(도 5 참조).
이때, 상기 제1접지봉(330)과 제2접지봉(630)의 수나사부(331, 631)와 연결구(360, 670)의 내주면 상반부의 암나사부(361, 671)는 오른나선으로, 제1연결봉(340)과 제2연결봉(640)의 수나사부(341, 641)와 연결구(360, 670)의 내주면 하반부의 암나사부(362, 672)는 왼나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구(360, 670)를 조임방향으로 돌리는 것에 의하여 제1접지봉(330)과 제1연결봉(340)이 연결구(360)에 동시에 체결되면서 연결되며, 제2접지봉(630)과 제2연결봉(640)이 연결구(670)에 동시에 체결되면서 연결된다.
여기서 전주(100)는 통상적인 크레인등을 이용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매립단계]
굴착공(H) 내에 콘크리트(C)를 주입, 타설하여 전주(100)의 하단부와 제1접지수단(300)의 수평부(321), 제1접지봉(330), 제1연결봉(340), 제1접지판(350) 및 연결구(360), 제2접지수단(600)의 수평부(621), 제2접지봉(630), 제2연결봉(640), 제2접지판(650) 및 연결구(670)가 콘크리트(C)에 매설되도록 한다(도 6 참조).
[상단연결단계]
상단연결봉(610)과 제2인하봉(620)을 연결구(660)에 의하여 연결하고, 상단캡(510)의 하단을 씌워 전주(100) 상단의 캡결합부(130)에 결합한다(도 7 참조).
이때 상기 상단연결봉(610)의 수나사부(611)와 연결구(660)의 내주면 상반부의 암나사부(661)는 오른나선으로, 제2인하봉(620)의 수나사부(621)와 연결구(660)의 내주면 상반부의 암나사부(662)는 왼나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구(660)를 조임방향으로 돌리는 것에 의하여 상단연결봉(610)과 제2인하선(620)이 연결구(660)에 동시에 체결되면서 연결된다.
여기서 상단연결단계는 굴착공(H) 내에 타설된 콘크리트(C)가 완전히 양생된 후에 시행한다.
[완철연결단계]
완철(200)의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를 전주(100)의 좌우측에서 상단접촉링(310)의 외주면에 접하게 하고, 좌우 한 쌍의 완철부(220)에 장볼트(230)를 관통시키고 너트(240)를 체결함으로써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의 내주면이 전주(100)의 외주면과 상단접촉링(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를 통해 완철(200)이 상단접촉링(310)에 연결되도록 한다(도 8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접지수단(300)의 제1인하선(320)과 제2접지수단(600)의 제2인하선(620)이 가공 상태로 배치되지 않고 모두 전주(100)의 내부를 통하여 지중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인하선(320)과 제2인하선(620)과 배전선 간의 단락이 방지되고, 이에 따른 정전 및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접지수단(300)의 상단접촉링(310)과 제1인하선(320), 제2접지수단(600)의 제2인하선(620)이 전주(100)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고, 상단접촉링(310)이 전주(100)의 외주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인하선(310, 620)의 수평부(321, 621)에 연결된 제1 및 제2접지봉(330, 630)이 전주(100)의 하단에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인하선을 전주(100)의 내부로 삽입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제1 및 제2접지봉(330, 630)과 제1 및 제2연결봉(340, 640)을 연결구(360, 670)에 의하여 연결하고, 상단연결봉(610)과 제2인하선(620)의 상단을 연결구(660)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주 110, 120, 140: 매설홈
130: 캡결합부 200: 완철
210: 하프링부재 220: 완철부
230: 장볼트 240: 너트
300: 제1접지수단 310: 상단접촐링
320: 제1인하선 321: 수평부
330: 제1접지봉 340: 제1연결봉
350: 제1접지판 360: 연결구
400: 가공지선 410: 전선
500: 가공지선지지부 510: 상단캡
600: 제2접지부 610: 상단연결봉
620: 제2인하선 630: 제2접지봉
640: 제2연결봉 650: 제2접지판
660, 670: 연결구

Claims (1)

  1. 전주(100)와,
    상기 전주(100)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되는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완철부(22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완철부(220)를 관통하는 장볼트(230)와, 상기 장볼트(230)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의 내주면을 전주(100)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시키는 너트(240)를 포함하는 완철(200)과,
    상기 완철(200)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전주(100)의 외주부에서 노출되는 상단접촉링(310)과, 상기 상단접촉링(310)에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전주(100)의 내부에 매설되며 하단이 상기 전주(100)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인출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수평부(321)를 가지는 제1인하봉(320)과, 상기 제1인하봉(320)의 수평부(321)에 연결되며 하향 연장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접지봉(330)과, 상기 제1접지봉(33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연결봉(340)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연결봉(3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1접지판(350)과, 상기 제1접지봉(330)과 제1연결봉(340)을 연결하는 연결구(360)를 포함하는 제1접지수단(300)과,
    상기 전주(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공지선(400)과,
    상기 전주(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캡(510)을 가지는 가공지선지지부(500)와,
    상기 가공지선(400)에 용접되어 상기 상단캡(510)의 내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상단연결봉(610)과, 상기 상단캡(510)의 내부에서 상기 상단연결봉(6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주(100)의 내부에 매설되고 하단이 상기 전주(100)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인출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수평부(621)를 가지는 제2인하봉(620)과, 상기 제2인하봉(620)의 수평부(621)에 연결되며 하향 연장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2접지봉(630)과, 상기 제2접지봉(63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2연결봉(640)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봉(6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복수개의 제2접지판(650)과, 상기 상단연결봉(610)과 제2인하선(6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구(660)와, 상기 제2접지봉(630)과 제2연결봉(640)을 연결하는 연결구(670)를 포함하는 제2접지수단(600)을 준비하는 단계;
    지반(G)에 전주(100)의 하단과 제1접지수단(300)의 수평부(321), 제1접지봉(330), 제1연결봉(340), 제1접지판(350) 및 연결구(360), 제2접지수단(600)의 수평부(621), 제2접지봉(630), 제2연결봉(640), 제2접지판(650) 및 연결구(370)가 매설되는 굴착공(H)을 굴착하는 단계;
    굴착공(H) 내에 전주(100)의 하단부와 제1연결봉(340)과 제1접지판(350), 제2연결봉(640)과 제2접지판(650)을 위치시고, 제1접지봉(330)과 제1연결봉(340)을 연결구(360)에 의하여 연결하며, 제2접지봉(630)과 제2연결봉(640)을 연결구(670)에 의하여 연결하여 전주(100)에 매설되어 수평부(321, 621)가 전주(100)의 하단에서 인출된 제1인하봉(320)과 제2인하봉(620)에 제1접지봉(330)과 제2접지봉(630) 및 연결구(360, 670)를 통하여 제1연결봉(340)과 제1접지판(350), 제2연결봉(640)과 제2접지판(650)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굴착공(H) 내에 콘크리트(C)를 주입, 타설하여 전주(100)의 하단부와 제1접지수단(300)의 수평부(321), 제1접지봉(330), 제1연결봉(340), 제1접지판(350) 및 연결구(360), 제2접지수단(600)의 수평부(621), 제2접지봉(630), 제2연결봉(640), 제2접지판(650) 및 연결구(670)가 콘크리트(C)에 매설되도록 하는 단계;
    상단연결봉(610)과 제2인하봉(620)을 연결구(660)에 의하여 연결하고, 상단캡(510)의 하단을 씌워 전주(100) 상단의 캡결합부(130)에 결합하는 단계;
    완철(200)의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를 전주(100)의 좌우측에서 상단접촉링(310)의 외주면에 접하게 하고, 좌우 한 쌍의 완철부(220)에 장볼트(230)를 관통시키고 너트(240)를 체결함으로써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의 내주면이 전주(10)의 외주면과 상단접촉링(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좌우 한 쌍의 하프링부재(210)를 통해 완철(200)이 상단접촉링(310)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KR1020170055926A 2017-05-01 2017-05-01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KR101881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926A KR101881413B1 (ko) 2017-05-01 2017-05-01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926A KR101881413B1 (ko) 2017-05-01 2017-05-01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413B1 true KR101881413B1 (ko) 2018-07-26

Family

ID=6304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926A KR101881413B1 (ko) 2017-05-01 2017-05-01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474A (ko) 2019-03-19 2020-09-29 (주)광진 접지극 삽입공법
CN114050425A (zh) * 2021-11-03 2022-02-15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沂供电公司 防雷接地网制作方法
KR102560390B1 (ko) 2022-12-26 2023-07-27 주식회사 일레코 배전선로의 접지 시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3633A (ja) * 1994-09-09 1996-03-26 Touden Sekkei Kk 枝付棒状接地電極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43950Y1 (ko) * 2003-11-26 2004-03-06 김종헌 배전 선로의 접지 장치
KR101012564B1 (ko) 2008-10-29 2011-02-07 이범진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KR101238683B1 (ko) * 2012-03-12 2013-03-04 대원전기 주식회사 밴드형 클램프와 탄력바 구조를 갖는 슬림형 가공중성지선 멀티캡
KR101485160B1 (ko) * 2014-06-27 2015-01-28 홍현자 가공 배전선로의 배전반 지지완철
KR101581005B1 (ko) * 2015-08-06 2015-12-29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3633A (ja) * 1994-09-09 1996-03-26 Touden Sekkei Kk 枝付棒状接地電極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43950Y1 (ko) * 2003-11-26 2004-03-06 김종헌 배전 선로의 접지 장치
KR101012564B1 (ko) 2008-10-29 2011-02-07 이범진 배전선로의 접지시공방법
KR101238683B1 (ko) * 2012-03-12 2013-03-04 대원전기 주식회사 밴드형 클램프와 탄력바 구조를 갖는 슬림형 가공중성지선 멀티캡
KR101485160B1 (ko) * 2014-06-27 2015-01-28 홍현자 가공 배전선로의 배전반 지지완철
KR101581005B1 (ko) * 2015-08-06 2015-12-29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474A (ko) 2019-03-19 2020-09-29 (주)광진 접지극 삽입공법
CN114050425A (zh) * 2021-11-03 2022-02-15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沂供电公司 防雷接地网制作方法
KR102560390B1 (ko) 2022-12-26 2023-07-27 주식회사 일레코 배전선로의 접지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13B1 (ko)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KR10160029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구조
KR20120002037A (ko) 전주용 접지 장치
CN204516914U (zh) 配电线路及设备停电检修时用接地装置
KR200446812Y1 (ko) 접지장치
CN105428841A (zh) 一种电缆接地装置
CN110718862A (zh) 一种移动式组合电器设备及其接线装置
CN211351259U (zh) 一种智能变电站继电保护用配电柜接地装置
CN204577640U (zh) 一种高压预付费开关箱出线电缆连接装置
CN210926614U (zh) 移动式组合电器设备及其接线装置
CN108505810A (zh) 一种复合绝缘材料的正三角形配电装置构架型式
CN207504333U (zh) 一种线缆分层固定装置
CN110364835A (zh) 一种导电性混凝土接地板
CN207638471U (zh) 一种带避雷器的电机接线盒
CN105356089A (zh) 一种接地线安装结构
CN214154015U (zh) 一种具备避雷功能的偏磁式消弧线圈
CN204696598U (zh) 电缆分支箱穿墙套管及其串接组合件
CN205066173U (zh) 开水器
CN204668722U (zh) 带架空型电流互感器结构的气体绝缘开关柜
KR100894881B1 (ko) 고압수용가용 지상개폐기의 무정전 교체방법과 그 바이패스접속장치
KR102479371B1 (ko) 배전 선로용 리드레스 접지장치의 시공방법
KR102507994B1 (ko)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CN204156255U (zh) 柔性电缆快速插拔头与电缆t型头对接装置
CN208423201U (zh) 一种接地模块装置
CN201336385Y (zh) 套管型便携式接地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